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341Y1 -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341Y1
KR200352341Y1 KR20-2004-0007043U KR20040007043U KR200352341Y1 KR 200352341 Y1 KR200352341 Y1 KR 200352341Y1 KR 20040007043 U KR20040007043 U KR 20040007043U KR 200352341 Y1 KR200352341 Y1 KR 200352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sole
outsole
shoe sole
function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철
Original Assignee
강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철 filed Critical 강석철
Priority to KR20-2004-0007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및 그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겉창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재의 중간 밑창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겉창(10)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11)(11')을 형성하고, 상기 홈(11)(11')에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팩(20)(20')을 삽입하고, 상기 겉창(10)의 윗면에 구비된 깔창(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겉창(10)에 형성된 홈(11)(11')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하되, 발바닥측과 발뒤꿈치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팩(20)(20')은 디스크 형태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팩(20)(20')은 그 내부에 향액, 천연살균제, 탈취재, 약품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이 주입되어져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신발밑창은, 신발밑창의 윗면 전방 및 후방으로 팩을 삽입시켜 걸을때나 뛸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팩과 후방팩의 연동을 위한 연결유로를 형성하여 보행시 전방팩의 가압과 후방팩의 팽창을 유도하고, 후방팩의 가압과 전방팩의 팽창을 유도하여 보행 뿐만 아니라, 직립상태에서도 보행의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밑창 {STRUCTURE OF SOLE}
본 고안은 신발밑창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밑창의 윗면에 팩을 삽입시켜 팩의 압축/팽창을 이용하여 보행시의 균형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걸을때나 뛸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팩속에 향액, 천연살균제, 탈취재 및 약품 등의 기능성 물질을 주입시켜 발냄새를 방지하는 가운데 각종 무좀균의 살균이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걷거나 뛸 경우, 지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이물체로 부터 발바닥이 찔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발을 신게 된다.
상기 신발은 갑피와 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갑피는 인소올을 기준으로 그 위측부분을 일컫는 것으로 부위별로 선부, 측부, 구목, 종부, 설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창은 신발 밑창으로 겉창(OUTSOLE)과 중간 밑창(MID SOLE MOLD)으로 구성되고, 겉창은 고무가 주재료이며 중간 밑창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다.
또한, 창은 신발을 신을 경우에 발바닥이 접촉되는 면에 깔창(INSOLE)과 안창(INSOLE BOARD)으로 구성되고, 조립라인에서 갑피를 성형한 후 풀칠하여 붙이는 밑창(SOLE or 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은 통상 발등부위를 덮는 갑피와 발바닥을 감싸는 창을 별도의 라인을 통해 제조된 반제품을 얻고, 이때 얻어진 반제품을 다시 조립라인에서 성형조립 작업을 통해 완제품의 신발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공정을 통해 얻어진 신발은 중간 밑창이 단순한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윗면에 깔창이 덮여지는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걸을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없어 관절이나 발목에 무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폴리우레탄과 깔창으로만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장기간 신발을 신었을 경우에 발생되는 습기로 인해 발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습한 조건에 의해 각종 세균의 서식을 촉진시켜 세균이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신발밑창의 윗면에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팩을 삽입하고 상기 팩을 전방팩과 후방팩으로 분리한 후, 상기 전방팩과 후방팩 사이로 유로를 형성하여 보행시 발바닥의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보행균형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팩을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하여 보행자의 보행충격을 완화하도록 하여, 걸을때나 뛸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관절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팩속에 향액, 천연살균제, 탈취재 및 약품 등의 기능성 물질을 주입시켜 발냄새를 방지하는 가운데 각종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밑창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인 신발밑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인 신발밑창을 분해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인 신발밑창을 갖는 신발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신발밑창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신발밑창을 갖는 신발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신발밑창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도시한 신발밑창의 분해 사시도.
도 10a,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 내지 제 5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겉창 11,11':홈
13:연결통로 20,20':팩
30:깔창 31,31':관통공
23:연결유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겉창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재의 중간 밑창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겉창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팩을 삽입하고, 상기 겉창의 윗면에 구비된 깔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겉창에 형성된 홈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하되, 발바닥측과 발뒤꿈치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팩은 디스크 형태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팩은 그 내부에 향액, 천연살균제, 탈취재, 약품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이 주입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깔창은 팩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소정의 폭을 갖는 연결통로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팩은 그 내부에 채워진 기능성 물질이 서로 이동되도록 연결유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그 일측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팩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통로 상에 위치한 연결유로가 유동되는 기능성 물질에 의해 부풀어 올라 발바닥의 가운데 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밑창(A)은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10)과, 팩(20)(20') 및 깔창(3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겉창(10)은 신발(40)의 하부에 구비되어 걸어갈때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빗물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신발(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된 기능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겉창(1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무재는 어느 정도의 경화성을 갖도록 구비되어 쉽게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뒷부분의 하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겉창굽(12)을 형성하여 발뒤꿈치가 항상 먼저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게 걷거나 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겉창(10)의 윗면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전방홈(11')고 후방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방홈(11')과 후방홈(11)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크 형태 이외에 어떠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방홈(11')과 후방홈(11)의 가장자리는 직각의 형태가 아닌 라운드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전방팩(20')과 후방팩(20)이 삽입 또는 안착 그리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홈(11') 및 후방홈(11)은 걸을때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되는 발가락의 뒷부분이 위치하는 발바닥측과 발뒤꿈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팩(20')과 후방팩(20)은 각각의 전방홈(11')과 후방홈(11)에 일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되는 만큼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발바닥의 앞측과 뒷측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주된 기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팩(20)(20')은 각각의 홈(11)(11')과 같은 디스크의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팩(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하부 팩부재(21)와 상부 팩부재(22)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를 접착시켜 밀봉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도 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주입구(23)를 통해 일정량의 기능성 물질을 주입한 후 이를 폐쇄시켜 밀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팩(20')과 후방팩(20)은 탄력과 인장력이 높은 폴리우레탄으로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팩(20')과 후방팩(20)속에 주입된 기능성 물질은 향액이나 천연살균제 및 탈취재 그리고 약품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각각 선택적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향액은 살균 및 방충과 인체에 유익한 향을 포함하여 커피향이나 박하향 및 라벤다향 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깔창(30)은 겉창(10)의 윗면이 상부로 노출되는 것과 그 상부에 삽입된 각각의 팩(20)(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팩(20)(20')의 상부면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깔창(30)은 쿠션재인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전체를 받쳐 충격을 더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윗면에는 미도시한 천 등이 부착되어 발바닥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여 걸을 때 발생되는 미끄럼을 막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깔창(3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31)(31')이 형성되어 각각의 팩(20)(20') 상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31)(31')의 직경은 팩(20)(20')의 가장자리 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방팩(20')과 후방팩(20)이 걸려지는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밑창(A)을 그 제조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능성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팩 성형공정(S10)으로 일측에 주입구 (23)를 가지며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갖도록 상하부 팩부재(21)(22)를 이용하여 가장자리가 밀봉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한다.
다음, 기능성 물질주입공정(S20)으로 미도시한 노즐을 주입구(23)에 연결시킨 후 상기 각 팩(20)(20')이 소정의 압력을 가지며 부풀어 오를 정도로 주입을 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방안으로 향액은 커피향이나 박하향 및 라벤다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발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탈취재와 무좀균을 비록하여 각종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천연살균제 및 약품 등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밀봉공정(S30)으로 상기 기능성 물질주입공정(S20)에서 기능성 물질이 주입되는 주입구(23)를 가열 접착장치나 고주파 접착장치를 이용하여 융해시켜 막음으로써 각 팩(20)(20')의 내부에 주입된 기능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전방팩(20')과 후방팩(20)이 안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홈성형공정(S40)과 깔창성형공정(S50)으로 겉창(10)의 윗면에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겉창(10)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11)(11')을 형성하고, 이어 깔창(30)에 관통공(31)(31')을 형성한다.
다음, 팩 안착공정(S60)으로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각 팩(20)(20')을 겉창(10)의 윗면에 형성된 홈(11)(11')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되, 후방팩(20)을 구성하는 하부 팩부재(21)의 가장자리에 소량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후방팩(20)이 겉창(10)의 상부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신발겉창의 마지막 공정인 깔창접착공정(S70)으로 전방팩(20')과 후방팩(20)이 안착된 겉창(10)의 윗면에 전방팩(20')과 후방팩(20)을 제외한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윗면에 깔창(30)을 접착시키되, 깔창(30)에 형성된 관통공(31)(31')으로 각 팩(20)(20')을 구성하는 상부 팩부재(22)가 소정 높이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신발밑창을 얻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홈에 팩을 안착시키는 경우, 하부 팩부재(21)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였으나,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1)의 일측에 걸림홈(11a)을 별도로 형성하여 하부팩부재(21)의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발가락의 뒷측과 발뒤꿈치측에 별도의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팩을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홈 (11)(1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연결통로(13)를 형성하고, 전방팩(20')과 후방팩(2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방팩(20') 및 후방팩(20) 사이로 연결유로(23)를 형성하여 기능성 물질을 주입할 경우, 이 연결유로(23)를 통해 앞쪽에서 뒷쪽, 또는 뒷쪽에서 앞쪽으로 기능성 물질이 유동되어 충격을 더 흡수할 수 있다.
즉, 보행중 발바닥의 뒷꿈치가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고, 발바닥의 앞꿈치가 지면을 가압할 때, 발바닥의 앞꿈치는 상기 전방팩(20')을 가압하며 이 때, 전방팩(20')으로 주입되는 기능성 물질은 상기 연결유로(23)를 통해 후방팩(20)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후방팩(20)으로 주입되는 기능성 물질은 상기 전방팩(20')으로 유입되는 가압력에 비례하여 팽창하고, 후방팩(20)의 팽창은 발바닥 뒷꿈치의 이격공간을 채우게 됨어 보행중의 안정감을 제공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보행중 발바닥의 앞꿈치가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고, 발바닥의 뒷꿈치가 지면과 맞닿을 때, 상기 후방팩(20)은 발바닥의 뒷꿈치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후방팩(20)으로 주입된 기능성 물질은 연결유로(23)를 통해 전방팩(20')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팩(20')은 뒷꿈치로부터 가압되는 가압력에 비례하여 팽창하며, 팽창된 전방팩(20')은 발바닥의 앞꿈치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공간을 채우게 되어 보행중의 안정감을 형성한다.
한편, 사용자의 직립상태에서는 발바닥의 앞꿈치와 뒷꿈치가 각각으로 전방팩(20')과 후방팩(20)을 가압하며, 전방팩(20') 및 후방팩(20)으로 유입되는 가압력으로 인해 각 팩(20)(20')으로 주입된 기능성 물질은 상기 연결유로(23)로 밀집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23)는 사용자의 신체하중에 비례하여 팽창하며, 발바닥의 아치형 부분을 지지토록 하여 직립상태에서 발바닥 전면에 걸쳐 신체하중이 분산되도록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23a)와 연결통로(13a)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유로(23a)의 위치가 발바닥의 아치형 부분으로 설정한다. 즉, 좌측 겉창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유로(23a)가 우측의 편중되도록 설계하며, 우측 겉창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유로(23a)가 좌측으로 편중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부가적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유로(23a)의 구조적 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유로(23a)와 대항하는 위치의 깔창(30)에 별도의 다른 관통공(31")를 형성하여 신체하중에 의한 압력으로부터 전방팩(20')과 후방팩(20)이 눌려지면서 그 내부에 채워진 기능성 물질은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유로(23a)로 이동하며, 연결유로(23a)는 상기 관통공(31")의 상단부로 볼록하게 부풀어 올라 발바닥의 아치형 부분을 받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각 팩(20)(20')의 내부에 기능성 물질을 주입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기능성 물질을 주입하지 않고 소정의 압력을 갖는 에어만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후방팩(20)과 전방팩(20')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유로(23)를 하나의 통로가 되도록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23a)를 하나 이상으로 분리시켜 다수개가 되도록 구비할 경우 기능성물질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될 수 있으며, 부불어 오르는 정도가 크게 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팩(20)과 전방팩(2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23)(23a) (23a')를 갖는 신발을 신고 서 있을 경우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꿈치와 발각락 및 발가락의 뒷부분에 신체의 하중이 균일하게 작용하게 됨에 따라 상기 후방팩(20)과 전방팩(20')이 압축되면서 그 내부에 있던 기능성 물질이 연결유로(23)(23a)(23a')로 이동함에 따라 가운데 부분이 부풀어 올라 발바닥을 받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및 그 신발밑창을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신발밑창의 윗면 전방 및 후방으로 팩을 삽입시켜 걸을때나 뛸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팩과 후방팩의 연동을 위한 연결유로를 형성하여 보행시 전방팩의 가압과 후방팩의 팽창을 유도하고, 후방팩의 가압과 전방팩의 팽창을 유도하여 보행 뿐만 아니라, 직립상태에서도 보행의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팩속에 향액, 천연살균제, 탈취재 및 약품 등의 기능성 물질을 주입시켜 발냄새를 방지하는 가운데 각종 세균을 살균하거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겉창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재의 중간 밑창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겉창(10)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11)(11')을 형성하고, 상기 홈(11)(11')에 기능성 물질이 주입된 팩(20)(20')을 삽입하고, 상기 겉창(10)의 윗면에 구비된 깔창(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10)에 형성된 홈(11)(11')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하되, 발바닥측과 발뒤꿈치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20)(20')은 디스크 형태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4.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팩(20)(20')은 그 내부에 향액, 천연살균제, 탈취재, 약품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이 주입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5. 제 2항에 에 있어서,
    상기 깔창(30)은 팩(20)(20')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31) (31')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11)(11')은 소정의 폭을 갖는 연결통로(13)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20)(20')은 그 내부에 채워진 기능성 물질이 서로 이동되도록 연결유로(23)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11)은 그 일측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걸림홈(11a)을 형성하여 팩(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9.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13) 상에 위치한 연결유로(23)가 유동되는 기능성 물질에 의해 부풀어 올라 발바닥의 가운데 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KR20-2004-0007043U 2004-03-15 2004-03-15 신발밑창 KR200352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43U KR200352341Y1 (ko) 2004-03-15 2004-03-15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43U KR200352341Y1 (ko) 2004-03-15 2004-03-15 신발밑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856A Division KR100570738B1 (ko) 2003-11-12 2003-11-12 신발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341Y1 true KR200352341Y1 (ko) 2004-06-04

Family

ID=4943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43U KR200352341Y1 (ko) 2004-03-15 2004-03-15 신발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3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76B1 (ko) * 2004-09-30 2005-01-13 주식회사 학산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76B1 (ko) * 2004-09-30 2005-01-13 주식회사 학산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720B (zh) 具有带弧形下侧腔的鞋底夹层的鞋类物品
CN110652065B (zh) 鞋底结构和包括鞋底结构的鞋制品
CN104168786B (zh) 具有架高板鞋底结构的鞋类物品
CN104168787B (zh) 具有架高板鞋底结构的鞋类物品
KR101752984B1 (ko) 플레이트 완화형 유체 충전 블래더 및/또는 발포체 타입 충격력 완화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CN103607918B (zh) 制造具有承拉结构的带轮廓的流体填充室的方法
KR101668142B1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KR101601673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US6722059B2 (en) Dynamic and static cushioning footbed
US7353625B2 (en) Resilient cushioning device for the heel portion of a sole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US6018891A (en) Shoe construction
CN107404970A (zh) 具有拉胀结构的多部件鞋底结构
KR100916592B1 (ko) 지압 및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신발 깔창
JP3134320U (ja) 圧覚式靴体内部除臭器
KR200352341Y1 (ko) 신발밑창
KR100570738B1 (ko) 신발밑창
KR200342176Y1 (ko) 신발깔창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160013788A (ko) 신발의 바닥부재
KR200183136Y1 (ko) 신발깔창용 에어쿠션
KR200475665Y1 (ko) 다기능 신발
US20170119098A1 (en) Ventilating insole for footwear
WO2005046379A1 (en) Shoe in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78942B1 (ko) 신발용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