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223A -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223A
KR20160006223A KR1020157035031A KR20157035031A KR20160006223A KR 20160006223 A KR20160006223 A KR 20160006223A KR 1020157035031 A KR1020157035031 A KR 1020157035031A KR 20157035031 A KR20157035031 A KR 20157035031A KR 20160006223 A KR20160006223 A KR 2016000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hamber
space
workpiece
mai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604B1 (ko
Inventor
시즈아키 오카자키
이사오 노리키요
료지 유미토
Original Assignee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 B30B5/02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09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vacuum and fluid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부 공간과 주챔버를 상하로 칸막이하는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부 다이어프램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주챔버와 하부 공간을 상하로 칸막이하는 탄성막인 하부 다이어프램과, 주챔버 내와,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기압 제어 장치와, 주챔버 내에 배치되는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다. 기압 제어 장치가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하고, 상부 다이어프램과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가열된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처리와, 주챔버 내의 기압을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 크게 하고, 피가공물을 비진공 상태에서 가열하는 큐어링 처리를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PRESS APPARATUS, VACUUM FRAME, AND PRESS-FORMING METHOD}
본 발명은 적층품의 라미네이트 가공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패널 등의 적층품의 라미네이트 가공을 행하기 위한, 다이어프램(탄성막)을 사용한 핫프레스 장치(이하 「라미네이트 장치」라고 한다.)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다이어프램식의 라미네이트 장치에서는, 열반(熱盤)과 다이어프램 사이에 진공 챔버가 형성된다. 진공 챔버 내를 진공 처리함으로써, 열반 상에 배치된 피가공물이 열반과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가압되어, 라미네이트 가공이 행해진다.
일본 특개 2012-196835호 공보
상기의 종래의 라미네이트 장치는, 열반의 평평한 상면과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때문에, 적어도 편면이 평평한 피가공물이 아니면 균등한 압력으로 프레스할 수 없어, 적절하게 라미네이트 가공을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양면이 비평탄면인 피가공물의 라미네이트 가공이 가능한 라미네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부 공간과 주챔버를 상하로 칸막이하는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주챔버와 하부 공간을 상하로 칸막이하는 탄성막인 하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주챔버 내와,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기압 제어 장치와,
상기 주챔버 내에 배치되는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기압 제어 장치가,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하고,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가열된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처리와,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 크게 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비진공하에서 가열하는 큐어링 처리
를 행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하면이 막힌 상부 챔버와, 탄성막인 하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면이 막힌 하부 챔버로 상하에서 끼워 넣어 기밀한 주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주챔버의 기압을 상기 상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상기 주챔버 내에 배치된 피가공물이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프레스 되도록 구성된 환상의 진공 프레임으로서,
상기 주챔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통기 구멍을 갖고, 이 통기 구멍이,
상기 진공 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뻗는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뻗어 상기 진공 프레임의 외주면으로 개구하는 제1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뻗어 상기 진공 프레임의 내주면으로 개구하는 제2부
를 갖는 진공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하면,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 및 하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과 각각 기밀로 칸막이된 주챔버 내에 피가공물을 배치하고,
상기 피가공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하여,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가열된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처리를 행하고,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 크게 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비진공하에서 가열하는 큐어링 처리를 행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양면이 비평탄면인 피가공물의 라미네이트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의 도면이다.
도 3은 진공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라미네이트 가공의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정면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1)의 정면 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의 도면이다. 라미네이트 장치(1)는 본체(1a), 제어부(2), 기압 제어 장치(3) 및 유압 제어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a), 기압 제어 장치(3) 및 유압 제어 장치(4)는 각각 제어부(2)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2)의 제어하에서 동작한다.
본체(1a)는 외부 챔버(10)와, 외부 챔버(10) 내에 배치된 상부 열반(20), 하부 열반(40) 및 유압 실린더(50)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챔버(10)는 외부 챔버 급배기관로(3a)를 통하여 기압 제어 장치(3)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 챔버(10)의 내압은 기압 제어 장치(3)에 의해 진공(예를 들면, 약 0.1kPa)으로부터 대기압 이상(예를 들면, 수 기압)의 범위에서 제어된다.
유압 실린더(50)(구동 장치)는 유압 제어 장치(4)에 접속되어 있고, 유압 제어 장치(4)에 의한 작동유의 공급/배출에 따라 작동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50)의 실린더 튜브(51)는 외부 챔버(10)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열반(20)은 하면을 수평으로 하고, 외부 챔버(10)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열반(40)은 그 상면이 상부 열반(20)의 하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부 열반(40)은 하면에서 유압 실린더(50)의 램(52)에 고정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50)로의 작동유의 공급/배출에 따라, 램(52)과 함께 상하동한다.
또한 상부 열반(20)과 하부 열반(40)에는, 각각 전열 히터(도시하지 않음)와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열반(20)과 하부 열반(40)의 온도는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부 열반(20)의 하면과 하부 열반(40)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피가공물(W)에 포함되는 수지가 강한 흡수를 갖는 원적외선을 고효율로 발생하는 원적외선 방사 재료의 층(예를 들면, 막이나 판)이 설치되어 있고, 피가공물(W)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부 열반(20) 및 하부 열반(40)은 피가공물(W)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로서 기능한다.
상부 열반(20)의 하면에는 상부 챔버 유닛(20U)이 부착되어 있다. 상부 챔버 유닛(20U)은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 상부 다이어프램(22U) 및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다이어프램(22U)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엔트로피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로부터 형성된 신축성이 높은 시트재(탄성막)이다.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은 중심축을 연직 방향을 향해 배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그 상단이 상부 열반(20)의 하면에 기밀로 밀착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용접, 접착, 씨일재를 통한 압접 등의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은, 상부 열반(20)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내주면이 원추대 측면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의 중공부는, 그 하단에 있어서, 상부 다이어프램(22U)에 의해 기밀로 막혀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열반(20),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 및 상부 다이어프램(22U)에 의해 기밀로 둘러싸인 상부 챔버(24U)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상부 열반(20)에는, 그 하면과 측면을 연결하는(즉, 상부 챔버(24U)와 외부 챔버(10)를 연결하는) 통기 구멍(20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챔버(24U)와 외부 챔버(10)의 내압은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된다.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의 중공부(상부 챔버(24U))는, 상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21U)의 하면과(즉 상부 다이어프램(22U)와) 평행하게 배치된 평평한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에 의해 칸막이 되어 있다.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에는, 그 양측의 공간에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펀칭 플레이트나 다공질판 등의 통기성을 갖는 판재가 사용된다.
하부 열반(40)의 상면에는, 상부 챔버 유닛(20U)과 동일하게 구성된 하부 챔버 유닛(40L)이 상부 챔버 유닛(20U)과는 상하 역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하부 챔버 유닛(40L)은 하단이 하부 열반(40)의 상면에 기밀로 밀착한 상태로 접합된 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41L)과, 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41L)의 중공부를 기밀로 막도록 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41L)의 상단에 부착된 하부 다이어프램(42L)과, 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41L)의 내주면에 중공부를 상하로 칸막이하도록 부착된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43L)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43L)은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과 동일한 통기성을 갖는 판재이다. 또한 하부 챔버 유닛(40L) 내에는, 하부 열반(40), 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41L) 및 하부 다이어프램(42L)에 의해 기밀로 둘러싸인 하부 챔버(44L)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열반(40)에는, 그 상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통기 구멍(40a)이 설치되어 있다. 통기 구멍(40a)의 일단에는 3포트 전자 밸브(47)의 1포트가 접속되어 있다. 3포트 전자 밸브(47)의 다른 1포트는 하부 챔버 급배기관로(3c)를 통하여 기압 제어 장치(3)에 접속되고, 나머지 1포트는 외부 챔버(10) 내에 개방되어 있다. 3포트 전자 밸브(47)는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되어, 하부 챔버(44L)와 외부 챔버(10)를 접속하는 상태(개방 상태)와, 하부 챔버(44L)와 기압 제어 장치(3)를 접속하는 상태(압력 제어 상태)를 전환한다.
또한 하부 챔버 유닛(40L)의 상면에는, 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41L)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둥근 고리 형상의 진공 프레임(60)이 기밀로 부착되어 있다. 하부 열반(40)을 상승시키고, 상부 챔버 유닛(20U)의 하면에 진공 프레임(60)의 상면을 밀착시키면, 상부 다이어프램(22U), 하부 다이어프램(42L) 및 진공 프레임(60)에 의해 기밀로 둘러싸인 주챔버(26)(도 4(b))가 형성된다. 상부 챔버(24U) 및 하부 챔버(44L)의 내압과 주챔버(26)의 내압 사이에 기압차가 발생하면, 상부 다이어프램(22U) 및 하부 다이어프램(42L)은, 각각이 면하는 챔버 중, 기압이 낮은 챔버측으로 팽창한다.
도 3(a)는 진공 프레임(60)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B-B 화살표 방향의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 프레임(60)의 상하면의 내주측에는, 하부 다이어프램(42L) 및 상부 다이어프램(22U)이 주챔버(26)측으로 팽창했을 때, 진공 프레임(60)의 코너를 따라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있어 열화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테이퍼면(또는 곡면)(60a)이 형성되어 있다.
진공 프레임(60)은 각각 둥근 고리 형상 상측 부재(62), 하측 부재(64) 및 O링(66)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 부재(62)과 하측 부재(64)는 상하로 겹쳐지고, 그 접합부가 O링(66)에 의해 기밀로 밀봉되어 있다. 진공 프레임(60) 내에는, 연장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뻗는 환상의 중공부(60b)(환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부(60b)보다도 내주측에 있어서, 상측 부재(62)와 하측 부재(64)는 근접하여 대향하고, 양자 사이에, 중공부(60b)와 주챔버(26)를 연결하는 통기 슬릿(60c)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슬릿(60c)은 진공 프레임(6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퍼지고, 진공 프레임(60)의 내주면에 개구되는 슬릿 형상의 통기로이다.
또한 진공 프레임(60)의 외주측에는 중공부(60b)과 외부 챔버(10)를 연결하는 통기 구멍(60d)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60d)은 일단측(진공 프레임(60)의 외주면측)에서 직경 확장되어 테이퍼 나사(60e)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나사(60e)에는 기압 제어 장치(3)로부터의 주챔버 급배기관로(3b)(도 1)가 접속되고, 기압 제어 장치(3)에 의해 진공 프레임(60)을 통하여 주챔버(26) 내에 에어(공기 또는 건조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기 슬릿(60c)은, 통기 슬릿(60c)을 통하여 주챔버(26)에 에어를 공급/배출할 때의 압력 손실이 전체 둘레에서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단면 치수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챔버(26) 내로의 에어의 공급/배출은 단면적이 크고 압력 손실이 작은 중공부(60b)와, 단면적이 작고 압력 손실이 큰 통기 슬릿(60c)을 통하여 행해진다. 그 때문에 주챔버(26)로의 에어의 공급/배출은 통기 슬릿(60c)의 전체 둘레로부터 대략 균일하고 또한 완만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1)에 의한 피가공물(W)의 라미네이트 가공의 수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0)(도 1)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40)을 강하시켜, 상부 챔버 유닛(20U)와 진공 프레임(60)이 떨어진 상태로 한다. 이때, 기압 제어 장치(3)에 설치된, 진공 프레임(60)의 통기 구멍(60d)(도 3)에 접속되는 주챔버 급배기관로(3b)의 전자 밸브(37)(도 1)는 폐쇄되어 있고, 진공 프레임(60)에 대한 급배기는 정지되어 있다. 또한 3포트 전자 밸브(47)는 하부 챔버(44L)를 외부 챔버(10)(도 1)에 접속한다(개방 상태). 그리고, 하부 다이어프램(42L) 위에 피가공물(W)를 실은 후, 기압 제어 장치(3)에 의해 외부 챔버(10)를 진공 처리한다. 이때, 통기 구멍(20a 및 40a)에 의해 각각 외부 챔버(10)와 연통한 상부 챔버(24U) 및 하부 챔버(44L)도 진공 처리된다.
다음에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0)(도 1)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40)을 상승시키고, 상부 챔버 유닛(20U)과 진공 프레임(60)을 밀착시켜, 주챔버(26)를 형성한다. 이때, 외부 챔버(10)(도 1), 상부 챔버(24U), 주챔버(26) 및 하부 챔버(44L)는 모두 진공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기압 제어 장치(3)에 의해, 외부 챔버(10) 내에 에어를 도입하고, 외부 챔버(10) 내의 기압을 대기압(약 100kPa)까지 서서히 승압시킨다. 이 때, 외부 챔버(10)와 연통한 상부 챔버(24U) 및 하부 챔버(44L)의 기압도 대기압까지 상승하지만, 밀폐된 주챔버(26) 내는 진공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상부 챔버(24U) 및 하부 챔버(44L)와 주챔버(26)의 기압차에 의해, 상부 다이어프램(22U) 및 하부 다이어프램(42L)이 주챔버(26)측으로 팽창한다. 그 결과,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가공물(W)이 상부 다이어프램(22U)과 하부 다이어프램(42L)으로 끼워지고, 상부 챔버(24U) 및 하부 챔버(44L)와 주챔버(26)의 기압차에 의해 프레스 된다. 그리고, 이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면, 상부 열반(20) 및 하부 열반(40)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피가공물(W)이 가공 온도(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경화 온도,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고, 피가공물(W)에 포함되는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수지(EVA)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되어(열경화성 수지의 경우에는, 더욱 경화되어), 피가공물(W)을 구성하는 각 부재가 일체로 접합된다.
또한 프레스 처리 중에 피가공물(W)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압 제어 장치(3)에 의해, 진공 프레임(60)에 접속된 주챔버 급배기관로(3b)를 통하여, 프레스 처리 중에 주챔버(26)를 진공 처리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스 처리중에 피가공물(W)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주챔버(26)로부터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가스의 발생에 의한 피가공물(W)의 접합 불량이나 다이어프램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피가공물(W)의 접합(프레스 공정)이 완료되면, 다음에 큐어 공정이 행해진다. 큐어 공정은 접합 후의 피가공물(W)을 수지의 경화 온도(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보온함으로써 피가공물(W)을 안정화시키는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큐어 공정은 비진공 상태(즉, 공기 중 또는 불활성 가스 중)에서 행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0.1기압 이상을 비진공이라고 한다. 도 4(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큐어 공정에서는 기압 제어 장치(3)(도 1)에 의해,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P1)의 압축 에어가 주챔버(26) 내에 도입된다. 또한 이 때, 3포트 전자 밸브(47)가 하부 챔버(44L)와 기압 제어 장치(3)를 접속하는 상태(압력 제어 상태)로 전환되어, 하부 챔버(44L)에는, 기압 제어 장치(3)에 의해, 압력(P1) 이하의 압력(P2)의 에어가 주챔버(26) 내에 도입된다.
이때, 상부 챔버(24U)의 내압과 주챔버(26)의 내압의 차가 크기 때문에, 상부 다이어프램(22U)은 상부 챔버(24U)측으로 크게 팽창하고,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에 밀착되어 평평하게 된다.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은 상부 다이어프램(22U)이 고온으로 가열된 상부 열반(20)에 접촉하여 열화 또는 열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은 상부 열반(20)의 하면과 평행하게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다이어프램(22U)은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에 밀착했을 때에, 상부 열반(20)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균일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다. 프레스 성형 전에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을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을 예열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43L)도 상술한 상부 다이어프램 보호판(23U)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한편, 하부 다이어프램(42L)은 하부 챔버(44L)의 내압(P2)과 주챔버(26)의 내압(P1)의 차가 비교적으로 작기 때문에,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43L)에는 접촉하지 않고, 내압차에 따라 하부 챔버(44L) 측으로 팽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다이어프램(42L) 위에 피가공물(W)을 실은 상태에서, 하부 다이어프램(42L)이 피가공물(W)의 하면을 따라 만곡하는 내압차를 미리 계산에 의해 또는 실험적으로 구하고, 구해진 내압차가 하부 다이어프램(42L)에 겹치도록, 기압 제어 장치(3)가 하부 챔버(44L)의 내압(P2)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피가공물(W)은 그 하면의 대략 전체가, 동일한 곡률로 팽창한 하부 다이어프램(42L)에 의해, 대략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피가공물(W)에 가해지는 변형이 적은 상태에서 큐어링 처리가 행해진다. 그 결과, 잔류 응력이 적고, 신뢰성이 높은 제품(피가공물(W))이 얻어진다.
또한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가공물(W)이 평탄한 바닥면을 갖는 경우에는, 하부 챔버(44L)가 외부 챔버(10)에 개방되도록 3포트 전자 밸브(47)를 전환하여(개방 상태), 하부 챔버(44L)와 주챔버(26)의 내압차를 크게 한다. 그 결과, 하부 다이어프램(42L)은 하부 챔버(44L)측으로 크게 팽창하여,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43L)에 밀착하여 평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피가공물(W)은 평탄한 하부 다이어프램(42L)에 의해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변형이 적은 상태에서 큐어링 처리가 행해지고, 그 결과, 잔류 응력이 적어, 신뢰성이 높은 제품(피가공물(W))이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라미네이트 장치(100)의 정면 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는 1단의 라미네이트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지만, 제 2 실시형태는, 상부 열반(120)과 하부 열반(1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열반(130)을 설치한 다단 라미네이트 장치에의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본 실시형태의 라미네이트 장치(100)는 1개의 중간 열반(130)을 구비하고 있지만, 상부 열반(120)과 하부 열반(140) 사이에 2개 이상의 중간 열반(130)이 상하로 나열되어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중간 열반(1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하부 챔버 유닛(130L) 및 상부 챔버 유닛(130U)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부 챔버 유닛(130U)은 상부 열반(120)의 하면에 부착된 상부 챔버 유닛(120U)(제 1 실시형태에서의 상부 챔버 유닛(20U)에 상당)과 동일한 것이며, 하부 챔버 유닛(130L)은 하부 열반(140)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 챔버 유닛(140L)(제 1 실시형태에서의 하부 챔버 유닛(40L)에 상당)과 동일한 것이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라미네이트 장치(1)의 본체(1a) 전체를 외부 챔버(10) 내에 수용하고, 외부 챔버(10)를 통하여 각 챔버(상부 챔버(24U), 하부 챔버(44L))의 내압을 제어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챔버(10)를 설치하지 않고, 각 챔버 유닛(상부 챔버 유닛(120U, 130U), 하부 챔버 유닛(130L, 140L))을 기압 제어 장치(103)에 직접 접속하고, 기압 제어 장치(103)에 의해 각 챔버 유닛의 내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용적이 큰 외부 챔버(10) 전체를 진공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공 처리의 소요 시간이 대폭 삭감되어, 전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프레임(60A, 60B)이 상부 챔버 유닛(20U, 30U)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W)을 싣는 하부 챔버 유닛(130L, 140L)의 상면이 완전히 평탄하게 되어, 라미네이트 장치(100)에의 피가공물(W)의 반입/반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장치(100)의 상부 열반(120) 및 중간 열반(130)에는,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받이판(120b 및 130b)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 장치(100)의 프레임(110)에는, 폭 방향(도 5에서의 좌우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2쌍의 열반 지지 기구(112)(앞쪽의 한 쌍만이 도시되어 있음)가 부착되어 있다. 열반 지지 기구(112)는 라미네이트 장치(100)에 가공 전의 피가공물(W)을 반입하거나, 또는 라미네이트 장치(100)로부터 가공 후의 피가공물(제품)(W)을 반출할 때에, 상하의 챔버 유닛의 간격을 두기 위하여, 반송하는 피가공물(W)의 바로 위의 열반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기구이다.
열반 지지 기구(112)는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핀(112a)을 구비하고 있다. 열반 지지 기구(112)는 제어부(102)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02)에 의해 가동핀(112a)의 구동이 제어된다. 열반 지지 기구(112)는, 가동핀(112a)이 퇴피(본체(100a)의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부 열반(120) 및 중간 열반(130)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가동핀(112a)이 돌출(본체(100a)의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하면, 상부 열반(120)의 받이판(120b) 또는 중간 열반(130)의 받이판(130b)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라미네이트 장치(100)에 피가공물(W)을 반출/반입할 때의 라미네이트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라미네이트 가공(프레스 가공) 중은,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은 퇴피하여, 하부 열반(140) 위에 중간 열반(130)이 재치되고, 중간 열반(130) 위에 상부 열반(120)이 재치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하부 열반(140)의 위에 쌓아 포개진 중간 열반(130) 및 상부 열반(120)이 하부 열반(140)과 함께 상하동한다.
상부 열반(120)과 중간 열반(130) 사이에 피가공물(W)을 반출/반입할 때는, 상부 열반(120)의 받이판(120b)의 위치가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보다도 조금 높아질 때까지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상승시킨다. 다음에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을 상부 열반(120)측으로 돌출시킨다. 그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강하시키면, 상부 열반(120)의 받이판(120b)의 하면이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과 맞닿고, 상부 열반(120)은 2쌍의 가동핀(112a)의 위에 재치된다. 하부 열반(140)을 더욱 강하시키면, 중간 열반(130)은 하부 열반(140)과 함께 강하하지만, 상부 열반(120)은 2쌍의 가동핀(112a)에 의해 지지되어, 그 이상 강하하지 않기 때문에, 중간 열반(130)이 상부 열반(120)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상부 열반(120)과 중간 열반(130)의 간격이 피가공물(W)의 반출/반입에 충분한 크기에 달하면, 유압 실린더(150)의 구동을 정지한다.
계속해서, 중간 열반(130)과 하부 열반(140) 사이에 피가공물(W)을 반출/반입하는 경우에는, 상부 열반(120)이 중간 열반(130) 위에 재치되어, 받이판(120b)이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으로부터 조금 들뜨게 될 때까지,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상승시킨다. 다음에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을 퇴피시키고나서, 중간 열반(130)의 받이판(130b)의 위치가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보다도 조금 높아질 때까지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상승시킨다. 다음에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을 중간 열반(130)측으로 돌출시키고 나서,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강하시키면, 중간 열반(130)의 받이판(130b)의 하면이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과 맞닿고, 중간 열반(130)은 2쌍의 가동핀(112a) 위에 재치된다. 하부 열반(140)을 더욱 강하시키면, 중간 열반(130)은 2쌍의 가동핀(112a)에 의해 지지되어, 그 이상 강하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열반(140)이 중간 열반(130)으로부터 떨어진다. 그리고, 중간 열반(130)과 하부 열반(140)의 간격이 피가공물(W)의 반출/반입에 충분한 크기에 달하면, 유압 실린더(150)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피가공물(W)의 반출/반입이 끝나면, 중간 열반(130)이 하부 열반(140) 위에 재치되고, 중간 열반(130)의 받이판(130b)이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으로부터 조금 들뜨게 될 때까지,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여 하부 열반(140)을 상승시키고나서, 각 열반 지지 기구(112)의 가동핀(112a)을 퇴피시킨다.
이상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열반의 가열에 전열 히터가 사용되고 있지만, 다른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열반을 가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06/10386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열반에 설치된 유로에 실리콘 오일 등의 열매를 흘림으로써 열반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 및 진공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예를 들면, 다각 통 형상)의 상부(하부)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이나 진공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평판 형상의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피가공물(W)의 하면과 같은 형상을 갖는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큐어링 처리 시에는, 주챔버의 내압을 하부 챔버의 내압보다도 충분히 높게 하여, 하부 다이어프램을 하부 다이어프램 성형판에 밀착시킴으로써 하부 다이어프램을 피가공물(W)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가공물(W)은 하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잔류 응력이 적어, 신뢰성이 높은 제품(피가공물(W))을 얻을 수 있다.
1, 100…라미네이트 장치
2, 102…제어부
3, 103…기압 제어 장치
4, 104…유압 제어 장치
20, 120…상부 열반
30, 130…중간 열반
40, 140…하부 열반
50…유압 실린더
W…피가공물(적층체)

Claims (34)

  1. 상부 공간과 주챔버를 상하로 칸막이하는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주챔버와 하부 공간을 상하로 칸막이하는 탄성막인 하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주챔버 내와,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기압 제어 장치와,
    상기 주챔버 내에 배치되는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기압 제어 장치가,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하여,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가열된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처리와,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 크게 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비진공하에서 가열하는 큐어링 처리
    를 행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제어 장치가,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이 만곡한 볼록면인 경우에, 상기 큐어링 처리에서,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이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을 따라 만곡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대략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주챔버 내와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 내에 상기 다이어프램과 대향하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다이어프램 성형판을 구비하고,
    상기 기압 제어 장치가,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이 평탄면인 경우에, 상기 큐어링 처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이 상기 다이어프램 성형판에 밀착하여 평탄하게 성형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대략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주챔버 내와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을 하면에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공간을 기밀로 둘러싸는 상부 챔버 유닛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을 상면에 구비하고, 상기 하부 공간을 기밀로 둘러싸는 하부 챔버 유닛과,
    상기 상부 챔버 유닛과 상기 하부 챔버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진공 프레임과,
    상기 상부 챔버 유닛 및 상기 하부 챔버 유닛의 적어도 일방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유닛과 상기 하부 챔버 유닛으로 상기 진공 프레임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주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상기 상부 챔버 유닛이 하면에 고정된 상부 열반과,
    상기 상부 열반을 가열하는 상부 열반 가열 수단과,
    상기 하부 챔버 유닛이 상면에 고정된 하부 열반과,
    상기 하부 열반을 가열하는 하부 열반 가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열반의 하면 및 상기 하부 열반의 상면에 원적외선 방사 재료의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챔버 유닛 및 상기 하부 챔버 유닛이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고정 프레임의 각각은 상하 방향에서의 일단면이 상기 상부 열반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 열반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하 방향에서의 타단면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의 개구가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 또는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기밀로 막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반에는 상기 상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제 1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열반에는 상기 하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제 2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 구멍이 상기 상부 열반의 하면과 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통기 구멍이 상기 하부 열반의 상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반, 상기 상부 챔버 유닛, 상기 진공 프레임, 상기 하부 챔버 유닛 및 상기 하부 열반을 수용하고, 상기 기압 제어 장치에 접속된 외부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기 구멍 및 상기 제 2 통기 구멍이 상기 외부 챔버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외부 챔버의 기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반, 상기 상부 챔버 유닛, 상기 진공 프레임, 상기 하부 챔버 유닛 및 상기 하부 열반을 수용하고, 상기 기압 제어 장치에 접속된 외부 챔버와,
    3포트 전환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3포트 전환 밸브의 제 1 포트가 상기 제 2 통기 구멍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3포트 전환 밸브의 제 2 포트가 상기 외부 챔버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3포트 전환 밸브의 제 3 포트가 상기 기압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접속되도록 상기 3포트 전환 밸브가 전환되었을 때, 상기 외부 챔버의 기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이 제어되고,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접속되도록 상기 3포트 전환 밸브가 전환되었을 때,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이 상기 기압 제어 장치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 구멍 및 상기 제 2 통기 구멍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기압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상기 상부 챔버 유닛이 하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챔버 유닛이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열반과 상기 하부 열반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중간 열반과,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 열반을 각각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열반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열반의 상면 및 하면에 원적외선 방사 재료의 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열반에는,
    상기 상부 챔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제 1 통기 구멍과,
    상기 하부 챔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제 2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 구멍이 상기 중간 열반의 하면과 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통기 구멍이 상기 중간 열반의 상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5.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 열반 또는 상기 중간 열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 열반 또는 상기 중간 열반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다이어프램 보호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6.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유압 실린더이며, 이 유압 실린더의 램에 상기 하부 열반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7. 제 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프레임에는 상기 기압 제어 장치에 접속된 상기 주챔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제 3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 구멍이,
    상기 진공 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뻗는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뻗어 상기 진공 프레임의 외주면으로 개구하는 제1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뻗어 상기 진공 프레임의 내주면으로 개구하는 제2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가 상기 진공 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퍼지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를 기체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보다도, 상기 제2부를 기체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제어 장치가, 상기 프레스 처리에 있어서,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진공으로 하고,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을 대기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제어 장치가, 상기 프레스 처리전 또는 상기 큐어링 처리에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이 팽창하여 상기 다이어프램 보호판에 밀착하도록,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3.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성형판 및 상기 다이어프램 보호판의 적어도 일방에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적층체이며, 상기 피가공물을 가열하에서 프레스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구성 부재를 일체로 접합하는 라미네이트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25.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하면이 막힌 상부 챔버와, 탄성막인 하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면이 막힌 하부 챔버로 상하에서 끼워 넣어 기밀한 주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주챔버의 기압을 상기 상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상기 주챔버 내에 배치된 피가공물이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프레스되도록 구성된 환상의 진공 프레임으로서,
    상기 주챔버에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통기 구멍을 갖고, 이 통기 구멍이
    상기 진공 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뻗는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뻗어 상기 진공 프레임의 외주면으로 개구하는 제1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뻗어 상기 진공 프레임의 내주면으로 개구하는 제2부
    를 갖는 진공 프레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가 상기 진공 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퍼지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프레임.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를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압력 손실보다도, 상기 제2부를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압력 손실쪽이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프레임.
  28.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탄성막인 상부 다이어프램 및 하부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과 각각 기밀로 칸막이된 주챔버 내에 피가공물을 배치하고,
    상기 피가공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도 낮게 하여,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서 가열된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처리를 행하고,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보다 크게 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비진공 상태에서 가열하는 큐어링 처리를 행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큐어링 처리에서,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이 만곡한 볼록면인 경우에,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이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을 따라 만곡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대략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주챔버 내와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평탄한 상면을 갖는 다이어프램 성형판을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과 대향하여 상기 하부 공간 내에 배치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이 평탄면인 경우에, 상기 큐어링 처리에서,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이 상기 다이어프램 성형판의 상면과 밀착하여 평탄하게 성형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대략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주챔버와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대향하여 상기 상부 공간측에 열반을 배치하고,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열반 사이에,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열반의 접촉을 방지하는 다이어프램 보호판을 배치하고,
    상기 프레스 처리전 또는 상기 큐어링 처리에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이 상기 상부 공간측으로 팽창하여 상기 다이어프램 보호판과 밀착하도록, 상기 주챔버와 상기 상부 공간의 기압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32.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사이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진공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위에 상기 피가공물을 싣고 나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일방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과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으로 상기 진공 프레임을 기밀로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주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33. 제 2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처리에서, 상기 주챔버 내의 기압을 진공으로 하고,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의 기압을 대기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34. 제 28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적층체이며, 상기 피가공물을 가열하에서 프레스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구성 부재를 일체로 접합하는 라미네이트 가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방법.
KR1020157035031A 2013-05-20 2013-11-25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 KR101737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5986 2013-05-20
JPJP-P-2013-105986 2013-05-20
PCT/JP2013/081609 WO2014188619A1 (ja) 2013-05-20 2013-11-25 プレス装置、真空枠及びプレス成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223A true KR20160006223A (ko) 2016-01-18
KR101737604B1 KR101737604B1 (ko) 2017-05-18

Family

ID=5193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31A KR101737604B1 (ko) 2013-05-20 2013-11-25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1074B2 (ko)
KR (1) KR101737604B1 (ko)
TW (1) TWI628072B (ko)
WO (1) WO20141886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98A (ko) * 2016-09-30 2018-04-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pf 기반 비정형 외장패널 3d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7278A (ko) * 2018-12-03 2020-06-12 엔트리움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용 핫프레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5321B2 (ja) * 2015-01-21 2018-08-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494018B1 (ko) * 2015-10-13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CN106976297B (zh) * 2017-03-01 2018-11-30 浙江尚越新能源开发有限公司 柔性太阳能电池组件热压装置
EP3587093A1 (en) * 2018-06-28 2020-01-01 Essilor International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functional film intended to be laminated on an optical article
FR3083155B1 (fr) * 2018-06-29 2020-12-18 Roset Sas Presse pour le collage d'une housse sur une structure de mobilier utilisant une depression
JP7272640B2 (ja) * 2019-04-26 2023-05-12 新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ワーク装着装置及びワーク貼合システム
CN110676335B (zh) * 2019-10-01 2022-02-01 秦皇岛博硕光电设备股份有限公司 光伏组件热压固化方法及热压固化所用的压制设备
CN111438974A (zh) * 2020-04-01 2020-07-24 洛阳广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移出式自升降多层负压制板装置
CN111688326A (zh) * 2020-07-18 2020-09-22 常州富工机械设备有限公司 层压系统及其层压工艺
CN115384046A (zh) * 2021-05-24 2022-11-25 深圳市易天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大尺寸面板加压加热脱泡平台
KR102372464B1 (ko) * 2021-06-23 2022-03-10 에너진(주) 가압상태에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압성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6835A (ja) 2011-03-18 2012-10-18 Showa Shell Sekiyu Kk ラミネー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6542A (ja) * 1987-05-08 1988-11-14 Nippon Sheet Glass Co Ltd 積層接着装置
JP2001102614A (ja) * 1999-09-28 2001-04-13 Mitsubishi Heavy Ind Ltd 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20059621A (ko) * 2009-09-10 2012-06-08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트 프레스 장치, 캐리어 플레이트, 라미네이트 가공 시스템 및 라미네이트 방법
JP2012030381A (ja) * 2010-07-28 2012-02-16 Npc Inc ラミネ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6835A (ja) 2011-03-18 2012-10-18 Showa Shell Sekiyu Kk ラミネー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98A (ko) * 2016-09-30 2018-04-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pf 기반 비정형 외장패널 3d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7278A (ko) * 2018-12-03 2020-06-12 엔트리움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용 핫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8072B (zh) 2018-07-01
JPWO2014188619A1 (ja) 2017-02-23
WO2014188619A1 (ja) 2014-11-27
TW201444673A (zh) 2014-12-01
KR101737604B1 (ko) 2017-05-18
JP6211074B2 (ja)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604B1 (ko) 프레스 장치, 진공 프레임 및 프레스 성형 방법
JP5438121B2 (ja) キュア処理装置及びラミネート加工システム
US621193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panels using press and pressurized regions
US8191599B2 (en) Apparatus for laminating a solar module
JP4491049B1 (ja) 熱板加熱による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US6913057B2 (en) IC-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201202731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minating modules
CN102319956A (zh) 膜动聚合物微流控芯片的基板与隔膜焊接方法
US20170057152A1 (en) Thermoforming apparatus
KR20130096133A (ko) 라미네이팅 장치
WO2014096924A1 (en) Laminator for solar modules using a tube like pressing member
JP5359138B2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ラミネート方法
KR101412512B1 (ko)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886504B2 (ja) 複合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TWI805679B (zh) 應用於層壓至少一層堆疊之層壓裝置及方法
JP2015112635A (ja) プレス成形型及びプレス成形装置
JP2011158737A (ja) ワーク貼合装置
JP4106661B2 (ja) 板状熱可塑性樹脂と金型の真空パック装置
JP2019031018A (ja) 熱成形装置及び熱成形方法
TW201507860A (zh) 衝壓裝置
CN112103372B (zh) 柔性板压式太阳电池组件层压机及层压方法
JP2023154839A (ja) 基板貼り付け装置及び基板貼り付け方法
KR20220123577A (ko) 워크와 시트재의 일체화 방법, 워크와 시트재의 일체화 장치, 및 반도체 제품의 제조 방법
JPH05259337A (ja) 圧着装置
JP2001313407A (ja) ラミネ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