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826A -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 Google Patents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826A
KR20160006826A KR1020140085909A KR20140085909A KR20160006826A KR 20160006826 A KR20160006826 A KR 20160006826A KR 1020140085909 A KR1020140085909 A KR 1020140085909A KR 20140085909 A KR20140085909 A KR 20140085909A KR 20160006826 A KR20160006826 A KR 20160006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vehicle
gear
pinion gear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01B1 (ko
Inventor
안광현
이용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60J1/0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륜이 구비된 전방플로어 및 후륜이 구비된 후방플로어로 구성되고, 전방플로어와 후방플로어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플로어파트;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고, 하단이 전방플로어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고, 힌지축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리어캐빈파트; 및 후방플로어에 마련되어 후방플로어와 전방플로어가 중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이 소개된다.

Description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FOLDING UNIT FOR FOLDABLE VEHICLE}
본 발명은 주차시 폴딩에 의해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고, 전개시에는 완전한 차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신개념의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등이 등장하면서 1인 위주의 초소형 자동차들이 컨셉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차량들은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기 주차시 주차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폴딩 차량들의 경우 휠베이스의 가변이 어려워 폴딩이 되더라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루프나 리어측이 완전히 폴딩되지 않아 전체 길이가 폴딩시에도 최소화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루프나 리어측이 폴딩되더라도 폴딩시에는 오히려 차량의 전고가 증대되어 협소한 높이의 주차공간에는 주차가 어렵고, 폴딩시 상방으로 돌출되어 미관상 매우 어색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휠베이스의 최대한 축소와 함께 루프 및 리어가 완전히 폴딩되면서 전고 또한 증대되지 않도록 하는 폴딩 구조가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029836 A
본 발명은 주차시 폴딩에 의해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고, 전개시에는 완전한 차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신개념의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은, 전륜이 구비된 전방플로어 및 후륜이 구비된 후방플로어로 구성되고, 전방플로어와 후방플로어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플로어파트;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고, 하단이 전방플로어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고, 힌지축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리어캐빈파트; 및 후방플로어에 마련되어 후방플로어와 전방플로어가 중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한다.
랙기어는 후방플로어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전방플로어와 후방플로어가 일정길이 이상 중첩되는 경우 피니언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치합되어 랙기어는 연결기어를 통해 피니언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연결기어의 회전축은 전방플로어에서 피니언기어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기어는 피니언기어와 항상 치합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기어는 회전축 상에서 자유회전되고 피니언기어는 힌지축에 고정되어 힌지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리어캐빈파트는 전방플로어의 후방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에 따르면, 주차시 기존 1대의 주차공간에 최대 4대의 차량 주차가 가능함으로써 도심지에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국부적인 폴딩이 가능하여 휠베이스를 감축시비고, 그에 따라 회전반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운전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주차시 전고가 낮아짐으로써 지붕이 낮은 지점에도 충분히 주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개념을 사용하여 리어캐빈을 폴딩 또는 전개시킴에 따라 안정적인 폴딩과 전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전체적인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윈드실드파트가 작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전체적인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윈드실드파트가 작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차량은, 전륜(110)이 구비된 전방플로어(100) 및 후륜(210)이 구비된 후방플로어(200)로 구성되고, 전방플로어(100)와 후방플로어(200)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플로어파트(F); 윈드실스글래스(401)가 구비되며, 전방플로어(100)의 전방부에 하단(420)이 힌지결합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윈드실드파트(400);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고, 하단이 플로어파트(F)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리어캐빈파트(500); 및 전단이 윈드실드파트(400)의 상단과 힌지결합되고 후단이 리어캐빈파트(500)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된 링크구조로서, 윈드실드파트(400) 및 리어캐빈파트(500)가 차량 내측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에는 차량 내부에 위치되고, 윈드실드파트(400) 및 리어캐빈파트(500)가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는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되어 차량의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파트(600);를 포함한다.
플로어파트(F)는 전륜(110)이 구비된 전방플로어(100) 및 후륜(210)이 구비된 후방플로어(200)로 구성된다. 전방플로어(100)와 후방플로어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방플로어(100)에는 일반적인 차량과 같이 윈드실스글래스(401)가 구비된다. 윈드실드글래스(401)는 윈드실드파트(400)에 설치되며, 윈드실드파트(400)는 전방플로어(100)의 전방부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폴딩시에는 윈드실드가 후방으로 폴딩되도록 하고 전개시 전방으로 전개되어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리어캐빈파트(500)는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는데, 이는 하단이 전방플로어(100) 또는 후방플로어(200)의 플로어파트(F)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리어캐빈파트(500)가 전방플로어(100)의 후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단이 윈드실드파트(400)의 상단과 힌지결합되고 후단이 리어캐빈파트(500)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된 링크구조로서 루프파트(600)가 마련된다. 루프파트(600)는 윈드실드파트(400)의 폴딩시 윈드실드파트(400)와 함께 접혀지며 리어캐빈파트(500)의 내부 공간을 향한다. 그리고 리어캐빈파트(500)가 차량 내측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에는 윈드실드파트(400)와 루프파트(600)가 함께 차량 내부 즉, 리어캐빈파트(50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윈드실드파트(400) 및 리어캐빈파트(500)가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는 경우에는 루프파트(600)도 외부에 노출되어 차량의 루프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폴딩이 가능한 차량은 휠베이스가 신장 및 수축되며, 휠베이스의 수축시에는 윈드실드와 루프 구성이 캐빈 구성의 내부로 삽입되고 캐빈 구성 또한 차량을 덮도록 회전됨으로써 길이방향의 공간축소는 물론 상하방향의 공간축소도 함께 구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4는 폴딩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도 2와 같이 윈드실드파트(400)가 폴딩되고 그에 따라 루프파트(600)도 내부로 주저앉는다. 여기서, 윈드실드파트(400)의 폴딩시에는 윈드실드파트(400)와 루프파트(600)가 예각을 이루도록 굽혀져 윈드실드파트(400)와 루프파트(600)가 만나는 꼭지점이 리어캐빈파트(500)를 향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그 후 도 3과 같이 리어캐빈파트(500)가 전방으로 회전되며 윈드실드파트(400)와 루프파트(600)를 함께 덮고 동시에 후방플로어(200)는 후륜(210)의 구동을 통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전방플로어(100)와 중첩되어 휠베이스가 축소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방구동부(540)는 리어캐빈파트(500)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후륜구동부는 차량의 폴딩시 후륜(210)을 구동시켜 후방플로어(200)가 전방플로어(100)측으로 슬라이딩되며 휠베이스가 수축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4와 같은 형태로 폴딩이 완료되어 길이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공간이 축소되는 것이다. 전개시에는 이러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차량을 전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전방구동부(410)는 윈드실드파트(400)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데, 구체적으로, 전방구동부(410)는 하단이 전방플로어(100)에 결합되고 상단이 윈드실드파트(400)에 결합되어 윈드실드파트(400)를 당기거나 밀어줌으로써 윈드실드파트(400)가 회동되도록 하는 리니어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즉, 윈드실드파트(400)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방구동부(410), 리어캐빈파트(500)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후방구동부(540) 및 차량의 폴딩시 후륜(210)을 구동시켜 후방플로어(200)가 전방플로어(100)측으로 슬라이딩되며 휠베이스가 수축되도록 하는 후륜구동부가 구비되고, 차량의 폴딩시에는 전방구동부(410)를 먼저 구동하여 윈드실드파트(400)와 루프파트(600)를 차량 내측으로 굽힌 후 후방구동부(540)와 후륜구동부를 구동하여 폴딩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방구동부(540)의 구동시에는 리어캐빈파트(500) 내측 객실공간으로 윈드실드파트(400) 및 루프파트(600)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후방구동부(540)와 후륜구동부는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휠베이스가 수축되고 윈드실드파트(400) 및 루프파트(600)는 리어캐빈파트(500)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폴딩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리어캐빈파트(500)는 폴딩시 차량의 후드(300) 후단과 접함으로써 차량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그리고, 리어캐빈파트(500)는 객실을 덮는 차폐면, 폴딩시 차량의 후드(300) 후단과 밀착되는 제1밀착부(501) 및 폴딩시 차량의 플로어파트(F)와 밀착되는 제2밀착부(5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외부 요인에 의해 차량의 실내가 오염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도난 등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폴딩 후 전개시에는 역으로 후방구동부와 후륜(210)구동부를 먼저 구동하여 휠베이스를 신장하면서 리어캐빈파트(500)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전방구동부(410)를 구동하여 윈드실드파트(400)와 루프파트(600)를 외측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은, 전륜이 구비된 전방플로어(100) 및 후륜이 구비된 후방플로어(200)로 구성되고, 전방플로어(100)와 후방플로어(200)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플로어파트(F);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고, 하단이 전방플로어(100)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고, 힌지축(521)에 피니언기어(523)가 형성된 리어캐빈파트(500); 및 후방플로어(200)에 마련되어 후방플로어(200)와 전방플로어(100)가 중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피니언기어(523)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523)를 회전시키는 랙기어(54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플로어파트(F)는 전륜이 구비된 전방플로어(100) 및 후륜이 구비된 후방플로어(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플로어(100)와 후방플로어(200)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한다. 폴딩시에는 후방플로어(2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전방플로어(100)와 중첩되고, 전개시에는 역으로 전개되어 차량의 완전한 플로어를 이루게 된다.
한편, 리어캐빈파트(500)는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리어캐빈파트(500)는 하단이 플로어파트(F)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개시에는 후방플로어(2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리어캐빈파트(500)가 후방으로 회동하여 리어 캐빈을 구성하고, 차량의 폴딩시에는 후방플로어(200)와 함께 리어캐빈파트(50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리어캐빈을 없애고 플로어측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후방플로어(200)에는 랙기어(543)가 마련된다. 랙기어(543)는 후방플로어(200)에 마련되어 후방플로어(200)와 전방플로어(100)가 중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피니언기어(523)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523)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에 따라 피니언기어(523)와 일체인 리어캐빈파트(500)는 회동하여 폴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랙기어(543)는 후방플로어(200)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전방플로어(100)와 후방플로어(200)가 일정길이 이상 중첩되는 경우 피니언기어(523)와 치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후방플로어(2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휠베이스가 축소되고 그에 따라 랙기어(543)가 함께 슬라이딩되며 피니언기어(523)와 치합되고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랙기어(543)의 경우 후방플로어(200)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후방플로어(200)의 슬라이딩에 의한 차량의 폴딩시 휠베이스의 축소가 가능하고, 별도의 랙기어(543)를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매우 컴팩트한 폴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랙기어(543)와 피니언기어(523)의 사이에는 연결기어(524)가 치합되어 랙기어(543)는 연결기어(524)를 통해 피니언기어(52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랙기어(543)의 이동 방향에 의한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랙기어(543)가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도 6 내지 8과 같이 연결기어(5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피니언기어(5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리어캐빈파트(500)가 전방으로 회동되며 폴딩되는 것이다.
즉, 후방플로어(200)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딩시에는 이와 연동하여 리어캐빈파트(500)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함께 폴딩동작을 이루고, 후방플로어(200)가 반대로 후방으로 전개되는 경우에는 리어캐빈파트(500)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차량이 전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연결기어(524)의 회전축은 전방플로어(100)에서 피니언기어(523)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기어(524)는 피니언기어(523)와 항상 치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플로어(200)의 슬라이딩시 연결기어(524)와 랙기어(543)가 치합되며 폴딩 동작이 자동적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기어(524)는 전방플로어(100)에 마련된 회전축(524') 상에서 자유회전되고 피니언기어(523)는 리어캐빈파트(500)의 힌지축(521)에 고정되어 힌지축(5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리어캐빈파트(500)는 전방플로어(100)의 후방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랙기어(543)는 후방플로어(200)에 일체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리어캐빈파트(500)를 폴딩 혹은 전개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없이도 후방플로어(200)의 구동만으로도 리어캐빈파트(500)의 회동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구성이 간단하며 제어도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리어캐빈파트(500)의 회동 타이밍의 경우 랙기어(543)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어느 시점에서 리어캐빈파트(500)의 회동이 시작될지 결정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에 따르면, 주차시 기존 1대의 주차공간에 최대 4대의 차량 주차가 가능함으로써 도심지에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국부적인 폴딩이 가능하여 휠베이스를 감축시비고, 그에 따라 회전반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운전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주차시 전고가 낮아짐으로써 지붕이 낮은 지점에도 충분히 주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개념을 사용하여 리어캐빈을 폴딩 또는 전개시킴에 따라 안정적인 폴딩과 전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전방플로어 200 : 후방플로어
300 : 후드 400 : 윈드실드파트
500 : 리어캐빈파트 600 : 루프파트

Claims (6)

  1. 전륜이 구비된 전방플로어 및 후륜이 구비된 후방플로어로 구성되고, 전방플로어와 후방플로어는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중첩 또는 연장됨으로써 차량의 휠베이스가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는 플로어파트;
    돔 형상으로써 차량 후방에 위치되어 객실을 구성하고, 하단이 전방플로어에 힌지결합되어 차량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고, 힌지축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리어캐빈파트; 및
    후방플로어에 마련되어 후방플로어와 전방플로어가 중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랙기어는 후방플로어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전방플로어와 후방플로어가 일정길이 이상 중첩되는 경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치합되어 랙기어는 연결기어를 통해 피니언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연결기어의 회전축은 전방플로어에서 피니언기어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기어는 피니언기어와 항상 치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연결기어는 회전축 상에서 자유회전되고 피니언기어는 힌지축에 고정되어 힌지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리어캐빈파트는 전방플로어의 후방부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KR1020140085909A 2014-07-09 2014-07-09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KR10217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09A KR102179101B1 (ko) 2014-07-09 2014-07-09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09A KR102179101B1 (ko) 2014-07-09 2014-07-09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826A true KR20160006826A (ko) 2016-01-20
KR102179101B1 KR102179101B1 (ko) 2020-11-18

Family

ID=5530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09A KR102179101B1 (ko) 2014-07-09 2014-07-09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111U (ja) * 2003-01-07 2003-07-25 有限会社エコムーブ 車 両
KR100726524B1 (ko) * 2005-12-15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 충격흡수장치
KR20140028726A (ko) * 2012-08-30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접이식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9836A (ko) 2012-08-30 2014-03-11 한국과학기술원 면적 조절식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111B2 (ja) * 1995-07-11 2000-10-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ゲル被覆種子の発芽促進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111U (ja) * 2003-01-07 2003-07-25 有限会社エコムーブ 車 両
KR100726524B1 (ko) * 2005-12-15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 충격흡수장치
KR20140028726A (ko) * 2012-08-30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접이식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9836A (ko) 2012-08-30 2014-03-11 한국과학기술원 면적 조절식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01B1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29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
JP4268762B2 (ja) ホースボックス、パネルトラック、またはステーションワゴン型車両用引き込み可能ルーフ
KR101371763B1 (ko) 사이드스텝장치
CN104786792B (zh) 一种轿车用自动遮雨机构
JP4949090B2 (ja) 車両用ステップ構造
KR102191827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US9216776B2 (en) Foldable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51103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링크유닛
JPH06278536A (ja) サイドミラー
KR20160006826A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KR20160006825A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폴딩 유닛
KR101551105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링크유닛
KR101551104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링크유닛
KR20160006821A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리어캐빈 지지유닛
JP3626441B2 (ja) 鉄道車両の側出入口用プラグドア装置
CN102275489A (zh) 车载遮阳棚
JPH0511687Y2 (ko)
KR20230069346A (ko) 수납형 컨버터블 자동차
KR20090084482A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JPH0326012Y2 (ko)
JPH0563327B2 (ko)
KR20080100940A (ko)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장치
KR970004478Y1 (ko) 자동차용 자동 절첩식 사이드밀러
JP2008012998A (ja) トランクの仕切り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