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025U - 신체 점착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신체 점착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025U
KR20160003025U KR2020150001245U KR20150001245U KR20160003025U KR 20160003025 U KR20160003025 U KR 20160003025U KR 2020150001245 U KR2020150001245 U KR 2020150001245U KR 20150001245 U KR20150001245 U KR 20150001245U KR 20160003025 U KR20160003025 U KR 201600030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strip
strips
longitudinal dir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목
Original Assignee
김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목 filed Critical 김종목
Priority to KR2020150001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025U/ko
Publication of KR20160003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14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 A61F2013/00327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to create projections or depressions in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는 개별 스트립으로 절취가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일면에 피부와 점착이 가능한 점착부가 형성되고,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길이만큼 스트립을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절단도구 필요없이 손으로 스트립의 절취가 가능하며, 스트립이 외부의 물체에 걸려 점착된 신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신체 점착용 테이프{ADHESIVE TAPE TO THE SKIN FOR MUSCLE}
본 고안은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근육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신체 점착(粘着)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육은 원래 늘어남과 복원력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심한 운동시에는 그 근육이 이완이 되거나 경직되기 쉬워, 상기 근육이 복원이 되지 않으면 통증이 수반된다. 근육에 대한 통증은 단순히 타박상에 의하여 일 수 있고, 그 근육부분에 해당되는 장기에 이상이 도래하여 통증이 올 수 있다. 또한 삐거나 근육이나 인대의 손상과 같은 정형외과적 질환에 대해서 전문적 치료로 고정이나 보강을 위하여 깁스(plaster cast)나 의료용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약물요법 등에 의해 치료를 하였다.
이에 대해, 최근 들어 근육이나 인대 손상 환자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탄력성과 점착력을 가진 천 테이프로 고정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보조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테이핑 요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테이핑은 신체 활동에 직결된 근육 및 관절에 대한 상해의 예방, 보호, 처치 및 회복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점착테이프의 형태로서, 인대나 근육의 약한 곳이나, 힘이 집중 되는 곳을 따라 점착되거나, 관절의 굽힘 방향으로 점착되어 신체를 움직이면서 충격이 집중되는 부분을 지지하고 보강하여, 정형외과적 질환에 대한 치료나 예방 및 재활에 사용된다.
하지만, 테이핑 치료를 하더라도 근육과 인대의 모양 및 방향에 따라서 테이프를 일일이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절단해야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58430 Y1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길이만큼 스트립을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절단도구 필요없이 손으로 절취가 가능한 신체 점착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립의 꼭지부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스트립이 외부의 물체에 걸려 점착된 신체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는 개별 스트립으로 절취가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일면에 피부와 점착이 가능한 점착부가 형성되고,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어느 한 스트립과 이웃하는 스트립 사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부는 어느 한 스트립과 이웃하는 스트립이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롤링(Rolling)방향의 찢는 힘에 의해 절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부는 절취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어느 한 스트립과 이웃하는 스트립을 연속하여 피부에 점착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제2절취부는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피칭(Pitching)방향의 찢는 힘에 의해 절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일면이 점착부와 맞닿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는 타면에 오목부가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 각각은 각 꼭지부가 라운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길이만큼 스트립을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절단도구 필요없이 손으로 스트립의 절취가 가능하며, 스트립이 외부의 물체에 걸려 점착된 신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의 권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의 일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의 저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절취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는 복수 개의 스트립(10)을 포함한다.
각 스트립(1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트립(10)은 개별 스트립(10)으로 절취가 가능하고, 개별 스트립(10)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스트립(10)은 일면에 피부와 점착이 가능한 점착부(11)가 형성되고, 롤 형태로 권취된다.
점착부(11)는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사용되는 점착물질을 스트립(10)의 일면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스트립(10)은 어느 한 스트립(10)과 이웃하는 스트립(10)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취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취부(12)는 절취공(13)이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연속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개별 스트립(10)은 이웃하는 개별 스트립(10)과 절취공(13)을 제외한 제1절취부(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절취부(12)는 어느 한 스트립(10)과 이웃하는 스트립(10)이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롤링(Rolling)방향의 찢는 힘에 의해 절취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트립(10)을 동시에 신체에 부착가능하다. 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연이은 스트립(10)을 신체에 부착하는 경우,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 개의 스트립(10)의 끝단으로부터 두 개의 연이은 스트립(10)을 선택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스트립(10)이 연결되어 있는 제1절취부(12)를 롤링방향으로, 즉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 스트립(10)의 연결된 부분의 일단을 각각 양손으로 잡아서로 반대방향으로 찢어 신체에 부착한다. 이때, 신체에 부착된 첫 번째 스트립(10)과 이웃하는 두 번째 스트립(10)은 서로 절취공(13)을 제외한 제1절취부(12)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신체를 이리저리 움직일 때 제1절취부(12)가 스트립(10)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연이어진 첫 번째 스트립(10)과 두 번째 스트립(10)은 분리되지 않는다. 여기서 두 개의 연이은 스트립(10)을 예로 들었으나, 신체에 부착되는 연이은 스트립(10)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절취공(13)은 어느 한 스트립(10)과 연이어진 스트립()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스트립(10)을 절취할 때 제1절취부(12)는 절취공(13)에 의해 연결 부위의 면적이 줄어드므로 절취가 용이해진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스트립(10)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취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절취부(14)는 제1절취부(12)처럼 절취공(15)이 형성되되, 절취공(15)은 스트립(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절취부(14)는 스트립(10)의 폭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스트립(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피칭(Pitching)방향의 찢는 힘에 의해 절취된다. 제2절취부(14)는 개별 스트립(10)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립(10)의 타단부에는 제2절취부(14)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 사용자는 개별 스트립(10)을 제2절취부(14)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피칭방향으로 찢어 Y자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신체의 근육의 형상을 따라 신체에 점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트립(10)은 탄성재질이므로 개별 스트립(10)을 Y자로 벌리더라도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 피부에 점착하면 스트립(10)은 우글쭈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된다.
절취공(15)은 어느 한 스트립(10) 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스트립(10)을 길이방향으로 절취할 때 제2절취부(14)는 절취공(15)에 의해 연결 부위의 면적이 줄어드므로 절취가 용이해진다.
복수 개의 스트립(10)은 일면이 점착부(11)와 맞닿는 이형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10)의 일면에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점착부(11)를 형성하고, 점착부(11)의 표면상에 이형지를 점착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는 스트립(10)을 신체에 붙이고자 할 때 스트립(10)에 부착된 이형지(20)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형지(20)는 타면에 오목부(21)가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오목부(21)가 접히면서 복수 개의 스트립(10)의 권취를 용이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형지(20)는 스트립(10)과 동일하게 제1 및 제2절취부(12, 14)와 절취공(13, 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절취부(12, 14)와 절취공(13, 15)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는 이형지(20)의 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목부(21)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원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형지(20)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라면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한하지 않고 어떤 형상으로도 형성가능하다.
복수 개의 스트립(10) 각각은 각 꼭지부가 라운드될 수 있다. 스트립(10)의 꼭지부가 라운드됨으로써, 신체에 부착된 스트립(10)의 라운드된 꼭지부는 외부의 물체에 걸리는 등의 저항을 받지 않으므로 신체로부터 탈락되지 않아 테이핑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의 사용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일 먼저 도 1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를 준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는 개별 스트립(10)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이어져 권취되어 있고 스트립(10)의 일면에는 점착부(11)가 형성되고 점착부(11)에는 이형지(20)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권취되어 있는 테이프의 가장 외각에 위치한 스트립(10)을 잡아당겨 필요한 길이만큼의 스트립(10)을 선택하여 제1절취부(12)를 찢어 분리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할 스트립(10)의 일단과 사용하지 않을 스트립(10)의 일단을 각각 양손으로 잡고, 스트립(10)의 길이방향에 대해 롤링방향으로 제1절취부(12)를 찢는다. 이때, 양손은 스트립(10)의 롤링방향으로 움직이되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리된 개별 또는 복수 개의 스트립(10)은 이형지(20)가 붙어 있으므로, 스트립(10)의 일단부에 부착된 이형지(20)를 필요한 만큼 떼어낸 상태로 스트립(10)의 점착부(11)가 피부에 닿도록 스트립(10)을 인체에 부착시키고, 스트립(10)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이형지(20) 역시 떼어내며 인체에 부착시킨다.
만약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트립(10)은 제2절취부(14)를 찢어 스트립(10)을 Y자 형상으로 만들어 인체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형지(20)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찢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형지(20)에는 스트립(10)의 제1 및 제2절취부(12, 14)와 절취공(13, 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취부와 절취공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트립(10)을 이형지(20)와 함께 제1절취부(12) 또는 제2절취부(14)를 따라 절취하기가 더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점착용 테이프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스트립 11 : 점착부
12 : 제1절취부 13 : 절취공
14 : 제2절취부 15 : 절취공
20 : 이형지 21 : 오목부

Claims (9)

  1. 개별 스트립으로 절취가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일면에 피부와 점착이 가능한 점착부가 형성되고, 롤 형태로 권취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어느 한 스트립과 이웃하는 스트립 사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취부를 포함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부는 어느 한 스트립과 이웃하는 스트립이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롤링(Rolling)방향의 찢는 힘에 의해 절취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부는 절취공이 복수 개 형성된 신체 점착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어느 한 스트립과 이웃하는 스트립을 연속하여 피부에 점착가능한 신체 점착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취부를 포함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취부는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피칭(Pitching)방향의 찢는 힘에 의해 절취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은 일면이 점착부와 맞닿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는 타면에 오목부가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체 점착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 각각은 각 꼭지부가 라운드된 신체 점착용 테이프.
KR2020150001245U 2015-02-26 2015-02-26 신체 점착용 테이프 KR201600030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45U KR20160003025U (ko) 2015-02-26 2015-02-26 신체 점착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45U KR20160003025U (ko) 2015-02-26 2015-02-26 신체 점착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25U true KR20160003025U (ko) 2016-09-05

Family

ID=5695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45U KR20160003025U (ko) 2015-02-26 2015-02-26 신체 점착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0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53A (ko) 2021-11-29 2023-06-07 김대현 관절용 테이핑 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30Y1 (ko) 2009-11-03 2012-02-20 엠에스에스엠 주식회사 목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30Y1 (ko) 2009-11-03 2012-02-20 엠에스에스엠 주식회사 목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53A (ko) 2021-11-29 2023-06-07 김대현 관절용 테이핑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761B2 (ja) カット済み粘着式身体サポート体
EP2480180B1 (de) Aus elastischem material bestehende kniegelenkbandage mit anziehhilfe
AT508597B1 (de) Anzieherleichterung für hand- und fussorthesen
EP0842649B1 (de) Selbstklebende Fertigbandage für Ellenbogen
US20210030576A1 (en) Stabilising rod for an orthopaedic aid
KR20160003025U (ko) 신체 점착용 테이프
KR101813087B1 (ko) 신체 접착형 운동 과학 테이프
JP4972747B2 (ja) テーピングテープ
JP3129871U (ja) テーピングシート
US10617570B2 (en) Wound closing bandage
JP3151505U (ja) テーピング用テープ
US20020091348A1 (en) Training system for joint disorders and other uses
KR100903427B1 (ko) 테이핑 테이프
DE102016116388B4 (de) Handorthese
KR200458436Y1 (ko) 허리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JP5780820B2 (ja) 足首関節用テーピングテープ
EP3952800B1 (de) Daumenorthese und set mit mehreren daumenorthesen
TWM511844U (zh) 跨肢段彈力輔具
DE102013009260A1 (de) Fingerschiene mit einer ersten und einer zweiten miteinander elastisch verbundenen Teilschiene
JP6258059B2 (ja) 足底用テーピングテープ
KR200354859Y1 (ko) 신축성 접착테이프
JP4492866B2 (ja) 手首関節固定用粘着部材
DE102015116931A1 (de) Orthese mit Schulter- und Armbereich
CH709103A1 (de) Mallet-Fingerschiene sowie Verfahren zum Sichern einer solchen Mallet-Fingerschiene.
TW201642822A (zh) 跨肢段彈力輔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