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086A -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 Google Patents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086A
KR20120036086A KR1020100097765A KR20100097765A KR20120036086A KR 20120036086 A KR20120036086 A KR 20120036086A KR 1020100097765 A KR1020100097765 A KR 1020100097765A KR 20100097765 A KR20100097765 A KR 20100097765A KR 20120036086 A KR20120036086 A KR 2012003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heel
extension
shoes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569B1 (ko
Inventor
백운학
Original Assignee
백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학 filed Critical 백운학
Priority to KR102010009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5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아웃솔의 전측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아웃솔이 상기 상측아웃솔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높이가 점차 커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여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앞꿈치로 보행하면서 발목관련근력을 단련시킬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자연히 11자 직선보행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자의 팔자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GAIT CORRECTION AND MUSCLE-BOOSTING SHOES}
본 발명은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여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앞꿈치로 보행하면서 발목관련근력을 단련시킬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자연히 11자 직선보행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자의 팔자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은 크게 3단계의 과정으로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단계,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를 좌우의 발이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종래의 신발은 뒤축의 형상이 지면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며, 구두의 경우에는 뒤축에 예리한 모서리가 형성되어 착지 단계 시에 이 모서리가 지면에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뒤축의 모서리는 접지면적이 좁은 선형형상이기 때문에 착지 시의 충격이 크고, 착지의 다음 단계인 중심이동단계로의 이동이 단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목관절은 물론 다리와 신체의 각 관절에 급격한 충격력이 전달되어 착지감이 좋지 못하고 보행이 부자연스럽게 된다.
또한,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발목관련근력을 단련시킬 수 없고, 착용자가 보행하는 과정 중에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여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앞꿈치로 보행하면서 발목관련근력을 단련시킬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자연히 11자 직선보행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자의 팔자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갑피와, 상기 갑피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인솔과, 상기 인솔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아웃솔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갑피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측아웃솔과; 상기 상측아웃솔의 전측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아웃솔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높이가 점차 커지는 하측아웃솔;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아웃솔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측아웃솔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아웃솔의 후측 하부면에 힐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와 힐부에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의 후측면에 형성되고, 상단부 방향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의 후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힐부의 경사부는 상기 힐부의 전측면에 형성되고, 상단부 방향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힐부의 후방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측아웃솔의 후측면에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측아웃솔의 후측 방향에서 전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일정깊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측아웃솔의 전측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아웃솔이 상기 상측아웃솔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높이가 점차 커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여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앞꿈치로 보행하면서 발목관련근력을 단련시킬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자연히 11자 직선보행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자의 팔자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아웃솔의 후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힐부는 보행하는 과정 중에 연장부의 후측과 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 등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보다 더욱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힐부에 형성된 경사부가 착용자가 보행하는 과정에 서로 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 등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보다 더더욱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착용자가 제자리에 서서 발뒤꿈치를 올렸다 내렸다하는 이른바 점핑동작을 하여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측아웃솔의 후측면에 형성된 만곡부는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상기 하측아웃솔로 가해지는 착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측아웃솔로 착용자의 하중이 편중되지 않은 상태로 다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상측아웃솔, 하측아웃솔, 연장부의 내구성 및 탄성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갑피(10), 인솔(미도시), 아웃솔(30), 연장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갑피(10) 및 인솔(미도시)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아웃솔(30)은 상측아웃솔(310) 및 하측아웃솔(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아웃솔(310)은 상기 갑피(1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측아웃솔(330)은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하부면에 구비된다.
상기 하측아웃솔(330)은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높이(h)가 점차 커진다.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하부면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아웃솔(310)과 하측아웃솔(330) 사이에는 후측이 개방된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50)는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50)의 전측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50)의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연장부(50) 즉, 상측연장부(530)와 하측연장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연장부(530)의 전측면은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후측면 하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연장부(530)는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방향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측연장부(55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안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연장부(550)는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하측연장부(550)의 전측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측연장부(550)의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아웃솔(330)과 상기 연장부(50)의 상측연장부(530) 및 상기 하측연장부(550) 모두는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측아웃솔(330)과 상기 연장부(50)의 상측연장부(530)는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50)의 하측연장부(550)는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측아웃솔(330)과 상기 연장부(50)의 상측연장부(530)는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50)의 하측연장부(550)는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장부(50)의 내구성 및 특히 상기 연장부(50)의 탄성력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후술할 힐부(70)의 경사부(710)와 접하는 상기 연장부(50)가 상기 상측아웃솔(310)과 수평상태로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원위치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하측연장부(550)가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지면과 상기 하측연장부(550)의 하부면 사이에 마찰력이 극대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지면과 상기 하측연장부(550)의 하부면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후측 하부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힐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힐부(70)는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후측 하부면에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힐부(70)는 상측힐부(730)와 하측힐부(7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힐부(730)는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후측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힐부(750)는 상기 상측힐부(73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후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힐부(7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행하는 과정 중에 상기 연장부(50)의 후측과 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 등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보다 더욱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장부(50)와 힐부(7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경사부(510, 7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의 경사부(510)는 상기 연장부(50)의 후측면에 상단부 방향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50)의 후측 방향으로 사선(\)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힐부(70)의 경사부(710)는 상기 힐부(70)의 전측면 즉, 상기 상측힐부(730) 및 하측힐부(750)의 전측면에 상단부 방향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힐부(70)의 후방 방향으로 사선(\)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50)에 형성된 경사부(510)와 상기 힐부(70)에 형성된 경사부(71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가 보행하는 과정에 서로 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 등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보다 더더욱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착용자가 제자리에 서서 발뒤꿈치를 올렸다 내렸다하는 이른바 점핑동작을 하여 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측힐부(730)와 하측힐부(750) 모두는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상측힐부(730)는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힐부(750)는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상측힐부(730)가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힐부(750)가 고무 등을 포함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장부(50)의 경사부(510)와 상기 힐부(70)의 경사부(710)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맞닿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강화용 신발의 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후측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곡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331)는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후측 방향에서 전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일정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후측면에 형성된 상기 만곡부(33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상기 하측아웃솔(330)로 가해지는 착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측아웃솔(330)로 착용자의 하중이 편중되지 않은 상태로 다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상측아웃솔(310), 하측아웃솔(330), 연장부(50)의 내구성 및 탄성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갑피(10), 인솔(미도시), 아웃솔(30), 연장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상기 연장부(5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연장부(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상기 연장부(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연장부(50)의 전측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방향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5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하부면에 구비되는 상기 하측아웃솔(330)이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높이가 점차 커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여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앞꿈치로 보행하면서 발목관련근력을 단련시킬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자연히 11자 직선 보행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하는 과정 중에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자의 팔자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은 착용자가 발앞꿈치로 보행을 시작할 시 상기 연장부(50)의 전측 하부면이 지면에 먼저 접촉하여 보행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팔자 걸음걸이로 보행하기 어렵고 11자 직선 보행을 유도하여 자연스럽게 팔자 걸음걸이를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반대로, 착용자가 뒤꿈치로 보행을 시작할 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연장부(50)에 상기 힐부(70)가 맞닿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목과 신체의 각 관절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고,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상하높이가 상기 힐부(70)의 상하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착용자가 보행시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제자리에 서서 뒤꿈치를 올렸다 내렸다 할 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연장부(50)에 의해 점핑운동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발목관련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10; 갑피, 30; 아웃솔,
310; 상측아웃솔, 330; 하측아웃솔,
331; 만곡부, 50; 연장부,
510; 경사부, 530; 상측연장부,
550; 하측연장부, 70; 힐부,
710; 경사부, 730; 상측힐부,
750; 하측힐부.

Claims (4)

  1. 갑피(10)와, 상기 갑피(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인솔과, 상기 인솔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아웃솔(30)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30)은 상기 갑피(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측아웃솔(310)과;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높이가 점차 커지는 하측아웃솔(330);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아웃솔(310)의 후측 하부면에 힐부(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50)와 힐부(70)에는 경사부(510, 7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0)의 경사부(510)는 상기 연장부(50)의 후측면에 형성되고, 상단부 방향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50)의 후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힐부(70)의 경사부(710)는 상기 힐부(70)의 전측면에 형성되고, 상단부 방향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힐부(70)의 후방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후측면에는 만곡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331)는 상기 하측아웃솔(330)의 후측 방향에서 전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일정깊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KR1020100097765A 2010-10-07 2010-10-07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KR10119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65A KR101196569B1 (ko) 2010-10-07 2010-10-07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65A KR101196569B1 (ko) 2010-10-07 2010-10-07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86A true KR20120036086A (ko) 2012-04-17
KR101196569B1 KR101196569B1 (ko) 2012-11-01

Family

ID=4613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765A KR101196569B1 (ko) 2010-10-07 2010-10-07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60B1 (ko) 2020-12-08 2022-05-17 김동현 근력강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796B1 (ko) 2020-03-23 2021-06-11 권동혁 보행자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교정 정보 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854B1 (ko) 1998-02-26 2000-01-15 박문환 건강 증진용 신발
KR200431327Y1 (ko) * 2006-08-29 2006-11-23 권시혁 탄성수단이 구비된 신발
JP2010162318A (ja) 2009-01-19 2010-07-29 Tatsuya Nakatsuka ランニングシュー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60B1 (ko) 2020-12-08 2022-05-17 김동현 근력강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569B1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98903A (ja) 靴の底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196569B1 (ko)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KR100932565B1 (ko) 신발 중창 및 이를 구비한 스포츠용 신발
KR101898076B1 (ko) 신발 아웃솔
KR101483775B1 (ko) 전방추진강화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러닝 신발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0420468B1 (ko) 큐션기능이 향상된 뒷굽없는 신발밑창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0978290B1 (ko) 기능성 신발
JP2007061563A (ja) 履物
JP3211541U (ja) 履物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102628685B1 (ko) 신발 깔창
CN216753687U (zh) 一种足弓支撑鞋底
JP2005169053A (ja) 履物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KR200355245Y1 (ko) 신발
KR100533575B1 (ko) 신발
TWM628873U (zh) 拉筋鞋
KR20230000481A (ko) 기능성 아웃솔
KR200308094Y1 (ko) 운동용 신발
KR20160142008A (ko)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신발용 깔창
JP2013099491A (ja) 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