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628A -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Google Patents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8628A KR20120118628A KR1020110036113A KR20110036113A KR20120118628A KR 20120118628 A KR20120118628 A KR 20120118628A KR 1020110036113 A KR1020110036113 A KR 1020110036113A KR 20110036113 A KR20110036113 A KR 20110036113A KR 20120118628 A KR20120118628 A KR 20120118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acupressure
- combined
- acupressure protrusions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32 chiropracti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바닥창에 관한 것으로 바닥창에 지압돌기를 결합시켜서 지압효과를 높이는 효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목적과 신발제조 과정에 접착제를 생략하고 매우 가벼운 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고, 발바닥을 받쳐주는 중앙의 지지체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몸의 균형을 바로잡아주는데 또다른 목적도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압이 되는 바닥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바닥을 압박하는 돌출이 상하유동이 되면서, 발바다을 자극하는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크게 갑피와 신발창으로 이루어지며 신발창은 그 위치와 기능에 따라 아웃솔, 미드솔, 인솔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고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는 택숀을 포함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압이 되는 신발은 인솔에 돌기를 형성시켜서 발바닥을 자극하는 것도 있고 미드솔 상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지압이 되도록 형성된 신발 등이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인솔?미드솔 또는 아웃솔에 지압돌기가 일체화로 고정된채 성형이 되어 있어, 발바닥을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어 장시간 착용을 하지 못하는 불편함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발이 지면에 착지될 때만이 지압돌기가 상면으로 밀려 올라가 발바닥을 압박하고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분리될 때 상승되었던 지압돌기가 하향하며 원위치되면서 발바닥과 분리되도록 하며, 발바닥을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통증을 완화하고 발바닥을 부드럽게 순차적으로 자극하는 관계로 보행을 하면서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이 지압바닥창은 상면에 다수개의 수용홈이 있고 수용홈 중앙에 관통구가 있어서, 허리가 잘룩한 지압돌기가 끼워진채 결합되어 지압돌기가 수용홈내부에 고정된 채 상하유동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바닥창 수용홈 내부에 결합된 지압돌기 밑면은 바닥창보다 약간 길게 하향돌출되어서 바닥창이 지면에 착지될 때 바닥창 저면과 돌기 밑면은 수평이 되면서 지압돌기가 상면으로 밀려 들어가고 밀려들어간 지압돌기 상면은 발바닥과 밀착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는 지압이 이루어지고 바닥창이 지면에서 분리되면 지압돌기 상면은 원위치로 하향하여 발바닥과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바닥창이 지면과 착지와 분리가 보행중에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는 지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닥창이라 함은 아웃솔 단독이나 미드솔재질 E.V.A 단일재질을 뜻한다.
또 한편으로는 발바닥 면이 수평이 아니고 곡선으로 되어있어 지압돌기가 지면에 닫는 순간에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이 있도록 지압돌기의 길이와 물성은 바닥창과 달리하여 좀더 효과적인 지압과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 한편으로는 바닥창 테두리가 갑피와 재봉질이 되게 함으로서 신발이 완성될 수 있고 슬리퍼나 스포츠샌달 같은 부분적으로 형성된 면과 재봉질이 되게 함으로서 접착제가 필요없이 신발이 완성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바닥창과 지압돌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지압돌기가 바닥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바닥창 테두리가 부분적으로 상승되어 진채 지압돌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바닥창 홈에 지압돌기가 결합된채 지면에 착지된 상태(A)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바닥창이 지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지압돌기가 바닥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바닥창 테두리가 부분적으로 상승되어 진채 지압돌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바닥창 홈에 지압돌기가 결합된채 지면에 착지된 상태(A)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바닥창이 지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2는 결합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제1실시예는 신발창으로 바닥창(100)자체의 두께가 4?5mm정도이면서, 다수개의 수용홈(10)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10) 중앙에 관통구(15)가 있다. 이 관통구(15)에 지압돌기 중간의 허리가 잘록한(20) 부위가 끼워져 결함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바닥창(100) 상면은 평면이 되고 바닥창(100) 저면에는 지압돌기 저면(25)부가 바닥창 저면 보다 더 하향돌출이 된다.
이렇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창(100)과 지압돌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창(100) 테두리면(200)은 갑피(도시되지 않아음) 밑면 끝자락과 재봉질이 되게 함으로서 신발이 완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으로 하향돌출된 지압돌기 밑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착지될 때 바닥면 상면(A)으로 돌출되어 발바닥을 자극하게 된다.
바닥창이 지면에서 다음 동작을 진행하기 위해 분리가 되면 지압돌기는 (B)와 같이 원치로 하향하게 된다.
이렇게 착지와 분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보행이 이루어지므로서 발바닥을 자극하는 지압이 이루어진다.
좀더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종전의 지압신발은 지압돌기가 고정되어 있으나 지압돌기 자체가 같은 재질로 일체화로 성형이 되어 있어서 상하 유동이 된다하더라도 유동거리가 매우 미미하여 발바닥을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단점들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바닥창(100)에 수용홈(10)을 형성하고 수용홈(10) 중앙에 관통구(15)를 만들어 관통구(15) 주위면이 지압돌기(30) 중앙의 고정홈(20)과 결합되어 고정시킨다.
이때, 지압돌기(30)가 상하유동이 될 때 고정홈(15) 턱(23)이 관통구(15) 입구면에 걸려서 잘 이탈이 되지 않고, 결합된 채 상하유동이 된다. 그리고 지압돌기의 재질은 바닥창(100)과는 다른 재질로 할 수도 있고, 탄성채, 발포층, 공기층, 사출물 등을 신발의 특성에 맞게 선택이 가능하다. 즉 발바닥을 지탱하고 있는 지압돌기의 높낮이와 경도에 따라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이 되는 지압돌기(30)들이 발바닥, 부위마다 다르게 설치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부위(210) 일측이 상승되어 그 부위가 끈으로 된 갑피가 재봉질로 부착되어서 신발이 완성될 수도 있어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신발은 매우 가벼운 특징도 있다. 또 한편으로는 발바닥 중앙을 받쳐주는 지지체는 위치이동로(70)에 의해 지지체(50)가 전후방으로 이동되게함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구조에 맞는 위치에 고정되어서 발바닥을 받쳐주므로서 발의 균형을 잡아주고 몸의 자세를 바르게 하고,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달리기를 해도 쉽게 피로해지지 않는 효과도 얻게 된다.
발바닥을 부드럽게 자극하는 지압효과가 있어 워킹화, 슬리퍼, 스포츠샌달 등의 신발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0: 수용홈 15: 관통구
20: 허리홈 22: 지압돌기상면 23: 턱
25: 지압돌기저면 30: 지압돌기
50: 지압돌기 70: 위치이동로
100: 바닥창 200: 테두리상승부
210: 끈과접합부
20: 허리홈 22: 지압돌기상면 23: 턱
25: 지압돌기저면 30: 지압돌기
50: 지압돌기 70: 위치이동로
100: 바닥창 200: 테두리상승부
210: 끈과접합부
Claims (4)
- 바닥창에 있어서
바닥창 두께보다 길고 허리가 잘룩한 지압돌기가 바닥창 관통구에 한 개 이상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제1항에 있어서
바닥창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가 부분적으로 상승되어진 것이 특징으로된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제1항에 있어서
지압돌기와 바닥창 재질과는 물성이나 경도가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된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제1항에 있어서
지압돌기는 탄성채, 발포층, 사출성형물, 공기주머니 등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113A KR20120118628A (ko) | 2011-04-19 | 2011-04-19 |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113A KR20120118628A (ko) | 2011-04-19 | 2011-04-19 |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8628A true KR20120118628A (ko) | 2012-10-29 |
Family
ID=4728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6113A Withdrawn KR20120118628A (ko) | 2011-04-19 | 2011-04-19 |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862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4597A (ko) * | 2022-01-25 | 2023-08-01 | 이형수 | 논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가 결합되는 신발 밑창의 제조방법 |
-
2011
- 2011-04-19 KR KR1020110036113A patent/KR2012011862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4597A (ko) * | 2022-01-25 | 2023-08-01 | 이형수 | 논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가 결합되는 신발 밑창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24137T3 (es) | Calzado | |
CN201270830Y (zh) | 具有多边形突出物鞋底样式的鞋类物品 | |
US20130185955A1 (en) | Ergonomic footwear | |
US20150027004A1 (en) | Flexible Footwear With Puncture Resistant Sole And Reinforced Strap Mounting | |
KR100796160B1 (ko) |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 |
CN104602559A (zh) | 鞋类物品及其部分 | |
RU2008120613A (ru) | Обувь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валиком для средней части стопы | |
KR101089139B1 (ko) | 신발창 | |
US20190343227A1 (en) | Sole structure and an article of footwear | |
US20140208611A1 (en) | Composite insole and bottom assembly | |
US20130318817A1 (en) |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 |
KR101450432B1 (ko) |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886834B1 (ko) | 신발용 에어쿠션 안창 및 신발 | |
KR101357823B1 (ko) |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 |
KR20220002004U (ko) | 지압 슬리퍼 | |
KR20130001950U (ko) |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 |
KR20120079434A (ko) |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 |
KR20120118628A (ko) | 지압돌기가 결합된 바닥창 | |
KR200467057Y1 (ko) | 신발용 깔창 | |
KR200427366Y1 (ko) |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 |
JP2017012754A (ja) | インソールとそれを具えたスリッパ | |
KR20120008835A (ko) | 지지체가 부착된 신발창 | |
KR101480093B1 (ko) |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 |
KR101316669B1 (ko) | 통기가 용이한 신발깔창 | |
KR20130030516A (ko) | 신발용 중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