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65Y1 - 다기능 신발 - Google Patents

다기능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65Y1
KR200475665Y1 KR2020130002288U KR20130002288U KR200475665Y1 KR 200475665 Y1 KR200475665 Y1 KR 200475665Y1 KR 2020130002288 U KR2020130002288 U KR 2020130002288U KR 20130002288 U KR20130002288 U KR 20130002288U KR 200475665 Y1 KR200475665 Y1 KR 200475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hoe
rubber tube
he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235U (ko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2020130002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6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Abstract

다기능 신발이 개시된다. 상기 다기능 신발은,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기 밑창부와 결합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 상기 밑창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및 상기 갑피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갑피부의 발목부위를 따라 상기 갑피부에 형성되는 신발 입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갑피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신발{MULTIFUNCTIONAL SHOES}
본 고안은 다기능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무관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신발의 좌우 측면에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신발 착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뒤꿈치 전용깔창을 다른 깔창과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 다기능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발(Foot)은, 인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하지만 무려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100개가 넘는 근육, 힘줄, 인대 및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이 걸어서 이동할 때 온몸의 무게를 떠받치기 때문에 1km를 걸을 때 발에 실리는 무게가 약 16톤(Ton)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은 심장에서 발끝까지 내려온 혈액을 발목운동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끌어올려주는 펌프작용도 하기 때문에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전신건강에 주는 영향이 적지 않다.
사람이 발에 신고 다니는 신발들은 용도, 기능 및 특성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양도 있지만 대부분의 신발들은 형상이 비슷하다. 이러한 종래의 신발들의 형상은 보기에는 멋있어 보이지만 사람의 발을 신발에 맞춰 신고 다니다 보니 엄지발가락이 휘는 무지외반증, O자형 다리, 새끼발가락이 휘는 소건막류, 발바닥에 굳은 살이나 티눈 등 다양한 발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전신건강에 도움이 되고 발질환도 예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신발 앞쪽 내측부분을 실제 사람의 발과 비슷한 형상으로 제조하여 신발에 사람의 발을 맞추는 것이 아니고 사람의 발에 신발이 맞춰져야 한다.
한편, 신발을 신게 되면 발과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하는 땀과 같은 습기로 인하여 신발 내의 공기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걷거나 착지와 도약을 하는 과정에서 발과 신발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신발 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신발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적시에 배출하지 않으면 신발과 양말, 발가락 사이가 땀으로 습기를 머금게 되는데, 이에 따라 피부의 각질층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된 화학물질에 의해 발에서 심한 냄새가 나게 된다. 또한, 습기로 불어버린 피부각질을 영양분 삼아 곰팡이균이 번식하게 되면 결국 발에 무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신발 내의 고온다습한 공기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신발들은 높낮이나 용도와 기능에 따라 디자인이 다른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신발들은 신발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디자인이 대동소이하고 앞부분과 뒷부분 사이의 가운데 부분은 폭이 좁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신발들은, 땅에서 돌출된 물체가 밑창부분에만 닿을 경우 몸무게의 중심이나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해 어쩔 수 없이 넘어지는 경우가 있고, 미끄러운 길이나 빗길 또는 요철이 심한 곳에서도 넘어질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행 시 걸음과 관련된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신발 내에 놓는 깔창부가 중요한데, 종래의 신발들에 구비되는 깔창부들은 특히 발뒤꿈치 부분의 쿠션감이 부족하여 걸음과 관련되어 필수적으로 움직이는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신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신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343789 B1 KR 10-2007-0094127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관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신발의 좌우 측면에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신발 착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뒤꿈치 전용깔창을 다른 깔창과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 다기능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기 밑창부와 결합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 상기 밑창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및 상기 갑피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갑피부의 발목부위를 따라 상기 갑피부에 형성되는 신발 입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갑피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갑피부는,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피부, 및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와 결합되는 내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은 상기 내피부 안쪽으로 매립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중 어느 하나는, 상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밑창부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위의 앞쪽으로 돌출되고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의 일단은 상기 전방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를 포함하는 공기관통깔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는, 상기 전방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갑피부와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만나는 영역에 다른 일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부분의 형태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는, 상기 공기관통깔창부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밑창부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의 전면발바닥에 대응되는 전면발바닥부,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발뒤꿈치부, 및 상기 전면발바닥부 및 상기 발뒤꿈치부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신발은, 상기 아치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뒤꿈치부의 가로폭보다 좌우로 더 돌출되는 측면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고무관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어 신발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 발냄새를 줄일 수 있으며 곰팡이균이나 무좀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신발의 좌우 측면에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신발이 바닥에 닿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신발착용자가 보행 시 균형을 잡는데 도움을 주어, 눈길, 빗길 및 평탄하지 않은 길에서도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우수한 탄력성과 쿠션감이 좋은 재료로 제작된 발뒤꿈치 전용깔창을 다른 깔창과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아 관절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쿠션작용으로 인해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어 혈액순환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발뒤꿈치 전용깔창이 탄력성을 잃은 경우에는 발뒤꿈치 전용깔창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깔창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신발의 쿠션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신발 앞쪽에 반원형 등의 전방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신발 앞쪽의 외측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어 디자인 면에서도 차별화, 개성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100)은, 밑창부(110), 갑피부(120),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 및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부(110)는,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인 밑창(sole)과 같이 합성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른 재질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밑창부(110)는, 일반적인 신발의 아웃솔(Outsole) 및 미드솔(Midsol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창부(110)는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위의 앞쪽으로 돌출되고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방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방돌출부(112)는 신발의 제일 앞부분에 해당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방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모여들 수 있다. 상기 전방돌출부(112)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갑피부(120)는, 밑창부(110)의 상면 둘레를 따라 밑창부(120)와 결합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갑피부(120)는, 갑피부(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피부(미도시) 및 갑피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외피부과 결합되는 내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갑피부(120)는, 일반적인 신발의 갑피(Upper)와 같이 스웨이드, 메쉬, 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른 재질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는, 밑창부(1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합성고무나 EVA 등 쿠션감이 좋은 고탄력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는,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13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갑피부(120)와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만나는 영역에 다른 일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는 두께가 적어도 1.5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137)는, 직경이 1cm 이상이고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와 만나는 발뒤꿈치 부분의 갑피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137)에 대응되는 외부공기 유입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갑피부(120)의 내측 또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부(120)의 발목부위를 따라 갑피부(120)에 형성되는 신발 입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8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의 재질보다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호스와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공기 배출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의 일단은 전방돌출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갑피부(120)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 특히 신발 착용자의 발 앞쪽 부근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입구 방향으로 휘어지는 부위에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착용자가 운동이나 등산 등을 할 때에도 고무관이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 각각은, 서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고무관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고무관은 서로 직경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직경 크기가 큰 고무관에 직경 크기가 작은 고무관이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고무관, 및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 고무관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고무관은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입구 방향으로 휘어지는 부위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 착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를 교체하기 전에 제1 고무관과 제2 고무관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를 교체할 때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신발의 내측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고무관의 직경이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 고무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의 두께가 2c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고무관의 직경은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무관의 직경은 신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감싸서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에 고정할 수 있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예: 벨크로)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의 측면 이외에도 상면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는 2개의 고무관 고정부(135)에만 도면부호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나머지 8개의 고무관 고정부도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부(120)의 발목 부위에도 고무관 고정부(135)가 추가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갑피부(1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무관 고정부(135)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 및 갑피부(120)의 발목 부위에 구비되는 고무관 고정부(135)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은, 갑피부(120)의 내부, 즉 내피부 안쪽으로 매립되어 외피부와 내피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를 구비하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은,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135)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 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신발 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내피부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내피부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매립될 수도 있고, 내피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지퍼를 통해 내피부의 안쪽으로 매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내피부의 안쪽에 편리하게 넣고 뺄 수 있게 된다.
신발 착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를 교체할 때에는, 내피부의 안쪽에 매립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내피부의 바깥쪽으로 꺼낸 후,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를 신발 바깥으로 꺼낼 수 있다. 그 다음,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새로운 깔창부(130)의 고무관 고정부(135)에 끼워 넣은 후 새로운 깔창부(130)를 신발 내부에 넣은 뒤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내피부의 안쪽으로 매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100)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137)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던 공기가 신발 착용자가 착지할 때 발 앞쪽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신발 착용자가 도약을 하기 위해서 발바닥 앞쪽을 누르면 발바닥 앞쪽에 있던 공기가 전방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전방돌출부(112)에 있던 고온다습한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발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고온다습한 공기는 건조한 공기보다 가벼운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의 배출구가 위쪽에 있기 때문에 공기 배출 효과가 크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100) 내부의 상면도로서, 밑창부(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부(110)는,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위의 앞쪽으로 돌출되고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방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돌출부(112)는, 일반적인 신발의 앞부분보다 앞쪽으로 더 튀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다습한 공기들이 모이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 상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의 일단은 전방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가 도약을 할 때 발바닥 앞부분에 힘을 주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에 몰린 고온다습한 공기들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통해서 신발의 측면을 따라 위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은, 밑창부(210), 갑피부(220),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 및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밑창부(210) 및 갑피부(2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100)에 구비되는 밑창부(110) 및 갑피부(120)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는,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237)를 포함하는 공기관통깔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관통깔창부(230)의 재질은, 고탄성EVA, 우레탄EVA, 무독성PVC, 고발포PVC, 합성고무, 에어매트, 에어튜브, 에어볼 등 탄력성이 우수하고 쿠션감이 좋은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공기관통깔창부(230)가 에어매트, 에어튜브 또는 에어볼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행이나 주행을 할 때의 압력으로 인해 공기나 에어볼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관통깔창부(230) 내부에 벽을 설치하여 쿠션이 균등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관통깔창부(230)는 발 앞부분과 발뒤꿈치 부분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발뒤꿈치 부분의 쿠션감을 높이기 위하여 발뒤꿈치 부분의 두께가 발 앞부분의 두께보다 1.5 ~ 2배 이상 두꺼울 수도 있다. 공기관통깔창부(230)의 공기관통로(237)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231, 232)의 직경은, 상기 공기관통깔창부(230)의 발 앞부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231, 232)과 공기관통깔창부(230)가 신발 내부에 놓여졌을 때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는,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부분의 형태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 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 250)는, 공기관통깔창부(23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발뒤꿈치 부분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 250)는 합성고무나 고탄성 EVA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관통깔창부(230)나 최상단 깔창부(260)에 비해 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은, 신발 착용자가 오래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 250)를 교체함으로써 쿠션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 250)는 상면 또는 저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고정수단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양면테이프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양면테이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탈부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 250)가 2개인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에 구비되는 발뒤꿈치 전용깔창부의 개수는 신발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는, 최상단에 배치되어 신발착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최상단 깔창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깔창부(260)는 상면에 천이 부착되고 고탄력으로 쿠션감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는, 바람직하게는 2c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의 내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를 상하로 펼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는,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40)를 가장 아래에 놓고, 그 위에 공기관통깔창부(230)를 놓고, 그 위에 발뒤꿈치 전용깔창부(250)를 놓고, 그 위에 최상단 깔창부(260)를 놓는 순서로 상기 다기능 신발(200)의 내부에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은 발뒤꿈치 부분에 4개의 고탄력 깔창부가 적층되므로 보행 시 신발 착용자에게 높은 쿠션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의 적층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은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의 적층 순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공기관통깔창부(2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237)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돌출부(2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일단이 배치되고 갑피부(220)와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만나는 영역에 다른 일단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은, 밑창부(310), 갑피부(320) 및 측면돌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갑피부(3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100)에 구비되는 갑피부(120)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의 내부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100)의 내부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30) 및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131, 132)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200)의 내부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230, 240, 250, 260) 및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231, 23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은, 밑창부(310)의 가운데 부분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좌우로 돌출되는 측면돌출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측면돌출부(3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모양으로 좌우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측면돌출부(370)의 모양은 반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은, 측면돌출부(370)에 의해 자동차의 광폭타이어나 자전거의 보조바퀴처럼 바닥에 닿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일반인, 노약자 및 어린이들이 안전한 보행이나 주행을 할 수 있으며, 빗길이나 눈길 또는 평탄하지 않은 도로에서도 안전을 확보하여 넘어지는 것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은,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도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특히 계단에서 가장 많이 넘어지는 경우인 대각선으로 형성된 계단을 올라가고 내려갈 때 그 효과가 더욱 크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의 밑창부(310)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밑창부(310)는, 신발 착용자의 발의 전면발바닥에 대응되는 전면발바닥부(313),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발뒤꿈치부(317), 및 상기 전면발바닥부(313) 및 상기 발뒤꿈치부(317)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아치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에 구비되는 측면돌출부(370)는, 아치부(315)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발뒤꿈치부(315)의 가로폭보다 좌우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측면 돌출부(370)는, 밑창부(310)의 가운데 부분, 즉 아치부(315)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2~3cm 정도 돌출되고 삼각형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돌출부(370)가 아치부(315)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측면돌출부(370)가 형성되는 부위는 밑창부(310)의 다양한 부위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신발(300)을 아치부(315)의 중앙을 지나는 가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치부(315)의 좌우측면에는 측면돌출부(37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돌출부(370)의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돌출부(370) 바닥의 요철 모양은 밑창부(310)의 요철 모양과 동일할 수도 있고 밑창부(310)의 요철 모양으로부터 변형될 수도 있다. 아치부(315)의 중앙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평탄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치부(315)의 상면에는 공기관통로(337)를 포함하는 공기관통깔창부(330) 및 최상단 깔창부(360)가 차례로 적층될 수 있으며, 갑피부(320)이 아치부(315)의 외곽선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밑창부 112, 212, 312: 전방돌출부
120, 220, 320: 갑피부 130: 깔창부
131, 132, 231, 232: 고무관 135, 235: 고무관 고정부
137, 237, 337: 공기관통로 230, 330: 공기관통깔창부
240, 250: 발뒤꿈치 전용깔창부 260, 360: 최상단 깔창부
313: 전면발바닥부 315: 아치부
317: 발뒤꿈치부 370: 측면돌출부

Claims (8)

  1. 다기능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상면 둘레를 따라 상기 밑창부와 결합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
    상기 밑창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및
    상기 갑피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갑피부의 발목부위를 따라 상기 갑피부에 형성되는 신발 입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갑피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을 포함하고,
    상기 밑창부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의 전면발바닥에 대응되는 전면발바닥부;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발뒤꿈치부; 및
    상기 전면발바닥부 및 상기 발뒤꿈치부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신발은,
    상기 아치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뒤꿈치부의 가로폭보다 좌우로 더 돌출되는 측면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는,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피부; 및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와 결합되는 내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은 상기 내피부 안쪽으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 중 어느 하나는,
    상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위의 앞쪽으로 돌출되고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관의 일단은 상기 전방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를 포함하는 공기관통깔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관통로는,
    상기 전방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갑피부와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만나는 영역에 다른 일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부분의 형태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뒤꿈치 전용깔창부는,
    상기 공기관통깔창부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
  8. 삭제
KR2020130002288U 2013-03-27 2013-03-27 다기능 신발 KR200475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88U KR200475665Y1 (ko) 2013-03-27 2013-03-27 다기능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88U KR200475665Y1 (ko) 2013-03-27 2013-03-27 다기능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35U KR20140005235U (ko) 2014-10-08
KR200475665Y1 true KR200475665Y1 (ko) 2014-12-19

Family

ID=5245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288U KR200475665Y1 (ko) 2013-03-27 2013-03-27 다기능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76Y1 (ko) * 2016-10-31 2019-04-11 정종오 냄새 배출 통로가 구비된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877Y1 (ko) 2004-06-12 2004-09-07 이성문 통풍 겸용 건강신발
KR200404227Y1 (ko) 2005-07-29 2005-12-20 김일용 발바닥 보호판이 내장된 공기순환식 신발창
KR100842431B1 (ko) * 2007-06-25 2008-07-01 이재명 신발용 안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877Y1 (ko) 2004-06-12 2004-09-07 이성문 통풍 겸용 건강신발
KR200404227Y1 (ko) 2005-07-29 2005-12-20 김일용 발바닥 보호판이 내장된 공기순환식 신발창
KR100842431B1 (ko) * 2007-06-25 2008-07-01 이재명 신발용 안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35U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326B (zh) 可替換中底系統
KR101073810B1 (ko) 충격분산과 구름보행을 위한 추진식 신발창
US6082023A (en) Shoe sole
US8732982B2 (en) Footwear
JP5325042B2 (ja) 分離可能なアッパーおよびソール構造を有する履物
ES2624137T3 (es) Calzado
KR101423025B1 (ko) 무릎 부하를 경감시키는 미드솔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KR2018000417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101165793B1 (ko) 충격 흡수성과 분산성 및 유연성이 강화된 신발창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EP2566362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US20070022628A1 (en) Ventilated shoe sole
KR101773939B1 (ko)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밑창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US8490302B2 (en) Open-soled article of footwear
KR200475665Y1 (ko) 다기능 신발
US20160157549A1 (en) Sport shoe with independently mobile toe segments and an outsole with protrusions
CN202019863U (zh) 一种轻便柔韧鞋底
KR101075787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US20140259756A1 (en) Multi-function ventilated insole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102502480B1 (ko) 리바운스 기능을 제공하는 신발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