KR20160015929A -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929A
KR20160015929A KR1020140098925A KR20140098925A KR20160015929A KR 20160015929 A KR20160015929 A KR 20160015929A KR 1020140098925 A KR1020140098925 A KR 1020140098925A KR 20140098925 A KR20140098925 A KR 20140098925A KR 20160015929 A KR20160015929 A KR 20160015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state
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188B1 (ko
Inventor
임명근
김도형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88B1/ko
Priority to US15/327,431 priority patent/US10189367B2/en
Priority to PCT/KR2015/007247 priority patent/WO2016017963A1/ko
Publication of KR2016001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4Testing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충전소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충전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충전 상태 판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충전소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급속 충전부; 및 상기 급속 충전부로부터 전달되는 SOC(status of charge) 정보로부터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생성된 제1 판별 정보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으로부터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생성된 제2 판별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이중적으로 수행하는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API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급속 충전부로부터 전달되는 SOC(status of charge) 정보에 의해 충전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을 참조로 하여 입력 전압을 판단하여 충전 상태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위한 이중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순수 전기 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중 콘센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배터리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충전되어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은 충전 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급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되고, 완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된다. 따라서 급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급속 충전기 또는 직류 충전기라 칭하고, 완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완속 충전기 또는 교류 충전기라 칭한다.
완속 충전은 충전기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에 교류 220V를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차량에 장착된 약 3kW의 충전기가 인가된 교류 220V를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배터리 용량에 따라 8~10시간 정도 소요되며 약 6~7kW 전력용량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설치된다.
급속충전은 충전기가 자동차와 제어신호를 주고받으며 교류 삼상 380V를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한 다음 직류 100~550V를 가변적으로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고압ㆍ고용량 충전으로 충전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배터리 용량에 따라 15~30분 정도 소요된다. 충전기는 고용량의 직류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50kW급이 주로 설치된다.
급속 충전의 경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고용량의 직류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과충전 방지, 미충전 방지를 위해 충전 전압과 충전 전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충전을 적절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합 전력 제어 유닛에서 급속 충전부로부터 전달되는 SOC(status of charge) 정보에 의해 충전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을 참조로 하여 입력 전압을 판단하여 충전 상태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위한 이중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충전소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충전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충전 상태 판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충전소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급속 충전부; 및 상기 급속 충전부로부터 전달되는 SOC(status of charge) 정보로부터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생성된 제1 판별 정보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으로부터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생성된 제2 판별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이중적으로 수행하는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 상태 판별 정보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급속 충전을 위해 충전소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의 정보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의 정보를 서로 대응시켜 충전 상태를 판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압 검출부는, 두개의 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차이를 비교한 다음 5V 기준전압을 사용하여 입력 전압 차이에 따라 0V에서 5V의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충전 상태 판별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충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판별 정보와 상기 제2 판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제1 판별 정보에 의한 충전 상태 정보에 따라 충전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거나 충전을 중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이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과충전 상태이면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시에 급속 충전부로부터 전달되는 SOC 정보에 의해 충전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을 참조로 하여 입력 전압을 판단하여 충전 상태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위한 이중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의 충전 상태 판별을 위한 전압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100)는 충전소(200)부터 고전압 직류를 공급받아 배터리(300)에 대한 급속 충전을 수행한다.
급속 충전 제어 장치(100)는 데이터 저장부(110), 전압 검출부(120), 전류 검출부(130),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 스위칭부(150), 급속 충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10)는 전압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충전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충전 상태 판별 정보를 저장한다.
충전 상태 판별 정보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급속 충전을 위해 충전소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의 정보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의 정보를 서로 대응시켜 충전 상태를 판별하도록 설정된다.
충전 상태 판별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상태 판별을 위한 전압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입력 전압의 크기별로 검출 전압이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전압 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검출 전압의 크기를 통해 해당 시점에서의 입력 전압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미충전 상태, 정상 충전 상태, 과충전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상태 판별 정보는 도 2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전압 검출부(120)에 의해 모니터링된 검출 전압이 0.5V미만이면 미충전 상태, 0.5V 이상부터 4.5V 미만이면 정상 충전 상태, 4.5V 이상이면 과충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120)는 충전소(20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검출부(120)는 0V에서 5V의 범위에 있는 검출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압 검출부(120)는 두개의 입력단자를 통해 충전소(200)로부터 100~550V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두개의 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차이를 비교한 다음 5V 기준전압을 사용하여 입력 전압 차이에 따라 0V에서 5V의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30)는 충전소(20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와 전류 검출부(130)와 급속 충전부(160)를 모니터링하면서 충전소(200)와 배터리 충전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여, 충전소(200)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제공받아 급속 충전부(160)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를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된 전압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충전소(200)로부터 현재 입력되고 있는 입력 전압을 크기를 추정할 수 있고,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체 충전 단계중에서 현재의 충전 단계를 판별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출력된 검출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충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모니터링된 검출 전압이 0.5V미만이면 미충전 상태, 0.5V 이상부터 4.5V 미만이면 정상 충전 상태, 4.5V 이상이면 과충전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판별된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충전 상태 정보의 표시는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판별된 충전 상태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과충전 상태이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미충전 상태이거나 정상 충전 상태이면 충전을 계속 진행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의 SOC(status of charge) 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배터리의 SOC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SOC 정보와 비교하여 미충전 상태, 정상 충전 상태, 과충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충전 상태 정보에 따라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충전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거나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상태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은 급속 충전부(160)의 오류 발생에 효과적인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즉, 급속 충전부(160)의 고장 발생을 포함하여 임의의 고장 상황에 의해서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으로 전달되는 SOC 정보가 왜곡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 따라서, 급속 충전부(160)에 고장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급속 충전부(160)의 고장여부가 체크되지 않는다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에까지 고장이 확대될 수 있고 배터리가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되는 SOC 정보에 의해 충전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을 참조로 하여 입력 전압을 판단하여 충전 상태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위한 이중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판별된 충전 단계에 상응하여 충전 상태를 알리는 충전 상태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미충전 상태, 정상 충전 상태, 과충전 상태, 충전 중단 상태 등의 충전 상태 알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판별된 충전 단계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을 진행하거나 중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스위칭부(150)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충전소(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급속 충전부(160)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속 충전부(160)는 충전소(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을 수행한다.
급속 충전부(160)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면서 배터리의 SOC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검출부(120)는 두개의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검출 전압을 출력한다(S1). 이때,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의 크기는 OV에서 5V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출력된 검출 전압을 모니터링한다(S2).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출력된 검출 전압이 속하는 충전 상태를 판별한다(S3). 예를 들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모니터링된 검출 전압이 0.5V미만이면 미충전 상태로 인식하고, 0.5V 이상부터 4.5V 미만이면 정상 충전 상태로 인식하며, 4.5V 이상이면 과충전 상태로 인식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판별된 충전 상태에 따라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S4). 충전 상태 정보의 표시는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판별된 충전 상태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50)에 출력한다(S5).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과충전 상태이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미충전 상태이거나 정상 충전 상태이면 충전을 계속 진행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칭부(150)는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소(20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급속 충전부(160)에 공급하거나 차단한다(S6).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배터리의 SOC(status of charge) 정보를 전달받는다(S11).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한다(S12). 이때,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1 판별 정보라고 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SOC 정보와 비교하여 미충전 상태, 정상 충전 상태, 과충전 상태를 판별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한다(S13).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제1 판별 정보)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제2 판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4).
S14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판별 정보와 제2 판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제1 판별 정보에 따라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충전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거나 충전을 중단한다(S15).
S14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판별 정보와 제2 판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스위칭부(150)를 제어한다(S16).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한다(S21).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과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2).
S24 단계의 판단 결과, 과충전 상태이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충전을 중단한다(S23).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배터리의 SOC(status of charging) 정보를 전달받는다(S24).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한다(S25).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SOC 정보와 비교하여 미충전 상태, 정상 충전 상태, 과충전 상태를 판별한다.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26).
S26 단계의 판단 결과, 서로 일치하면 통합 전력 제어 유닛(140)은 급속 충전부(160)로부터 전달받은 SOC 정보로부터 판별된 충전 상태에 따라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충전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거나 충전을 중단한다(S27).
S26 단계의 판단 결과,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스위칭부(150)를 제어한다(S28).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충전소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충전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충전 상태 판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충전소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급속 충전부; 및
    상기 급속 충전부로부터 전달되는 SOC(status of charge) 정보로부터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생성된 제1 판별 정보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으로부터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생성된 제2 판별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급속 충전의 제어를 이중적으로 수행하는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판별 정보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급속 충전을 위해 충전소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의 정보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검출 전압의 정보를 서로 대응시켜 충전 상태를 판별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두개의 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차이를 비교한 다음 5V 기준전압을 사용하여 입력 전압 차이에 따라 0V에서 5V의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의 크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충전 상태 판별 정보를 참하여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충전 상태를 판별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판별 정보와 상기 제2 판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상기 제1 판별 정보에 의한 충전 상태 정보에 따라 충전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거나 충전을 중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을 중단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전력 제어 유닛이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으로부터 판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과충전 상태이면 충전을 중단하는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KR1020140098925A 2014-08-01 2014-08-01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KR10225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25A KR102253188B1 (ko) 2014-08-01 2014-08-01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US15/327,431 US10189367B2 (en) 2014-08-01 2015-07-13 Electric vehicle quick charge control apparatus
PCT/KR2015/007247 WO2016017963A1 (ko) 2014-08-01 2015-07-13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25A KR102253188B1 (ko) 2014-08-01 2014-08-01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929A true KR20160015929A (ko) 2016-02-15
KR102253188B1 KR102253188B1 (ko) 2021-05-18

Family

ID=5521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925A KR102253188B1 (ko) 2014-08-01 2014-08-01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89367B2 (ko)
KR (1) KR102253188B1 (ko)
WO (1) WO20160179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37A3 (ko) * 2016-10-28 2018-08-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충전종료 시기를 조절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88B1 (ko) * 2014-08-01 2021-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CN105576727B (zh) * 2014-10-16 2020-0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充电的方法、装置和系统
US10703474B2 (en) * 2016-08-20 2020-07-07 The Hi-Tech Robotic Systemz Ltd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CN106494251A (zh) * 2016-11-11 2017-03-15 江苏理工学院 一种电动汽车用电池的充电控制装置及方法
TWM564197U (zh) * 2018-03-27 2018-07-21 哈帝斯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辨識裝置功能之無線供電滑鼠墊
EP3587164B1 (de) * 2018-06-22 2023-12-20 eLoaded GmbH System mit zentraleinheit und mehreren gleichspannungsladesäulen zum laden von elektrofahrzuegen
CN110386029B (zh) * 2019-07-23 2021-06-22 力高(山东)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根据动态电压修正锂电池soc方法
CN110843604B (zh) * 2019-10-24 2022-10-14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防止动力电池多次充电导致过压的方法
US11691531B2 (en) * 2020-10-29 2023-07-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ation of charge current limits for a rechargeable energy storage system
US11554678B2 (en) 2020-12-11 2023-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rect current fast charging
CN115723596A (zh) * 2021-08-31 2023-03-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的充电口盖控制方法以及车辆的充电口盖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522A (ko) * 2011-02-14 2013-11-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축전 장치와 그 설치 및 운용 방법
KR20140014715A (ko) * 2012-07-25 2014-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129A (ja) * 2007-03-07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系二次電池の急速充電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子機器
DE102010028626B4 (de) * 2010-05-05 2021-09-16 Bender Gmbh & Co. Kg Stromaufladevorrichtung für ein Elektrofahrzeug
JP5647057B2 (ja) * 2010-05-19 2014-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充電装置、充電制御ユニット及び充電制御方法
JP5477965B2 (ja) * 2010-09-14 2014-04-23 ニチコン株式会社 充電制御ユニット
WO2012172263A2 (fr) * 2011-06-16 2012-12-20 Renault S.A.S. Procede pour alimenter un accessoire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batterie electrique a laquelle ledit accessoire est raccorde
US20160114692A1 (en) * 2013-06-06 2016-04-28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Battery charging devices, battery charging methods,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ies
KR102253188B1 (ko) * 2014-08-01 2021-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522A (ko) * 2011-02-14 2013-11-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축전 장치와 그 설치 및 운용 방법
KR20140014715A (ko) * 2012-07-25 2014-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37A3 (ko) * 2016-10-28 2018-08-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충전종료 시기를 조절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8079A1 (en) 2017-06-08
WO2016017963A1 (ko) 2016-02-04
KR102253188B1 (ko) 2021-05-18
US10189367B2 (en)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188B1 (ko)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EP2940827B1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using electric vehicle
JP6569446B2 (ja) バッテリ制御装置
KR101880762B1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9929674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US8655535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696160B1 (ko) 전압 측정을 통한 배터리 랙 파손 방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7894567B (zh) 电池包以及电池包接口状态的检测系统和检测方法
US10551468B2 (en) Failure detection apparatus for voltage sensor
CN108063469B (zh) 电池过放电防止装置
EP3133714A1 (en) Battery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4027512A1 (ja) 電源装置
KR101664745B1 (ko) 배터리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US9350173B2 (en) Electric power control system
US10205329B2 (en) Intelligent charger with diagnostic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KR102059616B1 (ko) 배터리의 충전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76825A (ko) 돌입전류 방지 및 배터리 고장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 방법
CN104678310B (zh) 一种检测蓄电池失效的方法和装置
KR20170105214A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20210070111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수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330741B (zh) 基于强制均充的ups系统电池回路在线测试装置及方法
KR101645325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262297B1 (ko) 전기자동차용 교류전력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77923A (ko) 전기 자동차의 모드 우선순위에 따른 충전 제어방법
KR20090132901A (ko) 무정전 전압장치 충전전압 제어방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