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14A -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14A
KR20160004114A KR1020140082585A KR20140082585A KR20160004114A KR 20160004114 A KR20160004114 A KR 20160004114A KR 1020140082585 A KR1020140082585 A KR 1020140082585A KR 20140082585 A KR20140082585 A KR 20140082585A KR 20160004114 A KR20160004114 A KR 20160004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der
smoke
injection
module
trespas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737B1 (ko
Inventor
김창
박도열
오석범
권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8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7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되 출입문 가까이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을 통하여 외부침입자가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자감지모듈;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분사모듈; 외부침입자의 침입에 따른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보안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에 침입하는 외부침입자에 대한 보안시스템을 구성하되, 침입자감지모듈과 분사모듈 및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침입자를 감지하여 이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함과 동시에, 형광액과 스모크를 분사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도주에 따른 소요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이후 외부침입자의 도주시 이의 식별이 용이토록하여,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총체적으로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MIST SMOKE SECURIT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문이나 창문 등을 통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침입하는 외부침입자에 대한 보안시스템을 구성하되, 침입자감지모듈과 분사모듈 및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침입자를 감지하여 이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하며, 형광액과 스모크를 함께 분사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도주에 따른 소요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이후 외부침입자의 도주시 이의 식별이 용이토록하여,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총체적으로 강화토록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도시화가 점점 급격하게 진행되어, 도시인구의 급증과 더불어 범죄가 날로 지능화되면서 더욱 더 흉학해짐에 따라, 이에 따른 철저한 대비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점점 고도화되어 가는 요즘의 범죄의 추세에 비추어서, 보다 안전하게 건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원격 감시를 위한 동영상 전송장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983649호는 피감시 시설측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수의 감시 카메라와 연결되어 각 감시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병렬 방식으로 입력받고, 입력된 각 감시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상향 전송속도로 중앙통제센터측으로 전송하며, 중앙통제센터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1개 이상의 송신장치와, 중앙통제센터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집선하여 중앙통제센터의 수신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장치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상향 전송 속도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하향 전송 속도로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수신모듈을 2개 이상 구비하는 집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를 위한 동영상 전송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원격보안 감시 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그리고, 보안 감시시스템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80120호는 특정장소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가 출력하는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에서 감시할 감시구역과 상기 감시구역의 이상상황 발생기준 및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 및 카메라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을 상기 클라이언트 PC의 요청에 의해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에 제공된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감시구역에 발생된 이상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시스템'을 게시하고 있다.
또한, 한편, 미분무 소화장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432509호는 소화액과 질소를 외부혼합 2유체 방식으로 미세분무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된 미분무 소화장치로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시 방제구역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발생 신호를 콘트롤부에서 수신하여 화재장소의 소화밸브를 개구시켜 소화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된 소화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감지기에 감지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밸브를 개방하고 이의 동작신호를 표시창에 램프점등시켜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부와; 상기 콘트롤부의 메모리된 신호의 명령에 의해 화재시 소화수와 질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소화수 탱크 및 다수의 질소가스 탱크와; 상기 다수의 질소가스 탱크의 질소가스를 하나로 모아 질서가스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집합관과; 상기 이송관 및 DC모터 개폐밸브를 통하여 이송되는 가스를 분무노즐과 소화수 탱크로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를 통하기 분배되는 분무노즐 측의 질소가스 압력과 소화수 탱크측의 질소가스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송관에 설치된 제1, 제2 레귤레이터와;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소화수 탱크로 공급되는 질소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3방향 개폐밸브와; 상기 제 2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절된 질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소화수 탱크내의 소화수가 소화수 이송관을 통하여 분무노즐에서 질소가스와 혼합후 안개분무에 의해 화재를 초기진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화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질소가스와 소화수을 이용한 안개분무 소화 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그리고, 침입물체감시장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471362호는 촬상장치로부터의 화상신호에 기준배경화상에 대한 차분처리를 행하여 소정 감시구역 내의 상기 기준배경화상에 존재하지 않는 물체를 검출하는 물체검출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촬상장치; 상기 촬상장치에 접속되어 그 촬상장치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입력 인터페이스; 중앙처리유닛과, 메모리를 포함하여 상기 화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화상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처리부를 상호접속하는 버스;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물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물체검출장치를 이하와 같이 제어하는 상기 소정 감시구역 내를 다른 시야로 촬상하는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시야가 다른 복수의 화상을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소정 감시구역 내를 소정 주사패턴에 따라 촬상하는 상기 촬상장치로부터의 화상이 순차적으로 상기 처리부에 입력되고, 상기 입력화상의 시야에 따라 상기 기억되어 있는 시야가 다른 복수의 화상 중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입력화상과 상기 판독된 화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의 결과에 의거하여 물체검출처리를 하는 소정 감시구역 내의 물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검출장치를 포함하는 '물체검출방법과 물체검출장치 및 그 물체검출방법을사용한 침입물체감시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도 불구하고, 외부침입자를 감지하여 이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함과 동시에, 외부침입자의 도주에 따른 소요시간을 지연시키고, 이후 외부침입자의 도주시 이의 식별이 용이토록하여,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총체적으로 강화토록 하는 보안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649호(2010.09.15.등록)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0120호(2011.10.31.등록)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2509호(2004.05.11.등록)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1362호(2005.02.01.등록)
본 발명은, 출입문이나 창문 등을 통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침입하는 외부침입자를 감지하여 이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함과 동시에, 형광액과 스모크를 분사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도주에 따른 소요시간을 지연시키고, 이후 외부침입자의 도주시 이의 식별이 용이토록하여,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총체적으로 강화토록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되 출입문 가까이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 또는 창문을 통하여 외부침입자가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자감지모듈; 및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침입자의 침입에 따른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보안업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모듈은, 케이싱 일측에 분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공을 통하여 스모크를 분사하는 스모크분사노즐; 및 상기 출입문 가까이에 장착되어, 형광액을 분사하는 형광액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모크분사노즐은, 상기 실내를 향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스모크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액분사노즐은, 상기 외부침입자를 향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형광액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모크분사노즐이 스모크를 분사하는 시간 및 상기 형광액분사노즐이 형광액을 분사하는 시간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미분무 스모크 분사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침입자감지모듈, 분사모듈 및 통신모듈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이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는 단계; 외부침입자 감지결과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하고, 동시에 형광액 분사를 개시하는 단계; 스모크 분사를 개시하는 단계; 및 형광액 분사 및 스모크 분사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출입문이나 창문 등을 통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침입하는 외부침입자에 대한 보안시스템을 구성하되, 침입자감지모듈과 분사모듈 및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침입자를 감지하여 이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함과 동시에, 형광액과 스모크를 분사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도주에 따른 소요시간을 지연시키고, 이후 외부침입자의 도주시 이의 식별이 용이토록하여,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총체적으로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외부 침입자발생시 실내를 향하여 스모크를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외부 침입자발생시 외부침입자를 향하여 형광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외부 침입자발생시 본 발명의 보안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창문을 통하여 외부 침입자 발생시 실내를 향하여 스모크를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은, 실내(10)에 설치되되 출입문(20) 가까이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20)을 통하여 외부침입자(500)가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자감지모듈(200); 및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분사모듈(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은,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 및 분사모듈(100) 외에도,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에 따른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00); 및 상기 통신모듈(300)로부터 전송되는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보안업체(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00); 및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보안업체(4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이 이루어지는 사건 현장이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에 따른 감지신호를 통신모듈(300)을 통하여 상기 보안업체(400)와 주고받도록 유기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외부 침입자발생시 실내를 향하여 스모크를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사모듈(100)은, 케이싱(110) 일측에 분사공(H)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공(H)을 통하여 스모크(S)를 분사하는 스모크분사노즐120); 및 상기 출입문 가까이에 장착되어, 형광액(L)을 분사하는 형광액분사노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사모듈(100)은, 상기 스모크분사노즐(120)로 스모크(S)를 공급하는 미분무 스모크발생기(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로 형광액(L)을 공급하는 형광액 분사장치(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최초로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이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에 의하여 감지됨에 따라, 비로소 상기 분사모듈(100)이 작동되도록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은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에 의하여 최초로 감지되는데, 여기서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은 감시카메라 또는 알람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외부침입자(500)가 출입문(20)를 통하여 실내(10)로 침입하면, 상기 외부침입자(500)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외부침입자(500)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감지하여 이로써 침입임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은, 외부침입자(500)의 움직임 또는 외부침입자(500)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감지하는 것 외에도, 외부침입자(500)가 실내(10)에 진입했음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며, 그 형태에 제한받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이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이를 보안업체(400)에 비상연락하고, 동시에 형광액(L)의 분사를 개시할 수도 있으며, 스모크(S)의 분사를 개시할 수 있으며, 다만 도 2에서는 외부침입자(500)의 침입발생시 실내(10)를 향하여 미분무형의 스모크(S)를 분사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미분무형의 상기 스모크(S)는, 상기 스모크분사노즐(120)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으로서,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실내(10)에 가득히 채워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외부침입자(500)가 발생되는 경우, 별도로 보안유지에 따른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보안업체(400)에서 출동한 보안요원이 현장에 도착하기까지는 대략 4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나, 반면 최근들어 범죄가 점점 더 지능화됨에 따라, 실내(10)로 침입한 상기 외부침입자(500)가 계획했던 범행을 저지른 다음 현장을 떠나기까지는 오히려 2분이 채 소요되지 않는 현실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모크분사노즐(120)이 구비되는 분사모듈(10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모크분사노즐(120)로부터 다량의 스모크(S)를 상기 실내(10)에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실내(10)로 침입한 외부침입자(500)로 하여금 시야확보가 어려워짐으로서, 외부침입자(500)의 도주에 소요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침입자(500)의 시야확보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보안업체(400)에서 출동한 보안요원이 현장에 도착할때까지 상기 외부침입자(500)가 상기 실내(1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은,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모크분사노즐(120)이 스모크(S)를 분사하는 시간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모크분사노즐(120)이 스모크(S)를 분사하는 시간은 상기 스모크(S)가 채워지는 실내(10)의 크기에 따라 설정ㆍ변경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3은 외부 침입자발생시 외부침입자를 향하여 형광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사모듈(100)은, 케이싱(110)의 분사공(H)을 통하여 형광액(L)을 분사하는 형광액분사노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사모듈(100)은,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로 형광액(L)을 공급하는 형광액 분사장치(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최초로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이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에 의하여 감지됨에 따라, 비로소 상기 분사모듈(100)이 작동되도록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외부침입자(500)가 출입문(20)를 통하여 실내(10)로 침입하면, 상기 외부침입자(500)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외부침입자(500)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감지하여,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는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이로써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은 상기 외부침입자(500)를 향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형광액(L)을 분사한다.
또한,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이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이를 보안업체(400)에 비상연락하고, 동시에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이 형광액(L)의 분사를 개시하여, 상기 외부침입자(500)의 옷 또는 신체를 향하여 분사하여, 다량의 형광액(L)이 상기 외부침입자(500)의 옷 또는 신체에 흔적으로 남기도록 함으로써, 향후 외부침입자(500)를 찾아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은,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이 형광액(L)을 분사하는 시간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이 형광액(L)을 분사하는 시간은, 상기 실내(10)에 침입한 외부침입자(500)의 숫자 또는 상기 외부침입자(500)의 실내(10)에서의 체류시간의 길이에 따라 설정ㆍ변경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상기에 기재된 것과 같은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그 운용방법으로서, 실내(10)에 설치되되 출입문(20) 가까이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20)을 통하여 외부침입자(500)가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자감지모듈(200),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분사모듈(100) 및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에 따른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00)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S100);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이 외부침입자(500)의 침입을 감지하는 단계(S200); 외부침입자(500)의 침입 감지결과를 보안업체(400)에 비상연락하여 보안요원을 현장에 출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형광액 분사를 개시하는 단계(S300); 스모크 분사를 개시하는 단계(S400); 및 형광액(L)의 분사 및 스모크(S)의 분사를 종료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5는 창문을 통하여 외부 침입자 발생시 실내를 향하여 스모크를 분사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W) 등을 통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침입하는 외부침입자(500)를 침입자감지모듈(200)이 감지하면, 상기 침입자감지모듈(2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형광액분사노즐(130)은 상기 외부침입자(500)를 향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형광액(L)을 분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10)에 침입하는 외부침입자(500)에 대한 보안시스템을 구성하되, 침입자감지모듈(200)과 분사모듈(100) 및 통신모듈(300)을 구비하여, 외부침입자(500)를 감지하여 이를 보안업체(400)에 비상연락함과 동시에, 형광액(L)과 스모크(S)를 분사함으로써, 외부침입자(500)의 도주에 따른 소요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이후 외부침입자(500)의 도주시 이의 식별이 용이토록하여, 외부침입자(500)로부터의 보안을 총체적으로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실내
20 : 출입문
100 : 분사모듈
110 : 케이싱
120 : 스모크분사노즐
130 : 형광액분사노즐
200 : 침입자감지모듈
300 : 통신모듈
400 : 보안업체
500 : 외부침입자
H : 분사공
L : 형광액
S : 스모크
W : 창문

Claims (8)

  1. 실내에 설치되되 출입문 가까이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 또는 창문을 통하여 외부침입자가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자감지모듈; 및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침입자의 침입에 따른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침입자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보안업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모듈은,
    케이싱 일측에 분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공을 통하여 스모크를 분사하는 스모크분사노즐; 및
    상기 출입문 가까이에 장착되어, 형광액을 분사하는 형광액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분사노즐은, 상기 실내를 향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스모크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액분사노즐은, 상기 외부침입자를 향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형광액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모크분사노즐이 스모크를 분사하는 시간 및 상기 형광액분사노즐이 형광액을 분사하는 시간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침입자감지모듈, 분사모듈 및 통신모듈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침입자감지모듈이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는 단계;
    외부침입자 감지결과를 보안업체에 비상연락하고, 동시에 형광액 분사를 개시하는 단계;
    스모크 분사를 개시하는 단계; 및
    형광액 분사 및 스모크 분사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40082585A 2014-07-02 2014-07-02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8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85A KR101681737B1 (ko) 2014-07-02 2014-07-02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85A KR101681737B1 (ko) 2014-07-02 2014-07-02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14A true KR20160004114A (ko) 2016-01-12
KR101681737B1 KR101681737B1 (ko) 2016-12-01

Family

ID=5517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585A KR101681737B1 (ko) 2014-07-02 2014-07-02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4536A1 (de) * 2016-09-21 2018-03-29 Fournier Kurt Kr Verfahren und warneinrichtung zur sicherung eines geschlossenen raumes gegen eindringen
CN115250318A (zh) * 2021-04-28 2022-10-28 深圳市熠摄科技有限公司 安防监控系统与安防监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711A (ja) * 2003-11-21 2005-06-16 Koichi Arai 防犯又は防災マーキング装置
KR101204061B1 (ko) * 2012-04-20 2012-11-22 이종립 강도나 절도범의 퇴치 및 무력화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711A (ja) * 2003-11-21 2005-06-16 Koichi Arai 防犯又は防災マーキング装置
KR101204061B1 (ko) * 2012-04-20 2012-11-22 이종립 강도나 절도범의 퇴치 및 무력화를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4536A1 (de) * 2016-09-21 2018-03-29 Fournier Kurt Kr Verfahren und warneinrichtung zur sicherung eines geschlossenen raumes gegen eindringen
CN115250318A (zh) * 2021-04-28 2022-10-28 深圳市熠摄科技有限公司 安防监控系统与安防监控方法
CN115250318B (zh) * 2021-04-28 2023-12-22 深圳市熠摄科技有限公司 安防监控系统与安防监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737B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8309B2 (en) Method for allowing drone activity to modify event detection by a monitoring system
US20190347924A1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US9679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178927B1 (ko)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EP2407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video cameras in a security system
CN10678120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酒厂消防实时监控报警方法及系统
KR102045416B1 (ko)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KR20160010387A (ko)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CN109754579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系统及方法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CN107633632A (zh) 综合管廊的防入侵监测系统及方法
KR101681737B1 (ko)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5554481A (zh) 一种主动被动结合式智能摄像监控装置
KR102007687B1 (ko) 화재 긴급 알림 시스템
KR101760101B1 (ko) 지능형 소방 시스템
RU113603U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KR101681734B1 (ko) 스모크ㆍ물분사를 통한 일체형 보안ㆍ화재진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13513A (ko) 원격 방범용 멀티제어장치
KR102144098B1 (ko) Iot 기반의 화재 예측 및 진화 시스템
KR101584352B1 (ko) 모듈형침입감지유니트와 이벤트촬영수단을 이용한 스마트기반 지능형 방범시스템
CN107862824A (zh) 输配电线路火灾事故监测与防破坏的远动装置及使用方法
KR101482021B1 (ko) 무인 방역 시스템 및 방역 차량 이동경로 확인 방법
KR20210145037A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화재진압시스템
US10325466B2 (en) Security m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