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12U -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 Google Patents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12U
KR20160003712U KR2020150002510U KR20150002510U KR20160003712U KR 20160003712 U KR20160003712 U KR 20160003712U KR 2020150002510 U KR2020150002510 U KR 2020150002510U KR 20150002510 U KR20150002510 U KR 20150002510U KR 20160003712 U KR20160003712 U KR 201600037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ver film
rfid tag
film
n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308Y1 (ko
Inventor
국지명
Original Assignee
국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지명 filed Critical 국지명
Priority to KR2020150002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08Y1/ko
Priority to PCT/KR2016/003675 priority patent/WO2016171418A2/ko
Publication of KR20160003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공연/행사 입장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 및 장방형 띠 형태로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가 고정되는 밴드 본체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 내측 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점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 필름은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커버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결절 취약 구조로 형성되는 제1 결절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의 점착력과 상기 베이스 필름 중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과 대응되는 면의 점착력은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ANTI-TAMPERING WRISTBAND USING RFID TAG}
본 고안은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RFID 태그를 구성하는 회로를 손목 밴드의 채결부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채결부를 파손하여 타 사용자에게 양도를 시도할 경우 RFID 태그의 정상 작동 여부에 기초하여 양도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손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관람객의 폭발적인 관심으로 급성장중인 공연/행사 업계에서는 암표로 인해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에게 피해를 끼치고, 불법적인 거래로 말미암아 공연/행사 주최 측에서 이를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정상적으로 공식 예매처에서 티켓을 구매한 사람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암표와 불법적인 티켓 양도로 초래되는 피해를 막고자 RFID 칩을 내장한 손목 밴드를 입장 티켓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손목 밴드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연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므로, 물리적인 채결부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법 양도까지는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876호(공개일 2012년06월01일)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RFID 칩을 내장한 손목 밴드가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물리적인 채결부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법 양도를 방지할 수 있는 손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특징으로서, 공연/행사 입장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 및 장방형 띠 형태로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가 고정되는 밴드 본체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 내측 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점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 필름은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커버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결절 취약 구조로 형성되는 제1 결절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의 점착력과 상기 베이스 필름 중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과 대응되는 면의 점착력은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필름의 외측 면 일단에는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채결 시키기 위한 채결 점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는 밴드 본체의 손목 채결시 상기 채결 점착부와 점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내측 면 모두에 점착면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점착면의 일부분(112)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필름의 점착면의 일부분(122)은 점착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 또는 상기 커버 필름의 내측면 중 어느 한면에만 점착면을 구비하는 경우, 점착면이 구비된 필름의 일부분에 점착력을 약화시키고, 반대편 필름의 내측 중 상기 점착력이 약화된 부분에 대응되는 면에는 점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는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점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2 특징으로서, 공연/행사 입장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 및 장방형 띠 형태로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가 고정되는 밴드 본체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밴드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이 접하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커버 필름에 제1 결절 유도부를 형성하고, 제1 결절 유도부 내측면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베이스 필름 중 상기 제1 결절 유도부 점착면과 대응되는 면의 점착력과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점착면의 점착력을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를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점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결절유도는 상기 커버 필름에서 임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는 RFID 태그를 구성하는 회로의 일부가 손목 밴드의 채결 점착부에 점착되도록 배치하므로, 사용자가 채결 점착부를 떼어낼 경우 RFID 태그가 파손되게 된다 상실된다. 따라서 RFID 태그 파손된 손목 밴드는 정상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양도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를 내장한 손목 밴드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밴드의 취약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손목 밴드의 모식도 및 채결된 손목 밴드를 분리할 경우 RFID 태그가 손상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밴드의 분해도이다.
도 4는 결절 유도부 제거시 알에프아이디태그의 파손이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도방지를 위한 손목 밴드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목 밴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밴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결절 유도부(121)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의 손목 밴드에서 커버 필름과 베이스 필름을 분리하는 경우 발생 되는 알에프아이디태그가 파손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도 10은 필름 원단을 "W"형상으로 가공하여 손목 밴드를 제조하는 경우 제2 결절 유도부가 알에프아이디태그를 파손시키는 상황을 설명한다.
도 11은 결절 유도부를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한 경우 결절 유도부에 의해 알에프아이디태그가 파손되는 예를 보여준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점착'은 연성을 가지는 접착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점착후 경화되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를 내장한 손목 밴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밴드는 채결공에 채결단추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채결된다.
채결을 위해서 손목 밴드는 원형으로 말려야 하며,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감을 위하여 손목 밴드 본체는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연성 재질의 특성을 악용할 경우 불법적인 손목 밴드 양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밴드의 취약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손목 밴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결공의 일부를 절단하여 채결단추를 분리시키고 손목 밴드를 재결합시키는 행위를 방지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손목 밴드의 모식도 및 채결된 손목 밴드를 분리할 경우 RFID 태그가 손상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손목 밴드의 모식도이고 도 2b는 손목 밴드 본체(100) 내부에 알에프아이디태그(200)가 배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2c는 채결 점착부(190)에 의해 손목 밴드(10000)가 원형으로 채결된 상태에서 채결 점착부(190)를 분리하려는 상황을 보여주며 도 2d는 채결 점착부(190)가 떼어졌을 때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일부(121)가 채결 점착부(190)측에 접합되어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손목 밴드(1000)는 알에프아이디태그(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200) 및 밴드 본체(100)를 포함한다.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알에프아이디칩과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알에프아이디칩에는 공연/행사 입장을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알에프아이디칩을 포함하는 태그 해드부(210)와 안테나 루프(220)로 이루어진다.
밴드 본체(100)는 장방형 띠 형태로서, 알에프아이디태그(200)가 고정 부착되는데,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밴드 본체(100)의 표면이 아닌 밴드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밴드 본체(100)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 두 겹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밴드 본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밴드 본체(100)는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으로 이루어지며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이 알에프아이디태그(200)와 접하는 면을 각각 베이스 필름의 내측면, 커버 필름의 내측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베이스 필름(110)은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고정 및 커버 필름(120)과의 점착을 위해 내측면에 점착면(110a)을 구비한다.
점착면(110a)은 일 예로 아크릴 에멀전 타입 점착제(Acrylic dispersion) 도포에 의해 형성하며 점착력이 우수한 다른 종류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면(110a)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커버 필름(120)의 일부에는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결절을 위한 제1 결절 유도부(121)가 형성된다.
제1 결절 유도부(121)는 커버 필름(120)에 물리적 힘을 가했을 때 커버 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이다. 제1 결절 유도부(121) 물리적 힘에 의해 커버 필름(120)으로 분리되도록 결절 취약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절 취약 구조는 형압 가공 또는 톰슨 가공 등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하다.
제1 결절 유도부(121)가 알에프아이디태그(200)와 접하는 면, 즉 제1 결절 유도부(121)의 내측면에는 점착면(121a)이 구비된다.
점착면(121a)은 알에프아이디태그(200)에 점착되며, 제1 결절 유도부(121)가 커버 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될 때 점착면(121a)과 점착되어 있는 알에프아이디태그의 부분(211)을 결절 시킨다.
제1 결절 유도부(121)는 결절 취약 구조로 인하여 작은 힘에도 쉽게 커버 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때, 알에프아이디태그의 부분(211)을 같이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용이한 분리를 위해 알에프아이디태그의 부분(211)에도 결절 취약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알에프아이디태그를 구성하는 회로 루프 가상자리 일부에 'V'자 홈을 형성하여 결절이 쉽게 발생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알에프아이디태그(200) 기능은 태그 해드(210)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제1 결절 유도부(121)는 태그 해드(210)에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제1 결절 유도부(121)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결절 유도부(121)는 '-'자 형태를 가지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종류 및 손목 밴드 구성에 따라 제1 결절 유도부(121)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제1 결절 유도부 제거시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파손이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한다.
도 4a는 채결 점착부(190)가 커버 필름(120)에 점착되어 손목 밴드가 채결 되는 상황을 설명하며, 도 4b는 채결 점착부(190)가 커버 필름(120)에서 떼어질 때 제1 결절 유도부(121)가 어떻게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파손하는지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의 상측 부분은 분해도 형식으로 도시하였다.
손목 밴드를 사용자 손목에 채결할 때 채결 점착부(190)는 제1 결절 유도부(121)를 덮도록 커버 필름(120)에 점착된다.
사용자가 손목 밴드의 채결을 뜯어내고자 커버 필름(120)에 물리적 힘을 가하면, 가해진 힘은 채결 점착부(190)와 제1 결절 유도부(121)통해 점착면(121a)에 점착된 알에프아이디태그의 부분(211)에 전가된다.
베이스 필름(110)에서 제1 결절 유도부(121)에 대응되는 면(111)에는 점착면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 분리되는 힘은 알에프아이디태그의 부분(211)에 온전히 전가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에프아이디태그는 수십 마이크로 미터 두께를 가지는 얇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전단 응력이 매우 작다. 따라서 부분(211)은 결절 유도부(121)와 함께 분리되게 되므로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결절 유도부(121)는 '-자'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제1 결절 유도부(121)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한편, 제1 결절 유도부(121)는 커버 필름(120)에서 그 위치가 외관상으로 확인되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커버 필름(120)에 제1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를 감추기 위해 패턴 문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가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손목 밴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손목 밴드들에서 제1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는 각각 상이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도방지를 위한 손목 밴드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손목 밴드의 제조 방법은 손목 밴드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510),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이 접하는 면 각각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단계(S520), 커버 필름에 제1 결절 유도부를 형성하는 단계(S530), 베이스 필름의 점착면에서 제1 결절 유도부와 접하는 부분의 점착면을 제거하는 단계(S540) 및 알에프아이디태그를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에 점착시키는 단계(S550)를 포함한다.
S510 단계에서,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이 접합하여 밴드 본체(100)를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효율적인 손목 밴드 제조를 위하여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은 하나의 필름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목 밴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이 접힘선(A-A')을 공유하도록 하나의 필름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접힘선(A-A')은 형압 가공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이 접하는 면 각각에 점착면(110a, 120a)을 형성한다. 여기서 점착면(110a, 120a)은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의 각각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조 효율을 위해 점착제 도포 및 이형재 부착이 완료된 필름 원단을 재단하여 S510 단계 및 S520 단계를 일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S530 단계에서, 커버 필름(120)에 제1 결절 유도부(121)를 형성한다. 제1 결절 유도부(121)는 커버 필름(120)에 물리적 힘을 가졌을 때 커버 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이다. 제1 결절 유도부(121)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8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S540 단계에서, 점착면(110a)에서 제1 결절 유도부(121)와 접하는 부분(111)의 "점착면의 점착력"을 결절유도부(121)의 내측 면(121a)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성한다.
다만, 제1 결절 유도부(121)의 결절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분(111)의 점착력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해당 부분(111)의 점착력 제거는 손목 밴드의 제조 효율을 위해 해당 부분(111)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결절 유도부(121)의 크기에 맞추어 재단된 이형지를 해당 부분(111)에 부착한다.
S550 단계에서,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 사이에 점착시킨다.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에는 각각 점착면(110a, 120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어느 한 점착면에 부착하고 접힘선(A-A')을 접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을 접합한다.
이때, 알에프아이디태그(200)에 형성한 결절 취약 구조 부분(211)이 제1 결절 유도부(121) 부분에 위치하도록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채결 점착부(190)를 베이스 필름(110)의 뒷면에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채결 점착부(190)는 커버 필름(120)과 점착되어 손목밴드(1000)를 사용자 손목에 채결시키는 부분이다.
한편,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가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손목 밴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손목 밴드를 제조할 경우 제조된 각각의 손목밴드에서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가 각각 다르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량으로 생산된 손목 밴드에서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가 모두 동일하다면, 밴드의 불법 양도 목적을 가지는 사용자는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 확인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결절 유도부(121)가 채결 점착부(190)에 점착되지 않도록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으로 손목 밴드를 제조하더라도 각 손목 밴드에서 결절 유도부(121)의 위치가 다르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밴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은 접힘선(A-A')을 공유한다. 손목 밴드를 사용자의 손목에 채결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본체(100)을 원형으로 굽혀야 하는데 이때 접힘선(A-A')에서의 뒤틀림이 발생 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이러한 뒤틀림을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 각각에 접히는 구조를 두어 뒤틀림을 해결한다.
이를 위해, 필름 원단을 "W"형상으로 가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은 각각 접힘선(B-B') 및 접힘선(C-C')를 접어 형성한다.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은 각각 후면(도 8에 도시된 기준)에 점착면을 구비하므로 접힘선(B-B') 및 접힘선(C-C')를 접음으로써 감압 점착된다.
이어서,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 사이에 점착시킨다.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에는 각각 점착면(110a, 120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어느 한 점착면에 부착하고 접힘선(A-A')을 접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을 접합한다.
접힘선(A-A')에서의 뒤틀림은 접힘선 접힘선(B-B') 및 접힘선(C-C')에 의해 상쇄되므로 필름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목 밴드를 분리하여 알에프아이디태그(200)만을 분리하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밴드 본체에 점착면이 세 부분에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알에프아이디태그(200)가 삽입된 면만을 분리하기 어렵게 된다.
도 8은 결절 유도부(121)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절유도부는 여려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a) 및 (b)의 실시예는 결절 유도부(121)가 커버 필름(120)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는 예이며, (c) 및 (d)의 실시예는 결절 유도부(121)가 커버 필름(120)에 일부가 연결되어 약한 힘에 의해서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의 손목 밴드에서 커버 필름과 베이스 필름을 분리하는 경우 발생 되는 알에프아이디태그가 파손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알에프아이디칩을 포함하는 태그 해드부(210)와 안테나 루프(220)로 이루어지는데, 상용 알에프아이디태그는 취급상의 이유 및 태그 보호를 위해 태그 고정 필름(230)에 부착된 형태로 생산된다. 제2 실시예는 태그 고정 필름(230)을 포함하는 상용 제품으로 손목 밴드(1000)를 제조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법 양도 시도를 방지하기 위한 예이다.
즉, 알에프아이디태그(200) 만을 추출하기 위해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을 분리하는 경우 제2 결절 유도부(112)가 안테나 루프(220)의 일 부분(221)을 결절한다.
도 9는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 양쪽에 점착면을 형성하여 손목 밴드 본체를 구성하는 경우 제2 결절유도부의 알에프아이디태그 파손을 설명한다.
제2 결절 유도부는 제1 결절 유도부(121)와는 다르게 결절 취약구조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베이스 필름(110)의 점착면의 일부분(112)과 그에 대응되는 커버 필름(120)의 점착면의 일부분(122)에 점착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데 부분(112)과 부분(122) 중 점착력이 쎈 쪽이 제2 결절 유도부로 동작한다.
도 9에서는 부분(122)이 점착력이 제거된 부분이다. 즉, 부분(122) 및 부분(112) 사이를 지나는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결절 취약 부분(221)은 점착력이 있는 부분(112)에 점착되어 알에프아이디태그(200)가 손상되게 된다.
한편,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 중 어느 한 면에만 점착면을 형성하여 손목 밴드 본체를 구성하는 경우, 점착면이 구비된 필름의 일부분은 점착력을제거하고, 그 위치에 대응되는 반대편 필름 내측에 점착면을 형성하는데 이 부분이 제2 결절 유도부이다.
도 10은 필름 원단을 "W"형상으로 가공하여 손목 밴드를 제조하는 경우 제2 결절 유도부가 알에프아이디태그를 파손시키는 상황을 설명한다. 간결한 도시를 위해 제1 결절유도부, 베이스 필름(110)의 외측면(110-1)과 내측면(110-2) 사이에 구비되는 점착면, 커버 필름(120)의 외측면(120-1)과 내측면(120-2) 사이에 구비되는 점착면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0a는 "W"형상에 의해 제조되는 손목밴드의 분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커버 필름(120)의 부분(122)과 베이스 필름(110)의 부분(112)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10c는 제조 완료된 상태의 A-A'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d는 사용자가 커버 필름(120)의 내측면(120-2)과 외측면(120-1)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결절 취약 부분(221)이 파손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0a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10)은 외측면(110-1) 및 내측면(110-2)으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커버 필름(120)도 외측면(120-1) 및 내측면(120-2)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필름(110)의 내측면(110-2)에는 점착면(110a)이 구비되고, 커버 필름(120)의 내측면(120-2)의 부분(122)에만 점착면이 구비된다. 부분(122)에 대응되는 베이스 필름의 부분(112)은 점착력이 제거된 부분이다.
부분(122)은 커버 필름의 내측면(120-2)에 형성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부분(122)의 앞-뒤에는 각각 점착면(122a) 및 점착면(122b)이 구비된다.
부분(122)는 결절 취약구조로 형성하였으며, 부분(122)을 결절 취약구조로 형성하면, 부분(122)은 외측면(120-1)에 붙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커버 필름(120)의 내측면(120-2)과 외측면(120-1)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결절 취약 부분(221)이 파손된다.
점착면(122a)는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결절 취약 부분(221)에 점착되고, 점착면(122b)는 커버 필름의 내측면(120-1)에 점착된다.
따라서, 커버 필름(120)과 베이스 필름(110)을 분리하여 알에프아이디태그(200)만을 꺼내려할 경우, 결절 취약 부분(221)은 점착면(122a)에 점착되어 알에프아이디태그(200)가 손상된다(도 10d 참조).
즉, 도 10의 실시예에서 부분(122)가 제2 결절유도부가 된다.
도 11은 결절 유도부를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한 경우 결절 유도부에 의해 알에프아이디태그가 파손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1a는 손목 밴드가 채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채결 점착부(미도시)가 결절 유도부(121)을 덮도록 점착되어 있다.
도 11b는 채결 점착부(190)을 잡아떼어 채결된 손목 밴드를 분리하려고 할 때 발생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일부(211)가 결절 유도부(121) 형상대로 뜯어지는 상황을 보여준다.
도 11c는 채결 점착부(190)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서, 결절 유도부(121)에 붙어 뜯어진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일부(211)가 밴드 본체 내부의 알에프아아디 태그부분을 계속하여 뜯어내는 상황을 보여준다.
도 1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절 유도부(121) 형상에 따라 알에프아이디태그(200)의 철저한 파손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손된 알에프아이디태그 부분을 다시 접합하여 알에프아이디태그를 정상동작 시키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채결 접착부(190)는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 임이의 위치에서 결절 유도부(121)와 점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채결 접착부(190)가 결절 유도부(121)의 일부분에서만 점착된 경우에도 이 부분이 결절 유도부의 전체 파손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손목 밴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손목 밴드 제조자는 손목 밴드 재고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연/행사 입장권은 판매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우나, 공연/행사 주최측에서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수량의 손목 밴드 입장권을 준비해야 한다. 그러나 손목 밴드에는 행사 정보가 인쇄되므로 판매되지 않은 손목 밴드는 다른 공연에 이용할 수도 없다.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은 낮은 단가로 제조 가능하나, 알에프아이디태그(200)는 반도체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공연/행사 주최측은 입장 수요에 따라 준비된 베이스 필름(110)과 커버 필름(120)에 알에프아이디태그(200)를 결합하여 손목 밴드를 즉석 제조할 수도 있으므로, 공연/행사 주최측은 손목 밴드 재고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000 : 손목 밴드
100 : 밴드 본체
110 : 베이스 필름
120 : 커버 필름
200 : 알에프아이디태그
210 : 태그 해드
220 : 태그 안테나 루프
230 : 태그 고정 필름
121 : 제1 결절 유도부
190 : 채결 점착부

Claims (7)

  1. 공연/행사 입장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 및
    장방형 띠 형태로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가 고정되는 밴드 본체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 내측 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점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 필름은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커버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결절 취약 구조로 형성되는 제1 결절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의 점착력과 상기 베이스 필름 중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내측 면과 대응되는 면의 점착력은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외측 면 일단에는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채결 시키기 위한 채결 점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절 유도부는 밴드 본체의 손목 채결시 상기 채결 점착부와 점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내측 면 모두에 점착면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점착면의 일부분(112)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필름의 점착면의 일부분(122)은 점착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 또는 상기 커버 필름의 내측면 중 어느 한면에만 점착면을 구비하는 경우,
    점착면이 구비된 필름의 일부분에 점착력을 약화시키고, 반대편 필름의 내측 중 상기 점착력이 약화된 부분에 대응되는 면에는 점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절 유도부는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점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
  6. 공연/행사 입장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 및 장방형 띠 형태로서,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RFID Tag)가 고정되는 밴드 본체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밴드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이 접하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커버 필름에 제1 결절 유도부를 형성하고, 제1 결절 유도부 내측면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베이스 필름 중 상기 제1 결절 유도부 점착면과 대응되는 면의 점착력과 상기 제1 결절 유도부의 점착면의 점착력을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알에프아이디태그를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점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 밴드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절유도는 상기 커버 필름에서 임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밴드 제조 방법.
KR2020150002510U 2015-04-18 2015-04-18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KR200482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10U KR200482308Y1 (ko) 2015-04-18 2015-04-18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PCT/KR2016/003675 WO2016171418A2 (ko) 2015-04-18 2016-04-07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10U KR200482308Y1 (ko) 2015-04-18 2015-04-18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12U true KR20160003712U (ko) 2016-10-26
KR200482308Y1 KR200482308Y1 (ko) 2017-01-10

Family

ID=5714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510U KR200482308Y1 (ko) 2015-04-18 2015-04-18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2308Y1 (ko)
WO (1) WO20161714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767A (en) * 2022-08-03 2024-04-03 Wristband Id Ltd An identification device and associate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3978A (ja) * 2003-07-23 2005-0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利用不可能なリストバンド型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
JP2006227670A (ja) * 2005-02-15 2006-08-31 Tac Kasei Kk Rfid粘着ラベル
KR20120003876U (ko) 2011-09-08 2012-06-01 전상현 알에프아이디칩이 내장된 칩케이싱용 손목밴드
JP2012230469A (ja) * 2011-04-25 2012-11-22 Hitachi Chem Co Ltd 非接触式ic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465Y1 (ko) * 2006-09-21 2006-12-20 (주)제이슨알앤디 알에프아이디 태그
KR20090038103A (ko) * 2007-10-15 2009-04-20 조성춘 재 사용 방지를 위한 알에프 아이디 태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3978A (ja) * 2003-07-23 2005-0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利用不可能なリストバンド型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
JP2006227670A (ja) * 2005-02-15 2006-08-31 Tac Kasei Kk Rfid粘着ラベル
JP2012230469A (ja) * 2011-04-25 2012-11-22 Hitachi Chem Co Ltd 非接触式icラベル
KR20120003876U (ko) 2011-09-08 2012-06-01 전상현 알에프아이디칩이 내장된 칩케이싱용 손목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08Y1 (ko) 2017-01-10
WO2016171418A2 (ko) 2016-10-27
WO2016171418A3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39209A (ja) リストバンド
US8590191B2 (en) Wristband with adhered tags
JP6209258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
JP2009533769A5 (ko)
US10733495B2 (en) Wearable RFID device
EP3903614A1 (en) Hair extension
US20220246065A1 (en) Linerless combined mailing label and return lab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482308Y1 (ko)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JP2006181349A (ja) 付け爪粘着用シート
JPWO2008047630A1 (ja) Icタグラベル
US20100307035A1 (en) Memorabilia Device
JP2009245238A (ja) 無線タグラベルと無線タグ、無線タグの書籍への貼着方法、無線タグラベルの製造方法
JP5419207B2 (ja) 荷物用rfidラベル
JP5204568B2 (ja) Rf−idタグ
KR200485047Y1 (ko)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JP2017033436A (ja) Icタグラベル,icタグラベルシートおよびicタグラベルシートの製造方法
US10140893B2 (en) Encircled wristband device and method for removal
KR200482406Y1 (ko) 양도 방지를 위한 rfid 태그를 이용한 손목 밴드
JP6418751B2 (ja) Rfidタグ、その使用方法およびrfidタグ連結体の製造方法
JP2005043978A (ja) 再利用不可能なリストバンド型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
JP2019101287A (ja) ライナーレスラベル
JP6948228B2 (ja) ラベルシート
JP5171562B2 (ja) Rfidラベルシート及びrfidラベル
JP2007279162A (ja) 床貼付用広告シートおよび床貼付用広告シートの作成方法
JP2010020456A (ja) Rf−idタ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