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788A - 신발의 바닥부재 - Google Patents

신발의 바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788A
KR20160013788A KR1020147013813A KR20147013813A KR20160013788A KR 20160013788 A KR20160013788 A KR 20160013788A KR 1020147013813 A KR1020147013813 A KR 1020147013813A KR 20147013813 A KR20147013813 A KR 20147013813A KR 20160013788 A KR20160013788 A KR 2016001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blade
region
toe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553B1 (ko
Inventor
오사무 시바타
마사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Publication of KR2016001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6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의 안창을 바닥판(1), 커버(2), 복수의 블레이드(3) 및 액체(4)로 구성한다. 블레이드(3)를 바닥판(1)에 설치한 제1 영역(11)에 기립하도록 형성한다. 블레이드(3)를 슬릿(31)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로 구성하고,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의 어느 한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한다.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를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해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한다. 바닥판(1)과 커버(2)를 서로 접합하여 밀폐공간(5)을 형성하고, 이 밀폐공간에 액체(4)를 밀봉한다.

Description

신발의 바닥부재{SOLE MEMBER OF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의 바닥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감 있고 쾌적한 보행감을 얻으면서 보행 시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마사지 효과를 발휘하고, 나아가 바닥부재에 밀봉된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의 바닥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행에 있어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될 때에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체중의 약 1.25배이며, 조깅에서는 약 3배까지 달한다고 한다. 이 충격은 발뒤꿈치, 복사뼈, 무릎, 나아가서는 허리로 전달되어, 이들 부위에 부담이 가게 된다. 또한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될 때에 가해지는 충격에 비해, 발가락으로 지면을 차면서 올릴 때의 충격 쪽이 크다는 것도 판명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보행 시에 발바닥이 지면에 착지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마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신발의 안창을 제안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신발 안창(A)의 구성을 설명한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신발 안창(A)은 신발 바닥의 형상과 거의 비슷한 바닥판(1)과 커버(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1)과 커버(2)는 양쪽 모두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다. 바닥판(1)에는 발바닥이 접지되는 형상에 상당하는 제1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2)에는 이 제1 오목부에 대향하는 제2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의 제1 오목부(1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가 일체적으로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는 각각 바닥판(1)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고, 발뒤꿈치 또는 발끝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바닥판(1)의 제1 오목부(11)의 내주벽(14)과, 복수의 블레이드(3)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과의 사이에는 이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구획벽(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3)는 바닥판(1)에 평행한 방향으로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을 향해 보았을 때에는, 각각 블레이드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부가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로폭 방향의 중도부에는 액체(4)가 이동 할 수 있는 슬릿(31)이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과 커버(2)는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의 외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접합부(6)로 서로 용착되어 있고, 이 제1 오목부(11)와 제 2 오목부(21)와의 사이의 밀폐공간(5)에 물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액체(4)가 밀봉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발 안창(A)의 작용을 설명한다. 보행에 있어서는 맨 먼저 발의 발뒤꿈치 부분이 착지된다. 다음으로 발바닥의 장심의 외측으로 접지면이 넓어지고, 나아가 발가락의 접지뿌리의 부풀어 오른 부분(볼부)으로 체중이 이동된다. 볼부에 체중이 실린 후, 좌우나 전후로의 비틀거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 발가락은 좌우방향으로 펼쳐진다. 다음으로 중심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볼부로부터 발바닥이 구부러지고, 발뒤꿈치 부분이 떠올라 발가락 전체로 지면을 차면서 올린다.
이상의 일련의 보행 동작에서, 예를 들어 발뒤꿈치가 착지될 때에는 안창(A)의 발뒤꿈치가 맞닿는 부분에, 체중에 의한 압압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고, 그 압압력은 소위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와의 사이의 밀폐공간(5)에 밀봉된 액체(4)를 통하여, 이 밀폐공간의 모든 내면으로 균등하게 전달된다.
그런데 액체(4)가 밀봉된 밀폐공간(5)에 예를 들어 발뒤꿈치 부분이 맞닿으면, 이 맞닿은 부분은 아래쪽으로 변위되고, 그 위치에 있는 액체(4)를 압박한다. 여기서 물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액체(4)는 비압축성이기 때문에 그 자체는 수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뒤꿈치 부분이 맞닿은 부분에 있는 액체(4)는 압박되고 있지 않은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런데 압박된 액체(4)가 압박되고 있지 않은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밀폐공간(5)이 변형되거나 부풀거나 해야 한다. 밀폐공간(5)이 변형되거나 부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밀폐공간을 구성하는 시트 형상의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를 잡아 늘리거나 변형시키거나 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액체(4)의 압력이 증대되어야 한다.
즉 압박된 액체(4)가 압박되고 있지 않은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면 밀폐공간(5) 내의 액체(4)의 압력은 증대되고, 압박된 부분은 이 증대된 액체(4)의 압력에 의한 반동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될 때 가해지는 충격을, 이 액체(4)의 반동력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런데 안창(A)이 블레이드(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 밀봉된 액체(4)는 밀폐공간(5) 안을 사방팔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커버(2)에서 발뒤꿈치에 의해 압박된 부분이 바닥판(1)에 쉽게 닿게 되어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의 충격이 거의 완화되지 않는다. 또한 밀봉된 액체(4)가 밀폐공간(5) 안을 사방팔방으로 쉽게 이동하면, 안창(A)이 발바닥을 지지하는 힘이 불안정하게 되어, 착화감이 나빠진다.
그런데 안창(A)이 복수의 블레이드(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에 이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밀봉된 액체(4)의 이동이 방해를 받게 된다. 액체(4)의 이동이 방해를 받으면 커버(2)에서 발뒤꿈치에 의해 압박된 부분이 꺼지는 것에 대한 저항력이 생겨 바닥판(1)에 닿기 어렵게 되어,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복수의 블레이드(3)는 발뒤꿈치 또는 발끝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블레이드(3)가 발뒤꿈치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에는 안창(A)에서 발뒤꿈치에 의해 압박된 부분의 액체(4)는, 밀폐공간(5) 안에서 발끝을 향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그런데 블레이드(3)는 액체(4)가 발끝으로 향하는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 즉 발뒤꿈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액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저항력이 더욱 강해짐에 따라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3)가 발끝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우에는 발끝이 접지될 때의 충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복수의 블레이드(3)의 일부가 발뒤꿈치를 향하여 경사지고 다른 블레이드가 발끝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우에는, 발뒤꿈치 및 발끝이 접지될 때의 충격력을 각각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 덧붙여 복수의 블레이드(3)는 각각 바닥판(1)에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발뒤꿈치 또는 발끝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 의해 안창(A)이 압박되면 블레이드(3)의 탄성력에 의한 반발력이 생겨난다. 이에 상술한 액체(4)의 작용에 더하여, 블레이드(3)의 반발력에 의해 커버(2)에서 압박된 부분이 꺼지는 것에 대한 보다 강한 저항력을 발휘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 의해 안창(A)이 압박되었을 때에, 커버(2)가 바닥판(1)에 닿기 어렵게 하여 발뒤꿈치가 접지될 때의 충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발바닥을 지지하는 힘이 안정되고, 착화감이 좋은 상태가 된다.
나아가서는 보행 시에 복수의 블레이드(3)의 선단이 순차적으로 커버(2)를 통해 발바닥을 자극하므로 발바닥을 마사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에서 액체(4)가 밀봉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의 선단이 커버(2)를 통하여 발바닥에 맞닿는 힘이 강해져, 발바닥을 과도하게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액체(4)가 밀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액체의 저항력에 의해 복수의 블레이드(3)의 선단이 커버(2)를 통하여 발바닥에 맞닿는 힘이 적정히 억제되기 때문에, 기분 좋은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신발 안창(A)은 이 안창 안에 밀봉된 액체(4)와 바닥판(1)으로부터 기립하는 복수의 경사진 블레이드(3)에 의해, 보행 시에 발바닥이 지면을 착지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우수한 마사지 효과를 발휘한다.
그런데 상술한 안창(A)에는 보행 또는 조깅의 일련 동작에서 발뒤꿈치, 발바닥의 장심의 외측, 볼부 및 발가락이 접지될 때, 반복적으로 큰 압압력이 걸린다. 또한 안창(A)의 일부가 압박되면 그 부분에 위치한 액체(4)도 압박되어, 이 압박력에 의해, 밀폐된 액체(4)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대된다. 나아가 압박된 부분의 액체(4)는 압박되고 있지 않은 다른 부분으로 급속하게 이동하여 충격력을 만들어 낸다.
즉 보행 등에 있어서는 안창(A)을 구성하는 바닥판(1) 및 커버(2)에 인장응력, 압축응력, 전단응력 또는 휨 응력 외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액체(4)의 높은 압력과, 이 액체의 급속한 이동에 의한 충격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바닥판(1) 및 커버(2)에는 액체(4)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바닥판(1)과 커버(2)와의 접합부(6)로부터 액체(4)가 새는 것을 방지해야 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신발 안창(A)에서 밀봉된 액체(4)의 누수를 방지하고자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안하였다.
바닥판(1)의 제1 오목부(11) 및 커버(2)의 제2 오목부(21)의 외주로서, 양자를 접합하는 접합부(6)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였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접합부(6)의 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접합부(6)의 폭을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하였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3 참조). 접합부(6)의 단위면적 당 접합강도를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함으로써, 접합강도가 약해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나아가서는 블레이드(3)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과 바닥판(1)의 제1 오목부(11)의 내주벽(14)과의 사이에, 이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구획벽(15)을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였다(특허문헌 1 참조). 안창(A)이 압박됨으로써 급속하게 이동하는 액체(4)가 접합부(6)에 직접 닿는 것을 피하여, 액체(4)의 누수가 발생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특허문헌 1 : 국제 공개 공보 WO2010/023793 특허문헌 2 : 특개 평6-14805호 공보 특허문헌 3 : 특개 2000-236908호 공보
이러한 상술한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수단을 강구하여도, 바닥판과 커버의 접합부로부터 액체가 새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밀봉된 액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한층 더 개량이 필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 결과, 밀봉된 액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액체의 급속한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액체가 접합부에 닿는 충격력을 작게 하는 것, 그리고 액체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발생되는 국부적인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 내용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바닥부재는 바닥판, 커버, 복수의 블레이드 및 액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닥판은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영역과, 이 제1 영역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제1 수평 플랜지부를 갖고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향하는 형상의 제2 영역과, 상기 제1 수평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형상의 제2 수평 플랜지부를 갖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영역의 윗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판의 발끝 쪽으로부터 발뒤꿈치 쪽에 이르는 중심선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슬릿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상기 블레이드마다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 중 어느 한 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수평 플랜지부와 제2 수평 플랜지부는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는 상기 공간에 밀봉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닥판", "커버" 및 "블레이드"의 재질은 그 종류를 불문하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합성고무, 천연고무재가 해당된다. 또한 "바닥판", "커버" 및 "블레이드"는 사출성형 또는 프레스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바닥판"과 "블레이드"와는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이란, 보행, 조깅 및 멈춰 선 상태에서 발바닥이 접지하는 형상에 대략 비슷한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5개의 발가락 및 이 발가락들의 접지뿌리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바닥판과 커버가 서로 대응하는 평면에 각각 설치된 오목한 형상으로 움푹 패인 것이 바람직하나, 오목한 형상으로 움푹 패이지 않은 평면인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수평 플랜지부" 및 "제2 수평 플랜지부"의 외주 형상은 각각 신발창의 내주 형상과 대략 비슷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주변을 잘라내어 신발창의 사이즈에 맞출 수 있도록, 약간 크다 싶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슬릿"은 블레이드를 상단으로부터 뿌리까지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블레이드를 상단으로부터 뿌리까지의 높이의 50% 이상에 걸쳐 분리할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가 4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적어도 양끝 2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가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남은 2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서로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서로 일렬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또한 "신발의 바닥부재"의 "신발"에는 신사화 및 부인화 양쪽 모두가 포함되며, 스포츠슈즈, 스니커, 끈 달린 혹은 끈 없는 샌들, 업무용 신발, 스키화, 골프화, 하이킹화, 워킹화, 부츠, 장화, 실내화, 짚신(조리), 슬리퍼 및 양말 등도 해당된다. 또한 "바닥부재"에는 모든 안창 및 밑창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바닥부재는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안창 내에 밀봉된 액체와, 바닥판으로부터 기립하는 복수의 경사진 블레이드에 의해, 보행 시에 발바닥이 지면에 착지될 때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우수한 마사지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바닥부재는 이 바닥부재 내에 밀봉된 액체의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음으로 밀봉된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작용 효과에 대하여, 발뒤꿈치가 접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바닥부재는 블레이드를 슬릿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구성하고,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 의해 커버 표면의 일부가 압박되면 그 압박된 부분에 있는 액체도 압박되어, 밀폐 공간에서 압박되고 있지 않은 부분으로 급격하게 이동한다. 그런데 밀폐 공간 안에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압박된 액체는 이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이동을 방해 받아,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에 따라 안창의 가로폭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한다.
여기에서 바닥부재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에 따라 가로폭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액체는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에 의해 진로가 꺾여,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의 양끝으로부터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비스듬히 유출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의 양끝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는 그 외측에 위치하는 바닥판과 커버와의 접합부에 비스듬한 각도로 충돌한다. 즉 급속하게 이동하는 액체를 바닥판과 커버와의 접합부에 비스듬히 충돌시키면, 이 접합부에 직교하도록 충돌시키는 경우에 비해 이 충돌부분에 걸리는 액체의 충돌력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액체를 바닥판과 커버와의 접합부에 비스듬히 충돌시키면, 이 접합부에 직교하도록 충돌시키는 경우에 비해 액체를 발뒤꿈치 또는 발끝 방향으로 향하여 부드럽게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액체를 바닥판과 커버와의 접합부에 직교하도록 충돌시키면, 충돌한 액체는 발뒤꿈치 또는 발끝 방향을 향하여 도망가기 어렵게 되어 흐름이 막혀, 이로 인해 충돌 부분에서의 액체의 정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액체를 바닥판과 커버와의 접합부에 비스듬히 충돌시키면, 충돌한 액체는 발뒤꿈치 또는 발끝 방향을 향하여 쉽게 흘려가게 되어, 액체의 정압이 충돌 부분에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를 슬릿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구성함으로써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즉 끝이 펼쳐지게 배치된 평판 블레이드 요소에서, 슬릿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으로부터 압박되어도 쉽게는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발바닥으로의 자극이 지나치게 강해져 통증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평판 블레이드 요소의 굴곡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피하여, 발바닥에 적정한 자극을 주도록 하여, 기분 좋은 마사지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 사이에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발뒤꿈치 등에서 압박된 액체를 이 슬릿을 통하여 발뒤꿈치 또는 발끝 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에 따라 가로폭 방향으로 액체가 이동하는 속도 및 봉쇄 압력이 억제되어, 접합부로의 액체의 충격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요소를 평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 요소 자체의 굴곡강성을 억제하고 발바닥에 적정한 자극을 주어 기분 좋은 마사지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의 제1 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경계의 양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에 대하여 경사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면, 발뒤꿈치가 착지할 때 및 발끝으로 차면서 올릴 때의 쌍방에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신발의 바닥부재에서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발끝 쪽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끝 쪽 블레이드와, 이 중앙부로부터 발뒤꿈치 쪽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로 구성한다.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이 발끝 쪽 블레이드마다 각각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 중 어느 한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한다.
상기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이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마다 각각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와는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한다.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경사시킨다. 상기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위쪽에서 보아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와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게 경사시킨다.
그런데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에 근접한 블레이드에 대하여,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분리하는 슬릿으로부터 액체가 유출되면 그 슬릿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접합부에 액체의 충격력이 직접 가해진다. 특히 발끝 쪽에 근접한 평판 블레이드 요소가 발뒤꿈치 쪽을 향해 끝이 펼쳐지게 경사져 있는 경우, 또는 발뒤꿈치 쪽에 근접한 평판 블레이드 요소가 발끝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게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슬릿으로부터 액체가 더욱 빨리 유출되어 액체의 충격력이 더욱 강해진다.
여기에서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에 근접한 블레이드에 대해서는, 슬릿이 없는 1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함으로써 슬릿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의 충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 의해 밀폐된 액체의 일부가 압박되면, 압박된 부분의 액체는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에 따라 바닥판의 가로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의 양끝으로부터 유출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바닥판과 커버와의 접합부에 충돌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의 양끝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직접 접합부에 충돌시키지 않으면 액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과 바닥판의 제1 오목부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이 바닥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하는 1겹의 구획벽을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그런데 1겹의 구획벽만으로는 반드시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접합부로부터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 의해 밀폐된 액체를 압박하면, 압박된 액체는 다른 압박되고 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동하여 그 부분의 밀폐공간을 변형 및 팽창시킨다.
이로 인해 압박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1겹의 구획벽의 상단과 커버의 아랫면과의 접촉부분이 벌어지고, 이동해 온 액체가 이 벌어진 간격을 통해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에 직접 충돌한다. 따라서 접합부로부터 액체가 새기 쉬워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신발의 바닥부재로는, 상기 제1 영역의 내주벽과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과의 사이에 제1 구획벽을 이 제1 영역의 윗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 제1 구획벽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어느 한 쪽에서, 이 제1 구획벽과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제2 구획벽을 상기 제2 영역의 아랫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벽과 제2 구획벽에는 각각 복수 개소에 홈 또는 노치부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벽에 설치한 홈 또는 노치부와 상기 제2 구획벽에 설치한 홈 또는 노치부를 이 홈 또는 노치부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즉 구획벽을 2중으로 하여 일측 구획벽을 바닥판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하고, 소정 간격을 두고, 타측 구획벽을 커버로부터 늘어뜨리듯 형성함으로써, 액체의 이동에 의해, 만일 쌍방의 구획벽 상단과 커버의 아랫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더라도 내측에 위치하는 구획벽의 상단에 개구되는 틈을 통과하는 액체는 외측에 위치한 구획벽의 뿌리부분에 막히게 되므로,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제1 구획벽과 제2 구획벽에 각각 복수의 개소에 홈 또는 노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외측에 위치하는 구획벽과 접합부의 내주측과의 사이의 간격에 유입된 액체가 홈 또는 노치부로부터 제1 구획벽이나 제2 구획벽의 내측으로 쉽게 피하게 하여, 이 간격 내에 갇히는 것을 피하고, 이 폐쇄에 의한 압력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구획벽에 설치한 홈 또는 노치부와 제2 구획벽에 설치한 홈 또는 노치부를 이 홈 또는 노치부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압박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의 양끝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홈 또는 노치부를 통해 바닥판과 커버의 접합부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커버의 일부를 잘라냈을 때의 신발의 안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바닥판과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바닥판과 커버를 접합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바닥판과 커버를 접합한 상태에서, 가로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분리하는 슬릿의 일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구획벽 및 제2 구획벽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구획벽 및 제2 구획벽에 설치한 홈 및 노치부를 홈 및 노치부의 중심선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평판 블레이드 요소의 배치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평판 블레이드 요소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평판 블레이드 요소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과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과의 또 다른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구획벽 및 제2 구획벽의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구획벽 및 제2 구획벽에 있어서, 홈 또는 노치부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개소를 나타낸 신발 안창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안창의 위치를 나타낸 신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밑창의 위치를 나타낸 신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커버의 일부를 잘라냈을 때의 종래의 예에 따른 신발의 안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바닥부재에 대하여 신발 안창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안창(A)은 바닥판(1), 커버(2), 복수의 블레이드(3) 및 액체(4)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1)은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영역(11)과 이 제1 영역의 전체 둘레를 감싸는 제1 수평 플랜지부(12)를 갖고 있다. 또한 커버(2)는 바닥판(1)에 설치된 제1 영역(11)에 대향하는 제2 영역(21)과, 제1 수평 플랜지부(12)에 대향하는 제2 수평 플랜지부(22)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바닥판(1)의 제1 영역(11)은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의 접지뿌리 바로 앞까지의 길이이고, 가로폭은, 발바닥이 접지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은 제1 수평 플랜지부(12)의 윗면으로부터 약간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영역(21)은 제2 수평 플랜지부(22)의 아랫면으로부터 약간 위쪽으로 패인 오목부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의 윗면과 제2 영역(21)의 아랫면과는 제1 수평 플랜지부(12)와 제2 수평 플랜지부(22)와의 맞춤면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내주벽(14, 2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응력 집중을 피하고 있다.
도 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의 제1 영역(1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가 이 바닥판으로부터 기립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닥판(1)의 발끝 쪽으로부터 발뒤꿈치 쪽에 이르는 중심선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는 서로 중심에 위치하는 슬릿(31)에 의해 분리된 2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는 제1 영역(1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각각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져 있다.
즉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발끝 쪽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는 블레이드(이하 "발끝 쪽 블레이드(3a)"라 한다)는 발뒤꿈치 쪽을 향해 경사져 있고, 중앙부로부터 발뒤꿈치 쪽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는 블레이드(이하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라 한다)는 발끝 쪽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모든 블레이드(3)를 발끝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해도 되며, 또한 발끝 쪽 블레이드(3a)를 발끝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하고,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를 발뒤꿈치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발끝 쪽 블레이드(3a)와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의 경계를 길이방향 중앙부 대신에, 발끝 쪽에 가깝게 혹은 발뒤꿈치 쪽에 가깝게 설정해도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를 구성하는 2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위쪽에서 보아 각각의 블레이드 마다 발끝 쪽 또는 발꿈치 쪽 중 어느 한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발끝 쪽 블레이드(3a)를 구성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뒤꿈치 쪽을 향해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고,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를 구성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끝 쪽을 향해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끝 쪽 및 발뒤꿈치 쪽에 근접한 블레이드(3c, 3d)는 각각 슬릿이 없는 1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발끝 쪽에 근접한 블레이드(3c)는 발뒤꿈치 쪽을 향해 경사져 있고, 발뒤꿈치 쪽에 근접한 블레이드(3d)는 발끝 쪽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신발의 사용 양태에 따라서는 슬릿이 없는 1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를 생략해도 되고, 2장 이상 인접시켜 설치해도 되며, 또한 발뒤꿈치 쪽으로부터 발끝 쪽에 이르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슬릿(31)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블레이드(32)와 평판 블레이드(33)를 상단으로부터 뿌리까지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2)와 블레이드(33)를 상단으로부터 뿌리까지의 높이의 50% 이상에 걸쳐 분리하고, 뿌리부분에 양자를 연결하는 부분을 남기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도 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의 제1 영역(11)의 내주벽(14)과 블레이드(3)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과의 사이에는 제1 구획벽(15)이, 이 제1 영역의 윗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구획벽(15)의 내주측에는 이 제1 구획벽과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제2 구획벽(25)이 제2 영역(21)의 아랫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 도 4에 도시된 제1 구획벽(15) 및 제2 구획벽(25)은 형상이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보다 큰 사이즈로 도시하였다.
또 도 6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벽(15)과 제2 구획벽(25)에는 각각 복수 개소에 홈(151, 25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구획벽(15)에 설치된 홈(151)과 제2 구획벽(25)에 설치된 홈(251)은 이 홈 또는 노치부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구획벽(15)와 제2 구획벽(25)에 각각 설치된 홈(151, 251) 대신에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노치부(151, 251)를 설치해도 된다.
또 제1 구획벽(15)와 제2 구획벽(25)의 위치를 서로 교체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제1 구획벽(15)과 제2 구획벽(25)에 더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제3 구획벽 또는 제4 구획벽을 추가로 설치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의 제1 수평 플랜지부(12)와 커버(2)의 제2 수평 플랜지부(22)는 띠 형상의 접합부(6)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제1 영역(11)과 제2 영역(21)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5)이 형성된다. 밀폐 공간(5)에는 발뒤꿈치 쪽의 주입구(미도시)로부터 액체(4)를 주입하고, 주입 후에 주입구를 막아 밀봉한다.
또한 띠 형상의 접합부(6)는 제1 수평 플랜지부(12)와 제2 수평 플랜지부(22)와의 내주단부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한 폭이 되도록 한다. 또 접합부(6)는 고온 프레스에 의해 열용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합제를 사용하여 접합해도 된다.
바닥판(1)과 커버(2)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으로 성형한다. 액체(4)는 물 투과성이 낮고 증발하기 어려운 특성인 것, 또한 부패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4)는 한냉지에서도 동결되지 않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가로폭 방향의 외주단부는 상단으로부터 뿌리부분에 이르는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구획벽(25)의 내주면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가 압박될 때에 쉽게 구부러지게 하여, 쾌적한 마사지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구획벽(25)의 내주면과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가로폭 방향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7)을 통하여 액체(4)를 전후방향으로 쉽게 흐르게 하여, 이로 인한 액체(4)의 폐쇄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공간(5)에 액체(4)를 밀봉한 상태에서, 블레이드(3)의 높이는 이 블레이드의 상단이 제2 영역(21)의 아랫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맞닿는 높이보다도 높게 혹은 낮게 해도 된다. 또 제1 구획벽(15) 및 제2 구획벽(25)의 높이는 각각의 선단이 제2 영역(21)의 아랫면 및 제1 영역(11)의 윗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맞닿는 높이보다도 높게 혹은 낮게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8 ~ 도 10을 참조하여 블레이드(3) 및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배치에 대하여 또 다른 실시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에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장수와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블레이드(3)는 슬릿(31)으로 서로 분리된 3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4, 33)로 구성된다.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중앙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4)는, 제1 영역(1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블레이드(3)는 슬릿(31)으로 서로 분리된 4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5, 36, 33)로 구성된다.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중앙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5, 36)도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5, 36)를 제1 영역(1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직교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도 8(C)에 도시된 블레이드(3)는 슬릿(31)으로 서로 분리된 5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7, 38, 39, 33)로 구성된다.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내측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7, 39)도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앙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8)는 제1 영역(1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7, 39)를 제1 영역(1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직교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도 9에는 서로 인접하는 블레이드(3)의 슬릿(31)을 슬릿(31)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서로 인접하는 블레이드(3)의 슬릿(31)을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설치하면, 압박된 액체(4)가 전후방향으로 너무 쉽게 유출되어, 액체(4)의 반동력에 의해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70 ~ 120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 140도이다. 170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블레이드(3)의 상호 간격의 양끝으로부터 유출되어, 바닥판(1)과 커버(2)와의 접합부(6)로 충돌하는 액체(4)의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저하되고, 120도 미만이면 보행 등에 있어 발바닥 등이 접지할 때 가로폭 방향의 안정감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150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형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A)에는 발끝 쪽 블레이드(3a)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를 발끝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하고,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를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B)에는 발끝 쪽 블레이드(3a) 및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를, 모두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C)에는 발끝 쪽 블레이드(3a) 및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를, 모두 발끝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 도 12에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B)와 도 12(B)에는 각각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이 같은 방향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B)에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이 모두 발끝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2(B)에서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이 모두 발뒤꿈치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1(C)와 도 12(C)에는 각각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의 끝이 펼쳐지는 방향과 경사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C)에서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끝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게 되어 있으나, 발뒤꿈치 쪽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2(C)에서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게 되어 있으나, 발끝 쪽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발끝 쪽 블레이드(3a)에 근접한 블레이드(3c)에 대해서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3b)에 근접한 블레이드(3d)에 대해서는 발끝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각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해도 된다.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 등의 경사 각도는 수직면으로부터의 경사진 각도가 30 ~ 6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 50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0도 미만이면 발바닥으로 압박하였을 때에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 등이 쉽게 쓰러지지 않아 발바닥으로의 자극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이며, 60도를 넘으면 이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가 너무 쉽게 쓰려져 발바닥으로의 자극이 지나치게 약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45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평판 블레이드 요소(32, 33) 등의 상단의 단면 형상은 원호곡선 등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바닥으로의 자극이 부드러워져 쾌적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에 제1 구획벽(15)과 제2 구획벽(25)의 단면 형상을 예시한다. 즉 도 13(A)은 직사각형 뿌리부분에 반원형의 선단을 형성한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B)에는 선단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C)에는 선단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한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획벽(15)과 제2 구획벽(25)은 이상의 단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에서, C라는 문자를 붙인 5개소에는 종래 예에 따른 신발의 안창(A)에 있어 바닥판(1)과 커버(2)와의 접합부(6)로부터 액체(4)의 누수가 쉽게 발생되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구획벽(15)의 홈 또는 노치부(151) 및 제2 구획벽(25)의 홈 또는 노치부(251)는 이 C라는 문자를 붙인 5개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라는 문자를 붙인 5개소에 위치하는 접합부(6)에, 급속하게 이동하는 액체(4)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바닥부재를, 상술한 신발의 안창(A)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바닥부재를 신발의 밑창(B)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보행 등에 있어서 안정감을 가져다주면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여 마사지 효과를 발휘하고, 나아가 밀봉된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발에 관한 산업에 널리 이용 가능하다.
1 : 바닥판
2 : 커버
3, 3c, 3d : 블레이드
3a : 발끝 쪽 블레이드
3b :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
4 : 액체
5 : 밀폐공간
6 : 접합부
11 : 제1 영역
12 : 제1 수평 플랜지부
14 : 내주벽
15 : 제1 구획벽
21 : 제2 영역
22 : 제2 수평 플랜지부
31 : 슬릿
32, 33 : 평판 블레이드 요소
A : 안창

Claims (9)

  1. 바닥판, 커버, 복수의 블레이드 및 액체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은 발바닥에 상당하는 형상의 제1 영역과 이 제1 영역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제1 수평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향하는 형상의 제2 영역과, 상기 제1 수평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형상의 제2 수평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영역의 윗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판의 발끝 쪽으로부터 발뒤꿈치 쪽에 이르는 중심선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슬릿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상기 블레이드마다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 중 어느 한 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수평 플랜지부와 제2 수평 플랜지부는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는 상기 공간에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발끝 쪽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끝 쪽 블레이드와, 이 중앙부로부터 발뒤꿈치 쪽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이 발끝 쪽 블레이드마다 각각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 중 어느 한 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이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마다 각각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에서 보아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발뒤꿈치 쪽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에 위치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는 위쪽에서 보아 상기 발끝 쪽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평판 블레이드 요소와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끝이 펼쳐지게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발끝 쪽 또는 발뒤꿈치 쪽 중 어느 한 쪽에 근접해 있는 상기 블레이드는, 슬릿이 없는 1장의 평판 블레이드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내주벽과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과의 사이에는 제1 구획벽이 이 제1 영역의 윗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구획벽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어느 한 쪽에서, 이 제1 구획벽과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제2 구획벽이 상기 제2 영역의 아랫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구획벽과 제2 구획벽에는 각각 복수 개소에 홈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벽에 설치된 홈 또는 노치부와 상기 제2 구획벽에 설치된 홈 또는 노치부는, 이 홈 또는 노치부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내주벽과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가로폭 방향의 양끝 쪽과의 사이에는 제1 구획벽이 이 제1 영역의 윗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구획벽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 중 어느 한 쪽에서, 이 제1 구획벽과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제2 구획벽이 상기 제2 영역의 아랫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구획벽과 제2 구획벽에는 각각 복수 개소에 홈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벽에 설치된 홈 또는 노치부와 상기 제2 구획벽에 설치된 홈 또는 노치부는, 이 홈 또는 노치부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부재는 신발의 안창 또는 신발의 밑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부재는 신발의 안창 또는 신발의 밑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부재는 신발의 안창 또는 신발의 밑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부재는 신발의 안창 또는 신발의 밑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바닥부재.
KR1020147013813A 2013-05-22 2013-05-22 신발의 바닥부재 KR102042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4269 WO2014188546A1 (ja) 2013-05-22 2013-05-22 履物の底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88A true KR20160013788A (ko) 2016-02-05
KR102042553B1 KR102042553B1 (ko) 2019-11-08

Family

ID=5193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813A KR102042553B1 (ko) 2013-05-22 2013-05-22 신발의 바닥부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60128423A1 (ko)
EP (1) EP3000344A4 (ko)
JP (1) JP5695794B1 (ko)
KR (1) KR102042553B1 (ko)
CN (1) CN104321118B (ko)
AU (1) AU2013387183B2 (ko)
CA (1) CA2873158C (ko)
HK (1) HK1203876A1 (ko)
MX (1) MX2014006573A (ko)
RU (1) RU2621650C1 (ko)
SG (1) SG11201403689VA (ko)
TW (1) TWI552691B (ko)
WO (1) WO2014188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08270A (es) * 2017-03-17 2019-09-16 Desarrollo Integral Del Molde Sl Suela para calzado.
CN107125838A (zh) * 2017-06-22 2017-09-05 张佩春 体育健身矫正增高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5357A1 (en) * 1982-05-26 1983-11-30 Donald M. Fowler Impact absorbing member for footwear
EP0336801B1 (fr) * 1988-03-28 1992-12-30 Jean Mauger Semelle ou première de chaussur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incorporé
JPH0614805A (ja) 1992-05-07 1994-01-25 Chem:Kk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2000236908A (ja) 1999-02-23 2000-09-05 Himiko Co Ltd 靴の中底または靴底
US20020189132A1 (en) * 2001-04-25 2002-12-19 Seikichi Yamamoto Shoe sole and shoe
WO2010023793A1 (ja) 2008-08-27 2010-03-04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及び履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8105A (en) * 1959-03-03 1961-01-17 Olympio C Rizzo Pneumatic jump boot construction
US3087262A (en) * 1961-04-24 1963-04-30 Forward Slant Sole Company Resilient shoe sole
US3871117A (en) * 1973-04-17 1975-03-18 Rex E Richmond Fluid filled insoles
US5189816A (en) * 1990-11-22 1993-03-02 Kabushiki Kaisha Himiko Mid-sole or sole of shoes
JP2566628Y2 (ja) * 1992-05-07 1998-03-30 株式会社卑弥呼 靴の靴底
US6178663B1 (en) * 1993-04-15 2001-01-30 Henning R. Schoesler Fluid filled insole with metatarsal pad
IT1278358B1 (it) * 1995-02-07 1997-11-20 Scarpa Calzaturificio Spa Suola per calzatura.
US6119370A (en) * 1999-02-11 2000-09-19 Baron; Kyle L. Sole liner for shoe
US6769202B1 (en) * 2001-03-26 2004-08-03 Kaj Gyr Shoe and sole unit therefor
JP3623186B2 (ja) * 2001-11-15 2005-02-23 義知 徳重 健康中敷及び健康靴
US20070051018A1 (en) * 2005-09-06 2007-03-08 Columbia Insurance Company Bladd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JP4919697B2 (ja) * 2006-05-15 2012-04-18 信義 森田 靴底用中敷
CN101049193A (zh) * 2007-04-20 2007-10-10 许景贤 减震换气鞋
TWM359222U (en) * 2008-11-12 2009-06-21 hui-ping Zhou Improved shoe insole structure
CN103082562A (zh) * 2013-02-25 2013-05-08 林志铭 一种按摩排气鞋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5357A1 (en) * 1982-05-26 1983-11-30 Donald M. Fowler Impact absorbing member for footwear
EP0336801B1 (fr) * 1988-03-28 1992-12-30 Jean Mauger Semelle ou première de chaussur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incorporé
JPH0614805A (ja) 1992-05-07 1994-01-25 Chem:Kk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2000236908A (ja) 1999-02-23 2000-09-05 Himiko Co Ltd 靴の中底または靴底
US20020189132A1 (en) * 2001-04-25 2002-12-19 Seikichi Yamamoto Shoe sole and shoe
WO2010023793A1 (ja) 2008-08-27 2010-03-04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及び履物
EP2316294A1 (en) * 2008-08-27 2011-05-04 Himiko Co., Ltd. Shoe inner sole and footwear
US20110131834A1 (en) * 2008-08-27 2011-06-09 Himiko Co., Ltd Shoe midsole and footwear
JP4741714B2 (ja) * 2008-08-27 2011-08-10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及び履物
KR101247215B1 (ko) * 2008-08-27 2013-03-25 가부시키가이샤 히미코 구두의 안창 및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53B1 (ko) 2019-11-08
EP3000344A4 (en) 2017-01-25
TW201507649A (zh) 2015-03-01
SG11201403689VA (en) 2014-12-30
CN104321118A (zh) 2015-01-28
TWI552691B (zh) 2016-10-11
CN104321118B (zh) 2016-05-25
AU2013387183A1 (en) 2014-12-11
RU2621650C1 (ru) 2017-06-06
AU2013387183B2 (en) 2015-07-16
MX2014006573A (es) 2015-06-10
CA2873158C (en) 2016-09-13
US20160128423A1 (en) 2016-05-12
WO2014188546A1 (ja) 2014-11-27
CA2873158A1 (en) 2014-11-27
HK1203876A1 (zh) 2015-11-06
JPWO2014188546A1 (ja) 2017-02-23
EP3000344A1 (en) 2016-03-30
JP5695794B1 (ja)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287B2 (en) Shoe midsole and footwear
TWI694783B (zh) 具有槽之鞋底結構
US10016017B2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ES2624137T3 (es) Calzado
EP2609824B1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20120227291A1 (en) High-heeled foot apparel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KR20160013788A (ko) 신발의 바닥부재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KR100889258B1 (ko) 기능성 신발 밑창
KR20130091039A (ko)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20110007478U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JP7138888B2 (ja) 足趾着地矯正シート
JP3211541U (ja) 履物
KR101796171B1 (ko) 통풍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밑창
KR200481007Y1 (ko) 통기성과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신발창
KR200352341Y1 (ko) 신발밑창
KR20160073642A (ko) 맨발로 걷는 효과를 가지는 신발
KR101570394B1 (ko)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KR200430874Y1 (ko) 돌기가 구비된 신발 중창
KR20120118628A (ko)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TWM540525U (zh) 鞋底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