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321A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321A
KR20160007321A KR1020140124970A KR20140124970A KR20160007321A KR 20160007321 A KR20160007321 A KR 20160007321A KR 1020140124970 A KR1020140124970 A KR 1020140124970A KR 20140124970 A KR20140124970 A KR 20140124970A KR 20160007321 A KR20160007321 A KR 2016000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er
pulsator
tub
rib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365B1 (ko
Inventor
김승오
손영명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95,003 priority Critical patent/US9994986B2/en
Priority to CN201510683466.0A priority patent/CN105256505B/zh
Publication of KR2016000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와, 펄세이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를 연동시키거나 연동 해제시키도록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터(floater)를 포함하고, 펄세이터는 강성 보강을 위해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플로터는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보강 리브에 결합되어서, 단순한 구조로 모터의 구동력을 택일적으로 펄세이터에만 전달하거나 또는 펄세이터와 회전조에 함께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택일적으로 펄세이터에만 전달하거나, 펄세이터와 회전조에 함께 전달하는 클러치 장치를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생성함으로써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하는 펄세이터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세탁축과, 회전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세탁축이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탈수축을 구비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고 탈수시키는 가전 기기이다.
세탁기의 세탁 행정에서,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의 구동력이 세탁축을 통해 펄세이터에 전달되고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세탁 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세탁기의 탈수 행정에서,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의 구동력이 세탁축과 탈수축을 통해 펄세이터와 회전조에 함께 전달되어 펄세이터와 회전조가 함께 회전하고 세탁물을 탈수시킨다.
이를 위해 세탁기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택일적으로 펄세이터에만 전달하거나, 펄세이터와 회전조에 함께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별도의 액추에이터 없이 세탁수의 부력만을 이용하여 동력 절환이 가능한 클러치 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존의 펄세이터의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한 클러치 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된 부력 클러치 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를 연동시키거나 연동 해제시키도록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터(floater);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에 결합된다.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는 방사형(放射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펄세이터의 축결합부에서 상기 펄세이터의 테두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펄세이터의 테두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에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에지 리브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플로터의 내측면부와 외측면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 리브와, 외측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플로터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은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밀폐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각각 접촉하는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의 에어가 빠져나가도록 마련되는 에어 배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에 선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에 선접촉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와 분리되고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플로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회전조에 결합되는 구동 플랜지와, 상기 구동 플랜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수축을 갖는 플랜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구동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하강 시에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플로터의 저면에 마련되는 플로터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플로터 연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터 연동부는 상기 플로터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연동 티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 티쓰는 반경 방향에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 연동부는 상기 연동 티쓰가 삽입되는 연동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연동 티쓰를 상기 연동 슬롯으로 안내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연동 슬롯들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동 슬롯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연동 슬롯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물 빠짐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 연동부는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연동 티쓰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대응 티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를 연동시키거나 연동 해제시키도록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로터(floater);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로터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은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방사형(放射形)으로 형성되는 보강 리브와,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플로터의 내측면부와 외측면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 리브와, 외측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은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각각 밀착하는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의 에어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에어 배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장치;와,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검출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터브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회전조에 전달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마련되는 플로터(floater); 및 상기 입력부에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 또는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명령 입력되면 상기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된 터브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수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에 세탁기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상기 배수 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배출시킨 후에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세탁기의 동작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동작 정지 명령을 입력받은 후의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상기 배수 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전원 오프 명령 또는 동작 정지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터브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배출이 끝나면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 명령을 입력받은 후의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터브의 수위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력이 택일적으로 펄세이터만 전달되도록 하거나 펄세이터와 회전조에 함께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 장치는 액추에이터가 필요 없으며 단순히 세탁수의 부력만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와 원가가 절감되고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플로터는 펄세이터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마련되므로 펄세이터에 추가 형상을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펄세이터의 구조가 단순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플로터 수용공간은 플로터의 상승 시에 플로터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되고 펄세이터에는 플로터 수용공간의 에어가 빠져나가도록 에어 배출 구멍이 형성되므로 플로터가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터브 내에 위치하는 플로터가 의도치 않게 장기간 세탁수에 노출되어 물때나 물이끼 등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풀로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세탁기의 펄세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세탁기의 커플러와 플랜지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세탁 행정에서 플로터가 상승하여 플로터와 커플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탈수 행정에서 플로터가 하강하여 플로터와 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플로터와 펄세이터의 보강 리브의 선접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플로터에 의해 펄세이터의 플로터 수용공간이 밀폐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펄세이터를 도시한 저면 확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를 도시한 도면.
도 20의 도 1의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클러치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11)와, 터브(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20)와, 회전조(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수류를 생성하는 펄세이터(40)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와, 모터(13)의 구동력을 택일적으로 펄세이터(40)에만 전달하거나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에 함께 전달하는 클러치 장치(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10)에는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도록 도어(8)가 결합될 수 있다. 도어(8)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터브(11)는 본체(10)의 내부에 현가 장치(1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터브(1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11)의 상측에는 터브(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2)가 마련되고, 터브(11)의 아래에는 터브(11)의 세탁수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5)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 장치(2)는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관(3)과, 급수관(3)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장치(5)는 배수관(6)과, 배수관(6)을 개폐하는 배수 밸브(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조(20)는 원통 형상의 원통부(21)와, 원통부(21)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울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21)에는 터브(11)의 세탁수가 유입 및 유출할 수 있는 통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보울부(23)는 회전조(20)의 바닥을 형성하고, 후술할 세탁축(57) 및 탈수축(27)이 통과하도록 중공(24)을 갖는다.
모터(13)는 터브(11)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자(14)와, 고정자(14)와 상호 작용하여 정역 회전하는 회전자(16)를 포함한다. 회전자(16)는 고정자(14)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14)는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15)을 포함하고, 회전자(16)는 코일(14)과 상호 작용하는 마그넷(17)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16)의 중앙에는 세탁축(57)의 하단이 결합되어, 회전자(16)가 회전하면 세탁축(57)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세탁축(57)의 상단에는 세탁 수류를 생성하는 펄세이터(40)가 결합된다. 따라서, 세탁축(57)은 모터(13)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펄세이터(40)에 전달할 수 있다. 세탁축(57)은 베어링(28,29,도 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펄세이터(40)는 회전조(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펄세이터(40)는 세탁축(5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펄세이터(40)는 대략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펄세이터(40)의 중앙부에는 세탁축(57)이 결합되는 축결합부(41)가 형성된다. 축결합부(41)의 내측면에는 톱니 모양의 세레이션(42)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도록 세탁축(57)의 외측면에도 톱니 모양의 세레이션(58)이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40)의 상면(43)에는 펄세이터(40)의 회전 시에 세탁 수류를 생성하도록 방사형(放射形)으로 회전 날개(44)가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40)의 저면(45)에는 펄세이터(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46)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46)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세탁축(57)은 탈수축(27)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탈수축(27)은 중공을 갖고, 세탁축(57)이 탈수축(27)의 중공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세탁축(57)은 탈수축(27)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세탁축(57)과 탈수축(27)의 사이에는 베어링(55,56,도 2)이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 샤프트(26,도 2)는 탈수축(27)과, 구동 플랜지(31)를 포함한다. 탈수축(27)과 구동 플랜지(31)는 별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탈수축(27)과 구동 플랜지(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 플랜지(31)는 탈수축(27)이 고정 결합되는 허브부(32,도 3)와, 허브부3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조(20)의 보울부(23)에 고정 결합되는 암부(34,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34)는 회전조(20)의 보울부(23)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암부(34)는 6개 마련되었으나, 암부(3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플랜지 샤프트(26)는 회전조(20)를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회전조(20)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클러치 장치(60)는 모터(13)의 구동력이 택일적으로 펄세이터(40)에만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에 함께 전달되도록 한다. 클러치 장치(60)는 펄세이터(40)를 회전조(20)에 연동시키거나 연동 해제시키도록 펄세이터(40)와 플랜지 샤프트(26)의 사이에 마련되어 수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로터(61,floater)를 포함한다. 즉, 플로터(61)는 터브(11)에 세탁수가 찰 때 세탁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고, 터브(11)의 세탁수가 배수될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터브(11)의 세탁수의 수위가 하강하여 플로터(61)가 하강하면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가 연동될 수 있다. 반대로, 터브(11)의 세탁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플로터(61)가 상승하면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의 연동이 해제될 수 있다.
플로터(61)는 펄세이터(40)의 보강 리브(46)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펄세이터(40)의 보강 리브(4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로터(61)는 펄세이터(40)의 보강 리브(46)에 상승 및 하강하도록 결합되므로 펄세이터(40)에 플로터(61)를 결합하기 위한 추가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펄세이터(40)의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펄세이터(40)와 플로터(61)의 결합 구조 및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의 연동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5는 도 1의 세탁기의 펄세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세탁기의 커플러와 플랜지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펄세이터(40)의 저면(45)에는 펄세이터(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46)가 형성된다. 보강 리브(46)는 펄세이터(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46)는 펄세이터(40)의 저면(45)에서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보강 리브(46)는 방사형(放射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46)는 펄세이터(40)의 축결합부(41)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리브(46)는 펄세이터(40)의 축결합부(41)에서 펄세이터(40)의 테두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펄세이터(40)의 저면(45) 테두리부에는 에지 리브(47)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 리브(46)는 에지 리브(47)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보강 리브(46)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46)는 축결합부(41)를 중심으로 점대칭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46)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12개가 마련되었으나 보강 리브(46)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펄세이터(40)의 저면(45) 내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 리브(48)와, 외측 리브(49)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리브(48)와, 외측 리브(49)는 동심원을 형성하고 외측 리브(49)는 내측 리브(48) 보다 큰 반경을 갖는다.
내측 리브(48)와, 외측 리브(49)는 보강 리브(46)에 교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 리브(46)와, 내측 리브(48)와, 외측 리브(49)에 의해 플로터(61)를 수용하는 플로터 수용공간(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터 수용공간(50)은 원주 방향을 따라 12개가 형성되었으나 플로터 수용공간(50)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플로터(61)는 플로터 수용공간(50)에 수용될 수 있다. 플로터(61)의 상승 및 하강에도 불구하고 플로터(61)는 적어도 일부가 플로터 수용공간(50)에 수용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플로터(61)의 하강 시에도 플로터(61)의 적어도 일부가 플로터 수용공간(50)에 수용된 상태여야 펄세이터(40)의 회전력이 보강 리브(46)를 통해 플로터(61)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플로터(61)는 상승된 상태이든 하강된 상태이든 펄세이터(40)의 회전 운동에 구속되어 펄세이터(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내측 리브(48)는 플로터(61)의 내측면부(6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외측 리브(49)는 플로터(61)의 외측면부(6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펄세이터(40)에는 플로터(61)가 플로터 수용공간(50)에서 상승할 때 플로터 수용공간(50)의 에어가 배출되어 플로터(61)의 상승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에어 배출 구멍(51,도 5)이 형성될 수 있다.
플로터(61)는 세탁축(57) 및 탈수축(27)이 통과하도록 중공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로터(61)는 펄세이터(40)의 보강 리브(46)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고, 펄세이터(40)의 보강 리브(4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펄세이터(40)의 보강 리브(46)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65)을 갖는다. 가이드 홈(65)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보강 리브(46)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40)의 회전 시에 보강 리브(46)가 플로터(61)의 가이드 홈(65)의 측면부(66)를 가압함으로써 플로터(61)가 펄세이터(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플로터(61)가 원활하게 상승 및 하강 운동할 수 있도록 보강 리브(46)와, 가이드 홈 측면부(66)는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가이드 홈 측면부(66)와 보강 리브(46)의 간격이 크면 충돌시 소음이 커지고 간격이 작으면 마찰로 인해 상승 및 하강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가이드 홈 측면부(66)와 보강 리브(46)는 0.2 mm ~ 0.4 mm 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플로터(61)는 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게를 줄이도록 내부에 빈 공간(69)이 형성될 수 있다.
플로터(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부 플로터(62,도 8)와 하부 플로터(70,도 8)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플로터(62)에는 가이드 홈(65)이 형성되고, 하부 플로터(70)에는 후술하는 플로터 연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 장치(60)는 플로터(61)의 상승 시에 플로터(61)와 분리되고, 플로터(61)의 하강 시에 플로터(6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81)는 플랜지 샤프트(26)의 구동 플랜지(31)에 고정될 수 있다. 커플러(81)는 구동 플랜지(31)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S)를 통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81)는 대략 원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플러(8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82)와 외측 테두리부(83)를 가질 수 있다.
플로터(61)는 하강 시에 커플러(8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플로터 연동부를 가질 수 있다. 커플러(81)는 플로터 연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 연동부를 가질 수 있다.
플로터 연동부와 커플러 연동부는 동력 전달이 가능한 다양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플로터 연동부는 플로터(61)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연동 티쓰(72,도 8)이고, 커플러 연동부는 연동 티쓰(72)가 삽입되는 연동 슬롯(85,도 9)일 수 있다.
연동 티쓰(7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소정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연동 슬롯(85)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소정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연동 티쓰(72)와 연동 슬롯(85)의 개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연동 티쓰(72)의 개수 보다 연동 슬롯(85)의 개수가 많으면 충분하다.
연동 티쓰(72)가 연동 슬롯(85)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연동 티쓰(72)는 반경 방향에 따른 중심선(73)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74,7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81)는 연동 티쓰(72)를 연동 슬롯(85)으로 안내하도록 인접하는 연동 슬롯들(85)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87,88)을 가질 수 있다. 안내면(87,88)은 반경 방향에 따른 중심선(86)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플로터(61)가 하강 시에 연동 티쓰(72)와 연동 슬롯(85)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연동 티쓰(72)가 연동 슬롯(8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커플러(81)는 연동 슬롯(85)에 저수되는 세탁수가 연동 슬롯(85)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연동 슬롯(8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물 빠짐 통로(89)를 가질 수 있다. 물 빠짐 통로(89)는 커플러(81)의 외측 테두리부(8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 빠짐 통로(89)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연동 슬롯(85)에 저수된 세탁수는 자중에 의해 물 빠짐 통로(89)로 유동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물 빠짐 통로(89)는 커플러(81)의 내측 테두리부(8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물 빠짐 통로(89)에 의해 연동 슬롯(85)는 세탁수가 저수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플로터(61)의 연동 티쓰(72)가 원활하게 연동 슬롯(85)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러(81)는 구동 플랜지(31)와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되나, 이와는 달리 커플러(81)와 구동 플랜지(31)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세탁 행정에서 플로터가 상승하여 플로터와 커플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세탁기의 플로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탈수 행정에서 플로터가 하강하여 플로터와 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플로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세탁 행정에서, 터브에 세탁수가 차면 플로터(61)는 세탁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한다. 플로터(61)는 펄세이터(40) 저면의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플로터(61)의 내측면부(63)와 외측면부(64)는 펄세이터(40) 저면의 내측 리브(48)와 외측 리브(49)에 의해 각각 안내될 수 있다.
플로터(61)가 상승하면 플로터(61)와 커플러(81)의 연결이 해제되고, 결과적으로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의 연동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되면 세탁축(57)을 통해 펄세이터(40)에만 회전력이 전달되어 펄세이터(40)만 회전하고 회전조(2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탈수 행정에서, 터브의 세탁수가 배수되면 플로터(6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플로터(61)는 펄세이터(40) 저면의 보강 리브를 따라 하강할 수 있다. 플로터(61)의 내측면부(63)와 외측면부(64)는 펄세이터(40) 저면의 내측 리브(48)와 외측 리브(49)에 의해 각각 안내될 수 있다. 플로터(61)가 하강하더라도 플로터(61)는 플로터 수용공간(50)에서 완전히 이탈하지는 않는다. 즉, 플로터(61)가 하강한 상태에서도 플로터(61)는 펄세이터(40)의 회전 시에 보강 리브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로터(61)가 하강하면 플로터(61)와 커플러(81)가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되면 세탁축(57)을 통해 펄세이터(4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펄세이터(40)가 회전하고, 펄세이터(40)의 회전력이 회전조(20)에 전달되어 회전조(2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플로터와 펄세이터의 보강 리브의 선접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플로터에 의해 펄세이터의 플로터 수용공간이 밀폐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와, 플로터와, 커플러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펄세이터(240)의 저면(245)에는 펄세이터(2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246)가 형성된다. 보강 리브(246)는 펄세이터(240)의 저면(245)에서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보강 리브(246)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246) 중에 일부(246a)는 펄세이터(240)의 축결합부(241)에서 펄세이터(240)의 테두리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리브(246) 중에 나머지 일부(246b)는 내측 리브(248)와 외측 리브(249) 사이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강 리브(246a)와, 내측 리브(248)와, 외측 리브(249)의 사이에 형성되는 플로터 수용공간(250)은 전체 보강 리브(246)의 개수의 절반만큼 마련될 수 있다.
플로터(261)는 펄세이터(240)의 보강 리브(246a)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고, 펄세이터(240)의 보강 리브(246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펄세이터(240)의 보강 리브(246a)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65)을 갖는다.
가이드 홈(265)의 측면부(266)는 보강 리브(246a)에 접촉 시에 선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홈(265)의 측면부(266)는 보강 리브(246a) 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67)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록부(267)는 보강 리브(246a)에 대략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 방향 또는 대각 방향 등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볼록부(247)는 보강 리브(246a)에 점접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265)의 측면부(266)에 볼록부(267)가 형성되어 플로터(261)와 보강 리브(246a)가 선접촉하므로, 보강 리브(246a)와 플로터(261)의 마찰이 감소하고 그에 따른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볼록부(267)과 보강 리브(246a)는 플로터(261)의 원활한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볼록부(267)과 보강 리브(246a)의 간격이 크면 충돌시 소음이 커지고 간격이 작으면 마찰로 인해 상승 및 하강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볼록부(267)과 보강 리브(246a)는 0.2 mm ~ 0.4 mm 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플로터(261)는 상승 시에 펄세이터(240)의 내측 리브(248)에 밀착하는 내측 플랜지부(268a)와, 펄세이터(240)의 외측 리브(249)에 밀착하는 외측 플랜지부(268b)를 가질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268a)는 플로터(261)의 내측면부(263)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 플랜지부(268b)는 플로터(261)의 외측면부(264)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268a)와 외측 플랜지부(268b)는 플로터(26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터(261)의 상승 시에 내측 플랜지부(268a)가 펄세이터(240)의 내측 리브(248)의 저면에 밀착되고, 외측 플랜지부(268b)가 외측 리브(249)의 저면에 밀착되므로, 플로터 수용공간(250)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에 포함된 린트 등이 플로터 수용공간(250)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플로터(261) 작동의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플로터(261)는 하강 시에 커플러(28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플로터 연동부를 가질 수 있다, 커플러(281)는 플로터 연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 연동부를 가질 수 있다.
플로터 연동부와 커플러 연동부는 동력 전달이 가능한 다양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플로터 연동부는 플로터(261)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연동 티쓰(272)이고, 커플러 연동부는 연동 티쓰(272)에 맞물리는 대응 티쓰(285)일 수 있다. 연동 티쓰(272)는 전술한 실시예의 연동 티쓰(72)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대응 티쓰(285)는 연동 티쓰(272)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응 티쓰(285)는 커플러 바디부(282)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대응 티쓰(285)는 반경 방향에 따른 중심선(286)을 기준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대응 경사면(287,28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플로터(261)의 하강 시에 연동 티쓰(272)와 대응 티쓰(285)의 위치에 관계 없이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다.
플로터(261)는 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게를 줄이도록 내부에 빈 공간(26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도면 부호 242는 펄세이터(240) 축결합부(24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세탁축이 결합되는 세레이션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펄세이터를 도시한 저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와 플로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펄세이터(340)는 강성 보강을 위해 저면(345)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보강 리브(346)와, 보강 리브(346)에 교차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 리브(348)와 외측 리브(349)를 가질 수 있다. 보강 리브(346)와, 내측 리브(348)와, 외측 리브(349)의 사이에는 플로터 수용공간(350)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346)는 플로터(361)의 가이드 홈(365)에 삽입되어 플로터(361)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안내하고 플로터(361)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내측 리브(348)와 외측 리브(349)는 각각 플로터(361)의 내측면부(363)와 외측면부(36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펄세이터(340)는 플로터(361)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은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 레일(34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레일(348a)은 내측 리브(348)에서 플로터 수용 공간(3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 가이드 레일(348a)은 외측 리브(349) 또는 보강 리브(346)에서 플로터 수용 공간(3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가이드 레일(348a)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면 충분하고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플로터(361)는 펄세이터(340)의 보강 리브(346)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고, 펄세이터(340)의 보강 리브(34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펄세이터(340)의 보강 리브(346)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365)과, 보조 가이드 레일(348a)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보조 가이드 레일(348a)이 삽입되는 레일 홈(363a)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 홈(363a)은 플로터(361)의 내측면부(363)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로터(361)의 외측면부(364)나 가이드 홈(365)의 측면부(366)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 레일(348a)과 레일 홈(363a)에 의해 플로터(361)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의 도면 부호 347은 펄세이터(340)의 저면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에지 리브이다.
도 20의 도 1의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세탁기(1)의 각종 동작과, 전원의 온, 오프에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0)와, 세탁기(1)의 동작을 표시하는여 주는 디스플레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30)는 디스플레이부(25)는 별도로 마련되었으나, 입력부(30)는 터치 패널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부(25)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부(30)는 각종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0)는 세탁기(1)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 버튼(30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원 버튼(30a)을 누르면 세탁기(1)의 전원이 온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30a)을 다시 누르면 세탁기(1)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입력부(30)는 세탁기(1)의 동작을 실행 및 정지시키는 동작 버튼(30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작 버튼(30b)을 누르면 세탁기(1)는 세탁 행정, 행굼 행정, 탈수 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서 급수 장치(2)는 터브(11)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모터(13)가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모터(13)의 구동력이 펄세이터(40)에 전달되어 펄세이터(40)가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40)가 회전하면서 회전조(20)의 내부에 세탁 수류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되거나 헹굼될 수 있다.
탈수 행정에서 배수 장치(5)는 터브(11)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모터(13)가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모터(13)의 구동력이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에 전달될 수 있다.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작 버튼(30b)을 누르면 각 행정에 필요한 급수 장치(2), 모터(13), 배수 장치(5) 등이 구동되거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세탁기는 터브(11)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검출부(90)는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수위 검출부(90)는 터브(11)의 하부로부터 본체(10)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수위 검출관(91)과, 수위 검출관(91)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9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면, 터브(11)의 하부에 연결된 수위 검출관(91)에도 세탁수가 공급되고, 터브(11)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수위 검출관(91)의 수위도 높아지게 된다. 수위 검출관(91)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위 검출관(91)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므로 수위 검출관(9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진다.
압력 센서(92)는 수위 검출관(91) 내부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수위 검출부(90)는 압력 센서(92)에서 검출된 압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위 검출부(90)로부터 전달받은 수위 검출관(91) 내부의 압력을 기초로 터브(110)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의 배수 장치(5)는 전술한 것과 같이 배수관(6)과 배수 밸브(7)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배수관(116)과 배수 펌프(117)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수 펌프(117)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 내부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임펠러(미도시)와,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배수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117)를 사용함으로써, 터브(11)의 위치 보다 높은 곳으로 세탁수를 강제 배수시킬 수 있다.
세탁기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세탁기 전체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는 전원부(210)와, 전원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펄세이터(40)와 회전조(20)를 회전시키는 모터(13)에 전기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사용자 입력부(30)와 수위 검출부(90)로부터 사용자 명령과 터브(11)의 수위 정보를 각각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전원부(210)와, 모터 구동부(220)와, 급수 장치(2)와, 배수 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터브(11)에 세탁수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세탁기가 장기간 방치됨으로써, 터브(11)의 내부에 위치하는 플로터(61)가 세탁수에 장기간 노출되어 플로터(61)에 물이끼, 물때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0)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310), 수위 검출부(90)는 터브(11)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320).
제어부(200)는 수위 검출부(90)에서 검출된 터브(11)의 수위와 미리 설정된 터브(11)의 기준 수위와 비교하여, 터브(11)의 수위가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330). 이때, 기준 수위는 0 일 수 있다. 즉, 터브(11)에 잔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터브(11)의 수위가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제어부(200)는 배수 장치(5)를 작동시켜서 터브(11)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340). 터브(11) 내부의 세탁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전원부(210)를 제어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350). 만약, 터브(11)의 수위기 기준 수위 보다 높지 않으면 제어부(20)는 바로 전원부(210)를 제어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입력부(30)에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했을 때, 세탁기의 전원이 바로 오프되지 않고 터브(11)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된 후에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1)에 세탁수가 남아 있는 채로 전원이 오프되어서 터브(11)의 내부에 배치된 플로터(61)에 물때나 물이끼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터(61) 작동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세탁기가 세탁 행정 또는 행굼 행정 중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세탁 행정 또는 행굼 행정 중에 터브(11)의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고, 탈수 행정에서는 터브(11)의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도 상기 제어 방법과 유사한 제어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입력부(30)에 동작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410), 세탁기는 진행 중인 동작을 정지하고(420), 동작을 정지한 후부터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경과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도달하면(430), 제어부(200)는 수위 검출부(90)에서 검출된 터브(11)의 수위와 미리 설정된 터브(11)의 기준 수위와 비교하여, 터브(11)의 수위가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440). 이때, 기준 수위는 0 일 수 있다. 즉, 터브(11)에 잔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브(11)의 수위가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제어부(200)는 배수 장치(5)를 작동시켜서 터브(11)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450). 나아가, 터브(11)의 세탁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전원부(210)를 제어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상기 430 단계에서 경과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입력부(30)에 동작 재개 명령이 입력되면 진행 중이었던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470).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잠시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에 의도치 않게 장기간 세탁기를 방치시킨 경우에도 세탁기는 터브(11)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터브(11)의 내부에 배치된 플로터(61)가 세탁수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로터(61) 작동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세탁기 11 : 터브
13 : 모터 20 : 회전조
27 : 탈수축 31 : 구동 플랜지
40,240,340 : 펄세이터 46,246a,246b,346 : 보강 리브
47,247,347 : 에지 리브 48,248,348 : 내측 리브
49,249,349 : 외측 리브 50,250,350 : 플로터 수용공간
51 : 에어 배출 구멍 57 : 세탁축
61,261,361 : 플로터 65 : 가이드 홈
72,272 : 연동 티쓰 81,281 : 커플러
85 : 연동 슬롯 89 : 물 빠짐 통로
268a, 268b : 내측,외측 플랜지부 267 : 볼록부
285 : 대응 티쓰 348a : 보조 가이드 레일
363a :레일 홈

Claims (34)

  1.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를 연동시키거나 연동 해제시키도록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터(floater); 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방사형(放射形)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펄세이터의 축결합부에서 상기 펄세이터의 테두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펄세이터의 테두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에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에지 리브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플로터의 내측면부와 외측면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 리브와, 외측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플로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은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각각 밀착하는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의 에어가 빠져나가도록 마련되는 에어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에 선접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강 리브에 선접촉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보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와 분리되고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플로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에 결합되는 구동 플랜지와, 상기 구동 플랜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수축을 갖는 플랜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구동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하강 시에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플로터의 저면에 마련되는 플로터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플로터 연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플러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 연동부는 상기 플로터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연동 티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티쓰는 반경 방향에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연동부는 상기 연동 티쓰가 삽입되는 연동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연동 티쓰를 상기 연동 슬롯으로 안내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연동 슬롯들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동 슬롯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연동 슬롯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물 빠짐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연동부는 상기 플로터의 하강 시에 상기 연동 티쓰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대응 티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를 연동시키거나 연동 해제시키도록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로터(floater); 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로터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은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에 의해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방사형(放射形)으로 형성되는 보강 리브와,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플로터의 내측면부와 외측면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 리브와, 외측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은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외측 리브에 각각 접촉하는 내측 플랜지부와, 외측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 시에 상기 플로터 수용공간의 에어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에어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9.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장치;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검출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터브의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회전조에 전달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마련되는 플로터(floater); 및
    상기 입력부에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 또는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된 터브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수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세탁기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상기 배수 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배출시킨 후에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세탁기의 동작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동작 정지 명령을 입력받은 후의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상기 배수 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2. 사용자로부터 전원 오프 명령 또는 동작 정지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터브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높으면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배출이 끝나면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지 명령을 입력받은 후에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터브의 수위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124970A 2014-07-11 2014-09-19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5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95,003 US9994986B2 (en) 2014-07-11 2015-07-09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683466.0A CN105256505B (zh) 2014-07-11 2015-07-13 洗衣机和用于控制洗衣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50 2014-07-11
KR20140087550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21A true KR20160007321A (ko) 2016-01-20
KR102257365B1 KR102257365B1 (ko) 2021-05-31

Family

ID=553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970A KR102257365B1 (ko) 2014-07-11 2014-09-19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6461A1 (zh) * 2016-08-22 2018-03-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波轮及洗衣机
WO2018236157A1 (ko) * 2017-06-21 2018-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1277A (en) * 1995-07-12 1997-07-29 Maytag Corporation Clutch mechanism for automatic washer
US20070130999A1 (en) * 2005-12-14 2007-06-14 Mabe Mexico S. De R. L. De C.V. Floating clutch for dual concentric shafts arrangement
KR20120011639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1277A (en) * 1995-07-12 1997-07-29 Maytag Corporation Clutch mechanism for automatic washer
US20070130999A1 (en) * 2005-12-14 2007-06-14 Mabe Mexico S. De R. L. De C.V. Floating clutch for dual concentric shafts arrangement
KR20120011639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6461A1 (zh) * 2016-08-22 2018-03-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波轮及洗衣机
WO2018236157A1 (ko) * 2017-06-21 2018-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365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4986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17892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2359B1 (ko) 세탁물을 꺼내기 쉬운 전자동 세탁기
KR950002007B1 (ko) 세탁기
JP4822974B2 (ja) 洗濯機
EP2468939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068401B2 (ja) 浮力方式クラッチ洗濯機及びクラッチ制御方法
KR10260611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907163B1 (ko) 클러치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2015029546A (ja) 洗濯機
KR2016000732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077748A (ja) 洗濯機
KR101888954B1 (ko)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CN109989214A (zh) 一种洗涤设备及洗涤水出水方法
JP201217067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26706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886071B (zh) 一种洗衣机
JPH07265579A (ja) 脱水兼用洗濯機
KR20160114926A (ko) 세탁기용 구동 장치
CN113136675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2008307414A (ja) 洗濯機
JP4859900B2 (ja) 洗濯機
JP201220562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2282575A (ja) 洗濯機
JP4767213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