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81A -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81A
KR20160002181A KR1020140081142A KR20140081142A KR20160002181A KR 20160002181 A KR20160002181 A KR 20160002181A KR 1020140081142 A KR1020140081142 A KR 1020140081142A KR 20140081142 A KR20140081142 A KR 20140081142A KR 20160002181 A KR20160002181 A KR 2016000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odulation
switching
frequency mod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550B1 (ko
Inventor
전신혜
성현욱
장희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5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transformers
    • H02H7/04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transformers for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3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 및 주파수 변조폭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주파수 확산 변조 시 스위칭 주파수와 관련된 하드웨어의 출력부담을 저감하기 위하여 부하에 따라 출력을 제한하며, 주파수 변조폭을 가변하여 하드웨어를 보호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에서 주파수 변조 시, 주파수 변조폭 또는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출력파워의 제한을 요청하는 변압기 보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verter system}
본 발명은 스위칭 주파수 변조 시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변조신호의 고장 검출과 변압기 보호 기능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된 모드 전력 공급기들은 보통 많은 전자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그들의 고효율성, 소형 사이즈 및 낮은 중량으로 인해 이용된다. 스위칭 전력 공급기에서 고전압 교류(AC) 입력은 에너지 전달요소를 통해 잘 조절된 직류(DC) 출력을 제공하도록 변환된다. 동작에서, 스위치를 활용하여 듀티 사이클(통상적으로 총 스위칭 주기에 대한 스위치의 온-타임의 비율)을 변화시키거나, 스위칭 주파수를 변환시키거나, 또는 스위칭된 모드 전력 공급기에서 스위치의 단위 시간당 펄스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스위칭된 모드 전력 공급기는 또한 폐쇄 루프에서 출력을 감지하고 제어함으로써 출력 조절을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출력을 표현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컨트롤러는 원하는 품질로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변화시킨다. 다양한 제어 모드가 활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제어모드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피크 전류 모드 제어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 및 주파수 변조폭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주파수 확산 변조 시 스위칭 주파수와 관련된 하드웨어의 출력부담을 저감하기 위하여 부하에 따라 출력을 제한하며, 주파수 변조폭을 가변하여 하드웨어를 보호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부,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부에서 주파수 변조 시, 주파수 변조폭 또는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출력파워의 제한을 요청하는 변압기 보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부는 상기 주파수 확산변조 전용 IC, 삼각파 또는 정현파 출력 회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 모니터링부는 상기 주파수 변조폭 또는 상기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검출하거나, 주파수 확산 변조를 중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보호부는 상기 스위칭 확산 변조부에 주파수 변조폭의 제한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주파수를 변조하여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가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폭이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변조 시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파워가 변압기의 지정된 보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파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가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주기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가 고장으로 판정되는 단계 및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폭이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폭이 지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 변조폭이 고장으로 판정되는 단계 및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변조 시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파워가 변압기의 지정된 보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압기의 지정된 보호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출력파워를 제한하거나, 상기 주파수 변조폭을 제한한다.
본 기술은 주파수 변조 주기 및 변조폭에 대한 모니터링하여 고장 검출을 시행함으로써 이상 출력 시 출력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기술은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출력에 따른 주파수 변조주기 및 변조폭을 조절할 수 있고,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력변환시스템은 인버터, 컨버터, 탑재형 충전기(OBC, On-Board Charger) 또는 그 외 전력변환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 모니터링부(110), 변압기 보호부(120), 스위칭 제어부(130) 및 스위칭부(140)를 포함한다.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는 스위칭 제어부(130)에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의 변조방식을 보면,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는 주파수 변조방법을 먼저 선정한다. 예를 들어, 전용 IC, 삼각파, 정현파 또는 랜덤파 등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변조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변조 방법은 아날로그 제어방법 또는 디지털 제어방법에 따라 실행한 후,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스위칭 주파수(fs)라고 일컬으며, 스위칭 소자를 통해 스위칭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위칭 주파수(fs)는 변조폭(w)에 따라 변조되는 주파수 확산범위가 결정된다.
또한, 스위칭 주파수(fs)가 지정된 주파수 변조 주기 또는 변조폭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고정 주파수와 확산 주파수가 조합된 주파수를 출력하지만, 스위칭 주파수(fs)가 지정된 주파수 변조주기 또는 변조폭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고정 주파수를 출력한다.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 모니터링부(110)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에서 주파수 변조 시에 주파수 변조폭 또는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 모니터링부(110)는 주파수 변조폭 또는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검출하거나, 주파수 확산 변조를 중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주파수 변조폭 또는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검출하거나, 주파수 확산 변조를 중단하는 방법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변압기 보호부(120)는 주파수 변조 시, 스위칭 주파수(fs)와 관련된 변압기와 같은 하드웨어의 부담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 보호가 필요한 경우, 주파수 변조 시 부하에 따라 스위칭 제어부(130)에 출력파워의 제한을 요청하거나,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에 주파수 변조폭의 제한을 요청할 수 있다.
하기의 식에서와 같이, 전력변환시스템의 변압기의 코어 설계 시에 코어 사이즈(WaAc)는 주파수 변조에 의해 스위칭 주파수(fs)가 작거나, 출력단의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는 출력전력(P0)이 클수록, 코어 사이즈(WaAc)가 커져야하는 상관관계가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P0는 출력전력(출력파워)을 나타내고, e는 변압기 효율, C는 전류밀도, B는 자속밀도를 나타내며, fs는 스위칭 주파수, K는 권선 계수(winding factor)를 나타낸다.
이러한 코어 사이즈(WaAc)가 커지게 되면 변압기의 부담으로 작용하여 변압기를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변압기 보호부(120)는 출력파워를 제한하도록 스위칭 제어부(130)에 요청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30)는 스위칭부(140)를 제어하고,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으로부터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거나, 변압기 보호부(120)로부터 출력파워 제한을 할 수 있다.
스위칭부(140)는 입력전압을 교번적으로 스위칭하여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전력변환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 주파수(fs)는 변조폭(w)에 따라 변조되는 주파수 확산범위가 결정되며, 변조폭(w)이 0인 경우는 주파수가 확산 변조되지 않고, 고정 주파수 또는 기본 주파수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변조폭(w)은 플러스 변조폭(w) 또는 마이너스 변조폭(w)을 갖도록 변동될 수 있고, 변조주기(fm)도 변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100)에서 주파수 변조를 시작하고, 주파수 변조 신호를 출력한다(S200, S210).
다음으로, 출력된 주파수 변조주기(fm)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220). 여기서, 주파수 변조주기(fm)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주파수 변조 신호가 지정된 주파수 변조주기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변조 신호가 100Hz의 주파수에 5%의 변조주기(fm)의 오차범위 내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변조 신호의 변조주기(fm)가 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이를 주파수 변조 신호가 정상인 경우로 판별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주파수 변조주기(fm)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한 다음에 주파수 변조폭(w)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230). 여기서, 주파수 변조폭(w)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주파수 변조 신호가 지정된 주파수 변조폭 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주파수 변조주기(fm) 또는 주파수 변조폭(w)이 정상이 아니면, 주파수 변조주기(fm) 또는 주파수 변조폭(w)을 고장으로 판정한다(S260).
다음에는, 주파수 변조주기(fm) 또는 주파수 변조폭(w)이 고장으로 판정되면, 스위칭부(140)의 스위칭 소자의 주파수 변조를 중단한다(S270).
다음으로, 주파수 변조가 중단되었으므로,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기본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한다(S280).
다음에는, 주파수 변조(주파수 변조주기 및 주파수 변조폭의 범위)가 정상이면, 출력파워가 변압기 보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40).
다음으로, 출력파워가 변압기 보호 범위 내에 있으면, 출력파워를 제한하지 않고, 풀파워로 출력한다(S250).
그러나, 출력파워가 변압기 보호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변압기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하기 두 단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S290). 즉, 출력 파워와 변조된 주파수를 비교하여 변압기 보호 범위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변압기 보호 범위 또는 변압기 보호 단계 설정은 임의적으로 설정가능하며 변동 가능하다.
변압기 보호 1단계에서는 출력파워를 제한하거나, 주파수 변조폭(w)을 제한한다(S300).
이어서, 변압기 보호 정도가 1단계를 벗어난 기준이라면, 변압기 보호 2단계로 판정한다(S310).
그리고, 변압기 보호 2단계에서는 스위칭부(140)의 스위칭 소자의 주파수 변조를 중단한다(S320).
다음으로, 주파수 변조가 중단되었으므로,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기본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한다(S33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기술은 주파수 변조주기 및 주파수 변조폭에 대한 모니터링하여 고장 검출을 시행함으로써, 이상 출력 시 출력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기술은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출력에 따른 주파수 변조주기 및 주파수 변조폭을 조절할 수 있고,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에서 주파수 변조 시, 주파수 변조폭 또는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는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출력파워의 제한을 요청하는 변압기 보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변조부는
    상기 주파수 확산변조 전용 IC, 삼각파 또는 정현파 출력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주파수 확산 변조 모니터링부는
    상기 주파수 변조폭 또는 상기 주파수 변조주기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을 검출하거나, 주파수 확산변조를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보호부는 상기 스위칭 확산변조부에 상기 주파수 변조폭의 제한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5. 주파수를 변조하여 주파수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가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의 주파수 변조폭이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변조 시,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파워가 변압기의 지정된 보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파워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의 주파수 변조주기가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주기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의 상기 주파수 변조주기가 고장으로 판정되는 단계; 및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의 주파수 변조폭이 지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파수 변조 폭이 지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의 주파수 변조폭이 고장으로 판정되는 단계; 및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조 시,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파워가 변압기의 지정된 보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압기의 지정된 보호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출력파워를 제한하거나, 상기 주파수 변조폭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081142A 2014-06-30 2014-06-30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6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42A KR101664550B1 (ko) 2014-06-30 2014-06-30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42A KR101664550B1 (ko) 2014-06-30 2014-06-30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81A true KR20160002181A (ko) 2016-01-07
KR101664550B1 KR101664550B1 (ko) 2016-10-11

Family

ID=5516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142A KR101664550B1 (ko) 2014-06-30 2014-06-30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5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879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산전 주식회사 펄스 폭 변조 방법
JP2010081686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00136305A (ko) * 2009-06-18 2010-12-2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주파수 변조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스위칭 동작 주파수 변조 방법
KR20130083601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879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산전 주식회사 펄스 폭 변조 방법
JP2010081686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00136305A (ko) * 2009-06-18 2010-12-2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주파수 변조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스위칭 동작 주파수 변조 방법
KR20130083601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550B1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2971B1 (en) Transformer flux estimation and limiting in isolated DC-DC voltage converters
US966715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for lowering switching frequency of switching devices
RU2012110517A (ru) Схема накопителя энергии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EP2280474A1 (en) Power converter, discharge lamp ballast and headlight ballast
EP2838187A2 (en) Resonant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512428A (zh) 隔离式电压转换器及其控制方法
JP2014176190A (ja) 電力変換回路システム
US9729043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while feedback current signal being abnormal
US20150057827A1 (en) Power supply system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11342851B2 (en) Modular DC power supply with independent output converters
JP4854556B2 (ja) 電源装置
JP635450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310000B2 (ja) 電力変換装置
TWI410030B (zh) 諧振型轉換系統以及過電流保護方法
US76466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verter
US10804813B2 (en) Power inverter for reducing total harmonic distortion via duty cycle control
KR101664550B1 (ko) 전력변환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355655B2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2017189011A (ja) 電力変換装置
JP5530009B1 (ja) 電源装置
KR20220024889A (ko) 전력 변환기의 버스 전압 변동에 대한 회로 및 방법
JP2010161842A (ja) 電力変換装置
JP5755307B2 (ja) 電力変換装置
JP6781947B2 (ja) 電源装置
JP201715830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