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762B1 -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762B1
KR101880762B1 KR1020110128306A KR20110128306A KR101880762B1 KR 101880762 B1 KR101880762 B1 KR 101880762B1 KR 1020110128306 A KR1020110128306 A KR 1020110128306A KR 20110128306 A KR20110128306 A KR 20110128306A KR 101880762 B1 KR101880762 B1 KR 10188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current
valu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964A (ko
Inventor
송정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7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와 배터리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 판단하는 동작모드 판단모듈과; 상기 동작모드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IG가 온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온 된 상태인 제1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장품 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전원공급모듈과; 배터리상태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며, 현재 모니터링된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이상유무 판별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충·방전 전후의 시간에 따른 전기화학적 변화에 대응한 차량용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한 배터리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상태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배터리는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자동차의 전원공급원으로 널리 이용되는 배터리로서, 이를 적용한 차량은 리튬배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구비한다.
BMS는 B+ 전원 및 IG ON 상태의 정상동작상태에서 리튬배터리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변화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HCU(Hybrid control unit)와 같은 상위제어기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BMS는 리튬배터리의 전압 상태에 따라 OVP(Over voltage protection), UVP(Under voltage protection), OTP(Over temperature protection), OCP(Over current protection), SCP(Short circuit protection)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상위제어기(HCU)에 상태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BMS는 리튬배터리의 각 단전지의 전압을 실시간 확인함으로써, 단전지의 최대/최소 전압을 알 수 있으며, 이 편차가 제조사가 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BMS는 단전지들의 전압 편차를 실시간 확인하여, 리튬배터리의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모든 영역에서 안정한 전압상태가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그러나 종래 BMS는 노멀모드(normal mode), 슬립모드(sleep mode), 셧다운모드(shutdown mode)와 같은 차량의 상태변화에 상관없이, 정해진 일정 루틴의 유지 관리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차량의 상태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다.
또한 종래 BMS는 충 방전 이후 리튬이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변화에 대응한 정확한 측정 수단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리튬배터리는 전기화학전지로서 차량 전원 공급되지 않더라도 내부에서 전기화학반응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IG OFF 되더라도 리튬배터리의 상태 변화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음에도, 종래 BMS는 IG OFF시 동작이 정지되어 리튬배터리의 관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KR 10-2009-0129212, 2009. 12. 16, 첨부도면 도 1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 동작상태에 걸친 전압상태와 충·방전 이후 전기화학반응의 변화까지 반영된 전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한 전압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은 차량용 배터리; 및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제어하는 배터리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판단하는 동작모드 판단모듈과; 상기 동작모드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IG가 온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온 된 상태인 제1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장품 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전원공급모듈과; 배터리상태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며, 현재 모니터링된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이상유무 판별모듈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상태인 노멀모드(normal mode)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된 상태인 슬립모드(sleep mode)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동작모드가 상기 슬립모드인 경우,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기 전 가장 마지막으로 저장된 배터리상태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상기 동작모드 판단모듈에 의해, IG가 오프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오프 된 상태인 제2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비상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전원공급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N) 된 상태인 셧다운모드(shutdown mode)일 수 있다.
상기 이상유무 판별모듈은,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V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전압값(V_old)의 전압차이값(V_diff)을 산출하여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저장하고, 상기 가장 나중에 저장된 최종 전압차이값(V_diff_1))과 현재 산출된 현재 전압차이값(V_diff_0)을 비교하여 산출된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편차값(Max drop votage)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차량용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이상유무 판별모듈은, 배터리 이상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SOC값에 대한 기준전압값이 설정된 룩업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SOC값(SOC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SOC값(V_old)의 SOC차이값(SOC_diff)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SOC차이값과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을 상기 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현재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차량의 상위 제어기에 연동되고,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의 비교결과 및 상기 이상유무 판별모듈에 의해 판별된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상기 차량의 상위 제어기로 전달하는 리포팅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차량용 배터리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용 배터리 관리방법은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 판단하는 동작모드 판단단계; 상기 동작모드 판단단계에 의해, IG가 온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온 된 상태인 제1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장품 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전원공급단계; 상기 동작모드 판단단계에 의해, IG가 오프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오프 된 상태인 제2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비상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전원공급단계; 및 배터리상태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며, 현재 모니터링된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이상유무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이상유무판별단계는,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V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전압값(V_old)의 전압차이값(V_diff)을 산출하여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가장 나중에 저장된 최종 전압차이값(V_diff_1))과 현재 산출된 현재 전압차이값(V_diff_0)을 비교하여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편차값(Max drop votage)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차량용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과정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모드 판단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제어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1)은 차량용 배터리(10), 이를 제어하는 배터리제어장치(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용 배터리(10)는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자동차(HEV) 또는 전기자동차(EV)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배터리로 주로 리튬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차량용 배터리(10)는 배터리제어장치(20)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링 및 관리된다.
배터리제어장치(20)는 차량용 배터리(10)의 전압, 전류, 온도 및 SOC와 같은 배터리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배터리(10)의 상태를 관리한다. 또한, 배터리제어장치(20)는 상위제어기, 즉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경우 HCU(Hybrid Control Unit)에 연동하며, 모니터링된 배터리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제어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모드 판단모듈(21), 제1 전원공급모듈(23), 제2 전원공급모듈(25), 이상유무 판별모듈(27), 리포팅모듈(28)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제어장치(20)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블록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동작모드 판단모듈(21)은, 연동된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의해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차량용 배터리(10)에 대한 동작모드를 판단한다.
제1 전원공급모듈(23)은 동작모드 판단모듈(21)에 의해, IG가 온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온 된 상태인 제1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전장품 전원(B+)이 배터리제어장치(2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동작모드는 도 2에 도시된 표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상태인 노멀모드(normal mode)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된 상태인 슬립모드(sleep mode)일 수 있다. 즉 노멀모드는 시동이 온, IG가 온 및 전장품 전원(B+)가 온 된 경우이고, 슬립모드는 시동이 오프, IG가 온 및 전장품 전원(B+)가 온 된 경우이다.
이와 같이 제1 전원공급모듈(23)은 차량의 상태가 노멀모드 또는 슬립모드인 경우, 배터리제어장치(20)가 차량의 정상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전장품 전원을 배터리제어장치(20)로 공급한다.
제2 전원공급모듈(25)은 동작모드 판단모듈(21)에 의해, IG가 오프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B+)이 오프 된 상태인 제2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비상전원이 배터리제어장치(2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2 동작모드는 도 2에 도시된 표와 같이, 차량의 상태가 시동이 온, IG가 오프 및 전장품 전원(B+)이 온 또는 오프인 셧다운모드(shutdown mode)일 수 있다.
즉, 제2 전원공급모듈(25)은 차량의 상태가 셧다운모드인 경우, 배터리제어장치(20)가 차량의 비상전원으로 동작하도록 비상전원을 배터리제어장치(2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1)은 제2 전원공급모듈(25)에 의해 종래와 달리 셧다운모드 상태에서도 차량용 배터리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유무 판별모듈(27)은 차량용 배터리(10)의 전압, 전류, 온도 및 SOC와 같은 배터리상태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상유무 판별모듈(27)은 현재모니터링되는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를 비교하며,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한다. 특히, 제1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인 경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기 전 가장 마지막으로 저장된 배터리상태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유무 판단모듈(27)은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V_new)과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전압값(V_old)의 전압차이값(V_diff)을 산출하여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저장한다.
또한, 이상유무 판단모듈(27)은 가장 나중에 저장된 최종 전압차이값(V_diff_1)과 현재 산출된 현재 전압차이값(V_diff_0)을 비교하여 산출된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편차값(Max drop votage) 보다 큰 경우 현재 차량용 배터리(10)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유무 판별모듈(27)은 사전에 정해진 SOC값에 대한 기준전압값이 설정된 룩업테이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방식과 병행하거나 독립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유무 판별모듈(27)은 모니터링된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SOC값(SOC_new)과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SOC값(V_old)의 SOC차이값(SOC_diff)을 산출하고, 산출된 SOC차이값과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을 사전에 설정된 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한다. 여기서 룩업테이블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10)에 대해 실험을 통해 축적되어 정해진 것으로, 정상인 경우 SOC차이값에 대한 전압값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면, 이상유무 판별모듈(27)은 산출된 SOC차이값이 10%이고 이 때 현재 전압값이 3.8V로 감지된 경우, 룩업테이블의 비교데이타가 SOC값 10%에 대해 전압값이 4V인 경우, 오차허용범위가 0.2V라면 차량용 배터리(10)의 현재 상태를 정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반면, 산출된 SOC차이값 10%에 대해 현재 전압값이 4.2V로 감지된 경우, 이상유무 판별모듈(27)은 차량용 배터리(10)의 현재 상태가 이상이 있다고 판별할 수 있다.
리포팅모듈(28)은 차량의 상위 제어기에 연동되고,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의 비교결과 및 이상유무 판별모듈(27)에 의해 판별된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차량의 상위 제어기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제어절차도이다.
먼저, 배터리제어장치(20)는 시동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도 2의 표에 근거로 차량용 배터리(10)에 대한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310).
S310 단계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셧다운모드인 경우, 배터리제어장치(20)는 비상전원을 배터리제어장치(20)로 공급하고(S312), 반면, S310 단계의 판단결과 동작모드가 노멀모드 또는 슬립모드인 경우 정상전원을 배터리제어장치(20)로 공급한다(S316).
다음, 배터리제어장치(20)는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SOC값(SOC_new)과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SOC값(V_old)의 SOC차이값(SOC_diff)을 산출한다(S320).
다음, 배터리제어장치(20)는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V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전압값(V_old)의 전압차이값(V_diff)을 산출하여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저장한다(S330).
다음, 배터리제어장치(20)는 가장 나중에 저장된 최종 전압차이값(V_diff_1))과 현재 산출된 현재 전압차이값(V_diff_0)을 비교하여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을 산출한다(S340).
다음, 배터리제어장치(20)는 산출된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편차값(Max drop votage) 보다 큰 경우 현재 차량용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S350).
여기서 배터리제어장치(20)는 위의 S350단계와 병행하여 산출된 SOC차이값(SOC_diff)과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을 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차량용 배터리(10)의 현재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1)은 이중으로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배터리관리가 가능하다.
다음, 배터리제어장치(20)는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최종 배터리상태정보의 비교결과 및 판별된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차량의 상위 제어기(하이브리드자동차의 경우, HCU)로 전달하고 저장한다(S36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1)은 차량용 배터리(10)의 충·방전 전후의 시간에 따른 전기화학적 변화에 대응한 차량용 배터리(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한 배터리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차량의 상태변화 따른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며, IG 오프 시에도 비상전원을 통한 지속적인 배터리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다.
1: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20: 배터리제어장치
21: 동작모드 판단모듈
23: 제1 전원 공급모듈
25: 제2 전원 공급모듈
27: 이상유무 판별모듈
28: 리포팅모듈

Claims (10)

  1. 차량용 배터리; 및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제어하는 배터리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판단하는 동작모드 판단모듈과;
    상기 동작모드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IG가 온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온 된 상태인 제1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장품 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전원공급모듈과;
    배터리상태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며, 현재 모니터링된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이상유무 판별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이상유무 판별모듈은, 배터리 이상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SOC값에 대한 기준전압값이 설정된 룩업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SOC값(SOC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SOC값(V_old)의 SOC차이값(SOC_diff)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SOC차이값과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을 상기 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현재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상태인 노멀모드(normal mode)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된 상태인 슬립모드(sleep m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가 상기 슬립모드인 경우,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기 전 가장 마지막으로 저장된 배터리상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상기 동작모드 판단모듈에 의해, IG가 오프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오프 된 상태인 제2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비상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전원공급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N) 된 상태인 셧다운모드(shutdown m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유무 판별모듈은,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V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전압값(V_old)의 전압차이값(V_diff)을 산출하여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저장하고, 가장 나중에 저장된 최종 전압차이값(V_diff_1))과 현재 산출된 현재 전압차이값(V_diff_0)을 비교하여 산출된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편차값(Max drop votage)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차량용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는 차량의 상위 제어기에 연동되고,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의 비교결과 및 상기 이상유무 판별모듈에 의해 판별된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상기 차량의 상위 제어기로 전달하는 리포팅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9. 차량용 배터리 관리방법에 있어서,
    IG가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 및 전장품 전원이 온(ON)/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판단하는 동작모드 판단단계;
    상기 동작모드 판단단계에 의해, IG가 온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온 된 상태인 제1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장품 전원이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전원공급단계;
    상기 동작모드 판단단계에 의해, IG가 오프 된 상태이고 전장품 전원이 오프 된 상태인 제2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비상전원이 상기 배터리제어장치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전원공급단계; 및
    배터리상태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며, 현재 모니터링된 현재 배터리상태정보와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최종 배터리상태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이상유무판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유무판별단계는, 배터리 이상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SOC값에 대한 기준전압값이 설정된 룩업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SOC값(SOC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SOC값(V_old)의 SOC차이값(SOC_diff)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SOC차이값과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을 상기 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현재 상태가 이상 있는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유무판별단계는,
    상기 현재 배터리상태정보 중 현재 전압값(V_new)과 상기 최종 배터리상태정보 중 최종 전압값(V_old)의 전압차이값(V_diff)을 산출하여 상기 사전에 정해진 주기로 저장하는 과정과; 가장 나중에 저장된 최종 전압차이값(V_diff_1))과 현재 산출된 현재 전압차이값(V_diff_0)을 비교하여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전압변동편차값(V_drop)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편차값(Max drop votage)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차량용 배터리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방법.
KR1020110128306A 2011-12-02 2011-12-02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88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6A KR101880762B1 (ko) 2011-12-02 2011-12-02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6A KR101880762B1 (ko) 2011-12-02 2011-12-02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64A KR20130061964A (ko) 2013-06-12
KR101880762B1 true KR101880762B1 (ko) 2018-07-20

Family

ID=4885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06A KR101880762B1 (ko) 2011-12-02 2011-12-02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79B1 (ko) * 2020-12-16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모드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627B1 (ko) * 2013-11-11 2015-07-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05116342B (zh) * 2015-08-20 2018-06-15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电池一致性检测分类装置的检测方法
KR102156403B1 (ko) * 2016-11-24 2020-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
US20190033377A1 (en) 2017-07-28 2019-01-31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battery operating data and exogenous data
KR101939794B1 (ko) * 2018-07-13 2019-01-17 (주)엠에스정밀 산업차량 및 건설장비용 급제동 방지 안전 시스템
CN112748352A (zh) * 2019-10-31 2021-05-04 上海威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传感器的电源控制系统及方法
US11697357B2 (en) 2020-07-08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battery of vehicle
US11378626B2 (en) 2020-07-08 2022-07-0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KR20220006270A (ko) 2020-07-08 2022-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2483A (ko) 2020-07-22 2022-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0083A (ko) 2020-11-03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873853B (zh) * 2020-07-30 2022-05-10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电池管理方法、装置、电池管理系统、车辆以及存储介质
KR20220061862A (ko) 2020-11-06 2022-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147503B (zh) * 2021-04-19 2024-03-0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电源管理方法
KR20230031065A (ko) 2021-08-26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55714A (ko) 2021-10-19 2023-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가용 용량 기반 요금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578A (ko) *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의 충격 측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KR20230165067A (ko) *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2819A (ja) * 1998-03-04 1999-09-17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異常判別方法
JP2006300561A (ja) * 2005-04-15 2006-11-02 Ntt Facilities Inc 劣化判定装置及び方法
JP2007015477A (ja)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ジン始動用蓄電池の劣化判別装置とこの劣化判別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始動用蓄電池
KR20080038760A (ko) * 2006-10-31 2008-05-0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배터리의 잔량 검출 기능을 가지는 내비게이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보호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08B1 (ko) 2008-06-12 2013-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전류센서의 고장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2819A (ja) * 1998-03-04 1999-09-17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異常判別方法
JP2006300561A (ja) * 2005-04-15 2006-11-02 Ntt Facilities Inc 劣化判定装置及び方法
JP2007015477A (ja)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ジン始動用蓄電池の劣化判別装置とこの劣化判別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始動用蓄電池
KR20080038760A (ko) * 2006-10-31 2008-05-0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배터리의 잔량 검출 기능을 가지는 내비게이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보호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79B1 (ko) * 2020-12-16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모드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64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762B1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8655535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977416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thereof
EP2940827B1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using electric vehicle
KR2019001298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05003414A (ja) 蓄電装置の異常検出方法、蓄電装置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JP5839047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
KR20180023140A (ko) 파워릴레이 어셈블리의 고장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5929A (ko) 전기 자동차의 급속 충전 제어 장치
KR101622193B1 (ko) 절연저항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전압 전원 분배 장치
CA3015276A1 (en) Online battery capacity estimation utilizing passive balancing
JP2020188528A (ja) バッテリ監視装置及び電動車両の制御装置
KR20040005133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만충전 관리 방법
KR102059616B1 (ko) 배터리의 충전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252594A (ja) 蓄電装置
KR20180103212A (ko) Ess 과전류 보호 방법
KR101439233B1 (ko) 보조 전원을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US119599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onnection fault of parallel connection cell
US202202551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onnection fault of parallel connection cells
KR101492161B1 (ko)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방법
KR102314351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수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30089B1 (ko) 셀-임피던스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팩 관리 방법
KR102017573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45325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30088B1 (ko) 모듈-임피던스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팩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