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012A - 뇌신경의 이개 마취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뇌신경의 이개 마취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012A
KR20160003012A KR1020157033239A KR20157033239A KR20160003012A KR 20160003012 A KR20160003012 A KR 20160003012A KR 1020157033239 A KR1020157033239 A KR 1020157033239A KR 20157033239 A KR20157033239 A KR 20157033239A KR 20160003012 A KR20160003012 A KR 2016000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dministered
nerve
g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709B1 (ko
Inventor
토마스 엠. 크루즈
Original Assignee
토마스 엠. 크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엠. 크루즈 filed Critical 토마스 엠. 크루즈
Publication of KR2016000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6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61K31/24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having an amino or nitro group
    • A61K31/245Amino benzoic acid types, e.g. procaine, nov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521,2-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antipyrine, phenylbutazone, sulfinpyra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the ring forming part of a bridged ring system, e.g. quinucl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Rheu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미주, 안면, 삼차신경, 또는 설인신경, 또는 이들의 조합의 이개 마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약학적 조성물은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며, 이 조성물은 진통제 및 마취제를 함유한다. 또한, 교시된 방법들에 유용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뇌신경의 이개 마취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방법{METHOD OF TREATING DISEASE BY AURICULAR ANESTHESIA OF CRANIAL NERVES}
본 출원은 Thomas M. Crews에 의해 2013년 5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819,023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일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미국 가출원 제61/819,023호의 명세서, 도면 및 모든 개시는 모든 목적을 위하여 구체적인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분야
본 개시는 제5 뇌신경(삼차 신경), 제7 뇌신경(안면 신경), 제9 뇌신경(설인 신경), 및 제10 뇌신경(미주신경)의 이개 마취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신경 X로도 알려진 미주신경은 12쌍의 뇌신경 중 10번째 신경으로,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다. 수질추체와 하소뇌각(下小腦脚) 사이에 수질이 남아 있을 때, 상기 수질은 경정맥공을 통해서 확장된 후, 머리 아래에 있는 내경동맥 및 내경정맥 사이의 경동맥초 내로 흐르고, 경부, 흉부 및 복부로 흘러 내장의 신경분포에 기여한다. 미주신경의 해부학적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경정맥공을 빠져나올 때, 미주신경은 경정맥 신경절 및 결절 신경절(ganglion nodosum) 또는 상하위 미주신경절을 형성한다. 상기 경정맥 신경절은 설인 신경의 추체신경절 유래 필라멘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미주신경의 귓바퀴가지 또한 경정맥와의 측면 벽 유래 유양돌기소관으로 들어갈 때 10개의 경정맥 신경절 및 설인 신경의 추체신경절 유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측두골을 스치면서, 미주의 귓바퀴가지는 고실유돌렬(鼓室乳突裂)을 빠져나와 두 개의 가지로 나눠진다; 하나의 가지는 후이개 신경과 합쳐지고 다른 하나의 신경은 귀 후면 피부 및 이도 후면에 분포된다.
미주신경은 신체 조직 상태에 대한 감각 정보를 중추 신경계로 전달한다. 미주신경 내의 신경 섬유의 약 80%가 구심성이거나 감각신경이어서, 내장 상태를 뇌에 전달하고, 반면에 나머지 20%의 상기 신경 섬유는 원심성이거나 작용신경이다.
미주신경은 많은 다른 생리적 기능과 함께 많은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책임을 맡고 있으며, 이러한 생체기능의 예는 호흡, 대화, 발한, 호흡 동안에 후두가 열리도록 촉진하는 것, 심장박동의 모니터링 및 조절, 및 위장에서의 음식소화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미주신경의 조종 및 이의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의 후속적인 변화는 미주신경 조절과 관련된, 인간의 다양한 병들(ailments)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미주신경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당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현재의 시술들은 매우 침습적이다. 이러한 현재의 시술들은 종종 환자의 신체 내로의 인공적인 기계 장치의 이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매우 침습적인 외과적 시술일 뿐만 아니라 매우 고가이다.
예를 들어, 미국식품의약관리국은 부분 발작 간질(partial onset epilepsy) 치료에 대해 1990년대 후반에 미주신경 자극(VNS)으로 불리는 시술을 승인하였다. VNS는 간질성 발작 환자에게 심박조율기와 같은 장치를 인스톨하는 외과적 시술로서 수행된다. 환자의 경부 내에 이식되는 이 장치는 미주신경을 통해서 약한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이 장치는 배터리로 구동되며 전기 자극 생성기를 포함한다. 장치를 이식한 후에, 절연성 플라스틱을 갖는 전극은 환자 목 피부 아래에 있는 미주신경을 만나게 된다. 수 초마다 켜졌다가 꺼짐으로써 교대로 작동하도록 펄스가 설정된다.
또한, 연구자들은 식욕을 억제하기 위하여 미주신경의 기능을 차단하고자 비만 환자의 복부 내에 심박조율기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시술 또한 매우 침습적이고 환자의 신체 내로 인공장치의 이식을 수반한다.
일부 외과전문의들은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미주신경섬유 절제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술에 의해서, 외과전문의들은 환자의 미주신경을 완벽하게 잘라낸다. 이러한 시술은 성공적으로 대상체의 체중을 감소시키는 반면, 이러한 침습적이고 영구적인 외과적 시술이 많은 환자들에게 문제가 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제7 뇌신경 또는 안면 신경은 12개의 뇌신경 쌍 중 하나이다(도 3 참조). 이의 주요 기능은 안면 근육에 운동 신경 분포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렇게 명명된다. 상기 신경이 분포하는 다른 근육으로는 활경근, 복부 뒤쪽 부분의 이복근, 및 등골근이 있다. 안면 신경의 감각 및 부교감 신경 부분은 중간신경에서 이동하며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1) 혀 앞쪽 3분의 2 부분의 맛; (2) 누선의 분비성 및 혈관운동신경 섬유, 코 및 부비강, 입, 및 턱밑 및 혀 밑 타액선의 점액 분비선; 및 (3) 바깥쪽 청도 및 귀 후면으로부터 피부 감각 자극. 또한, 중간신경으로부터 익구개신경절, 코 및 부비강의 점막 및 점막하로의 부교감 신경 자극이 정맥 용량 및 충혈 정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7 뇌신경의 부교감신경 부분은 뇌줄기에 있는 침분비핵에서 기원하며 안면 신경의 운동 분할로부터 분리된 내부 바깥귀길(interior acoustic meatus)로 들어간다. 제7 뇌신경은 무릎신경절에 가까운 안면 신경과 결합한다. 섬유들은 크고 얕은 바위신경을 통해서 무릎신경절을 떠나고 크고 깊은 바위신경과 결합하여 익돌관 신경 또는 날개관 신경을 형성하고, 익구개신경절 내의 시냅스 앞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들은 눈, 코, 부비강, 구개, 인두 및 타액선에 부교감신경 신경분포를 제공한다. 무릎신경절은 미주신경의 귓바퀴가지 및 제7 뇌신경과의 연결을 통해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로부터 일반적인 체강 구심성 섬유(somatic afferent fibers)를 받는다. 일반적인 체강 감각 구심성 섬유(somatic sensory afferent fibers)는 무릎신경절 내에서 시냅스를 이룬다.
삼차 신경 또는 제5 뇌신경은 12개의 뇌신경 쌍 중 5번째이며 모든 뇌신경들 중에서 가장 크다(도 4 참조). 이는 안면, 두피, 이도, 점막 및 기타 머리 내부 기관의 피부의 가장 큰 감각 신경이다. 또한, 이는 저작 근육의 운동신경분포 기능을 하며 고유감각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가지를 사용하여 대뇌의 경질로부터 감각신경의 분포를 운반한다. 제5 뇌신경은 상당히 방대하다. 주감각핵은 교뇌에서 상부 척수로 확장된다. 상기 핵은 삼차신경절 또는 갓세르신경절로도 알려진 반월신경절로부터 구심성 섬유를 받는다. 상기 삼차신경절은 세 가지의 주요부에 대한 감각 섬유들의 세포체를 포함하다. 이는 세 가지의 큰 감각 분배를 받는다: 눈, 턱, 및 아래턱 분배. 상기 감각성 근 섬유는 교뇌 내로 이들의 삽입부가 통과하도록 신경절을 뒤쪽으로 남긴다.
제9 뇌신경으로도 알려진 설인 신경은 고실신경으로도 알려진 12개의 파라뇌신경(paracranial nerve) 중 9번째이며 감각성 및 분비성의 섬유이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신경은 감각 신경 및 운동 신경이 혼합된 것이다. 감각신경은 인두 및 편도의 점막 및 혀 뒷부분에 감각을 제공하는 체강 구심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뇌줄기 유래인 설인 신경의 표면 기원은 올리브(olive)와 아래 다리 사이의 구에 있는 3개 또는 4개의 세근이다. 이는 경정맥공을 통해서 두개골에서 빠져나오며 내경동맥과 내경정맥 사이에 앞쪽으로 지나간다. 경정맥공을 빠져나올 때, 이는 한 쌍의 신경절 팽창을 형성한다: 상위 신경절 또는 경부 신경절, 및 하위 신경절 또는 바위 신경절. 상기 신경절은 신경의 감각섬유의 세포체를 포함한다. 제9 신경은 미주신경 또는 제10 뇌신경, 안면 신경, 및 교감 신경절과 소통한다.
설인신경은 5가지의 뚜렷한 기능을 한다: (1) 운동(특징적인 내장원심성)은 경상 인두근을 공급한다; (2) 내장 운동(일반적인 내장원심성)은 이하선의 부교감신경 신경분포를 제공한다; (3) 내장감각(일반적인 내장구심성) 은 내장감각 정보를 경동맥동 및 경동맥소체로부터 운반한다; (4) 일반적인 감각(일반적인 체강 원심성)은 바깥귀의 피부, 고막의 내부표면, 상부 인두, 및 혀 뒤쪽 3분의 1 부분으로부터 일반적인 감각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5) 특별감각(특별한 구심성)은 성곽유두를 포함하는 혀의 뒤쪽 3분의 1부분 유래의 미각을 제공한다.
따라서, 의학계에서는 침습적인 외과적 시술 또는 인공적인 장치에 의해서 미주신경 또는 기타 뇌신경의 기능을 바꾸는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미주 및 기타 뇌신경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다. 구체적으로, 비침습적이고, 안전하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미주 및 기타 뇌신경의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시술에 대해 당 분야에서의 요구가 많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5 뇌신경(삼차 신경), 제7 뇌신경(안면 신경), 제9 뇌신경(설인 신경), 및 제10 뇌신경(미주신경)과 관련된 다수의 인간 질병 및 이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시술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침습적이고 고비용인 외과적 시술에 의존하지 않는, 신경의 일반적인 생리적 기능을 방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방법은 구심성 및 원심성 신호 모두의 전달을, 삼차신경, 안면, 설인 또는 미주신경을 통해서 전해지는 것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신경상에서의 신호 전달의 이러한 차단은 국소적인 이개 마취 시술에 의해 달성되며, 따라서 약학적 조성물이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된다. 이는 그러한 신경들의 피부 이개 마취이며 기능적으로 이들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각각의 신경절에 대한 이들의 특정하게 밀접한 근접성 및 관계인 것이다. 이는 특정 질병 진행의 발현의 조절을 초래하는 기능의 조절인 것이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본원은 질병의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i) 진통제 및 (ii) 마취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의 이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진통제는 암피론(ampyrone), 디피론(dipyrone), 안티피린(antipyrine), 아미노피린(aminopyrine) 및 프로피페나존(propyphenaz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라졸론(pyrazolone) 유도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진통제는 안티피린이다. 일 구체예에서, 마취제는 벤조카인(benzocaine), 클로로프로카인(chloroprocaine), 코카인(cocaine), 시클로메티카인(cyclomethycaine), 디메토카인(dimethocaine), 라로카인(larocaine), 피페로카인(piperocaine), 프로폭시카인(propoxycaine), 프로카인(procaine), 노보카인(novocaine), 프로파라카인(propara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 아메토카인(amethocaine), 아르티카인(artica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신쵸카인(cinchocaine), 디부카인(dibucaine), 에티도카인(etidocaine), 레보부피바카인(levobupivacaine), 리도카인(lidocaine), 리그노카인(lign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 프릴로카인(prilo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트리메카인(trimecaine),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마취제는 벤조카인이다.
개시된 방법론에 의해 치료 가능한 질병은 매우 많다. 특정 신경이 통하는 기관 또는 신체 조직과 관련된 임의의 질병이 본 방법들에 의해 잠재적으로 치료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방법들에 의해 치료 가능한 질병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천식, 신경성 기침, 인두 이물감, 경련성 발성장애, 위식도 역류질환, 및 비만. 또한, 본 방법은 편도선 절제술 후 또는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의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을 치료하는 데 적합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개시된 방법론에 의해 치료 가능한 질병에는 다음이 포함되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심장질환, 발작성(단독)(미주신경의) 심박세동, 반사 수축기 실신(reflex systolic syncope),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 POTS), 과도한 구역반사, 식도연하곤란, 구토, 매스꺼움, 연하통, 식도통증, 식도 신경통, 위염, 소화불량, 쓸개담낭질환, 대장균방광염통, 복부통, 식도운동장애(esophageal motility disorder) 또는 식도운동성장애(esophageal dysmotility), 경련성결장, 췌장통 또는 경련, 소아복통, 직장경련 및 통증, 방광경련(과민성방광), 간질성 방광염, 월경곤란증, 조산, 골반통, 만성 골반통, 만성 전립선염통증, 경련, 자간전증, HELLP 증후군, 방광염 통증, 과민성 대장증후군, 콘질환(C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역류질환, 위염(gastritis), 위장염 증상, 임신입덧, 소아복통, 간신증후군, 식욕억제, 담낭통, 식도의 염증, 위의 염증, 결장의 염증,(돌, 감염 또는 종양으로 인한)신장통, 야뇨증, 배뇨곤란, 성교통, 유분증, 헤비플로피어리드(heavy flow period), 빈뇨, 장기간 질출혈, 발기억제, 조기사정예방, 과도한 발한 억제, 요관경련, 생리통, 자궁경련, 난소통증 및 경련, 나팔관통증 및 경련, 소아천식, 성인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점액, 급성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기관지경련, 낭포성 섬유증, 폐의 염증, 폐기종, 늑막염 흉부통, 늑간근육통, 신경통(nerve pain), 삽관 및 발관 후 기관지 경련, 협심증, 심장미주신경차단, 혈관미주신경 반사장애, 서맥,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고혈압, 당뇨병, 충격, 패혈성 충격, 혈당감소, 췌장의 염증, 미주신경 또는 심장에 의한 실신, 혈관미주신경실신, 서맥성부정맥, 피부혈관확장, 신경통(neuralgia), 후두경련, 급성후두염, 후두통증, 만성 후두염, 발관 및 삽관후 후두경련, 구개근 경련, 편도선 절제술 후 통증, 코골이,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비염, 염증성 용종증(코), 만성부비동염, 만성비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재채기, 딸꾹질, 비염, 이명, 연하장애, 상기도막힘,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만성), 간질, 강박장애, 공황발작,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뚜렛 증후군(Tourette's syndrome), 국소성 근긴장 이상, 틱 도로레아욱스(tic doloreaux), 폭식증, 불안, 우울증, 하지 불안증후군, 자율신경기능장애, 가족성 의도진전(familial intentional tremor), 편두통, 자폐 스펙트럼, 불안두통, 불면증 또는 수면장애, 다발성경화증, 망상체활성화계조절, 말초신경병증, 운동실행증, 경부견갑통, 및 파킨슨병.
따라서, 본 방법은 특정한 신경기능을 "차단"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임의의 질병(disease), 병(ailment) 또는 신체 질환(bodily condition)을 치료하는 데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즉, 신경 신호를 전하는 신경의 능력을 방해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임의의 질환이 개시된 방법에 의해 망라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상체에서의 신경의 생리적 활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신경의 활성을 생리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된다. 따라서, 개시된 바와 같이 방법에 활용되는 본 약학적 조성물은, 이의 길이를 따라 신경 신호를 전하는 신경의 본래 능력을 교란시킬 수 있다. 구심성 및 원심성 둘 모두 이들 신호는 본 방법들에 의해 차단되거나 방해받는다.
약학적 조성물에 존재하는 진통제의 양은 1 mL 당 약 1 내지 100 mg, 약 10 내지 100 mg, 약 20 내지 100 mg, 약 30 내지 100 mg, 약 40 내지 100 mg, 약 50 내지 100 mg, 약 60 내지 100 mg, 약 70 내지 100 mg, 약 80 내지 100 mg, 약 90 내지 100 mg, 또는 약 100 mg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존재하는 진통제의 양은 1 mL 당 약 50 내지 60 mg, 또는 약 54 mg, 또는 약 50 내지 55 mg, 또는 약 55 내지 60 mg이다.
약학적 조성물에 존재하는 마취제의 양은 1 mL 당 약 1 내지 100 mg, 약 10 내지 100 mg, 약 20 내지 100 mg, 약 30 내지 100 mg, 약 40 내지 100 mg, 약 50 내지 100 mg, 약 60 내지 100 mg, 약 70 내지 100 mg, 약 80 내지 100 mg, 약 90 내지 100 mg, 또는 약 100 mg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존재하는 마취제의 양은 1 mL 당 약 1 내지 20 mg, 또는 약 1 내지 15 mg, 또는 약 5 내지 15 mg, 또는 약 10 내지 20 mg, 또는 약 10 내지 15 mg, 또는 약 14 mg이다.
1회 투약 동안 환자에 투여되는 약학적 조성물의 총량은 용액 약 .001 내지 .01 mL, 또는 용액 약 .01 내지 .1 mL, 또는 용액 약 .1 내지 .5 mL, 또는 용액 약 .1 내지 1 mL, 또는 용액 약 1 내지 1.5 mL, 또는 용액 약 1.5 내지 2 mL, 또는 용액 약 2 내지 5 mL, 또는 용액 약 5 내지 10 mL일 수 있다. 투여는 전형적인 투약 동안에 환자의 이도에 용액의 "점적(drop)"을 적용하는 점적용기("dropper" bottle)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는, 1 mL(약 15 내지 20 점적), 0.5 mL(약 10 점적), 0.25 mL(약 5 점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적으로 구체화되지 않는다면, 값, 범위, 양, 또는 백분율을 표현하는 것과 같은 모든 숫자는 단어 "약"이 명시적으로 표기되어 있지 않더라도 숫자 앞에 이 용어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원에 나열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그에 포함되는 모든 하위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복수는 단수를 포함하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예컨대 단수형 "a", "an", 및 "the"는, 하나의 지시대상으로 명시적으로 명확히 한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방법에 의해 치료된 대상체는 이염이 없다. 또한,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방법들에 의해 치료된 대상체는 귓병이 없거나 이통을 경험하고 있지 않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방법은 이염 환자에게 활용되지 않는다. 즉, 특정 구체예에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염 또는 이염과 관련된 이통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을 배제한다. 특정 구체예들은, 구체적으로, 귓병 또는 이통을 경험중인 환자에게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한다. 이들 구체예에서, 본 방법의 첫 번째 단계는 환자가 이통, 또는 귓병, 또는 이통을 야기할 수 있는 귀 조직의 부기가 또는 이염이 없음을 확실시하기 위하여 치료 의사로부터 귀 검진을 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환자가 전술된 증상을 가지지 않음을 확신한 후에, 환자의 이도를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로 치료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안티피린 및 벤조카인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서 사용된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은 항생제, 혈관수축제, 글리세린, 및 아세트산과 같은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애쥬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용액, 포말, 젤, 크림, 페이스트(paste), 로션, 에멀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1일 4회, 1일 5회, 1일 6회, 1일 7회, 1일 8회, 1일 9회, 1일 10회 내지 20회, 또는 필요에 따라 최대 하루종일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천식 발작 시작 시에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공복감을 느끼는 사람에게 투여된다. 방법의 일부 양태들은 인두 영역에 통증을 느끼는 환자에게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수반한다. 특정 구체예들은 이통을 경험하고 있거나, 이염이 있거나, 이염과 관련된 귀에 부기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교시된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고려한다. 이들 구체예에서, 미주신경과 관련된 질병들을 치료하는 개시된 방법의 적용은 이통이 발생중인 환자에게서는 즉시 중단 또는 중지될 수 있다.
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병은 편도선 절제술 후 또는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와 관련된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이다. 이들 구체예는 전술된 외과적 시술 후 환자들이 느끼는 통증을 치료한다. 이들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기 이전에 168시간(또는 7일) 전, 48시간 전, 24시간 전, 12시간 전, 4시간 전에 편도선 절제술 또는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았거나 또는 수술 직후인 대상체의 이도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방법은 수술 후 인두 또는 구강인두 영역에 통증을 느낄 시에 즉시 사용하기 위해 의사가 환자들에게 개시된 시술 및 약학적 조성물을 처방하는 것을 고려한다.
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또 다른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병 또는 질병은 천식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급성 천식 발작은 본 방법에 의해 치료된다. 이들 구체예는 급성 천식 발작을 현재 경험중인 대상체의 이도에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구체예는 지난 48시간, 24시간, 12시간, 6시간, 또는 1시간 이내에 천식 발작을 경험한 대상체의 치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 교시된 방법들은 환자의 천식을 치료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기관지 확장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환자의 정상적인 최대 유량 판독치(normal peak flow reading)의 50 내지 79%의 최대날숨유속(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즉, 미국폐협회(American Lung Association)에 의해서 분류된 "옐로우 존(the yellow zone)"을 경험중인 천식 환자들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들은 환자의 정상적인 최대 유량 판독치의 50% 미만의 최대날숨유속, 즉, "레드 존(the red zone)"을 경험중인 환자들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방법들은 환자가 심각한 천식발작을 경험할 때 구조 흡입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부 구체예에서, 본 약학적 조성물은 키트의 구성요소이며, 여기서 상기 키트는 구조 흡입기, 및 안티피린 및 벤조카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심각한 천식발작으로 고통받을 위험이 있는 환자가 소지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일부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학교 교실에 비치되는 응급구급상자의 일부이다. 이들 구체예에서, 교사는, 학생이 심각한 천식발작에 시달리지만 쉽게 사용 가능한 구조 흡입기가 없을 때와 같은 응급시에 본 약학적 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만성천식의 치료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이들 구체예에서, 환자들은 급성 천식발작의 개시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개시된 조성물들을 활용한다. 이들 방법에서, 만성 천식은 본 방법들의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관리된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천식 환자들은 천식 발작의 개시 전에 본원에 제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받는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의 특정 구체예들은 운동을 하는 환자들에게서 천식을 제어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종종, 천식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은 격렬한 신체운동시 감소된 호흡 능력을 경험할 것이며, 이는 일부 경우에서, 흡입기 사용을 요구하는 심각한 천식 발작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대상체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안티피린 및 벤조카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대상체의 이도를 처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방법은 천식발작이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체적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되는 활용하는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일 수 있다.
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적인 질환 또는 질병은 비만이다. 본 방법은 환자의 식욕을 억제하는 기작을 제공함으로써 비만을 치료한다. 환자의 식욕을 억제함으로써, 본 방법은 환자의 체중을 관리하는 데에 활용하는 또 다른 도구를 의사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비만은 교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대상체들이 공복감을 경험할 때마다 교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대상체들을 치료한다. 또한, 일부 구체예는, 식사하기 직전, 또는 식사하기 10분 내지 60분 전, 또는 식사하기 20분 내지 60분 전, 또는 식사하기 30분 내지 60분 전, 또는 음식 섭취와 동시에 대상체의 이도에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들을 투여한다. 따라서, 일부 양태에서, 미주신경의 이개마취인 본 방법은 환자가 임의의 음식을 섭취하기 전 1시간 내에 환자에게 활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의 식욕이 충족되어 더 적은 음식을 섭취할 것이다. 또한, 일부 구체예는,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들을 아침에, 바람직하게는 대상체가 아침 식사하기 전에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함으로써 적어도 점심때까지 지속되는 효과적인 식욕 억제제를 제공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약학적 조성물 및 치료방법론은 환자의 식욕을 억제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활용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특정 식이요법 또는 운동요법을 포함할 수도 있는 종합적인 체중감소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일부 양태에서, 환자의 이도에 국소적 약학적 조성물을 적용하는 사람은 임의의 방해물들, 즉, 왁스, 피부, 감염, 고름, 또는 부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귀를 표면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밝은 빛을 확보해야 한다. 상기 사람은 이도를 곧게 하기 위하여 귓바퀴를 바깥쪽 및 위쪽으로 살짝 당길 수 있다. 미리 데워지거나 꽤 점도가 있는 교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귀에 넣는 물약(ear drop)은 귓구멍 측면의 후부 또는 뒷벽에 적용되어야 한다. 점적은 1회에 한 방울씩 매우 천천히 계획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점적이 이도 아래로 천천히 이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최적의 적용을 위하여 환자의 머리는 평편하고 부드러운 표면의 한 측에 받쳐져야 한다. 이도 및 고막의 뒷벽은 미주신경 섬유의 대부분을 가지므로 이 부분으로의 겨냥된 투여가 바람직하다. 일부 양태에서, 10세 미만의 어린이는 각 귀에 4 내지 8 방울이 필요할 것이며, 반면 성인 및 12세 초과의 어린이는 마취를 위하여 통상 6 내지 10 방울이 필요하다. 일부 구체예에서, 미주신경에 대해 요구되는 국소 마취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도 내에 약물의 유지를 보증하기 위해 점적 이후에는 항상 약 1시간 동안 이도의 측면에 탈지면을 붙인다. 1시간 후, 탈지면을 제거할 수 있다.
미주신경의 생리학적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미주신경의 이개마취를 목적으로 환자의 이도에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은 일부 구체예에서 "크루즈 매뉴버(Crews Maneuver)"로 언급된다. 미주신경을 마취하기 위한 도관으로서 이도를 활용하는 크루즈 매뉴버는 당 분야에서 현재 단점을 겪지 않는다.
본원의 구체예들의 상기 및 기타 특징, 양태 및 장점들은 아래에 설명된 하기의 기재,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미주신경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귓바퀴가지에 주목하도록 한다.
도 2는 신체 일면에서의 부교감신경 분할의 신경분포를 보여주는 미주신경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안면 신경의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삼차신경의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설인신경의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설인신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인간 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도에 주목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이 본원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원에 개시된 구체적인 상세내용은 이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청구범위를 위한 기초로서, 그리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본 개시를 사용하도록 당업자에게 교시하는 대표적인 기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뇌신경을 따른 신경신호 전달의 교란
제10 뇌신경(미주신경)은 수많은 신체기관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의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의 변화는 많은 인간 병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특정 신경에서 신경 신호의 전달을 "차단", "교란", 또는 "마비" 시킴으로써 상기 신경에 의해 신경 분포되어 있는 많은 기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경을 따라 전해지는 신호 전달의 차단은, 이러한 신호들이 사실상 구심성이든 또는 원심성이든, 다양한 기관 및 조직의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을 변경할 것이다. 결국, 이는 특정 신경에 의해 신경 분포된 인간 기관 및 조직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 또는 병을 치료하는 데 엄청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제7 뇌신경(안면 신경)의 피부 부분의 이개 마취는 부교감신경 섬유 및 감각 섬유들이 마취되거나, 차단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절되는 무릎신경절 뒤로 신호를 운반한다. 무릎신경절 및 익구개신경절과의 이의 연결의 마취는 안면 신경을 통한 원심성 신호의 전달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비염, 염증성 코 폴립증, 만성부비동염, 만성비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재채기, 및 모든 형태의 비염과 같은 질병 진행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제5 뇌신경(삼차 신경)의 감각 양태는 경질, 눈점막, 코 및 부비강 점막, 외이도 고막 피부 유래의 정보를 다룬다. 이후, 이도 피부의 이개마취는 삼차신경의 아래턱부의 귓바퀴관자가지를 통해서 삼차신경절에 신호를 준다. 삼차신경절을 통한 구심성 신호의 조절은 다수의 질병 진행에 큰 영향을 준다. 경질, 눈, 코 및 부비강 유래인 이러한 구심성 신호의 조절은 다양한 질병 진행의 조절을 초래한다. 눈, 턱, 및 아래턱부를 통과하는 경질신호의 조절은 두통 및 편두통을 치료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삼차신경의 눈 및 턱 부분 유래의 구심성 신호의 조작, 조절 또는 차단은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비염, 모든 형태의 비염, 염증성 코 폴립증, 만성부비동염, 만성비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재채기를 다루는 제7 뇌신경의 운동부 유래의 원심성 신호를 조절한다.
제9 뇌신경(설인 신경), 추체신경절 근처, 제7 뇌신경과의 연결부위 및 제10 뇌신경의 피부부분의 이개마취는 특정 질병 진행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설인신경과 제7 및 제10 뇌신경 사이의 신경 연결부로 인해, 이러한 신경들에 특이적인 질병 진행이 또한 조절될 수 있다. 국소적인 이개마취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설인 신경에 특이적인 질병에는 인두통, 편도선 절제술 후 통증, 재채기, 및 이하선 타액분비가 포함되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구체예들은 미주신경, 삼차신경, 안면신경, 또는 설인 신경을 통한 원심성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구체예는 미주신경, 삼차신경, 안면신경, 또는 설인 신경을 통한 구심성 신호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본 개시는 미주신경, 삼차신경, 안면신경, 또는 설인 신경을 통한 구심성 신호 전달 및 원심성 신호 전달 모두를 차단하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B. 약학적 조성물
본 개시의 방법들은 그러한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약학적 조성물의 적용을 활용한다. 이도는 도 7에 도시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진통제 및 마취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체예들에 존재하는 진통제는 피라졸론(C3H4N2O) 유도체들이다. 3-피라졸론의 분자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또한, 이성체 형태 5-피라졸론의 유도체가 본 개시에 포함된다.
본 방법들의 특정 구체예들은 피라졸론 유도체로서 안티피린을 활용한다. 안티피린(C11H12N2O)은 또한 페나존(phenazone)으로도 언급된다. 안티피린의 분자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본 개시의 일부 구체예에 존재하는 마취제들은 에스테르계 마취제들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마취제는 벤조카인(C9H11NO2)이고, 이의 분자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3
상기 방법의 추가 구체예들은 아미드계 마취제들을 사용한다.
본 방법들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들은 진통제로서 안티피린 및 마취제로서 벤조카인을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많은 방식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액, 포말, 젤, 크림, 페이스트, 로션, 에멀젼, 및 상기한 것들의 조합.
또한, 본 개시는 안티피린 및 벤조카인과 같은 약학적 조성물의 활성 성분들이 재료 내로 주입될 수 있고 그런 다음 그것을 환자의 이도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면 거즈 소재가 본 약학적 조성물을 함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즈는 이도가 본 약학적 조성물에 노출되도록 하는 편리한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
C. 약학적 조성물이 적용되는 해부학적 위치
본 방법은 환자의 이도에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도는 본 약학적 조성물을 적용하여 미주 또는 기타 뇌신경을 따른 신경 신호의 교란을 달성하는 편리한 인간의 해부학적 지점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이도 내로 약학적 조성물을 위치시킴으로써, 신체는 상기 조성물을 흡수하고 미주신경 또는 기타 뇌신경은 신경의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이 변화되도록 "차단"됨이 발견되었다. 특정 신경을 마취하기 위한 도관으로서 이도를 활용하는 본 방법론은 선행 기술에 존재하는 단점들을 가지지 않는다.
기재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을 적용하는 본 방법은 침습적이지 않으며 외과적 시술과 관련된 위험성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방법은 환자의 신체 내로 인공장치를 삽입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 상기 기재된 비침습적 시술은 미주 또는 기타 뇌신경의 기능을 인공 장치 또는 외과 수술 없이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방법이 최신의 당분야에 상당한 진보를 제시하였음이 명백하다. 또한, 본 방법은 경제적이며 따라서 상당수의 인구에게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것이다.
미주신경에 대한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 현재 개시된 구체예들은 이제 하기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화될 것이다. 이들 각각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된 방법은 특정 뇌신경과 관련된 인간 질병 또는 병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즉, 하기 실시예에서 치료된 질환들은 미주 또는 다른 뇌신경들에 대해 이개 마취를 수행하는 개시된 방법, 즉, "크루즈 매뉴버"에 의해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정도로 제어될 수 있었다.
실시예
실시예 1: 편도선 절제술 후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편도선 절제술 후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전에 편도선 절제술을 받은 500명의 환자는 편도선 절제술 후 10일 동안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3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받은 500명의 환자 중, 495명의 환자가 인두통 및/또는 입인두통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2: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전에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은 200명의 환자는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7일 동안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2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된 200명의 환자 중, 200명의 환자가 인두통 및/또는 입인두통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3: 천식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만성 천식 및 급성 천식발작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0명의 천식 환자는 2달 동안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아침에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심각한 급성 천식 발작을 앓고 있는 한 명의 환자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이도를 즉시 채움으로써 치료되었다.
B. 결과
치료된 10명의 환자 중, 10명의 환자가 천식발작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또한, 심각한 천식 발작을 앓고 있는 상기 환자는 치료 후 60분 내에 환자의 폐에 도달하는 산소의 양에 있어서 극적인 증가를 경험하였다.
실시예 4: 비만의 치료(즉, 식욕억제방법)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비만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명의 과체중 환자는 무기한으로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아침에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받은 5명의 환자 중, 5명의 환자 전원이 상기 치료를 활용하는 동안 식욕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상당한 식욕 감소는 체중감소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5: 신경성 기침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신경성 기침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명의 신경성 기침을 앓고 있는 환자는 7일 동안 및 이후엔 필요시에만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2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받은 4명의 환자 중, 4명의 환자 전원이 기침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6: 인두 이물감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인두 이물감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명의 인두 이물감을 앓고 있는 환자는 필요에 따라 무기한으로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된 2명의 환자 중, 2명의 환자 전원이 목 긴장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7: 경련성 발성장애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경련성 발성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명의 경련성 발성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는 필요에 따라 무기한으로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상기 환자는 거의 치료 즉시 목 쉼 및 성대 경련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8: 후두통증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후두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명의 후두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필요에 따라 무기한으로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받은 2명의 환자 중, 모든 환자가 후두통증의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9: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
A. 프로토콜
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시험은 위식도 역류질환(GERD)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명의 GERD를 앓고 있는 환자는 필요에 따라 무기한으로 안티피린(약 54.0 mg) 및 벤조카인(약 14.0 mg)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을 활용하도록 지시받았다.
B. 결과
치료받은 2명의 환자 중, 2명의 환자 전원이 위산 역류 및 속쓰림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전술된 임상실험결과는 아래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치료된 질병 치료된
대상체의
치료 프로토콜 (1 mL는 약 15 내지 20 방울) 치료된
시간량
임상적인 증상개선을 보이는 대상체의 임상적인 증상개선을 보이는 대상체의 %
편도선 절제술 후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 500 1일 3회
각 귀에
6 방울
수술 후 10일 동안 495 99%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
200 1일 2회
각 귀에
6 방울
수술 후 7일 동안 200 100%
천식 10 아침에
각 귀에
6 방울
2개월 동안 10 100%
식욕억제를
통한 비만
5 아침에
각 귀에
6 방울
매일 5 100%
신경성 기침 4 1일 2회
각 귀에
6 방울
7일 동안 치료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4 100%
인두 이물감 2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
필요에 따라 2 100%
경련성
발성장애
1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
필요에 따라 1 100%
후두통증 2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
필요에 따라 2 100%
위식도
역류질환
( GERD )
2 1일 1회
각 귀에
6 방울
필요에 따라 2 100%
개시된 방법론에 의해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은 매우 많다. 특정 신경에 의해 신경 분포된 기관 또는 신체 조직과 관련된 임의의 질병이 본 방법들에 의해 잠재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본 방법들에 의해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천식, 신경성 기침, 인두 이물감, 경련성 발성장애, 위식도 역류질환, 및 비만. 또한, 본 방법은 편도선 절제술 후 또는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의 인두통, 또는 입인두통를 치료하는 데 적합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개시된 방법론에 의해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은 하기를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심장질환, 발작성(단독)(미주신경의) 심박세동, 반사 수축기 실신(reflex systolic syncope),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 POTS), 과도한 구역반사, 식도연하곤란, 구토, 매스꺼움, 연하통, 식도통증, 식도 신경통, 위염, 소화불량, 쓸개담낭질환, 대장균방광염통, 복부통, 식도운동장애 또는 식도운동성장애 또는 식도운동성장애, 경련성결장, 췌장통 또는 경련, 소아복통, 직장경련 및 통증, 방광경련(과민성방광), 간질성 방광염, 월경곤란증, 조산, 골반통, 만성 골반통, 만성 전립선염통증, 경련, 자간전증, HELLP 증후군, 방광염 통증, 과민성 대장증후군, 콘질환, 궤양성 대장염, 역류질환, 위염, 위장염 증상, 임신입덧, 소아복통, 간신증후군, 식욕억제, 담낭통, 식도의 염증, 위의 염증, 결장의 염증,(돌, 감염 또는 종양으로 인한)신장통, 야뇨증, 배뇨곤란, 성교통, 유분증, 헤비플로피어리드, 빈뇨, 장기간 질출혈, 발기억제, 조기사정예방, 과도한 발한억제, 요관경련, 생리통, 자궁경련, 난소통증 및 경련, 나팔관통증 및 경련, 소아천식, 성인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점액, 급성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기관지경련, 낭포성 섬유증, 폐의 염증, 폐기종, 늑막염 흉부통, 늑간근육통, 신경통, 삽관 및 발관 후 기관지 경련, 협심증, 심장미주신경차단, 혈관미주신경 반사장애, 서맥,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고혈압, 당뇨병, 충격, 패혈성 충격, 혈당감소, 췌장의 염증, 미주신경 또는 심장에 의한 실신, 혈관미주신경실신, 서맥성부정맥, 피부혈관확장, 신경통, 기도수축, 급성후두염, 후두통증, 만성 후두염, 발관 및 삽관후 후두경련, 구개근 경련, 편도선 절제술 후 통증, 코골이,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비염, 염증성 용종증(코), 만성부비동염, 만성비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재채기, 딸꾹질, 비염, 이명, 연하장애, 상기도막힘,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만성), 간질, 강박장애, 공황발작,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뚜렛 증후군, 국소성 근긴장 이상, 틱 도로레아욱스, 폭식증, 불안, 우울증, 하지 불안증후군, 자율신경기능장애, 가족성 의도진전, 편두통, 자폐 스펙트럼, 불안두통, 불면증, 다발성경화증, 망상체활성화계조절, 말초신경병증, 운동실행증, 경부견갑통, 및 파킨슨병.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들에 따라 하기의 질환 또는 질병과 관련된 증상 또는 질환에 대해 치료된 최소 5명의 환자 중 절반 이상에서 증상개선이 보고되었다: 혈관미주신경 반사장애, 만성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저혈압, 고혈압, 당뇨병, 방광경련, 월경곤란증, 골반통, 방광염 통증, 야뇨증, 배뇨곤란, 성교통, 다량주기월경, 빈뇨, 경련성 발성장애, 코골이,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비염, 만성부비동염, 만성비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재채기, 딸꾹질, 비염, 연하장애, 과민성 대장증후군, 위염, 식욕억제,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 불안, 우울증, 하지 불안증후군, 가족성 의도진전, 편두통, 자폐 스펙트럼, 불안두통, 불면증, 수면장애, 운동실행증, 및 경부견갑통. 또한, 유사한 긍정적인 결과(즉, 모든 치료된 환자들 중 모두 또는 절반 이상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됨)가 다른 나열된 질병 또는 관련성이 높은 질병에서도 확인되었다.
미주신경 및 기타 뇌신경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들이 다양한 구체예와 관련하여 본 출원서에 기재되었으나, 본 방법들의 범위가 그렇게 개시된 특정 구체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본 방법들은 하기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대안, 개질 및 등가들을 망라하도록 의도한 것이다.

Claims (29)

  1. (i) 진통제 및 (ii) 마취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특히 뇌신경과 관련된 질병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뇌신경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상체의 특정 뇌신경의 생리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특정 뇌신경의 활성을 생리학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특정 뇌신경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특정 뇌신경은 삼차 신경, 안면 신경, 설인 신경, 또는 미주신경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질병은 천식, 신경성 기침, 인두 이물감, 경련성 발성장애, 위식도 역류 질환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질병은 혈관미주신경 반사장애, 만성기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저혈압, 고혈압, 당뇨병, 방광경련, 월경곤란증, 골반통, 방광염 통증, 야뇨증, 배뇨곤란, 성교통, 다량주기월경, 빈뇨, 경련성 발성장애, 코골이,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비염, 만성부비동염, 만성비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재채기, 딸꾹질, 비염, 연하장애, 과민성 대장증후군, 위염, 식욕억제,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 불안, 우울증, 하지 불안증후군, 가족성 의도진전(familial intentional tremor), 편두통, 자폐 스펙트럼, 불안두통(anxiety headaches), 불면증, 수면장애, 운동실행증, 및 경부견갑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진통제는 암피론(ampyrone), 디피론(dipyrone), 안티피린(antipyrine), 아미노피린(aminopyrine) 및 프로피페나존(propyphenaz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라졸론(pyrazolone) 유도체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진통제는 안티피린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마취제는 벤조카인(benzocaine), 클로로프로카인(chloroprocaine), 코카인(cocaine), 시클로메티카인(cyclomethycaine), 디메토카인(dimethocaine), 라로카인(larocaine), 피페로카인(piperocaine), 프로폭시카인(propoxycaine), 프로카인(procaine), 노보카인(novocaine), 프로파라카인(propara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 아메토카인(amethocaine), 아르티카인(artica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신쵸카인(cinchocaine), 디부카인(dibucaine), 에티도카인(etidocaine), 레보부피바카인(levobupivacaine), 리도카인(lidocaine), 리그노카인(lign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 프릴로카인(prilo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트리메카인(trimecaine),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마취제는 벤조카인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이염에 걸리지 않은,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항생제, 혈관수축제, 글리세린 또는 아세트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용액 상태로 투여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포말(foam) 상태로 투여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진통제는 약학적 조성물 내에 50 내지 60 mg/mL의 농도로 존재하고, 마취제는 약학적 조성물 내에 10 내지 2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진통제는 약학적 조성물 내에 50 내지 55 mg/mL의 농도로 존재하고, 마취제는 약학적 조성물 내에 10 내지 15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방법.
  15. (i) 안티피린 및 (ii) 벤조카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편도선 절제술 후의 인후통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도선 절제술 후의 인후통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받기 전 168시간 내에 편도선 절제술을 받았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 투여되지 않은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생리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활성을 생리학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48시간 내에 편도선 절제술을 받은,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체가 편도선 절제술을 받은지 4시간 이내에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18. (i) 안티피린 및 (ii) 벤조카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에 인후통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에 인후통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168시간 내에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았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생리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활성을 생리학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 48시간 내에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은,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체가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은지 4시간 이내에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21. (i) 안티피린 및 (ii) 벤조카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천식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는 천식이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 투여되지 않은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생리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활성을 생리학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이전 48시간 내에 천식발작을 일으킨,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이전 60분 내에 천식발작을 일으킨,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후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대상체가 또 다른 천식발작을 일으키는 징후가 나타날 때에 약학적 조성물의 제2 투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i) 안티피린 및 (ii) 벤조카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식욕억제가 필요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방법으로서,
    상기 투여는 24시간 동안 적어도 1회 이루어지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 투여되지 않은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생리학적 활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미주신경의 활성을 생리학적으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농도로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투여는 24시간 동안 적어도 3회 이루어지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체가 공복감을 느낄 때 대상체의 이도에 즉시 투여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대상체가 음식을 섭취하기 약 20분 내지 약 60분 전에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음식 섭취와 동시에 대상체의 이도에 투여되는, 방법.
KR1020157033239A 2013-05-03 2014-05-05 뇌신경의 이개 마취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방법 KR102086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9023P 2013-05-03 2013-05-03
US61/819,023 2013-05-03
PCT/US2014/036855 WO2014179814A1 (en) 2013-05-03 2014-05-05 Method of treating disease by auricular anesthesia of cranial ner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12A true KR20160003012A (ko) 2016-01-08
KR102086709B1 KR102086709B1 (ko) 2020-03-09

Family

ID=518440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239A KR102086709B1 (ko) 2013-05-03 2014-05-05 뇌신경의 이개 마취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방법
KR1020187015606A KR20180088408A (ko) 2013-05-03 2016-11-02 뇌신경의 귀 마취에 의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606A KR20180088408A (ko) 2013-05-03 2016-11-02 뇌신경의 귀 마취에 의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4) US20140357686A1 (ko)
EP (2) EP2991620B1 (ko)
JP (3) JP6433985B2 (ko)
KR (2) KR102086709B1 (ko)
CN (2) CN105163718B (ko)
AU (2) AU2014262148B2 (ko)
BR (1) BR112018008893A8 (ko)
CA (2) CA2910422C (ko)
DK (1) DK2991620T3 (ko)
ES (1) ES2823624T3 (ko)
HK (1) HK1212230A1 (ko)
IL (2) IL242339B (ko)
MX (2) MX2015015194A (ko)
MY (2) MY180310A (ko)
RU (2) RU2687249C2 (ko)
SG (1) SG11201508509XA (ko)
WO (2) WO2014179814A1 (ko)
ZA (2) ZA2015087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62148B2 (en) * 2013-05-03 2018-11-22 Thomas M. Crews Method of treating disease by auricular anesthesia of cranial nerves
WO2016137352A1 (ru) * 2015-02-26 2016-09-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орциум-Пик"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ух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указан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JP7378781B2 (ja) 2016-09-07 2023-11-14 グリア エルエルシー 脳神経の薬理学的な経皮活性化による神経変性障害に関連する症状の治療
CN107789621A (zh) * 2017-12-15 2018-03-13 阜阳市平衡医疗保健器械有限公司 一种治疗头痛的药物及其配制方法
US11607275B2 (en) * 2019-05-20 2023-03-21 Medtronic Ireland Manufacturing Unlimited Company Selection of hypertensive patients for treatment with renal denerv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3417A (en) * 1999-01-11 2000-07-25 Advanced Medical Instruments Composition to treat ear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4691A1 (de) * 1995-07-06 1997-01-09 Liedtke Pharmed Gmbh Methode und Zusammensetzung einer topischen Therapie von Innenohr und Labyrinth-Symptomen
RU2104056C1 (ru) * 1995-07-10 1998-02-10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Ланцов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ериферических поражений лицевого нерва
JPH1094613A (ja) * 1996-08-02 1998-04-14 Mieko Sato 食欲調整用具
EP1814532B1 (en) * 1999-05-27 2012-01-18 George F. El Khoury Topical application of muscarinic and opioid agents for treatment of tinnitus
DE10322497A1 (de) * 2003-05-19 2004-12-09 Liedtke, Rainer K., Dr. Topisch pharmakologische Vorbeugung und Therapie der Hyperakusis
US8940321B2 (en) * 2003-12-12 2015-01-27 Otic Pharma Lt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ear disord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755892B2 (en) * 2007-05-16 2014-06-17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for stimulating neural targets
US20110208161A1 (en) * 2009-08-13 2011-08-25 Yehuda Ivri Intracochlear drug delivery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WO2011028915A2 (en) * 2009-09-03 2011-03-10 University Of Chicago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CN103796573A (zh) * 2011-09-15 2014-05-14 优瑟夫·雅阿科比 一种治疗耳病的系统和方法
AU2014262148B2 (en) * 2013-05-03 2018-11-22 Thomas M. Crews Method of treating disease by auricular anesthesia of cranial nerv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3417A (en) * 1999-01-11 2000-07-25 Advanced Medical Instruments Composition to treat ear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51(7):675-678 (1997) *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6(9):1229-1235 (20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1620A4 (en) 2017-01-11
KR102086709B1 (ko) 2020-03-09
RU2687249C2 (ru) 2019-05-08
MX2015015194A (es) 2016-02-11
NZ713746A (en) 2021-01-29
AU2014262148A1 (en) 2015-11-05
CA2910422C (en) 2022-09-27
EP2991620A1 (en) 2016-03-09
EP2991620B1 (en) 2020-07-08
SG11201508509XA (en) 2015-11-27
CN108430470A (zh) 2018-08-21
JP2022065015A (ja) 2022-04-26
MX2018005625A (es) 2018-12-06
IL242339B (en) 2020-05-31
MY180310A (en) 2020-11-28
US20220387307A1 (en) 2022-12-08
WO2014179814A1 (en) 2014-11-06
IL259019A (en) 2018-06-28
HK1212230A1 (en) 2016-06-10
ZA201803483B (en) 2019-08-28
BR112018008893A8 (pt) 2019-02-26
JP2016522819A (ja) 2016-08-04
US9968589B2 (en) 2018-05-15
US11123284B2 (en) 2021-09-21
EP3370716A4 (en) 2019-04-17
AU2014262148B2 (en) 2018-11-22
AU2016349784A1 (en) 2018-05-17
CN105163718A (zh) 2015-12-16
KR20180088408A (ko) 2018-08-03
CA3004160C (en) 2023-03-14
CA3004160A1 (en) 2017-05-11
IL259019B (en) 2021-06-30
AU2016349784B2 (en) 2019-06-06
ES2823624T3 (es) 2021-05-07
MY196979A (en) 2023-05-16
RU2701548C1 (ru) 2019-09-30
DK2991620T3 (da) 2020-10-12
ZA201508782B (en) 2017-08-30
JP2018536709A (ja) 2018-12-13
US20160051516A1 (en) 2016-02-25
WO2017079270A1 (en) 2017-05-11
US20140357686A1 (en) 2014-12-04
US20180360745A1 (en) 2018-12-20
RU2015148757A (ru) 2017-06-08
CN105163718B (zh) 2020-03-17
CA2910422A1 (en) 2014-11-06
EP3370716A1 (en) 2018-09-12
BR112018008893A2 (pt) 2018-11-06
JP6433985B2 (ja)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umin et al. Laryngeal findings in advanced Parkinson's disease
KR102086709B1 (ko) 뇌신경의 이개 마취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방법
Loft et al. Hiccups: a case presentation and etiologic review
Tariq et al. A case report of Vagus nerve stimulation for intractable hiccups
Jankovic Regional nerve blocks and infiltration therapy: Textbook and color atlas
RU2480195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внутреннего уха
NZ713746B2 (en) Method of treating disease by auricular anesthesia of cranial nerves
Krishnachetty et al. Applied Anatomy for the FRCA
Angelova et al. Innovative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Sleep Apnoea
Šeparović et al. Hernia in Ambulatory Surgery Centre
Kalai Selvi A Study on the Effect of Dexmedetomidine on Hemodynamic Parameters during Extubation in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aesthesia: A Prospective Randomised Double Blind study
Boscan Anesthesia for dentistry and surgical procedures of the face and head.
Nekhendzy Anesthesia for otologic and neurotologic surgery
Chele et al. Local-regional anesthesia in dentistry and OMF surgery
Russel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cranial nerves and organic lesions of the spinal cord.
HUNSAKER 96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Laryngological, Rhinological, and Otological Society, April 19-21, 1993, Los Angeles, Calif
GREEN Exostosis of the Auditory Meatus: Death from Meningitis; With Rema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