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478A -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 Google Patents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478A
KR20160013478A KR1020140095075A KR20140095075A KR20160013478A KR 20160013478 A KR20160013478 A KR 20160013478A KR 1020140095075 A KR1020140095075 A KR 1020140095075A KR 20140095075 A KR20140095075 A KR 20140095075A KR 20160013478 A KR20160013478 A KR 2016001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dehumidifier
water
module
plo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138B1 (ko
Inventor
이철구
조준현
강명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매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to KR102014009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된 수위에 따라서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드레인 판넬이 형성된 케이스와; 내벽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채 상기 케이스에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에는 수위표시 색 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제공하여, 원거리, 어두운 장소, 야간에도 쉽게 색상의 변화로 수위를 확인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조부 배수시점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A dehumidifier in use with floating module of water level indicat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된 수위에 따라서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제습기의 작동 원리는 압축기 및 송풍팬이 작동함에 따라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다음, 증발기와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는 토출구 루버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응축수는 드레인을 통해 수조부로 집수 된다.
종래 제습기의 수위창은 저수위로부터 만수위까지의 세로 방향으로 형상화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습기는 수조부 일측에 형성된 투명수위창을 통해 수위를 확인하거나 혹은 단색의 플로터를 수면에 띄워 수위를 표시함으로써 수조부의 배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습기 수위창은 완전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습수의 저장량을 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접하여 자세히 수위를 확인해야 하거나, 수조부를 직접 인출하여 수위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습기는 특히 주위가 어두운 환경이거나 야간에는 식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출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86-0005642호나 일본 공개특허 平18-084594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86-0005642호나 일본 공개특허 平18-084594의 경우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수위를 복수개의 LED로 나타냈다.
그러나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86-0005642호나 일본 공개특허 平18-084594의 경우 복수 개의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비용의 상승이 초래되었고, 센서의 불량이나 내구성 저하로 인한 오동작의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공개 실용신안 제20-1986-0005642호, 일본 공개특허 平18-084594,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916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조부 수위창의 내부 일측에 수위의 변화 방향으로 다양한 색상의 플로트(Float)를 구비하여 수위에 따라 수위창에 컬러가 변하여 원거리에서도 쉽게 수위 확인 및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적용하여 작동오류를 없애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레인 판넬이 형성된 케이스와; 내벽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채 상기 케이스에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에는 수위표시 색 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은 상기 수위표시 색 띠가 형성된 수위표시 판넬과; 상기 수위표시 판넬의 일단의 양측에 형성된 수위표시 플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위표시 판넬과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는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발광부가 포함되되, 상기 발광부의 빛이 상기 수위표시 색 띠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로터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터 가이드 리브와 상기 수조의 내벽 사이에는 플로터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ED)로 형성되면서 상기 드레인 판넬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집광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터 가이드 리브에는 광반사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거리, 어두운 장소, 야간에도 쉽게 색상의 변화로 수위를 확인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조부 배수시점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둘째, 수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 절감의 장점이 있다.
셋째, 센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 불량이나 내구성 저하에 따른 오작동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사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확대도이다.
도 4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조의 사이도이다.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랍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조의 분해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조를 제거한 제습기의 하측방 사시도이다.
도 6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동작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위 표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의 사시도이다.
제습기(100)에는 발광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조부 모듈(200)은 제습기(100)에 수납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부 모듈(200)은 제습기(100)의 발광부(310)하부에 배치되어 수조부 모듈(20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저수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뒤,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후술키로 한다.
제습기의 케이스에는 드레인 판넬(300)이 형성된다.
수조부 모듈(200)은 내벽에 가이드부(211,212)가 형성된 채 케이스에 수납 가능하다.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은 가이드부(211,212)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에는 수위표시 색 띠(233)가 형성된다.
수위표시 판넬(231)에는 수위표시 색 띠(233)가 형성되고, 수위표시 플로터(232)는 수위표시 판넬(231)의 일단의 양측에 형성된다.
수위표시 판넬(231)과 수위표시 플로터(232)는 T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에는 상기 만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 마그네틱 플로터(240)가 포함될 수 있다.
케이스에는 발광부(310)가 포함되되, 발광부(310)의 빛이 상기 수위표시 색 띠(233)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부(310)는 발광다이오드(LED)(311)로 형성되면서 상기 드레인 판넬(3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10)는 발광다이오드(311)를 외측에서 감싸는 집광리브(3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211,212)는 수조(210)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를 포함한다.
가이드 리브(211)와 수조의 내벽 사이에는 플로터 가이드 홈(212)이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211)에는 광반사 부재(250)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200)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200)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2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210)의 가이드부(211,212)를 보여주는 사이도이다.
수조(210)에는 수위창(220)이 형성되어 있어 수조(210) 내부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한편, 수조(210) 내부에는 수위감지 마그네틱 플로터(240)가 마련되어 있다.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은 수조(210)에서 수위창(220)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육안으로 수위창(220)을 통해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이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수조(210)에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을 가이드하는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는 수위창(220)을 사이에 두고 수조(210) 내벽에서 상하 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얇은 판재로 형성된다.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는 수조(210)의 내벽과 일정 거리 이격된 공간인 플로터 가이드 홈(212)을 형성시킨다.
플로터 가이드 홈(212)는 후술하겠지만,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의 사시도이다.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에는 상하 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수위표시 색 띠(233)가 마련된다.
수위표시 색 띠(233)는 최하단에 상방향으로 갈수록 적색, 황색, 녹색, 청색으로 구분된 색 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색 구분이며, 앞서 언급된 수조(210)의 수위창(220)을 통하여 색상이 확인 가능하다.
수위표시 플로터(232)는 수위표시 판넬(231)의 일단의 양측에 형성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수위표시 플로터(232)는 수위표시 판넬(231)를 사이에 두고 수위표시 판넬(231)의 일단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210)를 제거한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310)의 확대도이며, 도 4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310)의 단면도이다.
드레인 판넬(300)은 케이스의 수조(21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상부를 이룬다.
드레인 판넬(300)의 일측에는 발광부(310)가마련되어 있다.
발광부(310)는 광원(311)을 외측에서 감싸는 집광리브(312)를 포함한다.
광원(311)은 복수개의 엘이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집광리브(312)가 광원(3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광원(311)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집중적으로 조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a)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조(210a)의 사시도이고,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200a)의 사시도이다.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a)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적색, 황색, 녹색, 청색으로 형성된 수위표시 색 띠(233a)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적색, 황색, 녹색, 청색으로 형성된 색상의 순서 및 색상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일러두는 바이다.
수위표시 플로터(232a)는 수위표시 색 띠(233a)의 하단부에서 수위표시 판넬(231a)의 양측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위표시 판넬(231a)은 수위표시 색 띠(233a)의 하측 양단에서 마련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수위표시 판넬(231a)이 역 'T'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수위표시 색 띠(233a)가 그 중앙면 위에 붙어 있는 형태인 것이다.
도 5의 (c)와 같이 수조(210a)의 내벽에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a)이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a)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200b)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랍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조부 모듈(200b)의 분해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조(210b)를 제거한 제습기(100)의 하측방 사시도이고, 도 6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310b)의 확대도이다.
도 6의 (a)와 같이, 수조(210b)의 내벽에는 수위창(220b)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b)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b)와 수조(210b)의 내벽 사이에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이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사이공간인 플로터 가이드 홈(21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로터 가이드 리브(211b)에는 반사부재 설치홈(213)이 한 쌍 형성되고 있으며, 반사부재 설치홈(213)에는 광반사 부재(250)가 결합 가능하다.
드레인 판넬(300b)에는 발광부(310b)가 형성되고 있으며, 발광부(310b)는 광원(311b)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다.
집광리브(312B)는 광원(311b)의 외측을 감싸 빛이 흩어지지 않고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집광리브(312b)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이며, 집광리브(312b)의 내측에서 가늘고 좁게 형성된 홈에 광원(3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동작 개념도이다.
발광부(310B)는 빛을 하방향으로 조사하고, 발광부(310b)에서 조사된 빛은 광반사 부재(250)에서 반사되어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를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수위창(220b)을 지나 육안으로 색상이 확인되게 된다.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을 통과한 빛은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에 형성된 색상 띠를 통해 컬러를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수조부에 집수된 물의 양에 따라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게 되면서 발광부(310b)로부터 조사된 빛이 광반사 부재(250)에서 반사되어, 수위창(220b)를 빠져나올 때 수위창(220b)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색상의 띠가 외부로 컬러로 표현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수조부 내부에 집수된 물의 양을 직감적으로 확인 가능한 것이다.
일 예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위 표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수조(210b)가 저수위일 때를 표현한 것으로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하측이 수조(210b)의 하면에까지 인접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조(210b)가 저수위일 때에는 수조(210b)의 수위창(220b)를 통해 청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위창(220b)를 통해 보았을 때 청색이 확인된다면 아직 수조(210b)에는 집수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의 (b)는 중수위일 때를 표현한 것으로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하측이 수조(210b)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조(210b)가 중수위일 때에는 수조(210b)의 수위창(220b)를 통해 녹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위창(220b)를 통해 보았을 때 녹색이 확인된다면 아직 수조(210b)에는 집수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나 이 상태로 계속하여 제습이 이루어질 경우 일정 시간 뒤에 만수가 될 수 있는 상태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의 (c)는 고수위(만수위라고도 한다)일 때를 표현한 것으로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230b) 상측이 수조(210b)의 하면으로부터 최대 이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조(210b)가 고수위(만수위)일 때에는 수조(210b)의 수위창(220b)을 통해 적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위창(220b)를 통해 보았을 때 적색이 확인된다면 아직 수조(210b)에는 더 이상 집수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수조(210b)의 배수를 요하는 상태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습기
200, 200a, 200b : 수조부 모듈
210, 210a, 210b : 수조
211, 211a, 211b: 플로터 가이드 리브
212, 212b : 플로터 가이드 홈
213 : 반사부재 설치 홈
220, 220b : 수위창
230, 230a, 230b :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
231, 231a : 수위표시 판넬
232, 232a : 수위표시 플로터
233, 233a : 수위표시 색 띠
240 : 수위감지 마그네틱 플로터
250 : 광반사 부재
300, 300b : 드레인 판넬
310, 310b : 발광부(LED부)
311, 311b : 발광다이오드(LED)
312, 312b : 집광리브

Claims (8)

  1. 드레인 판넬이 형성된 케이스와;
    내벽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채 상기 케이스에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에는 수위표시 색 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은,
    상기 수위표시 색 띠가 형성된 수위표시 판넬과;
    상기 수위표시 판넬의 일단의 양측에 형성된 수위표시 플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 판넬과 상기 수위표시 플로터는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발광부가 포함되되,
    상기 발광부의 빛이 상기 수위표시 색 띠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로터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터 가이드 리브와 상기 수조의 내벽 사이에는 플로터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ED)로 형성되면서 상기 드레인 판넬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집광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 가이드 리브에는,
    광반사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KR1020140095075A 2014-07-25 2014-07-25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KR10219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75A KR102198138B1 (ko) 2014-07-25 2014-07-25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75A KR102198138B1 (ko) 2014-07-25 2014-07-25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78A true KR20160013478A (ko) 2016-02-04
KR102198138B1 KR102198138B1 (ko) 2021-01-05

Family

ID=5535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75A KR102198138B1 (ko) 2014-07-25 2014-07-25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299A (zh) * 2018-11-15 2019-04-16 浙江欧伦电气有限公司 一种可自动排水的除湿机
US10619877B2 (en) 2017-06-26 2020-04-14 Therma-Stor LLC Control panel for a portable dehumidifier
CN111512952A (zh) * 2020-05-30 2020-08-11 徐州创之社通用技术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壁挂水培架
CN113375329A (zh) * 2021-05-18 2021-09-10 宁波德业日用电器科技有限公司 防凝露且结构平整的水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5642U (ko) 1984-11-14 1986-06-11 이만식 조립식 옷장
KR900004125Y1 (ko) * 1987-05-27 1990-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물받이통 만수 방지장치
JP2000193294A (ja) * 1998-12-25 2000-07-14 Funai Electric Co Ltd 受光パネル装置
JP2002364903A (ja) * 2001-06-07 2002-12-18 Corona Corp 除湿機
KR20050099788A (ko) * 2004-04-12 2005-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5642U (ko) 1984-11-14 1986-06-11 이만식 조립식 옷장
KR900004125Y1 (ko) * 1987-05-27 1990-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물받이통 만수 방지장치
JP2000193294A (ja) * 1998-12-25 2000-07-14 Funai Electric Co Ltd 受光パネル装置
JP2002364903A (ja) * 2001-06-07 2002-12-18 Corona Corp 除湿機
KR20050099788A (ko) * 2004-04-12 2005-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9877B2 (en) 2017-06-26 2020-04-14 Therma-Stor LLC Control panel for a portable dehumidifier
CN109631299A (zh) * 2018-11-15 2019-04-16 浙江欧伦电气有限公司 一种可自动排水的除湿机
CN111512952A (zh) * 2020-05-30 2020-08-11 徐州创之社通用技术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壁挂水培架
CN111512952B (zh) * 2020-05-30 2023-08-29 徐州创之社通用技术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壁挂水培架
CN113375329A (zh) * 2021-05-18 2021-09-10 宁波德业日用电器科技有限公司 防凝露且结构平整的水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138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3478A (ko) 수위표시 플로터 모듈을 갖는 제습기
US10962282B2 (en)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01746B2 (en) Optically detected liquid depth information in a climate control unit
KR101662888B1 (ko) 제습기
WO2012089605A1 (en) A washing machine that determines colors of items to be washed
EP2394556A2 (en) Built-in dishwasher
EP2682694B1 (en) Refrigerator
US20080173798A1 (en) Rotation sensor for a spraying arm in a dishwasher
KR20150121749A (ko) 수위 표시장치
EP2411773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level of a liquid, a gel or a powder in a container
EP2710304B1 (en) A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symbols
JP200909776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965866B1 (ko) 광원을 이용한 리크센서
JP6387523B2 (ja) 手乾燥装置
TWI637156B (zh) Sensor and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110737A (ko) 얼음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20160013479A (ko) 실시간 제습량을 표시하는 제습기
KR20140027809A (ko) 제습장치
JP2008309449A (ja) 空調機のドレン配管汚れ検出装置
JP2009025177A (ja) ガスメータ
KR200237689Y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인디케이터를 겸비한 조명장치
KR101581115B1 (ko) 제습기
CN108027102B (zh) 具有装填水平指示器的储箱以及具有这样的储箱的紧凑型机组
ITMI20080263U1 (it) Dispositivo indicatore per visualizzare un'altezza di riempimento
CN211337039U (zh) 一种带有液面高度检查功能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