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668A -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 Google Patents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668A
KR20160007668A KR1020157037037A KR20157037037A KR20160007668A KR 20160007668 A KR20160007668 A KR 20160007668A KR 1020157037037 A KR1020157037037 A KR 1020157037037A KR 20157037037 A KR20157037037 A KR 20157037037A KR 20160007668 A KR20160007668 A KR 2016000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imidazole
reactor
epoxy resi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프 강
Original Assignee
블루 큐브 아이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 큐브 아이피 엘엘씨 filed Critical 블루 큐브 아이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0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66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08G59/686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oxy Res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매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및 경화성 조성물, 경화성 조성물의 형성 방법, 및 용매 첨가 없이 형성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사용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Epoxy-imidazole catalysts useful for powder coating applications}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무용매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에 관한 것이다.
이미다졸에 의해 경화된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미다졸은 에폭시 수지를 위한 경화제로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3급-질소-함유 경화제와 마찬가지로, 이미다졸은 심지어 실온에서도 에폭시 수지계와 매우 빠르게 반응한다. 이와 관련된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반응된 이미다졸-에폭시계, 및 환 내에 2급 아미노 그룹을 갖는 이미다졸 화합물은 저장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방지하게 위해, 미국 특허 제3,756,984호는 환에 2급 아미노 그룹을 갖는 이미다졸과 모노- 및 폴리에폭사이드와의 각종 부가물의 제조, 및 이러한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경화제와 배합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 특히 성형 분말 코팅 조성물에 경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기재하였다. 상기의 이들 에폭시-이미다졸 부가물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폭사이드의 무수물 경화를 위한 양호한 경화제 및 촉진제이다. 미국 특허 제5,310,864호 및 제4,066,625호에는 다른 에폭시-이미다졸 부가물들이 논의되어 있다.
상기 열거된 특허들에 기술된 에폭시-이미다졸 화합물들은 전형적으로 용매계 공정으로 제조된다. 상기 용매계 공정은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를 제어하고 고체 반응 생성물의 조기 겔화를 막아야 한다. 에폭시-이미다졸 화합물의 예는 헥시온 스페셜티 케미칼스(Hexion Specialty Chemicals, Houston, Texas)로부터 상품명 EPI-CURE로 시판되는 촉매 타입의 경화제(예: EPI-CURE P1O1)이다.
상기 용매계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고체 촉매는 필연적으로 소량의 잔류 용매를 갖는다. 일부 분말계(고체) 에폭시 시스템은 이 잔류 용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기타의 피복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내열수성, 음극 박리 저항성(cathiodic disbond resistance), 접착성 및 저온 경화성과 같은 개선된 피복 성능을 갖는 분말 피복 제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하고, 상기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와 혼합함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하고, 상기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와 혼합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60℃ 이상의 온도에서 열 경화시켜서 열경화성(thermoset) 수지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타의 측면들 및 이점들은 하기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무용매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에 관한 것이다. 생성된 무용매 촉매는 분말 피복 분야 및 잔류 용매에 민감할 수 있는 기타의 분야에 유용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따르면,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는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는 과도한 에폭시 단독중합을 막기 위해 이미다졸, 에폭시 수지 및 아민 간의 반응을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40℃ 미만의 반응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된 조건하에 접촉을 수행하여 에폭시와 이미다졸 간의 효율적인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에폭시와 이미다졸의 반응은 발열 반응으로 인해 과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따르면, 과도한 반응 온도를 피하기 위해, 에폭시 수지, 아민 및 이미다졸 간의 접촉을 조절된 방식으로 수행하여 상기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반응물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조절된 발열 및 충분한 열 제거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다졸, 아민 및 에폭시 수지의 일부의 혼합물을 반응시켜서 초기 발열을 유도할 수 있다. 잔량의 에폭시 수지를 반응기에 분취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반응열이 제거되게 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분취는 예를 들면 연장된 시간에 걸친 에폭시 수지의 연속적 또는 반-연속적 첨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첨가 속도는 원치 않는 발열 및 과도한 반응 온도가 유도되지 않도록 선택한다.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따른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하도록 반응하는 총 조성물은 이미다졸 10 내지 35중량%,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 65 내지 90중량%, 및 아민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유용한 에폭시 수지, 이미다졸 및 아민을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에폭시 수지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가변적이고 통상의 시판되는 에폭시 수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이 배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을 위한 에폭시 수지를 선택할 때, 최종 생성물의 특성 뿐만 아니라 수지 조성물의 가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도 및 기타의 특성들도 고려해야 한다.
에폭시 수지 성분은 반응성 옥시란 그룹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며, 본원에서 "에폭시 그룹" 또는 "에폭시 관능기"라고 일컬어진다.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유용한 에폭시 수지는 일관능성 에폭시 수지, 다관능성(multi- 또는 poly-)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량체성 및 중합체성 에폭시 수지는 지방족, 사이클로지방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중합체성 에폭시는 말단 에폭시 그룹을 갖는 선형 중합체(예: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골격 옥시란 단위(예: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폭사이드) 및 펜던트 에폭시 그룹을 갖는 중합체(예: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에폭시는 순수한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분자당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에폭시 그룹을 함유하는 혼합물 또는 화합물일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에폭시 수지는 더 높은 온도에서 무수물, 유기 산, 아미노 수지, 페놀성 수지 또는 (촉매되는 경우) 에폭시 그룹과 반응하여 추가의 가교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반응성 -OH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화 수지, 사이클로지방족 수지, 에폭사이드화 오일 등일 수 있다. 글리시딜화 수지는 흔히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비스페놀 화합물(예: 비스페놀 A)과의 반응 생성물; C4 내지 C28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C2 내지 C28 알킬- 및 알케닐-글리시딜 에스테르; C1 내지 C28 알킬-, 모노- 및 폴리-페놀 글리시딜 에테르; 피로카테콜, 레소르시놀, 하이드로퀴논,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메탄(또는 비스페놀 F), 4,4'-디하이드록시-3,3'-디메틸디페닐 메탄,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디메틸 메탄(또는 비스페놀 A),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메틸 메탄,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사이클로헥산, 4,4'-디하이드록시-3,3'-디메틸디페닐 프로판,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설폰 및 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과 같은, 다가 페놀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앞서 언급된 디페놀의 염소화 및 브롬화 생성물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노볼락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방향족 하이드로카복실산 염과 디할로알칸 또는 디할로겐 디알킬 에테르를 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수득한 디페놀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장쇄 할로겐 파라핀과 페놀을 축합시킴으로써 수득한 폴리페놀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이다.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유용한 에폭시 수지의 다른 예로는 비스-4,4'-(1-메틸에틸리덴) 페놀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클로로메틸) 옥시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몇몇 양태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글리시딜-에스테르타입; 지환족 타입; 헤테로사이클릭 타입, 및 할로겐화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에폭시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크레솔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성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페닐 에폭시 수지, 하이드로퀴논 에폭시 수지, 스틸벤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및 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에폭시 화합물로는 레소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1,3-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벤젠),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2,2-비스(p-(2,3-에폭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트리글리시딜 p-아미노페놀(4-(2,3-에폭시프로폭시)-N,N-비스(2,3-에폭시프로필)아닐린), 브로모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2,2-비스(4-(2,3-에폭시프로폭시)3-브로모-페닐)프로판),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2,2-비스(p-(2,3-에폭시프로폭시)페닐)메탄), 메타- 및/또는 파라-아미노페놀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3-(2,3-에폭시프로폭시)N,N-비스(2,3-에폭시프로필)아닐린), 및 테트라글리시딜 메틸렌 디아닐린(N,N,N',N'-테트라(2,3-에폭시프로필)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및 둘 이상의 폴리에폭시 화합물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유용한 에폭시 수지의 더욱 상세한 목록은 문헌[참조: Lee, H. and Neville, K., Handbook of Epoxy Resins, McGraw-Hill Book Company, 1982 재발행]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에폭시 수지로는 방향족 아민 및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기반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N,N'-디글리시딜-아닐린; N,N'-디메틸-N,N'-디글리시딜-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N,N,N',N'-테트라글리시딜-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N-디글리시딜-4-아미노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및 N,N,N',N'-테트라글리시딜-1,3-프로필렌 비스-4-아미노벤조에이트가 포함된다. 에폭시 수지로는 방향족 디아민, 방향족 1급 모노 아민, 아미노페놀, 다가 페놀, 다가 알코올 및 폴리카복실산 중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글리시딜 유도체도 포함될 수 있다.
유용한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글리세롤 및 2,2-비스(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프로판과 같은 다가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옥살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복실산 및 이량체화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폴리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이소부탄 및 1,5-디하이드록시 나프탈렌과 같은 폴리페놀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잔기를 갖는 개질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 에폭시 수지; 및 노볼락 수지가 포함된다.
에폭시 화합물은 사이클로지방족 또는 지환족 에폭사이드일 수 있다. 사이클로지방족 에폭사이드의 예로는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피멜레이트와 같은 디카복실산의 사이클로지방족 에스테르의 디에폭사이드; 비닐사이클로헥센 디에폭사이드; 리모넨 디에폭사이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디에폭사이드 등이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디카복실산의 사이클로지방족 에스테르의 디에폭사이드가 예컨대 미국 특허 제2,750,395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사이클로지방족 에폭사이드로는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3,4-에폭시-1-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1-메틸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6-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틸-6-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3,4-에폭시-2-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2-메틸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3,4-에폭시-3-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3-메틸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3,4-에폭시-5-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5-메틸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등과 같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가 예컨대 미국 특허 제2,890,194호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유용한 추가의 에폭시-함유 재료로는 글리시딜 에테르 단량체 기반의 것들이 포함된다. 예로는 다가 페놀을 과량의 클로로하이드린(예: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반응시켜서 수득한 다가 페놀의 디- 또는 폴리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이러한 다가 페놀로는 레소르시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비스페놀 F로 공지됨),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로 공지됨),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1,1,2,2-테트라키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또는 산 조건하에 수득한 페놀과 포름알데하이드와의 축합물(예: 페놀 노볼락 및 크레솔 노볼락)이 포함된다. 당해 타입의 에폭시 수지의 예가 미국 특허 제3,018,262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예로는 1,4-부탄디올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예: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의 디- 또는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2,2-비스(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프로판과 같은 사이클로지방족 폴리올의 디- 또는 폴리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다른 예는 크레실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은 일관능성 수지이다.
다른 부류의 에폭시 화합물로는 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헥사하이드로프탈산과 같은 다가 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폴리(베타-메틸글리시딜)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추가의 부류의 에폭시 화합물은 N,N-디글리시딜 아닐린, N,N-디글리시딜 톨루이딘, N,N,N',N'-테트라글리시딜 비스(4-아미노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N,N'-디글리시딜 에틸 우레아, N,N'-디글리시딜-5,5-디메틸히단토인, 및 N,N'-디글리시딜-5-이소프로필히단토인과 같은, 아민, 아미드 및 헤테로사이클릭 질소 염기의 N-글리시딜 유도체이다.
또 다른 에폭시-함유 재료는 글리시돌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예: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예는 스티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1:1), 메틸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1:1)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62.5:24:13.5)이다.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에폭시 화합물로는 옥타데실렌 옥사이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D.E.R.* 331, D.E.R.* 332 및 D.E.R.* 330(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 비닐사이클로헥센 디옥사이드;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비스(2,3-에폭시사이클로펜틸)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개질된 지방족 에폭시; 디펜텐 디옥사이드; 에폭사이드화 폴리부타디엔; 에폭시 관능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수지; 난연성 에폭시 수지(예: 브롬화 비스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상품명 D.E.R.* 560하에 입수 가능함,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 페놀-포름알데하이드 노볼락의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예: 상품명 D.E.N.* 431 및 D.E.N.* 438하에 입수 가능함,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 및 레소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다우 케미칼 컴파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품명 D.E.R.* 및 D.E.N.* 하에 시판되는 다른 에폭시 수지들도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와 비스페놀 A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에폭시 수지들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5,112,932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폭사이드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에폭시 말단화된 폴리옥사졸리돈-함유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기재된 폴리에폭사이드로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일반적으로, 비스페놀 A라고 일컬어짐)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일반적으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라고 일컬어짐)의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4,4'-메틸렌 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및 이의 이성체들, MDI의 보다 높은 관능성 동족체들(통상적으로, "중합체성 MDI"라고 일컬어짐),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m-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에폭시 수지들이 예컨대 미국 특허 제7,163,973호, 제6,887,574호, 제6,632,893호, 제6,242,083호, 제7,037,958호, 제6,572,971호, 제6,153,719호 및 제5,405,688호, PCT 공보 WO 제2006/052727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293172호 및 제20050171237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이미다졸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유용한 이미다졸 화합물로는 분자당 하나의 이미다졸 환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메틸-4-에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이소프로필이미다졸, 2-페닐-4-벤질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이소프로필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에틸-4-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운데실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메틸-이미다졸륨-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2-페닐이미다졸륨-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1-아미노에틸-2-메틸이미다졸, 2-페닐-4,5-디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벤질-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 및 앞서 언급된 하이드록시메틸-함유 이미다졸 화합물들(예: 2-페닐-4,5-디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및 2-페닐-4-벤질-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을 탈수시키고 이들을 포름알데하이드와 축합시켜서 얻은, 분자당 둘 이상의 이미다졸 환을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4,4'-메틸렌-비스-(2-에틸-5-메틸이미다졸) 등이 포함된다.
아민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유용한 아민 촉매로는 N-알킬모르폴린, N-알킬알칸올아민, N,N-디알킬사이클로헥실아민, 및 알킬 그룹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및 이들의 이성체 형태인 알킬아민, 및 헤테로사이클릭 아민이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적합한 아민으로는 디아자비사이클로운데센(DBU), 디아자비사이클로옥텐,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모르폴린 및 피페리딘과 같은 친핵성 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및 벤질디메틸 아민과 같은 트리알킬아민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아민으로는 모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벤질디메틸 아민, m-크실렌디(디메틸아민), N,N'-디메틸피페라진, N-메틸피롤리딘, N-메틸 하이드록시피페리딘,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에탄,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부틸 아민, 트리메틸 아민, 디에틸데실 아민, 트리에틸렌 디아민, N-메틸 모르폴린, N,N,N',N'-테트라메틸 프로판 디아민, N-메틸 피페리딘, N,N'-디메틸-1,3-(4-피페리디노)프로판, 피리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3급 아민으로는 1,8-디아조비사이클로[5.4.0]운데크-7-엔, 1,8-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N-피롤리디노)피리딘, 트리에틸 아민 및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이 포함된다.
추가의 고화제(hardener)/경화제(curing agent)
앞서 설명한 에폭시-이미다졸 화합물 이외에도,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가교결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추가의 고화제 또는 경화제를 제공하여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의 고화제 및 경화제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 성분(고화제 또는 가교결합제라고도 일컬어짐)으로는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그룹과 반응할 수 있는 활성 그룹을 갖는 임의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로는 아민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질소-함유 화합물; 카복실산 말단 폴리에스테르, 무수물, 페놀 노볼락, 비스페놀-A 노볼락, DCPD-페놀 축합 생성물, 브롬화 페놀성 올리고머, 아미노-포름알데하이드 축합 생성물, 페놀, 비스페놀 A 및 크레솔 노볼락, 페놀성-말단화된 에폭시 수지와 같은 산소-함유 화합물; 폴리설파이드 및 폴리머캅탄과 같은 황-함유 화합물; 및 3급 아민, 루이스 산, 루이스 염기 및 둘 이상의 상기 경화제의 배합물과 같은 촉매성 경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실제로, 예를 들면 폴리아민, 디아미노디페닐설폰 및 이들의 이성체들, 아미노벤조에이트, 다양한 산 무수물, 페놀-노볼락 수지 및 크레솔-노볼락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 화합물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양태의 가교결합제들이 미국 특허 제6,613,839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1,500 내지 50,000 범위의 분자량(Mw) 및 15% 초과의 무수물 함량을 갖는 스티렌과 말레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에 유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들로는 경화 촉매가 포함된다. 경화 촉매의 예로는 이미다졸 유도체, 3급 아민, 및 유기 금속염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화 촉매의 다른 예로는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을 포함하는 아조 화합물, 및 3급-부틸 퍼벤조에이트, 3급-부틸 퍼옥토에이트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유기 퍼옥사이드;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아세토아세틱 퍼옥사이드,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사이클로헥산온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쿠밀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유리 라디칼 개시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몇몇 양태에서, 경화제로는 1급 및 2급 폴리아민 및 이들의 부가물, 무수물, 및 폴리아미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관능성 아민으로는 디에틸렌 트리아민(D.E.H.* 20,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 트리에틸렌 테트라민(D.E.H.* 24,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 및 테트라에틸렌 펜타민(D.E.H.* 26,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과 같은 지방족 아민 화합물, 및 상기 아민과 에폭시 수지와의 부가물, 희석물, 또는 다른 아민-반응성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메타페닐렌 디아민 및 디아민 디페닐 설폰과 같은 방향족 아민, 아미노 에틸 피페라진 및 폴리에틸렌 폴리아민과 같은 지방족 폴리아민, 및 메타페닐렌 디아민, 디아미노 디페닐 설폰 및 디에틸톨루엔 디아민과 같은 방향족 폴리아민도 사용될 수 있다.
무수물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나딕(nadic) 메틸 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도데세닐 석신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및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수물 경화제로는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6,613,83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스티렌과 말레산 무수물 및 다른 무수물과의 공중합체도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페놀 노볼락 고화제는 비페닐 또는 나프틸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페놀성 하이드록시 그룹은 화합물의 비페닐 또는 나프틸 잔기에 부착될 수 있다. 당해 타입의 고화제는 예컨대 EP 제915118A1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페닐 잔기를 함유하는 고화제는 페놀과 비스메톡시-메틸렌 비페닐을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경화제로는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모노에틸아민, 및 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이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로는 이미다졸, 이들의 염, 및 부가물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에폭시 경화제는 전형적으로 실온에서 고체이다. 적합한 이미다졸 경화제의 일례로는 2-페닐이미다졸이 포함되고, 다른 적합한 이미다졸 경화제들이 EP 제906927A1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경화제로는 방향족 아민, 지방족 아민, 무수물, 및 페놀이 포함된다.
몇몇 양태에서, 경화제는 아미노 그룹당 5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아미노 화합물, 예를 들면 방향족 아민 또는 구아니딘 유도체일 수 있다. 아미노 경화제의 예로는 4-클로로페닐-N,N-디메틸-우레아 및 3,4-디클로로페닐-N,N-디메틸-우레아가 포함된다.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유용한 경화제의 다른 예로는 3,3'- 및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 메틸렌디아닐린; 비스(4-아미노-3,5-디메틸페닐)-1,4-디이소프로필벤젠(상품명: EPON 1062, 제조원: Shell Chemical Co.); 및 비스(4-아미노페닐)-1,4-디이소프로필벤젠(상품명: EPON 1061, 제조원: Shell Chemical Co.)이 포함된다.
에폭시 화합물을 위한 티올 경화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5,374,668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티올"은 폴리티올 또는 폴리머캅탄 경화제도 포함한다. 대표적인 티올로는 메탄디티올, 프로판디티올, 사이클로헥산디티올, 2-머캅토에틸-2,3-디머캅토석시네이트, 2,3-디머캅토-1-프로판올(2-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1,2-디머캅토프로필 메틸 에테르, 비스(2-머캅토에틸)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베타-티오프로피오네이트), 프로폭실화 알칸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의 트리스-머캅탄 유도체,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폴리(베타-티오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티올; 지방족 티올의 할로겐-치환된 유도체; 디-, 트리스- 또는 테트라-머캅토벤젠, 비스-, 트리스- 또는 테트라-(머캅토알킬)벤젠, 디머캅토비페닐, 톨루엔디티올 및 나프탈렌디티올과 같은 방향족 티올; 방향족 티올의 할로겐-치환된 유도체; 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알콕시-4,6-디티올-sym-트리아진, 아릴옥시-4,6-디티올-sym-트리아진 및 1,3,5-트리스(3-머캅토프로필) 이소시아누레이트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환-함유 티올; 헤테로사이클릭 환-함유 티올의 할로겐-치환된 유도체; 둘 이상의 머캅토 그룹을 갖고 머캅토 그룹 이외에도 황 원자를 함유하는 티올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 트리스- 또는 테트라(머캅토알킬티오)벤젠, 비스-, 트리스- 또는 테트라(머캅토알킬티오)알칸, 비스(머캅토알킬) 디설파이드, 하이드록시알킬설파이드 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알킬설파이드 비스(머캅토아세테이트), 머캅토에틸 에테르 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디티안-2,5-디올비스(머캅토아세테이트), 티오디글리콜산 비스(머캅토알킬 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 비스(2-머캅토알킬 에스테르), 4,4-티오부티르산 비스(2-머캅토알킬 에스테르), 3,4-티오펜디티올, 비스무트티올 및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이 포함된다.
상기 경화제는 아민, 3급 포스핀, 친핵성 음이온을 갖는 4급 암모늄염, 친핵성 음이온을 갖는 4급 포스포늄염, 이미다졸, 친핵성 음이온을 갖는 3급 아르세늄염, 및 친핵성 음이온을 갖는 3급 설포늄염과 같은 친핵성 물질일 수도 있다.
에폭시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부가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폴리아민도 경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만니히(Mannich) 염기들도 사용될 수 있다. 아민 그룹이 방향족 환에 직접 부착된 방향족 아민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서 경화제로서 유용한 친핵성 음이온을 갖는 4급 암모늄염으로는 테트라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프로필 암모늄 아세테이트, 헥실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벤질 트리메틸 암모늄 시아나이드, 세틸 트리에틸 암모늄 아지드, N,N-디메틸피롤리디늄 시아네이트, N-메틸피리디늄 페놀레이트, N-메틸-o-클로로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메틸 비올로겐 디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광개시제로는 특정 파장 또는 특정 범위의 파장의 전자기 방사선에 노출될 때 분해되어 중합 반응(예: 에폭사이드 그룹과 하이드록실 그룹과의 중합 반응)을 촉매할 수 있는 양이온성 성분을 형성하는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당해 양이온성 성분은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된 다른 에폭사이드-반응성 성분들(예: 다른 하이드록실 그룹, 아민 그룹, 페놀성 그룹, 머캅탄 그룹, 무수물 그룹, 카복실산 그룹 등)과 에폭사이드 그룹과의 반응도 촉매할 수 있다. 양이온성 광개시제의 예로는 디아릴요오도늄염 및 트리아릴설포늄염이 포함된다. 예컨대, 디아릴요오도늄염 타입의 광개시제는 시바-가이기(Ciba-Geigy)로부터 상품명 IRGACURE 250하에 시판되고 있다. 트리아릴설포늄-타입 광개시제는 다우 케미칼 컴파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CYRACURE 6992로서 시판되고 있다. 양이온성 광개시제는 촉매적 유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화성 조성물의 약 10중량% 이하를 구성할 수 있다.
난연성 첨가제
본원에 기술된 수지 조성물은 브롬화 및 비-브롬화 난연제를 함유하는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브롬화 첨가제의 특정 예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TBBA) 및 이로부터 유도된 재료인 TBBA-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 또는 TBBA의 TBBA-디글리시딜 에테르와의 반응 생성물, 및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와 TBBA와의 반응 생성물이 포함된다.
비-브롬화 난연제로는 DOP(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10-옥사이드)로부터 유도된 각종 재료들, 예를 들면 DOP-하이드로퀴논(10-(2',5'-디하이드록시페닐)-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10-옥사이드), 노볼락의 글리시딜 에테르 유도체와 DOP의 축합 생성물, 및 알루미늄 삼수화물 및 알루미늄 포스피나이트와 같은 무기 난연제가 포함된다.
임의의 첨가제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및 열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통상의 첨가제 및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 및 충전제로는, 예를 들면 기타의 난연제, 붕산, 실리카, 유리, 활석, 금속 분말, 이산화티탄, 습윤제, 안료, 착색제, 탈형제, 커플링제, 이온 스캐빈저, UV 안정제, 유동화제, 강인화제(toughening agent) 및 점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 및 충전제로는 흄드 실리카, 유리 비드와 같은 응집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올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성 수지, 흑연, 이황화몰리브덴, 연마성 안료, 점도 감소제, 질화붕소, 운모, 핵제 및 안정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충전제 및 개질제를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기 전에 예열시켜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이들 임의의 첨가제는 경화 전 및/또는 후에 상기 조성물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물과 목적 반응 생성물의 제조시 주의해야 한다.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안정제, 기타의 유기 또는 무기 첨가제, 안료, 습윤제, 유동 조절제, UV광 차단제 및 형광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통상적 타입의 다른 첨가제들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몇몇 양태에서 0 내지 5중량%, 및 다른 양태에서 3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의 예가 미국 특허 제5,066,735호 및 PCT US 제2005/017954호에도 기술되어 있다.
경화성 조성물
경화성 조성물은 상술된 바와 같은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상술된 것들과 같은 에폭시 수지와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및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추가의 고화제, 첨가제, 촉매, 및 다른 임의의 성분들과 함께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에폭시-이미다졸 화합물을 촉매 없이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의 비율은 제조하고자 하는 경화성 조성물 또는 경화된 조성물의 목적하는 특성들, 조성물의 목적하는 경화 반응, 및 조성물의 목적하는 저장 안정성(목적하는 저장 수명)에 따라 어느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의 형성방법은 에폭시 수지 또는 전중합체 조성물의 형성 단계,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의 혼합 단계, 추가의 고화제 또는 촉매의 혼합 단계, 난연제의 혼합 단계, 및 첨가제들의 혼합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에폭시 수지는 경화성 조성물의 0.1 내지 99중량%의 양으로 경화성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에폭시 조성물은 경화성 조성물의 5 내지 80중량% 범위, 다른 양태에서는 15 내지 60중량% 범위, 또 다른 양태에서는 25 내지 40중량%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에폭시 조성물은 경화성 조성물의 30 내지 99중량% 범위, 다른 양태에서는 50 내지 99중량% 범위, 다른 양태에서는 60 내지 95중량% 범위, 또 다른 양태에서는 70 내지 90중량%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98용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은 65 내지 95용적%의 에폭시 수지, 다른 양태에서는 70 내지 90용적%의 에폭시 수지, 다른 양태에서는 30 내지 65용적%의 에폭시 수지, 또 다른 양태에서는 40 내지 60용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에 따라 형성되는 에폭시-이미다졸 부가물은 경화성 조성물 중에 0.01중량%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에폭시-이미다졸 부가물은 0.1중량% 내지 55중량% 범위, 다른 양태에서는 0.5중량% 내지 50중량% 범위, 또 다른 양태에서는 1 내지 45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촉매는 경화성 조성물 중에 0.01중량% 내지 10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촉매는 0.1중량% 내지 8중량% 범위, 다른 양태에서는 0.5중량% 내지 6중량% 범위, 또 다른 양태에서는 1 내지 4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부류의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은 30 내지 99중량%의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중량%의 아민 촉매, 및 1 내지 40중량%의 에폭시-이미다졸 부가물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중량%는 아민 촉매, 에폭시-이미다졸 부가물 및 에폭시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몇몇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에폭시 조성물에 추가의 고화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추가의 고화제 및 추가의 고화제의 양을 선택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변수에는,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의 특성들, 경화된 조성물의 목적하는 특성들(가요성, 전기적 특성 등), 목적하는 경화 속도, 및 고화제 분자당 반응성 그룹의 수(예: 아민 중의 활성 수소의 수)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의 고화제의 양은 몇몇 양태에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당 0.1 내지 150중량부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추가의 고화제는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당 1 내지 95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양태에서 고화제는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당 2.5 내지 90중량부 범위, 또 다른 양태에서는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당 5 내지 85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또한 몇몇 양태에서 임의의 첨가제들을 약 0.1 내지 50용적%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의 첨가제들을 약 0.1 내지 약 5용적%,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약 0.5 내지 약 2.5용적%로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상술된 경화성 조성물을 기판 위에 배치하고 경화시킬 수 있다. 기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철, 스틸, 구리, 아연, 주석, 알루미늄, 알루마이트 등과 같은 금속, 이러한 금속들의 합금, 및 이러한 금속으로 도금된 시트, 및 이러한 금속들의 적층 시트가 포함될 수 있다. 기판으로는 중합체, 유리, 및 각종 섬유, 예를 들면 탄소/흑연; 붕소; 석영; 산화알루미늄; 유리(예: E 유리, S 유리, S-2 GLASS® 또는 C 유리), 및 탄화규소 또는 티타늄 함유 탄화규소 섬유도 포함될 수 있다. 시판중인 섬유로는 유기 섬유(예: KEVLAR, 제조원: DuPont), 산화알루미늄-함유 섬유(예: NEXTEL 섬유, 제조원: 3M), 탄화규소 섬유(예: NICALON, 제조원: Nippon Carbon), 및 티타늄 함유 탄화규소 섬유(예: TYRRANO, 제조원: Ube)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한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은 회로 기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경화성 또는 경화된 조성물의 기판에 대한 접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기판을 상용화제로 피복할 수 있다.
복합체(composite) 및 피복 구조물
몇몇 양태에서, 복합체는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복합체는 경화성 조성물을 기판 또는 보강용 재료에 함침 또는 피복에 의해 도포하고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술된 경화성 조성물은 분말, 슬러리 또는 액체의 형태일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후 이것을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전 또는 후 또는 경화시키는 동안 상술된 기판들 위에, 내에 또는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체는 기판을 경화성 조성물로 피복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피복은 분무 피복, 커튼 유동 피복, 롤 코터 또는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한 피복, 브러시 피복, 및 침지 또는 함침 피복을 포함하는 각종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각종 양태에서, 기판은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은 2개 합금의 복합체, 다층 중합체성 용품, 및 금속-피복 중합체 등일 수 있다. 다른 각종 양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층이 기판 위 또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기판층과 경화성 조성물층의 각종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타의 다층 복합체도 예상한다.
몇몇 양태에서, 예를 들면 온도-민감성 기판의 과열을 막기 위해서 경화성 조성물의 가열을 국지화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가열은 기판과 경화성 조성물의 가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는 수지 조성물, 고화제 및 사용되는 경우 촉매에 따라, 약 30℃ 이상 및 약 250℃ 이하의 온도를 수분 내지 수시간의 기간 동안 필요로 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경화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수분 내지 수시간의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다. 후-처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처리는 통상적으로 약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몇몇 양태에서, 경화는 발열을 막기 위해 스테이징(staging)될 수 있다. 스테이징는, 예를 들면 경화를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수행한 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수행함을 포함한다. 스테이징된 경화는 둘 이상의 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몇몇 양태에서 약 180℃ 이하의 온도, 다른 양태에서는 약 15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경화 온도는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또는 180℃의 하한치로부터 250℃, 240℃, 230℃, 220℃, 210℃, 200℃, 190℃, 180℃, 170℃ 또는 160℃의 상한치까지의 범위일 수 있고, 당해 범위는 임의의 하한치로부터 임의의 상한치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 및 복합체는 다른 분야들 중에서도 접착제, 구조적 및 전기적 적층물, 피복물, 주조물, 항공 산업용 구조물, 및 전자 산업용 회로 기판 등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은 전기적 바니쉬, 밀봉제, 반도체, 일반적 성형 분말, 필라멘트 권취된 파이프, 저장 탱크, 펌프용 라이너, 및 내부식성 피복물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선택된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경화성 조성물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432,541호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수지 피복된 호일의 형성에 유용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에폭시계 조성물을 함유하는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각종 공정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라멘트 권취, 용매 프리프레깅(prepregging) 및 인발성형(pultrusion)은 경화되지 않은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공정 기술들이다. 추가로, 다발(bundle) 형태의 섬유를 경화되지 않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피복하고 필라멘트 권취로 처리하고 경화시켜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복합체는 접착제, 구조적 및 전기적 적층물, 피복물, 주조물(casting), 항공 산업용 구조물, 및 전자 산업용 회로 기판으로서, 및 스키, 스키 폴, 낚시대 및 기타의 야외 스포츠 장비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에폭시 조성물은 전기적 광택제, 밀봉제, 반도체, 일반적 성형 분말, 필라멘트 와인딩된 파이프, 저장 탱크, 펌프용 라이너, 및 내부식성 피복물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양태들 및 이의 대표적인 이점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고체 촉매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 방법은 먼저 이미다졸, 사용되는 경우, 아민, 및 일부의 에폭시 수지(예: 지방족 에폭시, 또는 XZ 92447.00, D.E.R.* 732, 또는 D.E.R.* 736,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를 주위 온도에서 반응기에 첨가하여 균질 혼합물을 수득한다. 고체 이미다졸과의 액체 혼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액체 아민 및 액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이 혼합물을 반응시켜서 혼합물이 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되게 한 후, 액체 에폭시 수지(예: D.E.R.* 330, D.E.R.* 383, 또는 D.E.R.* 331,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igan)를 분할 첨가하여 강한 발열 반응으로 인한 열 발생을 제어한다. 온도를 140℃ 이하로 제어하여 에폭시-에폭시 단독중합보다 에폭시와 이미다졸 간의 효율적인 반응을 제공하고 임의의 반응물들의 분해 온도 미만으로 유지한다.
실시예 1
질소 퍼징된 1ℓ 반응기를 사용하여 2-메틸이미다졸 및 에폭시 수지 혼합물을 반응시키는데, 이때 반응기는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용기 벽 근처에 위치된 열전쌍을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에서 측정한다. 168g의 2-메틸이미다졸과 65g의 XZ 92447.00(다가 페놀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를 반응기에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기는 65℃로 가열되고, 이후 XZ 92447.00를 250㎖ 적하 깔대기를 사용하여 초당 0.5방울로 첨가한다. 약 92g의 XZ 92447.00를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은 약 91.6℃의 최대 온도로 발열된다. XZ 92447.00의 첨가를 초당 1방울의 속도로 계속한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약 88℃로 강하된 후, 15㎖의 XZ 92447.00를 반응기에 단번에 첨가한다. 반응기에 첨가된 XZ 92447.00의 총량은 약 113g이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12분간 교반하고, 이 시간 동안 온도가 88℃에서 80℃로 강하된다.
이어서, D.E.R. 330(액체 비스페놀-A계 에폭시 수지,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을 250㎖ 적하 깔대기를 사용하여 5초당 1방울의 속도로 첨가한다. 적하 속도는 D.E.R. 330의 점도로 인해 제한된다. 약 137g의 D.E.R. 330이 첨가된 후, D.E.R. 330을 약 50℃로 가열하여 적하 속도를 초당 약 2방울로 증가시킨다. 반응 혼합물은 가열된 D.E.R. 330의 첨가 동안 약 123℃의 최대 온도에 도달된다. 총 약 311g의 D.E.R. 330를 반응기에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기를 냉각시키고, 얻어진 생성물을 적갈색 고체로서 회수한다.
회수된 촉매의 특성들을 측정한다. 생성된 고체의 원뿔 및 평판 점도(150℃)는 약 2Pa·s(EIC Visco-Plot VPO로 측정, 원뿔 및 평판, C-원뿔)이다. 메틀러(Mettler) FP80 + 메틀러 FP83 복합체를 사용하여 25℃로부터 2℃/분의 가열 속도로 측정한 고체 촉매의 연화점은 94.5℃이다. 또한,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한, 화합물 중의 유리된 2-메틸이미다졸의 양은 약 5.1중량%이다.
실시예 2
질소 퍼징된 1ℓ 반응기를 사용하여 2-메틸이미다졸 및 에폭시 수지 혼합물을 반응시키는데, 이때 반응기는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용기 벽 근처에 위치된 열전쌍을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에서 측정한다. 311.8g의 D.E.R. 732P(장쇄 폴리글리콜 디에폭사이드 액체 수지, 제조원: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반응기를 40℃의 온도로 가열한다. 2-메틸이미다졸을 약 15g의 분량으로 첨가한다. 약 87g의 2-메틸이미다졸이 첨가된 후에는 발열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후 반응기는 50℃의 온도로 가열된다. 추가로 27g의 2-메틸이미다졸을 반응기에 첨가한다(반응 혼합물은 탁한 슬러리인 것으로 관찰된다). 이어서, 반응기는 65℃로 가열되고, 추가로 25g의 2-메틸이미다졸을 서서히 첨가한다. 약간의 발열이 나타나며, 이후 반응기는 80℃의 온도로 가열된다. 혼합물이 갈색을 띠는 용액상 혼합물로 변하고, 86℃의 최대 온도로 발열된다. 2-메틸이미다졸은 또한 당해 반응 온도에서 승화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어서, 나머지 2-메틸이미다졸을 서서히 첨가하여 이미다졸의 총 공급량이 약 168.4g이 되도록 한다.
총 약 326g의 D.E.R. 330을 5회 분취량(주어진 순서대로 45g, 60g, 71g, 70g, 30g 및 약 50g)으로 첨가한다. 각각의 분취 후, 반응 온도를 모니터하고 150℃ 미만의 온도로 제어한다. 처음 분취량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은 98℃로 발열된다. 2차 분취 후, 혼합물은 125℃로 발열되고, 이어서 수조를 사용하여 115℃ 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이 시점에서 반응 혼합물은 거의 투명하다(더이상 탁한 슬러리가 아님). 반응 혼합물은 71g의 분취 후 145℃의 온도로 발열되고, 70g의 분취 후 약 148℃의 온도로 발열된다. 50g의 분취 후, 136℃의 발열이 측정되고, 혼합물 점도가 증가한다. 이어서, 반응기를 냉각시키고, 적갈색 고체를 회수한다.
회수된 촉매의 특성들을 측정한다. 생성된 고체의 원뿔 및 평판 점도(150℃)는 약 1.3Pa·s이다. 메틀러 FP80 + 메틀러 FP83 복합체를 사용하여 25℃로부터 2℃/분의 가열 속도로 측정한 고체 촉매의 연화점은 82℃이다.
실시예 3
질소 퍼징된 1ℓ 반응기를 사용하여 2-메틸이미다졸 및 에폭시 수지 혼합물을 반응시키는데, 이때 반응기는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용기 벽 근처에 위치된 열전쌍을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에서 측정한다. 148.2g의 2-메틸이미다졸 및 21.9g의 XZ 92447.00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반응기를 75℃의 온도로 가열한다. 총 약 277.4g의 XZ 92447.00이 첨가될 때까지 약 1.5시간에 걸쳐 추가의 XZ 92447.00를 적가한다. 추가로 58g, 50.6g, 및 20.6g의 2-메틸이미다졸을, 처음은 XZ 92447.00 적가 후 약 1시간 후에, 두 번째는 XZ 92447.00 적가 후 약 1.45시간 후에, 세 번째는 XZ 92447.00 적가 후 약 1.5시간 후에 반응기에 첨가한다. 추가의 XZ 92447.00를 10초의 사이 간격을 두고 2분 간격으로 두 번 연속적 유동으로 첨가한다. 반응기는 약 97℃의 최대 온도에 도달하고, XZ 92447.00의 첨가 완료 후 시료(시료 1)를 수집한다. 반응기에 첨가된 XZ92447.00 및 2-메틸이미다졸의 총량은 각각 약 177.8g 및 277.4g이다.
이어서, D.E.R. 330을 작은 분취량으로 약 3.25시간에 걸쳐 첨가하는데, 이때 분취량은 반응기 온도를 약 130℃ 미만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충분히 작은 분량으로 첨가한다. 총 약 520g의 D.E.R. 330이 첨가되는데, 약 250g의 D.E.R. 330(반응기 시료 2), 380g의 D.E.R. 330(반응기 시료 3), 416g의 D.E.R. 330(반응기 시료 4), 444g의 D.E.R. 330(반응기 시료 5), 463g의 D.E.R. 330(반응기 시료 6), 467g의 D.E.R. 330(반응기 시료 7), 및 471g의 D.E.R. 330(반응기 시료 8)을 첨가한 후 반응기 시료들을 수집한다. D.E.R. 330의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을 완료하고,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비운다.
회수된 촉매 시료의 특성들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다. 시료 1 및 2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니기 때문에 표 1에 기재된 특성 결과에서 연화점 결과는 생략된다.
반응기 시료 번호 연화점(℃) 150℃에서의 원뿔 및 평판 점도(Pa·s)
1 N/A --
2 N/A 0.12
3 72 0.48
4 77.5 0.74
5 81.7 1.08
6 86.1 1.28
7 83 1.32
8 87.8 1.36
최종 생성물 82.9 --
실시예 4
질소 퍼징된 1ℓ 반응기를 사용하여 2-메틸이미다졸(2-MI) 및 에폭시 수지 혼합물을 반응시키는데, 이때 반응기는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용기 벽 근처에 위치된 열전쌍을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에서 측정한다. 250g의 2-메틸이미다졸, 20g의 모노에탄올아민, 및 220g의 XZ 92447.00을 반응기에 첨가하고, 반응기는 30℃의 온도로 가열된다. 반응 혼합물은 발열되어 약 94℃의 온도로 상승하며, 이 시점에서 510g의 D.E.R. 330을 반응기에 분할 첨가하는데, 각각의 분량은 반응기 온도를 135℃ 미만으로 유지시키면서 발열 및 안정화되게 한다. 약 137g의 D.E.R. 330을 첨가한 후, 제1 시료(반응기 시료 1)를 수집한다. D.E.R. 330의 첨가를 완료한 후 제2 시료(반응기 시료 2)를 수집한다.
이어서, 추가로 50g의 D.E.R. 330을 혼합물에 첨가하여 추가의 에폭시 수지가 생성되는 촉매에 미치는 영향(분자량, 점도, 유리된 2-메틸이미다졸 등)을 측정한다. 추가로 10g 분량을 반응 혼합물에 5회 첨가하고, 각각의 발열이 완결된 후 반응기 시료들(반응기 시료 3 내지 7)을 수집한다. 이어서, 반응기를 냉각시키고, 생성된 촉매를 회수한다(최종 생성물). 수집된 시료 및 최종 촉매의 특성들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반응기
시료
Tg
개시,
1차 가열
(℃)
Tg
중간점,
1차 가열
(℃)
Tg
변곡점,
1차 가열
(℃)
150℃에서의 원뿔 및
평판 점도
(Pa·s)
유리된
2-MI
(중량%)
Mn Mw Mz MWD
1 -- -- -- -- 5.0 1540 2670 4110 1.74
2 10.13 26.2 36.18 1.6 4.1 1540 2690 4050 1.74
3 20.11 30.85 36.69 1.6 3.6 1580 2720 4040 1.72
4 9.67 26.25 22.27 2 3.1 1600 2760 4080 1.73
5 15.34 30.77 38.72 2.16 2.8 1600 2760 4060 1.73
6 19.34 34.25 41.99 2.32 2.4 1590 2780 4080 1.75
7 23.19 36.9 42.86 2.48 2.0 1650 2860 4200 1.73
최종
생성물
-- -- -- 2.64 2.0 1600 2780 4080 1.74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형성된 촉매를,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산업에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촉매인 EPI-CURE P101(에폭시 수지와 이미다졸과의 반응 생성물, 제조원: Hexion)과 비교한다. 제조된 분말을 유동화 공급 채임버를 갖는 정전기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175℃로 예열된 그릿-블라스팅된(grit-blasting) 강 패널 위에 도포한 후, 170℃에서 3분간 후-경화한다. 도포된 피복물은 약 350㎛의 두께를 갖는다.
피복물의 접착 성능을 파이프 피복 산업에서의 표준 시험 방법인 내열수성 및 음극 박리 저항성에 의해 특성화한다. 열수 시험을 위해, 피복된 강 패널을 75℃의 수조에 48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피복물을 레버링(levering) 동작으로 긁어내거나 벗겨내려는 시도를 한다. 시험 결과를 1 내지 5 등급(1은 최상, 5는 최하)으로 표시한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조성물 비교예 실시예 5
D.E.R. 664 UE 31.52 31.67
D.E.R. 6615 31.52 31.67
D.E.H. 90 7.4 7.47
EPI-CURE P101 3.48 0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촉매 0 3.11
MODAFLOW 1 1
BaSO4, Blanc Fixe F 20 20
TiO2 5 5
160℃에서의 겔화 시간, 초 26 32
충격(in*lb) 156/>160 >160/>160
내열수성(75℃, 48시간) 1 내지 2(15% 박리) 1(10% 박리)
-30℃에서의 가요성(굴곡 시험) 합격 합격
실시예 2의 촉매를 갖는 실시예 5는 EPI-CURE P101을 사용한 비교예에 비해 보다 우수한 내열수성/내충격성을 나타내거나 적어도 그와 대등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용매 첨가 없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매-무함유 촉매는 여러 분야 중에서도 파이프 피복물, 감열 기판 피복물, 밀봉물, 전기적 적층물, 외부 피복물, 절연체 및 복합체를 위한 분말 피복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본원에 기술된 양태들은 용매-무함유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무함유 촉매는 용매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유사한 촉매에 비해서 개선된 피복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용매-무함유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로부터 형성된 피복물은 용매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유사한 촉매로부터 제조된 조성물에 비해서 개선된 내열수성, 음극 박리 저항성, 접착성 및 저온 경화성 중의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원은 제한된 수의 양태들을 포함하지만 당업자들은 본원의 이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다른 양태들이 고안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1)

  1. 이미다졸, 아민,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용매 첨가 없이 접촉시켜서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고체 에폭시-이미다졸 촉매의 형성 방법.
KR1020157037037A 2008-04-14 2009-04-07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KR20160007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83008P 2008-04-14 2008-04-14
US61/044,830 2008-04-14
PCT/US2009/039771 WO2009129088A1 (en) 2008-04-14 2009-04-07 Epoxy-imidazole catalysts useful for powder coating applica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166A Division KR101582881B1 (ko) 2008-04-14 2009-04-07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668A true KR20160007668A (ko) 2016-01-20

Family

ID=408234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7037A KR20160007668A (ko) 2008-04-14 2009-04-07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KR1020107025166A KR101582881B1 (ko) 2008-04-14 2009-04-07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166A KR101582881B1 (ko) 2008-04-14 2009-04-07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028602A1 (ko)
EP (1) EP2268697B1 (ko)
JP (2) JP2011516714A (ko)
KR (2) KR20160007668A (ko)
CN (1) CN101998970B (ko)
BR (1) BRPI0907275A2 (ko)
TW (1) TWI481636B (ko)
WO (1) WO2009129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0212B2 (ja) 2007-10-31 2014-02-19 アクゾ ノーベル コーティング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 ヴィ スチール用耐薄チップパウダートップコート
MX2010008104A (es) 2008-01-25 2010-09-09 Akzo Nobel Coatings Int Bv Composiciones de revestimiento en polvo que tienen una base que sustancialmente no conntiene zinc.
PL2565240T3 (pl) 2009-04-03 2015-11-30 Akzo Nobel Coatings Int Bv Powłoka proszkowa odporna na korozję i odpryskiwanie
EP2459657B1 (en) 2009-07-29 2019-09-04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Powder coating compositions capable of having a substantially non-zinc containing primer
RU2479601C1 (ru) * 2012-03-02 2013-04-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иа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ФГУП "ВИАМ") Эпокс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холодного отверждения
CN103214796B (zh) * 2013-04-28 2014-04-09 纽宝力精化(广州)有限公司 环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其所制备的覆铜板
CN103965435B (zh) * 2014-04-09 2016-07-06 天津翔盛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粉末涂料用咪唑改性环氧胺加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413444B2 (ja) * 2014-07-31 2018-10-31 味の素株式会社 樹脂シート、積層シート、積層板及び半導体装置
US9617373B2 (en) 2015-02-13 2017-04-11 LCY Chemical Corp. Curable resin composition,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741652B1 (ko) * 2015-05-08 2017-06-01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체 도료용 잠재성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JP6637253B2 (ja) * 2015-05-12 2020-01-29 株式会社Adek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DE102016203867A1 (de) * 2016-03-09 2017-09-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Fester Isolationswerkstoff, Verwendung dazu und damit hergestelltes Isolationssystem
KR101958520B1 (ko) 2016-10-10 2019-03-14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체 도료 조성물
EP3560979B1 (en) * 2018-04-26 2021-06-23 SHPP Global Technologies B.V. Curing agent compositions for thermosetting epoxy resin compositions
EP3560978A1 (en) * 2018-04-26 2019-10-3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heat thermoset epoxy compositions
US20190330411A1 (en) * 2018-04-26 2019-10-3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urable epoxy compositions
EP3560977B1 (en) * 2018-04-26 2022-06-01 SHPP Global Technologies B.V. Curable epoxy compositions
US11820915B2 (en) 2018-12-14 2023-11-21 Swimc Llc Fusion bonded epoxy rebar powder coating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395A (en) 1954-01-05 1956-06-12 Union Carbide & Carbon Corp Diepoxides
US2890194A (en) 1956-05-24 1959-06-09 Union Carbide Corp Compositions of epoxides and polycarboxylic acid compounds
US3018262A (en) 1957-05-01 1962-01-23 Shell Oil Co Curing polyepoxides with certain metal salts of inorganic acids
US4066625A (en) 1967-05-02 1978-01-03 Amicon Corporation Unitary curable resin compositions
FR1566468A (ko) 1968-03-04 1969-05-09
US5066735A (en) 1987-11-16 1991-11-19 The Dow Chemical Company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difunctional epoxy resin, a polyfunctional epoxy resin, a difunctional phenol and a polyfunctional phenol
CN1046741A (zh) 1988-04-30 1990-11-07 三井东圧化学株式会社 以多硫化物为基础的树脂,含有该树脂的塑料透镜以及制造该种透镜的方法
JPH03115331A (ja) * 1989-09-28 1991-05-16 Nippon Oil Co Ltd プリプレグ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3275714A (ja) * 1990-03-23 1991-12-06 Nippon Steel Chem Co Ltd 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エポキシ樹脂組成物
US5135993A (en) 1990-09-11 1992-08-04 Dow Corning Corporation High modulus silicones as toughening agents for epoxy resins
KR930010077A (ko) * 1991-11-22 1993-06-22 알베르투스 빌헬무스 요 아네스 째스트 라텐 에폭시 이미다졸 첨가물 및 에폭시 수지 조성물
DE4142575A1 (de) * 1991-12-21 1993-06-24 Basf Ag Poly(meth)acrylimide
GB9411367D0 (en) 1994-06-07 1994-07-27 Ici Composites Inc Curable Composites
TW448197B (en) * 1996-07-22 2001-08-01 Dow Chemical Co A process to make a curable composition, a curable composition, a process to cure the composition, and a catalyst and/or curing agent product for epoxy resins
US6613839B1 (en) * 1997-01-21 2003-09-02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epoxide, catalyst/cure inhibitor complex and anhydride
ES2210701T3 (es) * 1997-02-07 2004-07-01 Vantico Ag Pintura en polvo.
EP0906927B1 (en) 1997-10-02 2000-12-20 Hexcel Corporation Epoxy resin curing agents
US6703070B1 (en) * 1997-11-04 2004-03-09 Morton International, Inc. One-component, low temperature curable coating powder
JPH11140277A (ja) 1997-11-10 1999-05-25 Sumitomo Bakelite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US6153719A (en) 1998-02-04 2000-11-28 Lord Corporation Thiol-cured epoxy composition
CA2269378C (en) * 1998-04-17 2008-04-01 Ajinomoto Co., Inc. Curable resin composition
GB9827367D0 (en) * 1998-12-11 1999-02-03 Dow Deutschland Inc Adhesive resin composition
US6632893B2 (en) * 1999-05-28 2003-10-14 Henkel Loctite Corporation Composition of epoxy resin, cyanate ester, imidazole and polysulfide tougheners
US6572971B2 (en) 2001-02-26 2003-06-03 Ashland Chemical Structural modified epoxy adhesive compositions
US6632860B1 (en) 2001-08-24 2003-10-14 Texas Research International, Inc. Coating with primer and topcoat both containing polysulfide, epoxy resin and rubber toughener
MXPA03002222A (es) * 2002-03-28 2004-10-29 Rohm & Haas Polvos de recubrimiento, metodos para su elaboracion y articulos formados a partir de los mismos.
GB0212062D0 (en) 2002-05-24 2002-07-03 Vantico Ag Jetable compositions
US7163973B2 (en) 2002-08-08 2007-01-16 Henkel Corporation Composition of bulk filler and epoxy-clay nanocomposite
WO2004060956A1 (en) * 2002-12-17 2004-07-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mine-epoxy autocatalytic polymers and polyurethane products made therefrom
US6887574B2 (en) 2003-06-06 2005-05-0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urable flame retardant epoxy compositions
JP3837134B2 (ja) * 2004-01-26 2006-10-25 富士化成工業株式会社 一成分系加熱硬化性エポキシド組成物
JP5248860B2 (ja) 2004-11-10 2013-07-3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両親媒性ブロックコポリマーにより靭性を付与したエポキシ樹脂及びそれらから製造された電気用積層板
US8048819B2 (en) 2005-06-23 2011-11-01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Cure catalyst,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8697A1 (en) 2011-01-05
CN101998970B (zh) 2013-12-18
KR20110007172A (ko) 2011-01-21
EP2268697B1 (en) 2014-01-29
KR101582881B1 (ko) 2016-01-15
US20110028602A1 (en) 2011-02-03
JP2014111773A (ja) 2014-06-19
WO2009129088A1 (en) 2009-10-22
TW201000510A (en) 2010-01-01
CN101998970A (zh) 2011-03-30
TWI481636B (zh) 2015-04-21
JP2011516714A (ja) 2011-05-26
JP5934176B2 (ja) 2016-06-15
BRPI0907275A2 (pt)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81B1 (ko) 분말 피복 분야에 유용한 에폭시-이미다졸 촉매
KR101571184B1 (ko) 복합재 제품을 위한 높은 Tg의 에폭시 시스템
TWI452057B (zh) 使用二氰二醯胺作為用於熱固性環氧樹脂之固化劑的無二甲基甲醯胺調配物
EP2147034B1 (en) Epoxy thermoset compositions comprising excess epoxy resi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5840948B2 (ja) エポキシ系組成物の反応発熱を低下させるための吸熱相転移を受ける充填剤の使用
US20100240816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socyanurates for use in electrical laminates
KR101593529B1 (ko) 비브롬화 난연성 에폭시 수지 중 금속 화합물
JP2010529229A (ja) 硬化制御改善のためのイソシアネート−エポキシ配合物
KR20100058521A (ko) 열경화된 완충재
JP2012514661A (ja) エポキシ樹脂及び分散プロセスのための金属安定剤
Reynolds et al. High T g epoxy systems for composit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