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394B1 -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394B1
KR101570394B1 KR1020130149693A KR20130149693A KR101570394B1 KR 101570394 B1 KR101570394 B1 KR 101570394B1 KR 1020130149693 A KR1020130149693 A KR 1020130149693A KR 20130149693 A KR20130149693 A KR 20130149693A KR 101570394 B1 KR101570394 B1 KR 10157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hoe
foot
shoe accor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199A (ko
Inventor
이정호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3014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3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중창은, 발목 관절 축을 중심으로 하측의 뒤꿈치 부위에 위치하는 하측 중창부, 상기 발목 관절 축의 상측과 발목 발허리 관절 사이의 아치 부위에 대응하는 중앙 중창부, 및 상기 발목 발허리 관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중창부로 구성되고, 이들 중창의 각 부분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종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 홈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중앙 중창부는,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을 때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측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발의 착지에 따라 지면에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3박자 보행을 유도하여 바른 걸음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Shoe having a divided mid-so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시의 안정성 및 직진성을 높임과 동시에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중창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발에 대한 일반적인 보행 기능에 더해, 발에 대한 건강상 관점에서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또는 완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신발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창에 있어서는, 예컨대 중창에 있어서 그의 각 부위가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지 않고, 또한 중창 바닥부의 모든 부위가 거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지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 보행시 발의 보행압력을 지면으로 분산시켜 전진 직선 보행을 유도하고 직선 보행 추진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보행시 보행압력 흡수와 반발 탄성이 우수한 재질의 쿠션재와, 발의 앞꿈치 근력을 자극하여 발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고, 또한 밑창에 완충부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와 전진 직선 보행 추진을 지원할 수 있는 신발 등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신발들은 보다 자연스런 보행 성능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보행시, 예컨대 발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보다 자연스런 보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성 신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창 중앙부의 바닥부를 전방부 및 후방부의 바닥부보다 높게 형성하고, 또한, 신발의 중창을 3개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신발의 바닥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절히 완충 및 분산되도록 하여, 발의 움직임을 3박자 걸음으로 유도하여 더욱 자연스런 보행을 가능케 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갑피, 중창 및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발목 관절 축을 중심으로 하측의 뒤꿈치 부위에 위치하는 하측중창부, 상기 발목 관절 축의 상측과 발목 발허리 관절 사이의 아치 부위에 대응하는 중앙 중창부, 및 상기 발목 발허리 관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중창부로 각각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 중창부의 바닥부는, 하측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의 바닥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창의 각 부분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1 및 제2 관통 홈에 의해 각각 구획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의 중앙부에는, 제1 및 제2 관통 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은 중창의 전체 깊이의 중간까지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창부, 중앙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의 길이상 비율이, 상기 순서대로 7~9:7~9:12~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창부, 중앙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의 길이상 비율이, 상기 순서대로 8:8: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의 깊이는 중창 전체 깊이의 중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뒷굽의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20°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중창의 중앙 중창부의 위치는, 발목 관절(ankle joint) 축과 중족골(metatarsal)이 시작되는 발목 발허리 관절(tarsometatarsal joint) 축 사이에 분포하여 발의 아치부를 모두 지지할 수 있고, 중앙 중창부의 바닥부는 상하측 중창부의 바닥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때에는 지면에 닿지 않지만, 부하가 걸리게 되는 보행 또는 착지시에는 중앙 중창부가 아래로 눌려져 지면에 탄성적으로 닿게 되어, 종래에 비해 자연스런 보행이 이루어지며, 또한 장시간 보행시에도 발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중창을 갖는 신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발의 발목 관절축 및 중족골 축에 따라 중창의 절개 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중창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창 및 밑창의 바닥부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중창의 중앙 중창부에 부하의 인가 전후의 상태를도시한 측면도로서, 도4a는 부하의 인가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4b는 부하의 이가 후, 즉, 착지시의 변위를 나타낸다.
이하, 발명에 의한 신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1)의 사시도로서, 중창(100), 밑창(200) 및 갑피(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창(100)은, 3개의 부분, 즉, 상측 중창부(10), 중앙 중창부(20) 및 하측 중창부(30)로 분할 형성된다.
도2는 발의 발목 관절축 및 중족골 축에 따라 중창의 절개 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중창(100)의 측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00)은, 인체의 발목 관절 축을 중심으로, 하측의 뒤꿈치 부위에 위치하는 하측 중창부(30), 발목 관절 축의 상측과 발목 발허리 관절 사이의 아치 부위에 대응하는 중앙 중창부(20), 및 발목 발허리 관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중창부(10)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창 및 밑창의 바닥부를 도시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창(100)의 3개의 각 부분은 신발(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1 관통 홈(101) 및 제2 관통 홈(102)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이때 제1 관통 홈(101)은, 중창(100)의 바닥부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상측 중창부(10)와 중앙 중창부(20)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제2 관통 홈(102)은 하측 중창부(30)와 중앙 중창부(20) 사이에 형성되며, 이들 관통 홈의 깊이는 중창 전체 두께의 절반 정도의 깊이를 갖는다. 특히, 상기 제1 관통 홈(101)에는 대략 그의 중앙부에 제1 관통 공(101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관통 홈(102)에는 대략 그의 중앙부에 제2 관통 공(102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측 중창부(10), 중앙 중창부(20) 및 하측 중창부(30)에는,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다수의 절개부들(11,2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들(11,21,31)에 의해 구획되는 중창의 각 부분들은 일체로 된 종래의 중창에 비해, 우수한 쿠션 및 탄력성을 제공할 수 있어, 매우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창의 측면에는, 중창 전체 높이의 대략 절반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양각부(1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중창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창의 상부에는 탄성적인 중창에 비해 경질의 플라스틱 사출물의 프레임 구조물(100')이 결합되어, 안착된 발의 지지부로 기능한다.
도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중창부(20)의 위치는, 발목 관절(ankle joint) 축과 종족골(metatarsal)이 시작되는 발목 발허리 관절 (tarsometatarsal joint) 축 사이에 분포하여 발의 아치부를 모두 지지할 수 있고, 중앙 중창부(20)의 바닥부는 상하측 중창부(10,30)의 바닥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중창부(20)는,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때에는, 상하측 중창부(10,30)의 바닥부와 달리, 지면에 닿지 않지만, 부하가 걸리게 되는 보행 또는 착지시에는 아래로 눌려져 지면에 탄성적으로 닿게 되어, 종래에 비해 자연스런 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중창(100)의 중앙 중창부(20)에 대한 부하의 인가 전(도4a)과 인가 후(도4b)의 변위를 화살표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창(100)의 중앙 중창부(20)의 바닥부는,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을 때,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측 중창부(30) 및 상측 중창부(10)의 바닥부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의 착지(즉, 부하가 걸린 상태)에 의해,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의 화살표와 같이 중앙 중창부(20)가 하방으로 변위됨과 동시에, 중창의 하부가 화살표와 같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어, 중앙 중창부(20)가 지면에 탄력적으로 접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 더욱 자연스러운 3박자 보행을 유도하여 바른 걸음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관통 홈(101,102)의 각 중앙부에는, 예컨대, 중창의 상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물(100')의 바닥부까지 관통하여 뚫려있는 제1 및 제2 관통 공(101a,10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101, 102)은 중창(100) 전체 깊이의 중간까지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중창(100)의 바닥부에는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복수의 절개부들(11,2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절개부들(11,21,31)의 깊이 역시 중창 전체 깊이의 중간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들(11, 21, 31)은 하측 중창부(30)에 2개, 중앙 중창부(20)에 4개, 상측 중창부(10)에 4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절개부들의 수를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부들(11, 21, 31)에 의해, 중창의 탄력성이 종래에 비해 한층 향상되어, 착지시 발의 각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직선 보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보다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00) 측면의 대략 중간 부위에는 중창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볼록한 양각부(100")가 형성되어 있어 중창의 탄력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상기 양각부(100")는, 경우에 따라서는 오목한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중창부(30), 중앙 중창부(20) 및 상측 중창부(10)의 길이상 비율이, 상기 순서대로 7~9: 7~9:12~14도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중창부(30), 중앙 중창부(20) 및 상측 중창부(10)의 길이상 비율이, 상기 순서대로 8 : 8 : 13이다. 또한, 상기 중창(100)의 하측 중창부(30), 중앙 중창부(20) 및 상측 중창부(1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체로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형성하여, 예컨대 중창의 일부를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100')의 저부에 각각 접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중창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한 번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보행시에도 발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창(100)의 뒷굽의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 즉 지면과 발 사이의 각도는 일반 속도(예컨대, 4km/h)부터 빠른 걸음(예컨대, 6km/h)에 걸쳐 약 20°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내지 20.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200)은 중창과 명확히 구별되지 않고 중창(100)의 바닥부의 일부에 내마모성 재질의 고무를 접합하여 밑창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본질적인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창(100)을 갖는 신발(1)은 예컨대, 정상적인 발의 형태를 갖는 사람은 물론, 평발 또는 평발에 가까운 발을 가진 사람에게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중창(100)을 갖는 신발(1)에 있어서는, 각각의 관통 공(101a,102a)을 갖는 두 개의 수직 관통 홈(101, 102)과 복수의 절개부(11,21,31)들에 의해 구획되는 각 중창부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지시 발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고 신발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특히, 중창(100)을 상측, 중앙, 하측의 3개 부분으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신발의 바닥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절히 완충 및 분산되도록 하여, 발의 움직임을 3박자 걸음으로 유도하여 더욱 자연스런 보행을 가능케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창의 중앙부의 바닥부를 상측 및 하측의 바닥부보다 높도록 형성하고, 또한, 중창을 3개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분할된 각 부분에 복수의 수직 절개부들을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아치부를 포함한 바닥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절히 완충 및 분산되도록 하고, 발의 움직임을 3박자 걸음으로 유도하여 더욱 자연스런 보행을 가능케 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1: 신발
10: 상측 중창부
20: 중앙 중창부
30: 하측 중창부
11: 상측 절개부들
21: 중앙 절개부들
31: 하측 절개부들
101: 제1 관통 홈
102: 제2 관통 홈
101a: 제1 관통 공
102a: 제2 관통 공
100': 프레임 구조물
100": 양각부
100: 중창
200: 밑창
300: 갑피

Claims (10)

  1. 갑피, 중창 및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발목 관절 축을 중심으로 하측의 뒤꿈치 부위에 위치하는 하측중창부, 상기 발목 관절 축의 상측과 발목 발허리 관절 사이의 아치 부위에 대응하는 중앙 중창부, 및 상기 발목 발허리 관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중창부로 각각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중앙 중창부의 바닥부는, 하측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의 바닥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각 부분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1 및 제2 관통 홈에 의해 각각 구획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의 중앙부에는, 제1 및 제2 관통 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은 중창의 전체 깊이의 중간까지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창부, 중앙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의 길이상 비율이, 상기 순서대로 7~9:7~9:12~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중창부, 중앙 중창부 및 상측 중창부의 길이상 비율이, 상기 순서대로 8:8: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의 깊이는 중창 전체 깊이의 중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1항에 있어서, 중창의 뒷굽의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20°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30149693A 2013-12-04 2013-12-04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KR10157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693A KR101570394B1 (ko) 2013-12-04 2013-12-04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693A KR101570394B1 (ko) 2013-12-04 2013-12-04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99A KR20150065199A (ko) 2015-06-15
KR101570394B1 true KR101570394B1 (ko) 2015-11-20

Family

ID=5350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693A KR101570394B1 (ko) 2013-12-04 2013-12-04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50B1 (ko) 2003-08-05 2005-12-14 주식회사 힐코 3박자 보행용 신발의 밑창
KR100910400B1 (ko) * 2008-12-18 2009-08-04 주식회사 엠에스존 신발 밑창
JP2011136253A (ja) 2003-10-09 2011-07-14 Nike Inc アッパーと履物底構造とを有する履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50B1 (ko) 2003-08-05 2005-12-14 주식회사 힐코 3박자 보행용 신발의 밑창
JP2011136253A (ja) 2003-10-09 2011-07-14 Nike Inc アッパーと履物底構造とを有する履物
KR100910400B1 (ko) * 2008-12-18 2009-08-04 주식회사 엠에스존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99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665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US11490683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US8387279B2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CA2810449C (en) Outsole
EP1941808B1 (en) Sole and footwear provided with the same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KR200462847Y1 (ko) 무릎 관절 보호 및 오다리 교정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밑창
KR100912386B1 (k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1933660B1 (ko) 전후방 탄성체 미드솔
KR100941367B1 (ko) 측방지지돌기와 측방관통터널이 형성된 측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1570394B1 (ko) 분할된 중창을 갖는 신발
KR200455079Y1 (ko) 직선보행유도기능을 갖는 중창을 갖는 신발
KR200444068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1241422B1 (ko) 다중 경도에 의한 구름보행 기능을 갖는 신발 중창 및 그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200466692Y1 (ko) 볼링화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KR101554200B1 (ko) 기능성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CN217446855U (zh) 可调节足弓舒适度的鞋垫组
KR102555298B1 (ko) 아웃솔 구조체
KR101369346B1 (ko) 프레임 구조를 구비한 신발
KR100913991B1 (ko)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KR20120036086A (ko)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KR100912646B1 (ko)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20110007478U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