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074A -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 Google Patents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074A
KR20160011074A KR1020140092092A KR20140092092A KR20160011074A KR 20160011074 A KR20160011074 A KR 20160011074A KR 1020140092092 A KR1020140092092 A KR 1020140092092A KR 20140092092 A KR20140092092 A KR 20140092092A KR 20160011074 A KR20160011074 A KR 2016001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fecation
nozzle
mattres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751B1 (ko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켄
Priority to KR102014009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751B1/ko
Priority to JP2014225607A priority patent/JP2016022371A/ja
Priority to PCT/KR2015/007390 priority patent/WO2016013805A1/ko
Publication of KR2016001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조작으로 실린더 모터가 작동하여 등판(13), 허벅지판(17)이 둔부판(15)에 대해 축봉(a)을 기점으로 굴절되고 다리판(19)이 허벅지판(17)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굴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11)과, 상기 둔부판(15)과 상기 허벅지판(17)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도어 매트리스(21a)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배변구(21)와, 상기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 상기 도어 매트리스(21a)를 상기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변구(21)를 개방하는 이동수단(23)과, 상기 배변구(21)의 하부로 배치되며 승강수단(41)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배변구(21)에 배치되는 배변용기(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동침대의 굴절동작을 이용하여 최대한 앉는 자세와 유사한 자세로 침대에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으므로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AUTO BED WITH APPARATUS FOR EVACUATION}
본 발명은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로 이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전동침대에서 굴절동작을 이용하여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적절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제어하지 못함으로 인해 주변인에게 도움을 받아야 하며, 또 화장실 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하고 배설시에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배설물을 처리해야한다.
그런데, 기저귀를 착용하면 배변을 볼 때마다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바로 샤워를 하지 못할 경우 청결하지 못함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하며 배변시 센서의 반응으로 환자의 배변을 감지하고 흡입하여 보관되게 만들어진 배변 처리장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배변 처리장치는 환자가 흡입호스가 달린 배변용기를 항상 착용하고 생활해야 하고, 배변용기를 기울일 경우 배변이 새어나오는 단점이 있어 항상 바른 자세로 누어서만 생활해야 하므로 의식이 없는 일부 환자에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도 지속적인 배변용기 착용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착용하고 있는 동안은 자세 변경 어려움으로 인해 욕창이나 피부질환의 우려가 있으며 배변용기를 환자의 몸에 압박하지 않는 이상 배변이 새는 것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3855호(명칭: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공개일자:2007.11.29)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침대의 굴절동작을 이용하여 최대한 앉는 자세와 유사한 자세로 침대에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으며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변활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배변용기가 침대로 노출되어 침대생활의 불편함이 없으며 의료장비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휠체어나 의료장비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위치 조작으로 실린더 모터가 작동하여 등판, 허벅지판이 둔부판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고 다리판이 허벅지판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굴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과, 상기 둔부판과 상기 허벅지판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도어 매트리스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배변구와, 상기 매트리스 프레임을 굴절시 상기 도어 매트리스를 상기 다리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변구를 개방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배변구의 하부로 배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배변구에 배치되는 배변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도어 매트리스의 저면에 부착되며 제1판과 제2판이 경첩에 의해 결합되고 측면에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굴절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노치부가 형성된 판부와, 상기 제2판의 저면에 길게 구비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상기 제1판 방향으로 입출 가능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단부에 로드가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입출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제1판의 일측과 상기 제2판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고정레일 내부로 이동되면 상기 제1판를 상기 제2판에 대해 굴절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이며, 상기 리프트는 상승하면 상기 배변용기가 상기 허벅지판의 굴절각도와 대응되게 한다.
상기 배변용기는 배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배변공간에 받아진 배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바닥면이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변받이와, 상기 배변받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소변의 외부 튐을 방지하는 소변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변용기에 노즐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공에 세정 및 비데 기능을 위한 노즐부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변 흡입을 위한 흡입노즐이 연결된다.
상기 노즐부는 비데노즐, 세정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비데노즐은 살수판 비데노즐이고 상기 배변용기 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배변용기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부 및 흡입노즐을 매개로 상기 배변용기와 연결된 배변처리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배변처리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흡입된 배변이 수거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변수거함과, 온수가 저장되고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는 온수저장조와, 세정수가 저장되고 상기 온수저장조와 연결되는 세정수저장조와, 상기 배변수거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를 구비한다.
상기 세정수저장조의 세정수를 온수저장조로 공급하고 상기 온수저장조의 온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와, 상기 노즐부로 악취 제거를 위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펌프와, 배변의 흡입을 수행하는 흡입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동침대의 굴절시 이동수단에 의해 배변구가 개방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배변용기가 배변구에 배치되어 최대한 앉는 자세와 유사한 자세로 침대에서 편안하게 배변활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침대에서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하여 환자가 느끼는 부담감과 수치심을 덜어 줄 수 있으며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의 수고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변활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배변용기가 침대로 노출되므로 침대생활의 불편함이 없으며 의료장비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변용기가 배치되어 휠체어나 의료장비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에서 배변용기가 배변구로 노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동수단이 작동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변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승강수단이 전동침대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승강수단이 작동하여 배변용기가 배변구로 노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변용기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변용기에 연결되는 노즐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변처리본체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배변처리본체에서 배변수거함과 세정수저장조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는,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대상으로 최대한 앉는 자세와 유사한 자세로 침대에서 배변활동을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식이 없는 환자 및 의식이 있는 환자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미도시) 등의 스위치 조작으로 실린더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등판(13), 허벅지판(17)이 둔부판(15)에 대해 축봉(a)을 기점으로 굴절되고 다리판(19)이 허벅지판(17)에 대해 축봉(a)을 기점으로 굴절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굴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11)과, 둔부판(15)과 허벅지판(17)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도어 매트리스(21a)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배변구(21)와,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 도어 매트리스(21a)를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변구(21)를 개방하는 이동수단(23)과, 배변구(21)의 하부로 배치되며 승강수단(41)에 의해 상승하며 배변구(21)에 배치되는 배변용기(53)를 포함한다.
전동침대(1)는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와상환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져 리모컨 등의 스위치 조작으로 굴절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환자용 침대이다.
전동침대(1)는 등판(13), 둔부판(15), 허벅지판(17), 다리판(19)으로 구분되며 각각 축봉(a)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굴절 각도가 조절된다.
등판(13), 둔부판(15), 허벅지판(17), 다리판(19)에 등판 매트리스(13a), 둔부판 매트리스(15a), 허벅지판 매트리스(17a), 다리판 매트리스(19a)가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판 매트리스(13a), 둔부판 매트리스(15a), 허벅지판 매트리스(17a), 다리판 매트리스(19a)를 각각 분리된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등판 매트리스(13a), 둔부판 매트리스(15a), 허벅지판 매트리스(17a), 다리판 매트리스(19a)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동침대(1)에서 등판(13), 허벅지판(17)이 둔부판(15)에 대해 축봉(a)을 기점으로 굴절되고 다리판(19)이 허벅지판(17)에 대해 축봉(a)을 기점으로 굴절되는 것은 2~4 개의 실린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침대(1)에 배변 처리를 위한 배변구(21)가 구비된다.
배변구(21)는 둔부판(15)과 허벅지판(17)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변구(21)는 배변용기(53)가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절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구(21)는 평상시에는 도어 매트리스(21a)에 의해 차폐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배변 처리가 필요할 때만 개방된다.
배변구(21)는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 도어 매트리스(21a)를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3)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다.
이동수단(23)은 전동침대(1)의 굴절동작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동침대에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23)은 도어 매트리스(21a)의 저면에 부착되는 판부(25)와, 판부(25)에 구비된 고정레일(31) 및 고정레일(31)에 대해 입출 가능한 가이드레일(33)과, 가이드레일(33)을 고정레일(31)에 대해 입출시키는 실린더(35)와, 판부(25)를 굴절시키는 복원스프링(39)을 포함한다.
판부(25)는 도어 매트리스(21a)의 저면에 부착되며 경첩에 의해 결합되는 제1판(26)과 제2판(27)으로 구성된다. 제1판(26)과 제2판(27)의 측면에는 제1판(26)과 제2판(27)의 굴절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노치부(29)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치부(29)는 대략 105도의 각을 형성한다.
고정레일(31)은 제2판(27)의 저면에 길게 구비된다. 가이드레일(33)은 고정레일(31)에 대해 제1판(26) 방향으로 입출 가능하다. 가이드레일(33)의 단부에는 가이드레일(33)을 고정레일(31)에 대해 입출시킬 수 있는 실린더(35)의 로드(37) 단부가 결합된다.
복원스프링(39)은 제1판(26)의 일측과 제2판(27)의 일측을 연결하여 가이드레일(33)이 고정레일(31) 내부로 이동되면 복원력을 발휘하여 제1판(26)을 제2판(27)에 대해 굴절시킨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23)은 도어 매트리스(21a)가 배변구(21)를 차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35)로부터 로드(37)가 인출되어 있다. 로드(37)의 인출은 가이드레일(33)을 고정레일(31)로부터 인출시켜 가이드레일(33)이 제1판(26)을 제2판(27)에 대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게 되고 복원스프링(39)을 인장된 상태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키고 이동수단(23)의 실린더(35)를 작동시키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7)가 실린더(35)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면서 가이드레일(33)이 고정레일(31)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레일(33)은 경첩 부근에 와서는 고정레일(31)의 길이로 인해 더 이상 고정레일(31) 내부로 이동되지 않고 제1판(26)을 지지하지도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제1판(26)을 제2판(27) 방향으로 당기는 복원스프링(39)의 복원력은 제1판(26)을 제2판(27)에 대해 노치부(29) 각도만큼 구부러진 상태를 만들고, 그 상태에서 로드(37)가 실린더(35) 내부로 더 이동하게 되어 도어 매트리스(21a) 전체가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는 도어 매트리스(21a)의 다리판(19) 방향 이동 동작은 매트리스 프레임(11)의 굴절에 의해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함으로 인해 환자의 체중이 도어 매트리스(21a)에 실리게 될 때, 환자의 체중을 분산시키면서 도어 매트리스(21a)를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환자의 체중을 분산시키면서 도어 매트리스(21a)를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어 매트리스(21a)의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도어 매트리스(21a)의 다리판(19) 방향 이동에 따른 환자의 자세 이동이 없게 된다.
승강수단(41)은 배변용기(53)를 배변구(21)에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41)은 실린더(51)의 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이다.
승강수단(41)의 상승 동작은 배변용기(53)가 허벅지판(17)의 굴절각도와 대응되게 한다. 승강수단(41)은 도어 매트리스(21a)가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변구(21)가 개방되면 상승하여 배변용기(53)를 배변구(21)에 위치시킨다.
승강수단(41)은 배변용기(53)가 안착되는 상부판(42) 및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판(43)을 구비한다. 상부판(42)과 하부판(43)은 힌지에 의해 X자 형태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제1다리부(44)와 한 쌍의 제2다리부(46)에 의해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부판(43)이 지지되는 지면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동침대(1)의 하면에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승강수단(41)은 실린더(51)가 제2다리부(46)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승하고 제2다리부(46)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다리부(44)의 일측은 하부판(43)의 선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부판(42)의 후단측에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슬롯(48)에 제1돌부(45)를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2다리부(46)의 일측은 상부판(42)의 선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하부판(43)의 후단측에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슬롯(49)에 제2돌부(47)를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제2다리부(46)는 각 타측을 샤프트(b)가 상호 연결하며, 샤프트(b)에는 실린더(51)가 연결되어 샤프트(b)를 밀어줌으로써 제2다리부(46)를 밀어주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41)은 상승하면 상부판(42)이 하부판(43)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가 된다. 상부판(42)이 하부판(43)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는 상부판(42)의 상승시 배변용기(53)가 허벅지판(17)의 굴절각도와 대응되게 배변구(21)에 배치되도록 한다.
배변용기(53)가 허벅지판(17)의 굴절각도와 대응되게 배변구(21)에 배치되면 배변용기(53)가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배변 자세가 용이하게 된다.
상부판(42)이 하부판(43)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제1다리부(44) 및 제2다리부(46)의 길이 조절 또는 제1가이드슬롯(48) 및 제2가이드슬롯(49)의 길이 조절로 조정가능하다.
배변용기는 저면이 상부판에 고정되므로 상부판의 상승에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용기(53)는 배변이 받아지는 배변공간(55)이 형성된 배변받이(54)와 소변의 외부 튐을 방지하기 위한 소변커버부(57)를 구비한다.
배변받이(54)의 일측에는 배변공간(55)에 받아진 배변이 배출되는 배출구(56)가 구비된다. 배변받이(54)는 바닥면이 배출구(56)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변이 배출구(56)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소변커버부(57)는 배변용기(53)의 앞쪽에서 돌출 형성된다. 소변커버부(57)는 선단이 유선형 또는 C자형으로 되어 환자의 배설기관 앞 부분을 감싸기 용이하도록 된다.
배출구(56)에는 배변 흡입을 위한 흡입노즐(65)이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용기(53)에 공기 흡입구(59)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59)는 후술할 흡입모터(87)의 작동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고 빨아들인 공기의 힘으로 배변이 배변수거함(75)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 흡입구(59)는 배변용기(53)에서 배출구(56)의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변용기(53)에 노즐공(58)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공(58)에 세정 및 비데 기능을 위한 노즐부(61)가 연결된다. 노즐부(61)는 비데노즐(62), 세정노즐(63)을 포함한다.
비데노즐(62)은 살수판 비데노즐이고 배변용기(53) 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살수판 비데노즐은 수압을 증가시켜 가까운 거리에서 넓은 면적을 부드럽게 세정할 수 있으며 물 절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비데노즐(62)은 예를 들어, 펄스모터(미도시)의 동작으로 전진, 후진 가능하며 배변용기(53) 내로 이동하여 환자의 배설기관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세정노즐(63)은 비데노즐(62)과 마찬가지로 살수판 세정노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펄스모터의 동작으로 전진, 후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노즐(63)이 환자의 배설기관 세척 역할 외에도 배변용기의 바닥면을 세척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노즐부(61)에 비데노즐(62), 세정노즐(63) 외에도 바닥 세척을 위한 세척노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배변용기(53)에 배변을 감지하는 광센서, 전도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배변 중 대변의 경우 광센서가 감지하고 소변의 경우 염분을 검출하는 전도도 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는 배변용기 내로 빛을 조사하여 대변의 움직임이나 온도를 감지한다.
센서가 감지한 배변 신호는 후술할 컨트롤밸브(89)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용기(53)는 노즐부(61) 및 흡입노즐(65)을 매개로 배변처리본체(71)와 연결된다.
배변처리본체(71)는 배변용기(53)로 배설된 배변을 흡입하여 저장하고, 배변용기(53)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배변용기(53)로 보내기 위한 세정수를 저장한다.
배변처리본체(71)는 외관을 케이스(73)가 형성한다.
케이스(73) 내에는 배변수거함(75), 온수저장조(77), 세정수저장조(79), 필터부(81)가구비된다.
배변수거함(75)은 흡입노즐(65)을 통해 흡입된 배변이 수거되며 케이스(73)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배변수거함(75)에 흡입노즐(65)이 연결되는 흡입노즐연결구(91)와 배변수거함(75)의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공기연결구(93)가 구비된다.
배변수거함(75)에 수거된 배변을 악취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배변수거함(75)에 수거된 배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하여 내부 공기를 팽창시키므로 배출시켜야 한다. 배출공기연결구(93)는 배변수거함(75)에 저장된 배변의 부패로 인해 팽창된 공기의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온수저장조(77)는 온수가 저장되고 노즐부(61)와 연결된다. 온수저장조(77)는 가열히터 등을 구비하여 온수저장조(77)로 공급된 세정수를 설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세정수저장조(79)는 세정수가 저장되고 물배출구(95)를 구비하며 물배출구(95)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온수저장조(77)와 연결된다. 세정수저장조(79)의 세정수가 온수저장조(77)로 이동하여 데워지고, 온수저장조(77)의 세정수가 노즐부(61)를 통해 배변용기(53)에 공급된다.
필터부(81)는 배변수거함(7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부(81)는 배출공기연결구(93)와 연결되어 배변수거함(75) 내부의 공기가 필터부(8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필터부(81)는 숯, 활성탄, 백금, 항균, 부직포 등을 적용한 다단계 탈취필터로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부(81)는 인체에 무해한 방향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변수거함(75)과 세정수저장조(79)는 케이스(73)에서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다. 배변수거함(75)과 세정수저장조(79)의 돌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기면 흡입노즐연결구(91), 배출공기연결구(93), 물배출구(95)가 각각 흡입노즐(65), 필터부(81), 온수저장조(77)와 분리되면서 케이스(73)로부터 분리된다.
케이스(73) 내에는 물공급펌프(83), 약품공급펌프(85), 흡입모터(87)가 더 구비된다.
물공급펌프(83)는 세정수저장조(79)의 세정수를 온수저장조(77)로 공급하고 온수저장조(77)의 온수를 노즐부(61)로 공급한다.
약품공급펌프(85)는 노즐부(61)로 악취 제거를 위한 약품을 공급하여 세정수와 함께 약품이 배변용기(53)로 분사되게 한다. 약품공급펌프(85)는 물공급펌프(83)의 동작시 함께 동작하여 노즐부(61)로 약품을 공급한다. 약품공급은 배변용기에서 배변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모터(87)는 배변의 흡입을 수행한다. 흡입모터(87)는 플라스틱 소재의 상자 내부에 배치하고 내부 가장자리를 불연소재인 방음재 등으로 충진하여 흡입모터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스(73)의 외벽에도 방음재를 부착하여 흡입모터(87)의 작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스(73) 내에 컨트롤밸브(89)가 더 구비된다. 컨트롤밸브(89)는 리모컨 등의 신호를 수신받아 물공급펌프(83), 약품공급펌프(85), 흡입모터(87)가 각각 동작하게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밸브(89)는 배변용기(53)에 구비된 광센서 또는 전도도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물공급펌프(83), 약품공급펌프(85), 흡입모터(87)가 각각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동수단에 의해 배변구가 개방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배변용기가 배변구에 배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리모컨 스위치를 조작하여 매트리스 프레임(11)의 굴절 각도를 조절한다.
전동침대(1)의 실린더 모터를 작동시켜 등판(13)과 허벅지판(17)이 둔부판(15)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세워지고 다리판(19)이 허벅지판(17)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세워지도록 각 축봉(a)을 기점으로 굴절시킨다.
그러면, 허벅지판(17)이 둔부판(15)에 대해 굴절되어 소정 각도로 세워지고 다리판(19)이 허벅지판(17)에 대해 다시 굴절된 상태가 되어 도어 매트리스(21a)가 다리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동시에 환자는 엉덩이 부분이 둔부판(15)에 위치한 상태로 허벅지판에 지지되어 앉은 자세가 된다.
이때, 등판(13) 및 허벅지판(17)이 둔부판(15)에 대해 굴절된 각도는 실린더 모터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킴으로써 환자 개개인에 편안 굴절 위치가 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수단(23)을 작동시킨다. 이동수단(23)의 작동은 전동침대(1)의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키는 리모컨으로 작동 가능하다.
이동수단(23)은 실린더(35)를 작동시켜 로드(37)를 실린더(35) 내부로 후진시킨다. 로드(37)가 실린더(35) 내부로 후진하게 되면 로드(37)와 연결된 가이드레일(33)도 함께 실린더(35)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고정레일(31)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레일(31) 내부로 이동한 가이드레일(33)은 경첩 부근에 와서는 고정레일(31)의 길이 및 고정레일(31) 단부에 형성한 스토퍼로 인해 더 이상 고정레일(31) 내부로 이동되지 않고 제1판(26)의 지지하지도 않게 된다.
따라서, 제1판(26)을 제2판(27)에 평행하게 지지하는 지지력이 사라지므로 제1판(26)을 제2판(27) 방향으로 당기는 복원스프링(39)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제1판(26)이 제2판(27)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복원스프링(39)의 복원력은 제1판(26)을 제2판(27)에 대해 노치부(29) 각도만큼 구부러진 상태를 만들고, 이 상태에서 로드(37)가 실린더(35) 내부로 더 이동하게 되어 도어 매트리스(21a) 전체가 다리판(19)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제1판(26)이 제2판(27)에 대해 소정 각도 구부러진 상태로 다리판(19) 방향으로 이동하면 환자의 엉덩이 체중을 분산하여 환자의 앉은 자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배변구(2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배변구(21)가 개방되면 승강수단(41)을 작동시킨다.
승강수단(41)의 작동은 이동수단(23)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키는 리모컨으로 작동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51)를 작동시켜 샤프트(b)를 밀어줌으로써 제2다리부(46)의 제2돌부(47)가 제2가이드슬롯(49)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제2돌부(47)가 제2가이드슬롯(49)을 따라 이동할 때 제1다리부(44)의 제1돌부(45)도 제1가이드슬롯(48)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1다리부(44)와 제2다리부(46)의 각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부판(42)이 하부판(43)에 대해 상승하게 된다.
상부판(42)의 상승은 상부판(42)에 고정된 배변용기(53)를 배변구(21)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부판(42)은 허벅지판(17)의 굴절 각도와 유사하게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변용기(53)가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 자연스럽게 밀착된다.
그리고, 배변용기(53)는 소변커버부(57)가 환자의 배설기관 앞부분을 감싸는 형상이 되므로 배변 중 소변 등이 외부로 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배변 후에는 세정 및 흡입이 수행된다. 세정 및 흡입은 전동침대(1)의 매트리스 프레임(11)을 굴절시키는 리모컨으로 작동 가능하다.
또는, 배변용기(53)에 배변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의 감지결과 환자가 배변을 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배변의 흡입 및 배설기관의 세정을 지시할 수도 있다. 센서는 광센서, 전도도 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의 감지 신호 또는 리모컨의 세정, 흡입 신호를 컨트롤밸브(89)가 수신한다. 컨트롤밸브(89)는 물공급펌프(83) 및 흡입모터(87)를 작동시켜 세정과 동시에 공기의 흡인력으로 세정수와 배변을 흡입한다.
흡입모터(87)가 작동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59)를 통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면서 세정수와 배변이 바닥판의 경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동하면서 흡입노즐(65)를 통해 흡입되고 배변수거함(75)에 보관된다. 이때, 공기 흡입구(59)는 배변공간(55)이 진공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모터(87)의 강한 흡입력에도 환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배변수거함(75)에 저장된 배변은 악취도 함께 포함하고 있으므로 악취는 배출공기연결구(93)와 연결된 필터부(81)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세정은 살수판을 사용한 비데노즐(62)과 세정노즐(63)이 함께 작용하여 환자의 배설기관에 분사되므로 넓은 면적을 강한 수압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시 약품공급펌프(85)가 함께 작용하여 세정수에 약품이 함께 분사되므로 배변용기(53)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환자의 배설기관을 건조하는 건조노즐부를 더 구비하여 세정 후 환자의 배설기관 건조할 수도 있다. 건조노즐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건조 팬 또는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하여 따뜻한 공기를 배설기관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배변이 완료된 후에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승강수단(41)을 작동시켜 배변용기(53)를 하강시키고 이동수단(23)을 작동시켜 도어 매트리스(21a)가 배변구(21)를 차폐하도록 하면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환자는 전동침대(1)에서 배변의 해결 및 청결한 처리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동침대(1)의 매트리스 프레임(11)이 굴절된 상태를 원상태로 복귀하면 환자는 정상적인 침대 생활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변구(21)를 개방하는 이동수단(23) 및 배변구(21)에 배변용기(53)를 배치시키는 승강수단(41)은 전동침대(1)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휠체어나 의료기기 등의 이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배변수거함(75)과 세정수저장조(79)는 배변처리본체(71)에서 서랍식으로 분리가능하므로 배변수거함(75)의 배변을 버리거나 세정수저장조(79)에 세정수를 채우는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전동침대 11: 매트리스 프레임
13: 등판 13a: 등판 매트리스
15: 둔부판 15a: 둔부판 매트리스
17: 허벅지판 17a: 허벅지판 매트리스
19: 다리판 19a: 다리판 매트리스
a: 축봉 21: 배변구
21a: 도어 매트리스 23: 이동수단
25: 판부 26, 27: 제1판 및 제2판
28: 경첩 29: 노치부
31: 고정레일 33: 가이드레일
35: 실린더 37: 로드
39: 복원스프링 41: 승강수단
42: 상부판 43: 하부판
44: 제1다리부 45: 제1돌부
46: 제2다리부 47: 제2돌부
48: 제1가이드슬롯 49: 제2가이드슬롯
51: 실린더 53: 배변용기
54: 배변받이 55: 배변공간
56: 배출구 57: 소변커버부
58: 노즐공 61: 노즐부
62: 비데노즐 63: 세정노즐
65: 흡입노즐 71: 배변처리본체
73: 케이스 75: 배변수거함
77: 온수저장조 79: 세정수저장조
81: 필터부 83: 물공급펌프
85: 약품공급펌프 87: 흡입모터
89: 컨트롤밸브 91: 흡입노즐연결구
93: 배출공기연결구 95: 물배출구

Claims (10)

  1. 스위치 조작으로 실린더 모터가 작동하여 등판, 허벅지판이 둔부판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고 다리판이 허벅지판에 대해 축봉을 기점으로 굴절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굴절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과,
    상기 둔부판과 상기 허벅지판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도어 매트리스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배변구와,
    상기 매트리스 프레임을 굴절시 상기 도어 매트리스를 상기 다리판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변구를 개방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배변구의 하부로 배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배변구에 배치되는 배변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도어 매트리스의 저면에 부착되며 제1판과 제2판이 경첩에 의해 결합되고 측면에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굴절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노치부가 형성된 판와,
    상기 제2판의 저면에 길게 구비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상기 제1판 방향으로 입출 가능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단부에 로드가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입출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제1판의 일측과 상기 제2판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고정레일 내부로 이동되면 상기 제1판를 상기 제2판에 대해 굴절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이며,
    상기 리프트는 상승하면 상기 배변용기가 상기 허벅지판의 굴절각도와 대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변용기는
    배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배변공간에 받아진 배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바닥면이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변받이와,
    상기 배변받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소변의 외부 튐을 방지하는 소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변용기에 노즐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공에 세정 및 비데 기능을 위한 노즐부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변 흡입을 위한 흡입노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비데노즐, 세정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비데노즐은 살수판 비데노즐이고 상기 배변용기 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변용기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 및 흡입노즐을 매개로 상기 배변용기와 연결된 배변처리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흡입된 배변이 수거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변수거함과,
    온수가 저장되고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는 온수저장조와,
    세정수가 저장되고 상기 온수저장조와 연결되는 세정수저장조와,
    상기 배변수거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저장조의 세정수를 온수저장조로 공급하고 상기 온수저장조의 온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물공급펌프와,
    상기 노즐부로 악취 제거를 위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펌프와,
    배변의 흡입을 수행하는 흡입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처리장치 전동침대.
KR1020140092092A 2014-07-21 2014-07-21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KR10167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92A KR101679751B1 (ko) 2014-07-21 2014-07-21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JP2014225607A JP2016022371A (ja) 2014-07-21 2014-11-05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PCT/KR2015/007390 WO2016013805A1 (ko) 2014-07-21 2015-07-16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92A KR101679751B1 (ko) 2014-07-21 2014-07-21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74A true KR20160011074A (ko) 2016-01-29
KR101679751B1 KR101679751B1 (ko) 2016-11-25

Family

ID=5516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092A KR101679751B1 (ko) 2014-07-21 2014-07-21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022371A (ko)
KR (1) KR101679751B1 (ko)
WO (1) WO201601380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153A (ko) * 2018-06-21 2018-07-11 전대연 중증환자용 또는 와상환자용 스마트침대시스템
KR20190067319A (ko) 2017-12-07 2019-06-17 지앤씨 유한회사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CN113133881A (zh) * 2021-05-24 2021-07-20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具有小便防护设备病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9805B1 (en) 2015-02-25 2020-12-01 Bernadette de Isaza Bed
CN106400921A (zh) * 2016-11-29 2017-02-15 河南神行保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如厕护理机、护理床
CN107049656B (zh) * 2017-05-18 2018-01-09 广东车动力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护理床
CN107361945A (zh) * 2017-07-05 2017-11-21 安徽生力轻工制品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组合电动护理床架
CN107260446A (zh) * 2017-07-05 2017-10-20 安徽生力轻工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护理床的拼装式床架
CN107260445A (zh) * 2017-07-05 2017-10-20 安徽生力轻工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护理床的组合式床面
CN107361944A (zh) * 2017-07-05 2017-11-21 安徽生力轻工制品有限公司 一种组合电动护理床的可折叠式床面
CN107411910A (zh) * 2017-07-25 2017-12-01 李明娟 一种医用护理床智能洁身设备
CN107485513A (zh) * 2017-08-29 2017-12-19 孙姜鹰 一种可升降且方便移动的医疗护理床
CN109172209B (zh) * 2018-08-26 2021-05-07 张惠丽 一种自动助便的卧便器
CN109009779B (zh) * 2018-08-26 2021-04-13 张惠丽 一种卧便器用大口径并可在病人的带动下平移的落便门
CN109718027B (zh) * 2019-01-23 2020-07-14 河南科技大学 一种辅助排便装置
WO2020172867A1 (zh) * 2019-02-28 2020-09-03 罗惠民 具有集便功能的护理床
KR102117875B1 (ko) 2019-07-08 2020-06-02 주식회사 일우텍 용변 자동 처리장치
KR20220102788A (ko) * 2021-01-14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트리스 관리장치
CN114886685A (zh) * 2022-05-26 2022-08-12 安徽迪发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床用二便清理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855A (ko) 2006-05-26 2007-11-29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048A (ja) * 2000-08-11 2002-02-19 Ebara Kiko Kk シャワートイレ付介護ベッド
KR20040064576A (ko) * 2003-01-10 2004-07-19 주식회사 해피베드 다기능 환자용 침대
KR200343449Y1 (ko) * 2003-11-25 2004-03-04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200402017Y1 (ko) * 2005-07-11 2005-11-24 유도로보틱스(주) 환자용 침대
KR200422803Y1 (ko) * 2006-05-04 2006-08-01 한대성 거동이 불편한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855A (ko) 2006-05-26 2007-11-29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319A (ko) 2017-12-07 2019-06-17 지앤씨 유한회사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KR20180080153A (ko) * 2018-06-21 2018-07-11 전대연 중증환자용 또는 와상환자용 스마트침대시스템
CN113133881A (zh) * 2021-05-24 2021-07-20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具有小便防护设备病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751B1 (ko) 2016-11-25
JP2016022371A (ja) 2016-02-08
WO2016013805A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KR101633486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3329802B1 (ja) 介護用ベッド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643523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JP4502973B2 (ja) 装着型排泄装置
KR20120040881A (ko) 세정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KR20070006303A (ko)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20070113855A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WO2019102940A1 (ja) 排泄物回収装置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WO1995004513A1 (fr) Procede et appareil d'elimination des excrements
JP2008035969A (ja) 介護用洗髪装置
KR20120100517A (ko) 배설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