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607A -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 Google Patents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607A
KR20160005607A KR1020140084808A KR20140084808A KR20160005607A KR 20160005607 A KR20160005607 A KR 20160005607A KR 1020140084808 A KR1020140084808 A KR 1020140084808A KR 20140084808 A KR20140084808 A KR 20140084808A KR 20160005607 A KR20160005607 A KR 2016000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ough
clay
present
e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제원
Original Assignee
민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제원 filed Critical 민제원
Priority to KR102014008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607A/ko
Publication of KR2016000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기간이 현저히 빠르며, 굳는 현상, 수축 현상 및 삵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개량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과정과 유통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량의 물과 소금을 부어 쌀가루에 섞어주고; 밀가루,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색소를 넣고 다시 한번 반죽하고; 반죽후 펀칭기에 3분정도 펀칭하고 카놀라유를 적당량 부어 펀칭하고; 펀칭 후 시루에 고루 넣어주고; 고압스팀기에 증자하며; 펀칭기에 넣고 펀칭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MANUFACTURING METHOD FOR EDIBLE CLAY AND EDIBLE CL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기간이 현저히 빠르며, 굳는 현상, 수축 현상 및 삵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개량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과정과 유통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찰흙, 지점토, 칼라점토 등의 재료가 미술 교육용이나 장식품 제작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형 재료 중 찰흙은 가격이 저렴한 대신 특성상 응집력이 매우 약하고 급속히 건조되어 균열이 잘 발생되고, 찰흙 반죽은 손에 묻기 쉽고 빠르게 건조되어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지점토나 칼라 점토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매우 비싸고 공기 중에 방치시 쉽게 굳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점토나 칼라 점토의 주재료는 화학물질이므로 장시간 이용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 재료, 예를 들면 쌀이나 밀가루를 이용하여 점토를 만드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쌀이나 밀가루를 이용하여 점토를 만드는 경우, 그 물성으로 인하여 단시간에 쉽게 굳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반죽이 쉬운 밀가루보다는 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쌀은 투명도로 보아 크게 멥쌀과 찹쌀로 구분하며, 멥쌀은 투명한데 비해 찹쌀은 뽀얗고 불투명하다. 쌀의 주성분인 전분은 다당류인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구성된다. 그 중 찹쌀은 주로 아밀로펙틴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반면, 멥쌀은 15~20%의 아밀로오스와 80~85%의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찹쌀로 밥을 짓거나 떡을 만들면 멥쌀에 비해 매우 차진 성질을 나타내며, 오래 두어도 잘 굳어지지 않고, 탄력성과 부드러움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멥쌀과 찹쌀은 전분 조직상의 큰 차이 때문에 같은 방법으로 가공해도 나름대로 용도가 다르며 가공식품의 품질에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전분의 노화(retrogradation)란 호화(gelatinization)된 전분을 상온에서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전분 분자들이 수소 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결정성 구조를 형성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분의 수소 결합 형성으로 인해 전분에 존재하고 있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서 제품이 딱딱하게 굳어지게 된다. 전분의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에는 전분의 종류, 전분 내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조성, 저장온도, 수소이온농도지수(pH), 수분함량 등의 물리적, 화학적 조건뿐만 아니라 각종 첨가물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트레할로스, 계면활성제, 유화제, 올리고당, 생전분 당화형 아밀라제를 첨가하여 노화를 억제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주로 첨가제, 보존제 등에 의한 노화억제 방법이 대부분이어서 예를 들면 식품 첨가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고도 질감이 우수하고, 저장기간이 향상되어 오랫동안 상온에서 굳지 않는 전분 함유 점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2358호(2013.11.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기간이 현저히 빠르며, 굳는 현상, 수축 현상 및 삵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개량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과정과 유통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적량의 물과 소금을 부어 쌀가루에 섞어주고; 밀가루,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색소를 넣고 다시 한번 반죽하고; 반죽후 펀칭기에 3분정도 펀칭하고 카놀라유를 적당량 부어 펀칭하고; 펀칭 후 시루에 고루 넣어주고; 고압스팀기에 증자하며; 펀칭기에 넣고 펀칭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기간이 현저히 빠르며, 굳는 현상, 수축 현상 및 삵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개량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과정과 유통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경제적이고, 특히 식용가능한 천연재료이므로 어린 아이들이 이 식용 점토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먹거나 삼키더라도 인체에 심각한 해를 입히지 않으며 장시간 조작하더라도 손이 거칠어지지 않고, 기존의 점토 재료보다 촉감이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장시간 방치하여도 쉽게 균열이 생기지 않으므로 소정 분야에서 적용된 제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미술작품, 공예품, 인테리어 소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떡피가 질겨지는 현상, 수축되는 현상, 두꺼워지는 현상, ?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증자시간, 식힘온도, 펀칭시간을 줄이고, 밀가루 대신 글루텐을 사용함으로서 제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점토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점토를 쿠기에 붙여주는 놀이 교육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점토와 다른 재료인 쵸콜렛을 이용하여 식용 작품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예에 따른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클레이 제조 방법은 간단히 설명하면, 물첨가량(22~35), 증자시간(1~5분), 식힘온도(50~60도), 글루텐(0.3~1%), 펀칭시간(1~3분)에 특징이 있으며, 펀칭작업과 휴지작업은 공정시간을 현저히 단축(1일 완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용 쌀 점토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곡물은 멥쌀, 찹쌀, 보리, 귀리, 밀, 수수, 옥수수, 콩, 녹두, 율무, 조, 기장, 팥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멥쌀이다. 또한 식용 쌀 점토를 제조하기 위하여 멥쌀을 사용할 경우, 그 용도에 따라 백미, 현미, 흑미, 홍국쌀, 밀가루를 제외한 다양한 전분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떡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용 클레이 제조방법은 통상의 떡 제조 방법처럼 곡물을 수침한 후, 물을 제거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수침은 곡물 낱알이 물을 충분히 흡수하는데 필요한 공정으로 2 내지 4시간 동안 진행된다. 이후 수침된 곡물은 20 내지 40분간의 물 제거 단계를 통해 낱알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물이 제거되면 곡물에 소금과 전분을 첨가하고 분쇄기에 넣어 분쇄시킨다(S200). 소금은 제조된 떡의 색상을 선명하게 하고, 맛을 돋구며, 미생물의 번식과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서, 소금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예, 함초 등)이라면 본 발명에서 소금과 대체물로 사용할 수 있다. 전분은 맛과 향을 더욱 더 증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금의 첨가량은 사용되는 곡물을 기준으로 0.5~1.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이다. 전분의 첨가량은 사용되는 곡물을 기준으로 0.3~0.7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이다. 또한 소금은 일반적으로는 곡물의 분쇄 전에 첨가되나, 분쇄물이 형성된 후에도 첨가될 수 있다.
분쇄된 곡물이 준비되면, 식용 쌀점토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제공하고자 물을 첨가하고, 이후 재분쇄한다(S30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의 물의 첨가량은 S100 단계의 곡물을 기준으로 22~4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2~29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7 중량%이다. 첨가하는 물의 양이 22 중량% 미만인 경우 떡 반죽의 굳음 속도가 빨라져 굳음 방지에 적절하지 않으며, 물 첨가량이 40 중량% 초과인 경우 예컨대, 식용 쌀점토 성형시 반죽 늘어짐 현상으로 성형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쇄는 떡 제조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쇄방법일 수 있으며, 제조하려는 식용 클레이의 종류에 따라 분쇄기의 롤러크기 및 분쇄 횟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식용 쌀점토(클레이)를 제조하기 롤러 간격을 0.005~0.015 mm로 맞춘 분쇄기로 1차 분쇄하고, 물을 첨가하고 롤러 간격을 0.4~1 mm로 맞춘 분쇄기로 2차 분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물이 제거된 곡물을 롤러 간격을 0.01mm로 맞춘 분쇄기로 1차 분쇄하고, 롤러 간격을 1 mm로 맞춘 분쇄기로 2차 분쇄할 수 있다.
재분쇄된 곡물은 섭씨 85~100도 고운의 증기에서 증자된다(S400). 증자시간은 제조하려는 떡 반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2 내지 7분, 바람직하게는 5분이다. 증자시간이 2분 미만이면 김오름 후 떡이 충분히 쪄지기가 부족한 시간이며, 7분을 초과하면 증자 후 언어진 반죽이 수축되거나 질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물 첨가량 외에 증자된 곡물에 대한 식힘 시간, 글루텐 첨가량, 펀칭 시간, 제병횟수 및 전자렌지를 조절함으로써 식용 쌀점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증자된 곡물의 식힘(S500)은 상온에서 반죽 내부의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45 ~ 62도, 바람직하게는 50 ~ 6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55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곡물 증자 후 식힘 시간이 62도 이상일 경우, 냉동고(-20도이상)에서 반죽을 꺼내서 해동 후 떡 반죽 성형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성형하기 좋게 만들기 위해서 전자렌지에 데울 경우에는 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이 급속히 진행한다. 45도 이하일 경우, 냉동고(-20도이상)에서 떡 반죽을 꺼내서 해동 후 말랑되는 성질이 퇴화되며 때에 따라서는 떡 반죽상태의 경도가 굳어가는 현상이 발생함으로 제조 효율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용 쌀점토를 제조하기 위하여 식힘 시간 이후 글루텐을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루텐은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글루텐은 상기 S100 단계의 곡물을 기준으로 0.02~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7 중량%을 첨가할 수 있다. 글루텐 첨가량이 0.02 중량% 미만인 경우, 클레이 반죽이 일정 시간(예, 24시간)을 경과하면 그 경도가 클레이 반죽의 굳음 방지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높아지게 되며, 0.2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도는 낮아질 수 있으나 클레이 반죽을 가지고 성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글루텐이 첨가된 후, 반죽에 글루텐이 균일하게 섞이고, 반죽 조직에 부착성, 응집성 등 특정 물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펀칭을 실시한다(S600).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펀칭시간은 1~5분이며, 바람직하게는 1~2분이다. 5분을 초과하여 펀칭하면 떡 반죽의 조직이 너무 질겨져거나 수축현상이 일어나 품질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증자하여 펀칭한 클레이 반죽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펀칭한 떡을 압출하는 단계(S700)를 추가로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압출은 그 목적에 따라 1~3회 실시한다. 압출을 2회 실시하면 1회 압출보다 떡반죽의 표면이 더욱 매끈해지나, 3회를 초과하면 떡반죽의 조직이 너무 질겨져서 압출이 효과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용 쌀점토(식용 클레이)를 장기간 유통하기 위해 냉장·냉동고에 보관(S800)해야 하는데 해동 후 떡반죽의 경도가 성형하기에 좋지 않게 될 수 있으며, 그 목적에 따라 전자렌지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30초~2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분~1분30초를 사용 할 수 있다. 30초 미만인 경우 떡반죽이 성형하기에 적합하게 말랑거리지 않을 수 있으며, 2분 이상인 경우 반죽 늘어짐 현상으로 성형을 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클레이 반죽은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고도 떡의 노화를 억제하여 종래의 떡에 비해 더 오랫동안 촉촉하고 말랑말랑한 질감으로 식감이 우수하며, 반죽의 질긴현상을 향상시키고, 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지연시키고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에 거부감이 없는 떡반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레이 반죽은 오랫동안 말랑말랑한 질감을 유지하고 저장성(냉장·냉동고)이 향상되어 대량생산 및 장기 유통이 가능하며, 국내 쌀 소비 확대 및 한식의 세계화 사업을 위한 수출상품 개발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과 제조시간 단축으로 기존 생산량보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장기 유통이 가능하며, 더 많은 쌀 소비 확대 및 한식의 세계화 사업을 위한 수출상품 개발의 활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레이는 바람직하게는 식용 쌀점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병, 환병, 어름소편, 골무떡, 절편, 쑥절편, 송기절편, 각색절편, 대절편, 세절편, 양색절편, 개피떡, 쑥개피떡, 단자, 석이단자, 쑥단자, 무지개떡, 송편, 시루떡, 백설기, 꿀떡 또는 망개떡 등의 각종 떡 제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떡을 가공한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가공식품은 떡볶이, 떡 케이크, 떡국, 삼각 떡김밥, 떡 김밥롤, 떡 김밥롤, 떡 핫바, 떡 피, 떡 샌드위치, 빙수용 떡, 떡 생면, 떡 피자, 떡 새일심 또는 퓨전 떡 등일 수 있고 고부가 식품 산업으로는 유아·성인교육, 체험학습, 도구사업, 3D 떡장식 유통사업, 출판사업, 프랜차이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
- 클레이 반죽: 원재료 또는 성분명 및 배합비율
(1) 흰색
멥쌀 94%, 신안천일염 1%, 밀가루 3%, 카놀라유,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2) 노랑
멥쌀 93%, 신안천일염 1%, 밀가루 3%, 카놀라유, 천연색소 혼합제제(치자황색소, 덱스트린), 단호박,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3) 빨강
멥쌀 93%, 신안천일염 1%, 밀가루 3%, 카놀라유, 천연색소 혼합제제(코치닐추출색소,구연산삼나트륨,메타인산나트륨,덱스트린), 딸기,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4) 파랑
멥쌀 93%, 신안천일염 1%, 밀가루 3%, 카놀라유, 천연색소 혼합제제(치자청색소,덱스트린), 콩가루,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 앙금소: 원재료 또는 성분명 및 배합비율
(1) 사과
흰강남콩 26.9%, 리마콩 16.2%, 사과농축액, 건사과, 사과후레바, 말티톱시럽, 치아황산나트륨, 정백당, 물엿, 정제염
(2) 블루베리
흰강남콩 26.9%, 리마콩 16.2%, 블루베리농축액, 건블루베리, 말티톱시럽, 치아황산나트륨, 정백당, 물엿, 정제염
(3) 딸기
흰강남콩 26.9%, 리마콩 16.2%, 딸기농축액, 딸기, 말티톱시럽, 치아황산나트륨, 정백당, 물엿, 정제염
(4) 팥
팥 39.9%, 말티톱시럽, 물엿, 정백당, 변성전분, 정제염
위와 같이 준비된 색상별 재료와 앙금소를 마련한다.
1. 적량의 물과 소금을 부어 쌀가루에 섞어준다.
2. 밀가루,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색소를 넣고 다시 한번 반죽한다.
3. 반죽후 펀칭기에 3분정도 펀칭하고 카놀라유를 적당량 부어 다시 2분정도 펀칭한다.
4. 펀칭 후 시루에 고루 넣어준다.
5. 고압스팀기에 25분 증자한 후 펀칭기에 넣고 3분정도 펀칭을 해준다.(떡메로 치는 원리)
6.중량별 포장한 후 냉동(영하 18℃ 이하) 보관한다.
다시 말해서,
1. 적량의 물과 소금을 부어 쌀가루에 섞어준다.
2. 밀가루,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색소를 넣고 다시 한번 반죽한다.
여기에서, 쌀빵을 만들 경우 쌀은 글루텐이 없어 100% 쌀로 기존 질감의 빵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착안 밀가루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트레할로오스는 수분보유능력이 뛰어나고 마르거나 얼린 경우에도 제품의 질감을 보존하는데 유용한 재료이므로 선택하며, 미생물의 성장도 억제하는 재료이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는 응집력이나 점도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유화안정성, 보습성, 냉해동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소스류나 튀김옷에 활용할 수 있다.
3. 반죽후 펀칭기에 3분정도 펀칭하고 카놀라유를 적당량 부어 다시 2분정도 펀칭한다. 여기에서, 펀칭은 고르게 믹싱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카놀라유 투입은 부드러운 질감과 수분증발 현상을 막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즉, 보습력이 높은 오일인 올리브유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올리브유 대체 오일로 카놀라유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놀라유를 후첨하는 이유는 물과의 분리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후첨한다.
4. 펀칭 후 시루에 고루 넣어준다.
5. 고압스팀기에 25분 증자한 후 펀칭기에 넣고 3분정도 펀칭을 해준다. 여기에서, 펀칭이유는 떡의 질감을 부드럽게 해주기 위해서이다.
6. 중량별 포장한 후 냉동(영하 18℃ 이하) 보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기간이 현저히 빠르며, 굳는 현상, 수축 현상 및 삵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개량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과정과 유통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경제적이고, 특히 식용가능한 천연재료이므로 어린 아이들이 이 식용 점토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먹거나 삼키더라도 인체에 심각한 해를 입히지 않으며 장시간 조작하더라도 손이 거칠어지지 않고, 기존의 점토 재료보다 촉감이 부드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방치하여도 쉽게 균열이 생기지 않으므로 소정 분야에서 적용된 제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미술작품, 공예품, 인테리어 소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떡피가 질겨지는 현상, 수축되는 현상, 두꺼워지는 현상, ?는 현상(물성이 물러지는 현상)을 증자시간, 식힘온도, 펀칭시간을 줄이고, 밀가루 대신 글루텐을 사용함으로서 제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수침
S200: 분쇄
S300: 재분쇄
S400: 증자
S500: 식힘
S600: 펀칭
S700: 압출
S800: 보관

Claims (2)

  1. 적량의 물과 소금을 부어 쌀가루에 섞어주고;
    밀가루, 트레할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색소를 넣고 다시 한번 반죽하고;
    반죽후 펀칭기에 3분정도 펀칭하고 카놀라유를 적당량 부어 펀칭하고;
    펀칭 후 시루에 고루 넣어주고;
    고압스팀기에 증자하며;
    펀칭기에 넣고 펀칭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따른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KR1020140084808A 2014-07-07 2014-07-07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KR20160005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08A KR20160005607A (ko) 2014-07-07 2014-07-07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08A KR20160005607A (ko) 2014-07-07 2014-07-07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607A true KR20160005607A (ko) 2016-01-15

Family

ID=5517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808A KR20160005607A (ko) 2014-07-07 2014-07-07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6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014A (ko) * 2018-12-14 2021-06-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건식쌀가루를 이용한 쌀점토 제조방법
KR102592422B1 (ko) * 2023-04-12 2023-10-23 주식회사 굿마인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58B1 (ko) 2012-06-28 2013-11-22 주식회사 삼양사 쌀을 원료로 한 점토놀이용 식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58B1 (ko) 2012-06-28 2013-11-22 주식회사 삼양사 쌀을 원료로 한 점토놀이용 식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014A (ko) * 2018-12-14 2021-06-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건식쌀가루를 이용한 쌀점토 제조방법
KR102592422B1 (ko) * 2023-04-12 2023-10-23 주식회사 굿마인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505B1 (ko) 굳지 않는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떡
KR101834044B1 (ko) 수리취를 포함하는 멥쌀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5282B1 (ko) 발효 알파미분의 제조방법
KR20170024993A (ko) 밥류 및 떡류의 전분 노화억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4045B1 (ko) 수리취를 포함하는 찹쌀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7632B1 (ko) 열에 안정한 형태유지와 손에 달라붙지 않는 장식용 떡 반죽의 제조방법
KR20100030437A (ko) 떡의 조성물 및 떡의 제조방법
KR20160005607A (ko) 식용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클레이
KR101861901B1 (ko)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9256A (ko) 라이스 클레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이스 클레이
KR101138384B1 (ko) 쌀을 기재로한 카스타드 크림 및 그 제조 방법
CN110833138A (zh) 一种水晶面皮及其制作方法
KR101137501B1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1063000B1 (ko) 멥쌀과 타피오카 알파 전분을 이용한 찰떡의 제조방법
KR101948791B1 (ko)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새미면을 포함하는 쌀 파스타 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8949A (ko) 대추를 이용한 기능성 빵과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5693B1 (ko) 삼채쌀국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삼채쌀국수
WO2017099133A1 (ja) ビーフン様米粉麺類の製造方法
KR102599992B1 (ko) 굳지 않는 감자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감자떡
CN103284022A (zh) 一种草饼的制备方法
KR20160120493A (ko) 쌀을 이용한 면류(실떡) 제조방법
KR20130074056A (ko) 식용 점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점토
JP6749107B2 (ja) 麺生地及び麺の製造方法
JP6463406B2 (ja) 湯伸び抑制剤、及び湯伸び耐性麺の製造方法
JP6862253B2 (ja) 即席麺又は乾麺、及び即席麺用又は乾麺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