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819U - 데스크용 명패 - Google Patents

데스크용 명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819U
KR20160002819U KR2020150000839U KR20150000839U KR20160002819U KR 20160002819 U KR20160002819 U KR 20160002819U KR 2020150000839 U KR2020150000839 U KR 2020150000839U KR 20150000839 U KR20150000839 U KR 20150000839U KR 20160002819 U KR20160002819 U KR 20160002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ortion
nameplate
des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2020150000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819U/ko
Publication of KR20160002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데스크용 명패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는, 일측면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관통홈과 상기 제1관통홈에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제1접이부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2면; 상기 제2면의 타측에 제2접이부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의 타측에 제3접이부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며 상기 제2지지부와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제2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제4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연질의 아크릴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 명패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이동 및 보관시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며,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명칭의 교체 및 변경이 용이하고 제작 단가가 저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스크용 명패{Nameplate for The Desk}
본 고안은 데스크용 명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질 아크릴로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펼쳐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필요시 연질 아크릴에 형성된 접이부를 따라 아크릴을 접어 일단부가 타측면에 결합되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종이가 수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명칭 및 이름 등으로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고 보관 및 운반시 분해가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와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데스크용 명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패는 사용자의 직위 및 이름 또는 어떤 사물의 명칭을 표현할 때 사용되며 타인이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직위 및 이름 또는 어떤 사물의 명칭을 새겨 책상 위의 전면에 설치하거나 개인적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책상에 결합된 파티션의 상부에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기존의 명패는 삼각기둥 모양의 구조로 되어있는 것으로 통나무, 크리스탈 및 유리와 같은 고가의 재료를 가공하여 전면에 직위 및 명칭이 새겨지게 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사용자가 바뀌는 경우 명패의 재사용이 어려워 패기하고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자원낭비와 불편함이 있으며 외부 충격에 약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명패의 이동 및 보관 시에도 공간을 상당부 차지하게 되어 이에 따른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명패를 제작하는 원자재의 값이 고가이고 사용자의 변경 및 공간 활용에 대한 명패의 효율적 보관과 이동 및 재사용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데스크용 명패는 대표적으로 통나무를 재료로 하는 명패와 크리스탈 및 아크릴을 재료로 하는 명패로 나누어지는데 통나무를 재료로 하는 명패는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단면에 옻칠을 한 후 외면에 자개 등을 이용해 명칭을 새기거나 디자인한 것으로 한번 제작된 명패는 재사용 및 변경이 어려우며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충격에 약하여 파손에 위험이 있어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책상에 사용되는 명패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16080호를 통해 책상에서 사용되는 다용도 명패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명패에 자석이 결합되어 있어 탈부착이 가능하고 명패를 접철 가능하게 하여 반으로 접어 운반 및 보관 할 수 있지만 별도의 결합 장치들이 필요하며 결합 장치들의 보관에 유의하지 않으면 분실의 우려가 있고 명패의 변경시 따로 자석의 결합 설치가 필요하며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어 비효율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질의 아크릴로 형성되어 상부에 접이부를 형성하고 톰슨가공을 통해 모양따기를 하며 접이부를 따라 아크릴을 접어 일측이 타측면에 결합되어 책상의 상부에 지지되게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지지부가 형성되어 종이가 수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명칭의 교체 및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이 없을 때는 결합을 분리하여 펼쳐진 상태로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데스크용 명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면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관통홈과 상기 제1관통홈에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제1접이부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2면; 상기 제2면의 타측에 제2접이부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의 타측에 제3접이부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며 상기 제2지지부와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제2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제4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장변측이 제2관통홈의 사이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변은 완칼가공으로 잘려져 있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삼각기둥 모양의 연질 아크릴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관통홈은 제4면에 형성된 제2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가 접어지며 통과하여 수직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제4면에 형성된 제2관통홈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을 통해 제1지지부를 수직되게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부는 제3면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제2면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어 제2면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어 제3면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제1지지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편의 일측이 제1면을 지지하여 제2면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제2지지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편의 일측이 제1면을 지지하여 제3면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질의 아크릴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 명패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이동 및 보관시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며,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명칭의 교체 및 변경이 용이하고 제작 단가가 저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결합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 종이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제1지지부’와‘제2지지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 종이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종이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제1절곡부’와‘제2절곡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제1지지편’과‘제2지지편’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기에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결합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 종이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제1지지부’와‘제2지지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 종이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나타낸 종이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제1절곡부’와‘제2절곡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의‘제1지지편’과‘제2지지편’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관통홈(21)과 상기 제1관통홈(21)에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는 제1지지부(22)와 상기 제1지지부(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3)이 구비되어 있는 제1면(20); 상기 제1면(20)과 제1접이부(10)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2면(30); 상기 제2면(30)의 타측에 제2접이부(11)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3면(40); 및 상기 제3면(40)의 타측에 제3접이부(12)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부(52)가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며 상기 제2지지부(52)와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제2관통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51)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결합부(53)가 구비된 제4면(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는 연질의 아크릴을 이용해 상부에 접이부를 형성하고 톰슨가공을 통해 모양따기를 하며 접이부를 따라 아크릴을 접어 일단부가 타측면에 결합되어 책상의 상부에 지지되게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지지부가 형성되어 종이(60)가 수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명칭의 교체 및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이 없을 때는 결합을 분리하여 펼쳐진 상태로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제작 단가가 저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접이부(10) 내지 제3접이부(12)는 판형의 연질 아크릴에 4개의 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제1접이부(10) 내지 제3접이부(12)로 인해 형성된 제1면(20) 내지 제4면(50)은 제1접이부(10) 내지 제3접이부(12)를 따라 연질 아크릴을 내측으로 접어 제1면(20)이 제4면(50)의 상부에 겹쳐져 삼각기둥 모양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면(20)은 일측면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관통홈(21)과 상기 제1관통홈(21)에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는 제1지지부(22)와 상기 제1지지부(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관통홈(21)은 상기 제1면(20)의 선단부 양측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모양을 따내어 형성되고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제4면(50)에 형성된 제2지지부(52)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52)가 접어지며 제1관통홈(21)을 통과하여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형성된다.
제1지지부(22)는 상기 제1관통홈(21)과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장변측이 상기 제1접이부(10)에 접하여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변은 완칼가공으로 잘려져 있어 내측으로 접힐 수 있고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상기 제4면(50)에 형성된 제2관통홈(51)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51)을 통해 제1지지부(22)를 수직되게 세워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결합홈(23)은 상기 제1지지부(22)의 사이 공간에 긴 타원형 모양으로 연질 아크릴의 단변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모양따내기 하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면(30)은 상기 제1면(20)과 제1접이부(10)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제1접이부(10)를 따라 제1면(20)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으며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에 기입된 명칭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불투명도가 낮아야 한다.
제3면(40)은 상기 제2면(30)의 타측에 제2접이부(11)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제2접이부(11)를 따라 제2면(30)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으며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에 기입된 명칭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불투명도가 낮아야 한다.
제4면(50)은 상기 제3면(40)의 타측에 제3접이부(12)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부(52)가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며 상기 제2지지부(52)와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제2관통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51)의 사이공간에 결합부(53)가 형성된다.
결합부(53)는 제4면(50)에 형성된 제2관통홈(51)의 사이 공간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장변측이 상기 제2관통홈(51)의 사이 공간에 접하여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변은 완칼가공으로 잘려져 있어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상기 결합홈(23)에 끼움결합되어 삼각기둥 모양의 연질 아크릴이 고정된다.
제2관통홈(51)은 제4면(50)의 양측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홈이 형성되어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제1면(20)에 형성된 제1지지부(22)가 제2관통홈(51)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51)을 통해 제1지지부(22)를 수직되게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지지부(52)는 상기 제2관통홈(51)과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장변측이 상기 제3접이부(12)에 접하여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변은 완칼가공되어 잘려져 있으며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상기 제1관통홈(21)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접히며 상기 제3면(4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지지부(22) 및 제2지지부(52)는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아크릴의 내측에 수납되는 종이(60)를 지지하여 고정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1절곡부(221)가 형성되어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2절곡부(521)가 형성되어 제3면(4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1지지편(223)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편(223)의 일측이 제1면(20)을 지지하여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2지지편(523)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편(523)의 일측이 제1면(20)을 지지하여 제3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데스크용 명패의 소재는 연질 아크릴의 내측에 수납되는 종이(60)에 표현된 글씨 등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불투명도가 낮은 소재의 것이 적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접이부(10) 내지 제3접이부(12)는 접지 공정을 통해 판형 연질 아크릴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접는선이 형성되어 4개의 면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접이부(10) 내지 제3접이부(12)로 인해 형성된 제1면(20) 내지 제4면(50)은 제1접이부(10) 내지 제3접이부(12)를 따라 연질 아크릴을 내측으로 접어 삼각기둥 모양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제1면(20)이 제4면(50)의 상부에 겹쳐진다.
제1면(20)은 제1관통홈(21), 제1지지부(22) 및 결합홈(23)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면 제4면(50)의 상부에 겹쳐져 일치하게 형성된다.
제1관통홈(21)은 상기 제1면(20)의 선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톰슨가공을 통해 모양을 따내어 잘라낸다.
상기 제1관통홈(21)은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제2지지부(52)가 상기 제1관통홈(21)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삼각기둥 모양의 내측으로 제2지지부(52)가 접히며 제1관통홈(21)을 통과하여 수직되게 세워진다.
제1지지부(22)는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제4면(50)에 형성된 제2관통홈(51)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외측에서 상기 제2관통홈(51)을 통해 제1지지부(22)를 접어 수직되게 세워져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된다.
결합홈(23)은 제1면(20)에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22)의 사이 공간에 톰슨가공 공정을 거쳐 모양따내기하여 긴 타원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면 제4면(50)에 형성된 결합부(53)가 끼움결합 된다.
제2면(30)은 상기 제1면(20)과 제1접이부(10)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1접이부(10)를 따라 제1면(20)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다.
제3면(40)은 상기 제2면(30)의 타측에 제2접이부(11)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접이부(11)를 따라 제2면(30)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다.
제4면(50)은 상기 제3면(40)의 타측에 제3접이부(12)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관통홈(51), 제2지지부(52) 및 결합부(53)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제3접이부(12)를 따라 제3면(40)을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결합부(53)가 제1면(20)에 형성된 결합홈(23)에 끼움결합 되어 삼각기둥 모양의 연질 아크릴이 고정된다.
제2지지부(52)는 제4면(50)에 형성되어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면 제1관통홈(21)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외측에서 제2지지부(52)를 접어 상기 제1관통홈(21)을 통과하여 제2지지부(52)가 수직되게 세워져 제3면(4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된다.
제2관통홈(51)은 제4면(50)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홈이 형성되어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때 제1지지부(22)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외측에서 제2관통홈(51)을 통해 제1지지부(22)를 내측으로 수직되게 세워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된다.
제1지지부(22) 및 제2지지부(52)는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있어 연질 아크릴이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면 명칭이 기입된 종이(60)를 삼각기둥 모양의 내측에 수납하여 제2면(30)과 제4면(50)에 표현될 수 있도록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1절곡부(221)가 형성되어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2절곡부(521)가 형성되어 제3면(4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절곡부(221)와 제2절곡부(521)는 상부 일측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1지지편(223)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편(223)의 일측이 제1면(20)을 지지하여 제1지지부(22)가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2지지편(523)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편(523)의 일측이 제1면(20)을 지지하여 제2지지부(52)가 제3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제1면(20) 내지 제4면(50)은 각각의 모서리 부분을 귀절단기를 통해 둥글게 마감하는 귀도리를 형성하여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손 등이 베이는 사고를 예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데스크용 명패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제1접이부 11 : 제2접이부
12 : 제3접이부 20 : 제1면
21 : 제1관통홈 22 : 제1지지부
23 : 결합홈 30 : 제2면
40 : 제3면 50 : 제4면
51 : 제2관통홈 52 : 제2지지부
53 : 결합부 60 : 종이
221 : 제1절곡부 521 : 제2절곡부
223 : 제1지지편 523 : 제2지지편

Claims (8)

  1. 일측면 선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관통홈(21)과 상기 제1관통홈(21)에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는 제1지지부(22)와 상기 제1지지부(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3)이 구비되어 있는 제1면(20);
    상기 제1면(20)과 제1접이부(10)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2면(30);
    상기 제2면(30)의 타측에 제2접이부(11)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제3면(40); 및
    상기 제3면(40)의 타측에 제3접이부(12)로 일측이 연결되고, 제2지지부(52)가 양측에 형성되어 접어지며 상기 제2지지부(52)와 대칭되게 마주보며 동일한 면 양측에 제2관통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51)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결합부(53)가 구비된 제4면(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3)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장변측이 제2관통홈(51)의 사이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변은 완칼가공으로 잘려져 있어 상기 결합홈(23)에 결합되어 삼각기둥 모양의 연질 아크릴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홈(21)은 제4면(50)에 형성된 제2지지부(52)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52)가 접어지며 통과하여 수직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4면(50)에 형성된 제2관통홈(51)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홈(51)을 통해 제1지지부(22)를 수직되게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3면(4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1절곡부(221)가 형성되어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2절곡부(521)가 형성되어 제3면(4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22)는 제1지지편(223)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편(223)의 일측이 제1면(20)을 지지하여 제2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부(52)는 제2지지편(523)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편(523)의 일측이 제1면(20)을 지지하여 제3면(30)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수납되는 종이(60)의 양측 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용 명패.
KR2020150000839U 2015-02-05 2015-02-05 데스크용 명패 KR20160002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39U KR20160002819U (ko) 2015-02-05 2015-02-05 데스크용 명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39U KR20160002819U (ko) 2015-02-05 2015-02-05 데스크용 명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19U true KR20160002819U (ko) 2016-08-16

Family

ID=5685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839U KR20160002819U (ko) 2015-02-05 2015-02-05 데스크용 명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8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578B1 (ko) * 2022-09-07 2022-11-21 김수덕 삼각종이명패 프린터 용지 및 명패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578B1 (ko) * 2022-09-07 2022-11-21 김수덕 삼각종이명패 프린터 용지 및 명패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94628T3 (es) Doble tapa para una caja organizadora
US9481196B2 (en) Popup displays for financial transaction cards
KR20160002819U (ko) 데스크용 명패
JP2018175254A (ja) スライド式ハンガートレイ
JP3171358U (ja) 緩衝材
KR200378625Y1 (ko) 포장용 상자
KR20100079213A (ko) 도화액자첩
KR200463560Y1 (ko) 물품 거치대
JP5422839B2 (ja) 包装ケース
JP5361038B2 (ja) 包装ケース
CN106608400A (zh) 礼盒的中衬结构
CN204264574U (zh) 一种包装盒
CN109720688B (zh) 一种具有展示功能的外盒盒坯
CN203937374U (zh) 一种可固定的书签
JP2011131480A (ja) ファイルスタンド
KR200461976Y1 (ko) 명함 수납함
JP3200949U (ja) 導光板フレーム及びシート体
KR101383742B1 (ko) 네임 플레이트
CN203573605U (zh) 一种海报插槽
CN205345575U (zh) 一种酒盒结构
TW201714793A (zh) 禮盒之中襯結構
US20130256328A1 (en) Display and storage box
KR200470609Y1 (ko) 다단패널이 구비되는 거치식 엘이디 광고판
JP5706503B1 (ja) 陳列棚
KR101625051B1 (ko)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