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859Y1 - 신축성 접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신축성 접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859Y1
KR200354859Y1 KR20-2004-0009669U KR20040009669U KR200354859Y1 KR 200354859 Y1 KR200354859 Y1 KR 200354859Y1 KR 20040009669 U KR20040009669 U KR 20040009669U KR 200354859 Y1 KR200354859 Y1 KR 200354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elastic
elastic sheet
adhesi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림
Original Assignee
김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림 filed Critical 김창림
Priority to KR20-2004-0009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움직임이 많은 인체의 관절이나 근육을 감싸는 피부 굴곡면에의 부착시 그 접착이 중첩됨이 없이 간편하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등분포적인 탄성력을 통해 근육을 압박시킬 수 있는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시트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배면에 접착층 보호를 위한 이형지를 가져서 된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있어, 탄성시트의 표면에 소정 폭으로 컷팅된 직사각 형상의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축성이 증대되도록 하고 또한 인체의 외피 및 관절부위 부착시 테이프의 분할된 접착면이 서로 들러붙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성 접착테이프{ELASTIC TAPE}
본 고안은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임이 많은 인체의 관절이나 근육을 감싸는 피부 굴곡면에의 부착시 그 접착면들이 서로 중첩됨이 없이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소정 폭을 가지며 분할 컷팅된 홀들을 통해 신축성이 더욱 증대되어져 근육의 급격한 긴장 및 이완을 최소화 시킴은 물론 관절의 어긋남 등의 방지로 피로 부담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운동 또는 업무상 장시간에 걸친 경직된 자세와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들이 근육과 관절에 무리를 주고 그로 인해 근육이 긴장되거나 손상되어 혈관이나 림프액, 조직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이에따른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인체의 근육과 대응하는 신축성을 가진 테이프를 통증이 있는 부위에 붙이게 되면 물리적 자극을 통해 피부로부터의 전자기적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와 근육의 공간을 늘려주어 혈액 및 림프액, 조직액의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의 완화를 돕고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테이핑 요법을 많이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테이핑 요법에 사용되는 테이프는 기본적으로 소정폭을 갖는 권취형의 구조를 취하며 사용시에는 적정길이로 컷팅시킨 다음 필요부위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어 부착시에 그 표면적이 넓어 근육조직이 미세한 부분에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 왔고 또한 그 폭을 좁게 하는 경우 여러갈래의 테이프를 부착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테이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테이핑 요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은 초보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가 간편하고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양한 신축성 접착테이프가 제안 된 바 있다.
예컨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0307913 호에 개시된 "사용이 편리한 신축성 있는 테이프 서포터"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재단되고 이의 상,하양측단을 제외한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절단선을 형성하여서 여러 개로 갈라진 접착면을 가지는 낱장의 테이프 본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종래 테이프는 단순히 복수개의 절단선을 형성하여서 넓은 면적의 피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한번의 테이핑시 여러갈래의 테이프를 동시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테이프의 이면에 붙어 있는 이형지를 미리 벗겨 내고 굴곡된 통증부위에 부착할 경우 분할된 접착면이 서로 들러붙어 그 적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의 표면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굴곡부위에서도 테이프의 분할된 접착면이 서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성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쪽 방향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응 경사부를 가지며 분할되도록 홀을 형성함으로써접착면의 신축성이 증대되어 움직임이 많은 관절부위와 피부의 변형에 효과적인 신축성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홀의 상하단부에 호형의 컷팅단을 형성함으로써 통증부위에 부착시 부주의로 인하여 홀의 상하단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탄성시트 120 : 홀
130 : 경사부 140 : 컷팅단
200 : 접착층 300 : 이형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성시트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배면에 접착층 보호를 위한 이형지를 가져서된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의 표면에 소정 폭으로 컷팅된 직사각 형상의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으로 상기 홀이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쪽 방향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응 경사부를 가져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부가 라운딩각을 형성하여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에 배열되는 홀이 상기 탄성시트의 표면에 대해 상하 양쪽으로 분할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들의 각각 상하단부가 찢어짐 방지를 위해 호형의 컷팅단을 형성하여서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는, 신장률을 가지며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재단된 탄성시트(100)와, 상기 탄성시트(100)의 표면에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된 다수의 홀(120)과, 상기 탄성시트(100)의 이면에 도포 되어 피부에 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층(200)과, 상기 접착층(200)을 보호하고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이형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시트(100)는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피부자극이 적고 적절한 탄력성과 환기성을 가지는 의료용 무명천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200)은 피부와 유사한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120)은 탄성시트(100)와 접착층(200)과 이형지(300)가 적층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이루어 복수개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120)은 관절 등과 같이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부착 사용시 원활한 이완과 수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통기성을 확보와 접착면이 서로 중첩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폭으로 간격이 발생되도록 형성하며 그 개수나 형성위치는 테이프가 부착되는 인체의 외형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상기 이형지(300)는 통상의 재질로 하여 상기 접착층(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신축성 접착테이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통증이 있는 근육의 시작부위와 끝 부위를 정확하게 찾아서 근육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하여 재단된 테이프를 선택하고, 테이프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지(300)를 벗긴 후 근육은 늘인 상태에서 테이프는 늘어나지 않은 상태로 통증부위에 부착시킨다. 이때, 관절부위에 부착시에는 관절을 펴면 테이프에 주름이 생길 수 있도록 관절을 구부린 상태에서 복수개의 홀(120)을 통해 분할된 접착면을 적정 간격으로 넓혀가며 부착한다. 이로써, 관절부위의 피부가 이완 수축되는 만큼 홀(120)을 통해 복수개로 이루어진 접착면이 가변 되면서 견고한 상태로 접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성 접착테이프는 과격한 운동을 해야 할 경우 운동 전에 적정부위에 붙이면 근육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홀(120)이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쪽 방향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응 경사부(130)가 형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 탄성시트(100)의 중심부 접착면이 그 상하단보다 폭이 좁음으로 인해 당김력에 의한 부착시 그 신축성이 점차적으로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4는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경사부(130)에 라운딩각(132)이 형성된 것으로, 이 또한 당김력에 의한 부착시 그 신축성이 더욱 증진되어 미세한 근육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5는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탄성시트(100)에 배열되는 홀(120)이, 상기 탄성시트(100)의 표면에 대해 상하 양쪽으로 분할 형성된 것이다.
이는, 움직임과 굴곡면이 많은 관절부위에 상기 탄성시트(100)를 부착시 상하 양쪽으로 분할된 상기 홀(120)이 관절부위를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됨으로써 관절의 중심부에 상기 탄성시트(100)의 중심부가 위치하게되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중간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그 양쪽단을 잡아당겨 부착시킴에 따라 신축력을 배가 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6은 제 5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홀(120)들의 각각 상하단부에 찢어짐 방지를 위해 호형의 컷팅단(140)이 형성된 것이다.
이는, 테이프를 통증부위 부착시 상기 탄성시트(100)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홀(120)의 상하단부가 과도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의하면, 테이프의 표면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컷팅된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굴곡부위에서도 테이프의 분할된 접착면이 서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쪽 방향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응 경사부를 가지며 분할되도록 홀을 형성함으로써 신축성이 증대되어 피부의 당김에 의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의 상하단부에 호형의 컷팅단을 형성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하여 홀의 상하단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탄성시트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배면에 접착층 보호를 위한 이형지를 가져서된 신축성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의 표면에 소정 폭으로 컷팅된 직사각 형상의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길이방향의 중간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쪽 방향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대응 경사부를 가져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라운딩각을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에 배열되는 홀이, 상기 탄성시트의 표면에 대해 상하 양쪽으로 분할되어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들의 각각 상하단부가 찢어짐 방지를 위해 호형의 컷팅단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접착테이프.
KR20-2004-0009669U 2004-04-08 2004-04-08 신축성 접착테이프 KR200354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669U KR200354859Y1 (ko) 2004-04-08 2004-04-08 신축성 접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669U KR200354859Y1 (ko) 2004-04-08 2004-04-08 신축성 접착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859Y1 true KR200354859Y1 (ko) 2004-06-30

Family

ID=4943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669U KR200354859Y1 (ko) 2004-04-08 2004-04-08 신축성 접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8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656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더하기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656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더하기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KR102167877B1 (ko) 2018-08-23 2020-10-20 주식회사 더하기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9057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fixing a joint por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742196B2 (en) Precut adhesive body support articles and support system
EP2811949B1 (en) Wrist brace
WO2006129537A1 (ja) テーピングテープ
KR200354859Y1 (ko) 신축성 접착테이프
KR200307913Y1 (ko) 사용이 편리한 신축성 있는 테이프 서포터
JP3129871U (ja) テーピングシート
JP3151505U (ja) テーピング用テープ
JP3939068B2 (ja) 固定具付き貼付剤
JP3086861U (ja) 膝関節固定用粘着テープ
EP1161931B1 (en) Stimulator substituting for finger pressing
JP4181934B2 (ja) 膝部用粘着部材
JP2006141668A (ja) 筋膜の活性化機能を有するサポータ
KR100903427B1 (ko) 테이핑 테이프
JP6746451B2 (ja) 手の第一関節変形矯正用サポータ
JPH0545335Y2 (ko)
JP4579447B2 (ja) 関節部位固定用粘着テープ
CN110464543B (zh) 一种膝关节前十字韧带损伤固定贴
JP4492866B2 (ja) 手首関節固定用粘着部材
KR200458430Y1 (ko) 목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KR200458432Y1 (ko) 팔꿈치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KR102617010B1 (ko) 테이핑 키트 및 신체 접착용 테이프의 첩부 방법
TWM511844U (zh) 跨肢段彈力輔具
KR200458434Y1 (ko) 손목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트
KR200458433Y1 (ko) 발목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