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15U -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 Google Patents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15U
KR20160001315U KR2020140007435U KR20140007435U KR20160001315U KR 20160001315 U KR20160001315 U KR 20160001315U KR 2020140007435 U KR2020140007435 U KR 2020140007435U KR 20140007435 U KR20140007435 U KR 20140007435U KR 20160001315 U KR20160001315 U KR 201600013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transparent
fabric
transpar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573Y1 (ko
Inventor
금다운
Original Assignee
금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다운 filed Critical 금다운
Priority to KR2020140007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7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전의 양면에 코팅층, 투명필름층 또는 배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나전에 인장력과 유연성을 부여한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특히 나전사를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문위사로 적용하여 제직된 나전문양이 표현된 나전직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전직 원단은 가벼운 소재이고 활용범위도 크게 확장될 수 있으며, 문양표현에서 효과적이고 자유로우며 반복재현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Yarn Made of Mother-of-pearl and Mother-of-pearl Fabric Weaved by the Same}
본 고안은 나전을 실 형태로 제작한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한 직물인 나전직에 관한 것이다.
나전(螺鈿)은 전복, 소라, 조개 등의 껍질을 숫돌 등으로 갈아서 만든 얇은 판이다. 전통적으로 나전은 옻칠과 함께 사용되어 왔으며, 목기 표면에 많이 표현하였다. 나전은 얇고 딱딱하여 잘 부러지는 성질이 있어서 섬유 및 직물의 소재로써 활용되지 못했고, 나전을 표현하는 바탕의 소재는 주로 목재, 금속, 아크릴 등을 사용해왔다. 또한, 기물 위에 옻칠 또는 코팅제 계열 도료를 덮어서 붙이는 방식이 그동안 나전을 표현하는 거의 유일한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공예적 작업은 반복 재현성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낮으며 다양한 형태로의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전을 실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직물 조직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문양과 패턴으로 응용할 수 있는 나전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전사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나전을 다양한 문양으로 반복재현성 있게 표현할 수 있는 직물로서 나전직 원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나전사는 0.1 내지 1.5 mm 두께의 가늘고 긴 형태로서 점착성 투명필름층/나전층/점착성 투명필름층 구조; 투명코팅층/나전층/점착성 투명필름층 구조; 투명코팅층/나전층/접착층/배지층 구조; 및
점착성 투명필름층/나전층/접착층/배지층 구조; 중에서 선택된 다층구조를 갖는다.
상기 점착성 투명필름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가 도포된 투명 점착 테이프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전사는 투명필름층 또는 투명코팅층의 형태로 투명 코팅을 형성하고 있는바, 코팅층이 없으면 나전사의 활용 과정에서 나전이 부서지거나 탈리되고 날카로운 부분이 생겨 직조시 찢김 등이 유발되는 등 제품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나전층은 바람직하게는 판자개를 2 이상 연속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 코팅층은 바람직하게는 옻, 실리콘 고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층은 바람직하게는 옻, 아교, 어교,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지층은 종이, 부직포, 천연섬유, 가죽, 및 고분자 필름 중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나전사는 직물을 제직하는데 적용될 수 있고, 문양을 형성하는 무늬사로 적용되거나 무늬가 없는 평직으로 제직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고, 지조직과 반전되어 제직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전사를 위사로 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나전사는 바람직하게는 지조직의 위사가 아니라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문위사로서 적용되어 나전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직은 바람직하게는 자카드 수공 직기로 수행될 수 있으나 자동화 직기, 32종광도비직기, 4종광직기, 평직직기, 요식직기 등 직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제직이 가능하다.
상기 나전직 원단에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투명 옻칠과 같은 투명코팅을 하여 나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 및 방오 가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나전직 원단은 의류, 악세서리류, 소품류, 가방류, 신발류, 인테리어 제품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전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은 목재, 금속, 아크릴 보다 가벼운 소재이기 때문에 휴대성이 강조되고 활용범위도 크게 확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나전사는 투명 코팅을 형성하고 있는바, 나전사의 활용 과정에서 나전이 부서지거나 탈리되고 날카로운 부분이 생겨 직조시 찢김 등이 유발되는 등 제품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나전사는 직물 조직 내에서 무늬를 형성하는 위사로 도입됨으로써 전통적인 방식에서와 같이 나전을 문양대로 끊고 자르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문양표현에서 더 효과적이고 문양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의 반사각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광택이 표현되는 나전 무늬를 직물에 도입하여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의장 프로그램으로 제직될 직물의 가상 모습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5에서 제직된 잡보연화문 문양의 나전직 원단의 앞, 뒷면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나전직에 대해 천연염색을 실시한 나전직 원단의 앞면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전을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가늘고 긴 형태의 나전사를 제공한다. 나전은 얇고 딱딱하며 유연하지 못해 잘 부러지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나전을 실 상태로 만들어 직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나전이 부러지지 않고 유연해야하며, 가늘고 긴 형태로 만들어야 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나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지 또는 코팅막을 형성하면 유연해지는 점에 착안하여 나전에 유연하고 인장력이 강한 물성이 접합함으로써 나전의 성질을 보완하였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나전사는 점착성 투명필름층/나전층/점착성 투명필름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나전층은 천연자개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작업 효율상 판자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판자개는 2 이상 연속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자개는 천연자개 원패를 소정의 크기(통상 240 * 140mm 또는 280*170mm)로 재단하여 대략 종이 한 장 두께로 얇게 켠 다음 그 끝단들이 겹쳐지게 상호 부착하여 전체로서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만들고 소정의 온도와 압력으로 가온 가압하여 평판으로 만든 후 그 양 표면을 연마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석패판자개, 진주패판자개, 동키패(신발패) 판자개, 호주산 판자개, 고동 판자개, 뉴질랜드산 판자개 등 시중의 유통되는 다양한 판자개가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판자개를 이용한 나전층은 그 두께가 0.1~1.5mm 바람직하게는 0.2~0.5m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점착성 투명필름층은 예를 들어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은 점착성 접착 성분이 도포된 투명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테이프를 이용하면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실리콘, 불소수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성 투명필름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소망하는 인장강도와 유연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반대로 너무 두꺼우면 나전층과의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나전층의 양면에 투명필름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동일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각 면에 서로 다른 소재의 투명필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명코팅층/나전층/점착성 투명필름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코팅층은 투명하면서 나전층을 보호하고 소정의 인장력과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소재로서 예를 들어, 옻, 실리콘 고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성 투명필름층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명코팅층/나전층/접착층/배지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배지층은 소정의 인장력과 유연성을 갖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종이, 부직포, 천연섬유, 가죽, 및 고분자 필름 중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종이는 예를 들어 한지, 닥지, 상피지, 죽지, 안피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나전층과 배지층을 상호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옻, 아교, 어교, 아교/주토/백토 등의 혼합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천연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옻은 투명코팅층과 접착층에 모두 이용될 수 있는바, 옻나무에서 바로 채취한 옻을 생칠이라 하며 여과와 정제과정을 거쳐 정제칠, 흑칠, 투명칠 등 여러 종류의 칠로 정제 가공하여 사용한다. 옻은 경화되면서 접착성능을 발휘할 뿐 아니라 표면에 옻칠을 하면 견고한 막을 형성해 광택이 나고 항상 일정한 습도를 유지시켜 오래 사용하여도 변하지 않으므로 우수한 코팅성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옻칠의 횟수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옻칠과 건조 과정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내구성과 코팅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아교는 동물의 가죽, 근육, 뼈, 기타 결체 조직을 만드는 단백질 콜라겐(collagen)을 산, 알칼리 또는 물과 가열하여 제조한다. 접착 메카니즘은 아교가 졸(sol) 상태로 피착물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침투하여 수분이 제거되면서 겔(gel)화하고, 물리적으로 접착을 행함과 동시에 분자 내의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등에 의한 화학적 결합이 접착에 관여하는 것이다. 상기 어교는 어류의 껍질이나 부레로부터 만들어진다.
상기 접착층은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과 같은 화학 접착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점착성 투명필름층/나전층/접착층/배지층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전사의 너비가 너무 넓거나 두꺼우면 제직시 밀도가 낮아지고 문양 표현이 자유롭지 못하고, 반대로 너비가 너무 좁거나 두께가 얇으면 나전의 부착력이 낮아져 나전의 탈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너비가 0.1~0.5 mm 이고, 두께가 0.1 내지 1.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전사를 위사로 하여 제직된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나전사는 바람직하게는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문위사로 적용하여 제직되어 나전문양이 표현된 나전직 원단일 수 있다. 이러한 나전직 원단은 나전사로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빛의 반사각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광택이 연출되어 매우 특별한 감성과 고급스러운 미적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류, 가방류, 신발류, 악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나전사는 또한, 외관상 직조형태와 유사한 자수의 징금수 같은 자수기법에 활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300*300 mm 규격의 판자개 2개를 나란히 배치하여 600mm의 길이를 갖는 나전층을 형성하였다. 상면에 투명 스카치 테이프(3M사 제품)를 부착하고, 배면에도 동일한 투명 스카치 테이프를 부착하였다. 다음으로 1mm 내외의 폭으로 절단하여 나전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300*300 mm 규격의 판자개 2개를 나란히 배치하여 600mm의 길이를 갖는 나전층을 형성하였다. 나전층의 상면과 배면에 모두 옻칠을 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0.5mm 두께의 투명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1mm 내외의 폭으로 절단하여 나전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배지층인 한지 위에 아교를 칠한 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300*300 mm 규격의 판자개 2개를 나란히 배치하여 형성된 나전층의 배면과 접합한다. 나전층의 상면에 투명한 옻칠을 실시하고 건조하여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1mm 내외의 폭으로 절단하여 나전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서 나전층의 상면에 투명한 옻칠 대신에 투명 스카치 테이프(3M사 제품)를 부착하였다. 다음으로 1mm 내외의 폭으로 절단하여 나전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자카드 수공 직기를 이용하여 지조직과 문조직이 2:1로 직입으로 제직되고, 나전사를 위사로 사용해서 잡보연화문 문양의 나전직을 제작하였다.
먼저 도 1과 같이 의장 프로그램으로 문양조직을 계획한다. 유물을 참고하여 바탕조직은 5매 3뜀 경주자조직, 문양조직은 10매 3뜀 위주자 조직으로 제직한다. 위이중조직인 유물은 지위사 두 번, 문위사로 한번으로 제직되었다. 의장 프로그램의 시뮬레이션으로 경사밀도 inch 당 278올, 흰색 실크 경사 21중 2합 (40den), 바탕조직으로 흰색 실크위사 126중 2합 (105~110den), 문양조직으로 나전사 (0.9mm 내외 700den, 0.3mm 금사의 경우 17합 280 den x 3 = 800den로 계산한 나전사의 대략적인 추정치)를 입력하여 직물 제직될 가상의 모습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실제 제직에서는 위사는 140중 2합으로 제직되었다. 문위사 길이 24cm로 시직하였으며 지조직 위사 밀도는 48~60(/inch) 내외, 문위사 위사 밀도는 24~32(/inch) 내외이다. 제직된 직물의 앞, 뒷면이 도 2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나전직 직물의 후매염과 발색 실험을 위해 쪽, 소목, 치자, 쪽을 순차적으로 염색하였다(도 3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점착성 투명필름층/나전층/점착성 투명필름층 구조;
    투명코팅층/나전층/점착성 투명필름층 구조;
    투명코팅층/나전층/접착층/배지층 구조; 및
    점착성 투명필름층/나전층/접착층/배지층 구조;
    중에서 선택된 적층구조이고 0.1 내지 1.5 mm 두께의 가늘고 긴 형태의 나전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투명필름층은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가 도포된 투명 점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전층은 판자개를 2 이상 연속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코팅층은 옻, 실리콘 고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나전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옻, 아교, 어교,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층은 종이, 부직포, 천연섬유, 가죽, 및 고분자 필름 중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전사를 위사로 적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전사를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문위사로 적용하여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직 원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전직 원단의 표면에 투명 코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직 원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코팅은 옷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직 원단.
KR2020140007435U 2014-10-14 2014-10-14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KR200481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35U KR200481573Y1 (ko) 2014-10-14 2014-10-14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35U KR200481573Y1 (ko) 2014-10-14 2014-10-14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15U true KR20160001315U (ko) 2016-04-22
KR200481573Y1 KR200481573Y1 (ko) 2016-10-28

Family

ID=5591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35U KR200481573Y1 (ko) 2014-10-14 2014-10-14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017A (zh) * 2022-08-02 2022-10-11 常州雅美特窗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珠光提花窗帘面料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619B1 (ko) * 2022-10-31 2022-11-23 허재호 양피 염색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874A (ja) * 1989-08-02 1991-03-22 Meisei:Kk 立体駐車装置
KR100457442B1 (ko) * 2000-06-19 2004-11-16 트리 텍 유겐가이샤 적층사
KR20110006274A (ko) * 2009-07-14 2011-01-20 이희연 자개를 가죽 또는 합성피혁에 접착하여 코팅하는 방법
KR101308829B1 (ko) * 2013-06-24 2013-09-13 강우경 옻을 이용한 자수제품의 친환경 보존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972220T3 (da) * 1997-04-04 2002-03-11 Isis Innovation Afbildnings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mikroskop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874A (ja) * 1989-08-02 1991-03-22 Meisei:Kk 立体駐車装置
KR100457442B1 (ko) * 2000-06-19 2004-11-16 트리 텍 유겐가이샤 적층사
KR20110006274A (ko) * 2009-07-14 2011-01-20 이희연 자개를 가죽 또는 합성피혁에 접착하여 코팅하는 방법
KR101308829B1 (ko) * 2013-06-24 2013-09-13 강우경 옻을 이용한 자수제품의 친환경 보존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017A (zh) * 2022-08-02 2022-10-11 常州雅美特窗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珠光提花窗帘面料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573Y1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87844B (en) Recoatable decorative sheet and recoatable decorative
BR112021007439A2 (pt) composto de camada para uso como couro de imitação, método para produção e uso do mesmo
KR200481573Y1 (ko)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CN106103838B (zh) 牛巴革样片状物和其制造方法
KR101480981B1 (ko) 줌치 한지와 옻을 이용한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줌치 한지 원단
CN106182987B (zh) 一种生产装饰薄板的方法及其应用
KR101825554B1 (ko) 악어가죽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방 제조방법
Gill et al. Solvent reactivation of hydroxypropyl cellulose (Klucel G®) in textile conservation: Recent developments
KR101419896B1 (ko) 한지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지
US3718529A (en) Pi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073896B1 (ko) 자개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구두 제조 방법
KR20180006711A (ko) 한지의 제조 방법
CN109849451A (zh) 一种贴合头层牛皮及其生产方法
JP2015124312A (ja) 装飾用生革チップの作製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作製された装飾用生革チップ
US20220259461A1 (en) Repositionable peel-and-stick embellished wall coverings
US20230264463A1 (en) Multi-purpose composite membrane with high breakage strength and high peel strength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CN113584932B (zh) 具有抑菌功效的丝绵纸及制作工艺和工艺品
RU272609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ъе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изделия
CN102525059B (zh) 葵扇及其制备工艺
KR100792636B1 (ko) 스웨이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20210072629A (ko) 줌치 한지와 옻을 이용한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줌치 한지 원단
Munn Treatment techniques for the vellum covered furniture of Carlo Bugatti
JPH0238043A (ja) 引箔用原紙および引箔糸
US1602286A (en) Ornamental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ITVR960108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ricami trattati in particolare su materiali impermeabili o impermeabilizzan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