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493A -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493A
KR20160012493A KR1020140094008A KR20140094008A KR20160012493A KR 20160012493 A KR20160012493 A KR 20160012493A KR 1020140094008 A KR1020140094008 A KR 1020140094008A KR 20140094008 A KR20140094008 A KR 20140094008A KR 20160012493 A KR20160012493 A KR 2016001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vehicle
lamp
beam patte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557B1 (ko
Inventor
박종렬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557B1/ko
Priority to US14/805,974 priority patent/US9789807B2/en
Priority to CN201510441165.7A priority patent/CN105318245B/zh
Priority to DE102015214007.5A priority patent/DE102015214007A1/de
Publication of KR2016001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 평판 형상을 가지는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어 빔 패턴이 변경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도록 상기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축을 조정하여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광축 조정부, 및 상기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광축 조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암영대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주행할 때 주행 방향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드의 일부 영역 개폐를 통한 빔 패턴의 변경 및 광 조사 방향의 변경을 통해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드에서 개폐되는 일부 영역이 실드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명확하게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 평판 형상을 가지는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어 빔 패턴이 변경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도록 상기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축을 조정하여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광축 조정부, 및 상기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광축 조정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암영대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일부 영역이 개폐되는 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을 통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일부 영역의 차폐 또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을 통해 암영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실드의 일부 영역 개폐를 통한 빔 패턴 변경 및 광 조사 방향의 변경을 통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른 암영대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이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에서 구동된 구동 실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패턴의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유닛의 회동에 의해 형성된 암영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빔 패턴 변경에 의해 형성된 암영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 도로에서 광 조사 방향이 조정된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차량 위치 감지부(100),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실드 구동부(300), 광축 조정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위치 감지부(100)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위치 감지부(100)는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차량 위치 감지부(10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헤드 램프 또는 테일 램프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나 폭 등을 판단하거나 중앙선이나 도로 경계선 등의 위치를 판단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나 전방 차량 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거리 감지 센서(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은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이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은 차량의 주행 상태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이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은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을 각각 제 1램프 유닛(210) 및 제 2램프 유닛(220)이라 칭하고, 제 1램프 유닛(210) 및 제 2램프 유닛(220)은 차량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우측 헤드 램프 및 좌측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램프 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는 제 1램프 유닛(210)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 2램프 유닛(220)도 제 1램프 유닛(210)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제 1램프 유닛(210)은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 실드(213) 및 렌즈(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은 렌즈(214)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 일 예로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빔 패턴에 따라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광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발광 유닛(211)으로부터 광이 발생되고,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으로부터 모두 광이 발생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빔 패턴이 변경되더라도 항상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으로부터 모두 광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거나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소정 영역을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은 각각 광원(211a, 212a) 및 리플렉터(211b, 2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리플렉터(211b, 212b)는 그 내부의 반사면이 각 광원(211a, 212a)의 발광면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실드(213)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 사이의 전방에 위치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드(213)는 전단 양측이 렌즈(214)의 후방측 초점 면을 따라 렌즈(214)의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드(213)는 복수의 발광 유닛(211, 212)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에 차단된 광이 렌즈(214)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층(미도시)은 증착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213)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실드(213)의 상면에 의해 차단된 광은 렌즈(214)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드(213)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214)로 향하는 광은 로우 빔 패턴의 근거리 시야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드(213)는 고정 실드(213a) 및 구동 실드(21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실드(213a)는 위치가 고정되며 구동 실드(213b)는 실드(213)의 일부 영역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실드(213a)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제 1영역이라 하고, 구동 실드(213b)에 의해 개폐되는 영역을 제 2영역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 2영역은 실드(213)의 전단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드(213)는 구동 실드(213b)에 의해 제 2영역이 차폐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로우 빔 패턴(P11)를 형성하게 되며, 도 5와 같이 구동 실드(213b)가 구동되어 제 2영역이 개방된 경우에는 제 2영역에 의해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12)이 형성되어 도 6의 로우 빔 패턴(P11)과 함께 하이 빔 패턴(P1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을 살펴보면,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12)의 차량 내측 방향의 일부 영역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제 2영역이 실드(213)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는 도 1의 제 1램프 유닛(210)과 더불어 제 2램프 유닛(222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조합하여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암영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제 2램프 유닛(220)은 도 7과 같이 제 1램프 유닛(21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복수의 발광 유닛(221, 222), 실드(223) 및 렌즈(224)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유닛(221, 222)은 각각 광원(221a, 222a) 및 리플렉터(221b, 222b)를 포함하며, 실드(223)는 전술한 제 1램프 유닛(210)과 유사하게 제 1영역을 형성하는 고정 실드(223a) 및 제 2영역을 형성하는 구동 실드(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램프 유닛(220)은 제 2영역이 차폐된 경우 도 8과 같이 로우 빔 패턴(P21)을 형성하게 되며, 구동 실드(223b)가 구동되어 제 2영역이 개방된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제 2영역에 의해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22)이 형성되어 로우 빔 패턴(P21)과 함께 하이 빔 패턴(P2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램프 유닛(220)의 제 2영역은 실드(223)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제 1램프 유닛(210)의 제 2영역과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 2램프 유닛(220)에 의해 형성되는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22)은 제 1램프 유닛(210)에 의해 형성되는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12)과는 반대측 일부 영역, 즉 차량 내측 방향의 일부 영역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도 6 및 도 9의 빔 패턴이 조합되면 도 10과 같은 하이 빔 패턴(P)을 형성하게 되며 제 1램프 유닛(210) 및 제 2램프 유닛(220)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12, P22)은 하이 빔 패턴의 중심부에서 서로 일부가 중첩될 수 있는 것이다.
실드 구동부(300)는 구동 실드(213b)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실드(213b)의 회전축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실드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실드 구동부(300)가 구동될 때 실드(213)의 제 2영역을 개방 또는 차폐시키도록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영역이 실드(213)의 전단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영역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구동 실드(213b)는 실드(213)의 전방으로 회동되어 실드(213)의 제 2영역을 개방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으며, 제 2영역의 형성 방향에 따라 구동 실드(213b)의 회동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광축 조정부(400)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의 광축을 조정하여 광 조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광축 조정부(400)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차폭 방향으로 회동시켜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축 조정부(400)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광축 조정부(400)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에 대하여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축 조정부(400)가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차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축 제어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이들의 조합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차량 위치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실드 구동부(300) 및 광축 조정부(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른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실드 구동부(300) 및 광축 조정부(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도 11과 같이 자기 차량(V1)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며, 도 12와 같이 자기 차량(V1) 전방에 전방 차량(V2)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전방 차량(V2)이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경우 광축 조정부(400)를 제어하여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도 13과 같이 전방 차량(V2)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즉 전방 차량(V2)이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경우 실드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빔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도 12에서 광축 조정부(400)를 통해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회동시켜 암영대를 형성하는 것은 실드 구동부(300)를 통해 빔 패턴을 변경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은 회동 각도로도 최적의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도 12와 같이 전방 차량(V2)이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빔 패턴을 변경하여 암영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암영대가 과도하게 형성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실드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암영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13과 같이 전방 차량(V2)이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의 회동 각도를 초과하기 때문에 실드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빔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회동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12 및 도 13에서는 하나의 전방 차량이 위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암영대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복수의 전방 차량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좌우측 최외각에 존재하는 전방 차량을 기준으로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전술한 도 1의 차량용 램프에 비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주행 방향 감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방향 감지부(600)는 차량의 핸들 조향각, 턴 시그널 램프 조작 신호, 차선의 곡률 등을 기초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감지된 주행 방향을 기초로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회동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이 차량이 곡선 도로에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전방에만 광을 조사하게 되면 곡선 도로 방향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어부(500)는 광축 조정부(400)를 제어하여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회동시킴으로써 곡선 도로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15에서는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의 램프 유닛만 회동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이 모두 회동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실드(213, 223)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도록 하여 빔 패턴을 변경하면서도 램프 유닛(210, 220)의 회동을 통해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을 통해서 용이하게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회동시켜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0)가 실드 구동부(300) 및 광축 제어부(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암영대를 형성하거나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500)는 차량의 주행 환경, 예를 들어, 도로 상태, 기상 상태, 주변 밝기 등에 따라 실드 구동부(300) 및 광축 제어부(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최적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도 16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한 상태에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먼저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에 각각 포함된 실드(213, 223)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여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한다(S110).
차량 위치 감지부(100)를 통해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S120).
차량 위치 감지부(100)에 의해 전방 차량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500)는 전방 차량이 원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30).
전방 차량이 원거리, 즉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광축 조정부(400)를 제어하여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암영대를 형성하게 된다(S140).
만일, 전방 차량이 근거리, 즉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실드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복수의 램프 유닛(210, 220)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실드(213, 223)의 일부 영역을 차폐시켜 빔 패턴을 하이 빔 패턴에서 로우 빔 패턴으로 변경함으로써 암영대를 형성하게 된다(S1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위치 감지부
210, 220: 램프 유닛
300: 실드 구동부
400: 광축 조정부
500: 제어부
600: 주행 방향 감지부

Claims (19)

  1.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
    평판 형상을 가지는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어 빔 패턴이 변경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도록 상기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축을 조정하여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광축 조정부; 및
    상기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광축 조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암영대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실드의 전단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인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 실드; 및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폐되도록 상기 실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실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실드를 상기 실드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상기 일부 영역 차폐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일부 영역 개방시 상기 로우 빔 패턴 및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실드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 중 차량 내측 방향의 일부가 제거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영역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방 차량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광축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영역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방 차량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실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을 차폭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차량용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은,
    각각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이 개방된 경우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며,
    각각 형성된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은 빔 패턴의 중심부에서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방향을 감지하는 주행 방향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축 조정부는,
    상기 감지된 주행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좌우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전방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13. 일부 영역이 개폐되는 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을 통해 로우 빔 패턴 및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일부 영역의 차폐 또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 조사 방향 변경을 통해 암영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을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드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상기 일부 영역을 통해 상기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의 일측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차량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차량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실드의 일부 영역을 차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주행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하나 이상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단계는,
    좌우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전방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암영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KR1020140094008A 2014-07-24 2014-07-24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08A KR101618557B1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US14/805,974 US9789807B2 (en) 2014-07-24 2015-07-22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510441165.7A CN105318245B (zh) 2014-07-24 2015-07-24 车辆用灯及其控制方法
DE102015214007.5A DE102015214007A1 (de) 2014-07-24 2015-07-24 Lampe für ein Fahrzeug und Steuerungsverfahre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08A KR101618557B1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493A true KR20160012493A (ko) 2016-02-03
KR101618557B1 KR101618557B1 (ko) 2016-05-18

Family

ID=5535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008A KR101618557B1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7893B2 (ja) 2010-02-25 2014-04-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557B1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42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5615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239454B1 (ko) 차량용 전조등 장치
EP2657079B1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JP5362460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8740431B2 (en) Head lamp system comprising a pair of head lamp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221200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46810B2 (ja) アダプティブ・ライティング(配光可変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524818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1122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18557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JP554731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JP554731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101929736B1 (ko) 차량용 램프
KR101627569B1 (ko) 차량용 램프
KR101356421B1 (ko)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KR10160359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7392A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JP547896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20150125808A (ko) 차량용 램프
JP554731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102394952B1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JP201009275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20160059681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74902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