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41A -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41A
KR20160001141A KR1020140079041A KR20140079041A KR20160001141A KR 20160001141 A KR20160001141 A KR 20160001141A KR 1020140079041 A KR1020140079041 A KR 1020140079041A KR 20140079041 A KR20140079041 A KR 20140079041A KR 20160001141 A KR20160001141 A KR 20160001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soap
fermented
acid bacteria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복
Original Assignee
정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복 filed Critical 정기복
Priority to KR102014007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141A/ko
Publication of KR2016000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정제수로서 유용한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을 발효시켜 PH가 3~4정도의 산성을 띠는 EM발효액과 액상의 비누베이스를 일정비율로 1차 혼합한 후 이에 기능성 발효액(예;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유산균 등)를 넣어 2차 혼합시킨 액상의 혼합물을 비누 성형틀에 넣어 일정시간동안 건조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비누 제조시의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강한 알칼리의 중성화를 통해 독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백효과와 함께 세정효과, 살균효과, 독성 중화효과 등에 유익한 비누를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Antifungal Soap Using Lactic Acid Bacteria in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수로서 유용한 미생물(EM: Effective Micro Organisms)을 발효시킨 EM발효액과 액상의 비누베이스를 일정비율(예; 2:1)로 1차 혼합한 후 이에 기능성 발효액(예;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유산균 등)를 넣어 2차 혼합시킨 액상의 혼합물을 비누 성형틀에 넣어 일정시간동안 건조시킴으로써 미백효과와 함께 세정효과, 살균효과, 독성 중화효과 등에 유익한 비누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비누란 공장에서 대량 생산한 것이 아닌 전 공정을 손으로 직접 만드는 수제 비누를 말한다.
천연 비누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238820 호(등록일 2013.02.25), 등록특허공보 제 10-1282488 호(등록일 2013.06.28)에서와 같이, 식물성 오일을 주원료로 하고 기능성을 위해 각종 식물성 에센셜 오일과 건조 허브 및 한약재 등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며, 이 때문에 천연 비누를 핸드 메이드 비누(hand made soap)라고도 한다.
이러한 천연 소재의 천연 비누는 일반비누에 비해 보습 효과가 뛰어나고 기능성 화장품에 비견되는 미용효과까지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생활하수가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된 지 오랜 이 때, 천연비누는 환경 친화적인 생활필수품이다.
천연비누가 좋은 가장 큰 이유는 천연한방 성분과 비누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글리세린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글리세린은 그 자체만으로 훌륭한 천연 보습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보호제의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천연비누는 그 제조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높은 열을 가하지 않고 자연 숙성시켜 만들기 때문에 천연재료의 변성이 적다. 따라서 각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비누의 효과를 최대로 볼 수 있으며, 각종 비누 첨가물(건조허브, 한방재료) 등을 배합하여 자신의 피부에 맞는 비누를 만들수가 있다.
아로마 에센셜 오일은 최근 들어 ‘아로마 테라피’ 라는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효과를 같이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웰빙 시대를 맞아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권리와 제품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아무 의심 없이 향과 모양 그리고 광고의 현혹속에서 사용해 온 대부분의 일반 비누들과 샴푸 등의 세정제들은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동물성 기름 등 저급의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때를 잘 빼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질감을 부드럽게 하는 유화제, 비누가 무르지 않게 하기 위해 경화제, 보존 기간을 늘리기 위해 방부제, 색깔을 내기 위해서 화학 색소, 향기를 내기 위해서는 합성 향료 등의 화학 성분들을 첨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천연비누는 건조(숙성기간)이 4~6주 이상 걸리고, 비누가 단단하지 않아 사용 중에 뭉그러지고 쉽게 마모되며, 제조일부터 판매까지 소요기간이 길어 대량 생산이 어렵고, 가성소다의 강한 알칼리성과 발생하는 고온(온도)으로 인해 유산균이 사멸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비누제조시 저온법(50도전후)과 고온법(70도이상)을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천연비누는 저온법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비누화가 느리게 나타나 가성소다의 성분이 미반응하여 4~6주 전에 사용하면 따갑거나 피부에 자극을 주어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오랫동안 비누를 건조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면서 대량 생산의 어려움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고온법의 경우 74~76도로 만들면 비누화 반응이 빨리 일어나 충분히 교반만 시켜주면 24시간만 지나면 PH8 정도의 이상적인 비누가 만들어질 수 있지만, 교반후 비누틀에 부어놓고 2시간 후부터는 급격하게 화학반응으로 온도가 올라가면서 가성소다의 독성이 날아가 점점 순해지며 24시간후에는 바로 사용해도 자극없이 사용 가능하게 되지만, 보온을 하지 않을 경우 푸석푸석하고 질감이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정제수로서 유용한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을 발효시켜 PH가 3~4정도의 산성을 띠는 EM발효액과 액상의 비누베이스를 일정비율로 1차 혼합한 후 이에 기능성 발효액(예;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유산균 등)를 넣어 2차 혼합시킨 액상의 혼합물을 비누 성형틀에 넣어 일정시간동안 건조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비누 제조시의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강한 알칼리의 중성화를 통해 독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백효과와 함께 세정효과, 살균효과, 독성 중화효과 등에 유익한 비누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는,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을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상기 미생물 발효액과 일정비율(2:1)로 혼합이 이루어지는 액상의 비누액; 및, 상기 미생물 발효액과 액상의 비누액 혼합물에 첨가되는 기능성 발효액;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강한 알칼리를 중성화시키는 3∼4 PH 범위내의 산성을 띠는 쌀뜨물 발효액인 것이다.
또한,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쌀뜨물과 당밀 및 미생물 원액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도라지, 인삼, 우유, 유산균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30∼38℃의 범위내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다가 영하 55∼65℃의 범위내에서 급냉상태로 바꾸어 1~2일 정도 급냉상태를 유지시킨 후 해동시켜 살아남게 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비피더스, 우유 유산균, 요쿠르트 유산균, 막걸리 이스트균, 김치 유산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인 것이다.
또한, 상기 비누에는 비누가 단단한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코코넛 오일, 팜오일, 올리브 오일을 더 첨가하는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으로는,
비누베이스를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끓는 물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녹이면서 액상의 비누액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세정수로서 미생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제조된 세정수인 미생물 발효액과 액상의 비누액을 1:2의 비율로 1차 혼합한 후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분말화된 1차 혼합물에 기능성 발효액을 첨가하면서 2차 혼합이 이루어진 반죽물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생성된 반죽물을 비누성형틀에 투입한 후 일정시간동안 건조시키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누베이스는 식물성유, 비타민E, 글리세린의 요소 중에서 하나의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가 첨유된 것이다.
또한,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3∼4 PH 범위내의 산성을 띠는 쌀뜨물 발효액인 것이다.
또한,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1.5∼2.4ℓ 범위내의 쌀뜨물과, 15∼30g 범위내의 당밀, 그리고 15∼40㎖ 범위내의 미생물 원액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1.5∼2.4ℓ 범위내의 쌀뜨물과, 15∼30g 범위내의 당밀, 그리고 15∼40㎖ 범위내의 미생물 원액을 혼합한 후 이를 밀폐용량에 넣고, 20∼40℃ 범위내의 온도에서 일정기간(예; 2-3일 정도)동안 발효시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는 단단한 성질을 가지는 비누가 제조되도록 코코넛 오일, 팜오일, 올리브 오일 중 어느 하나의 오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유산균이고, 상기 유산균은 30∼38℃의 범위내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다가 영하 55∼65℃의 범위내에서 급냉상태로 바꾸어 1~2일 정도 급냉상태를 유지시킨 후 해동시켜 살아남게 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비피더스, 우유 유산균, 요쿠르트 유산균, 막걸리 이스트균, 김치 유산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제수로서 유용한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을 발효시켜 PH가 3~4정도의 산성을 띠는 EM발효액과 액상의 비누베이스를 일정비율로 1차 혼합한 후 이에 기능성 발효액(예;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유산균 등)를 넣어 2차 혼합시킨 액상의 혼합물을 비누 성형틀에 넣어 일정시간동안 건조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비누 제조시의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강한 알칼리의 중성화를 통해 독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백효과와 함께 세정효과, 살균효과, 독성 중화효과 등에 유익한 비누를 만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는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을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과, 상기 미생물 발효액과 일정비율(2:1)로 혼합이 이루어지는 액상의 비누액, 그리고 상기 미생물 발효액과 액상의 비누액 혼합물에 첨가되는 기능성 발효액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가 단단한 성질을 가지도록 코코넛 오일, 팜오일, 올리브 오일 중 어느 하나의 오일을 더 첨가하여 구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강한 알칼리를 중성화시키는 3∼4 PH 범위내의 산성을 띠는 쌀뜨물 발효액이며,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쌀뜨물과 당밀 및 미생물 원액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도라지, 인삼, 우유, 유산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산균은 30∼38℃의 범위내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다가 영하 55∼65℃의 범위내에서 급냉상태로 바꾸어 1~2일 정도 급냉상태를 유지시킨 후 해동시켜 살아남게 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비피더스, 우유 유산균, 요쿠르트 유산균, 막걸리 이스트균, 김치 유산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제 1 단계로서, 식물성유, 비타민E, 글리세린의 요소 중에서 하나의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가 첨유된 비누베이스 1㎏을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끓는 물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녹이면서 액상의 비누액을 생성한다.
다음의 제 2 단계로서, 세정수로서 미생물 발효액 1.9ℓ를 제조한다.
즉,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미생물 발효액은 3∼4 PH 범위내의 산성을 띠는 쌀뜨물 발효액으로, 1.5∼2.4ℓ 범위내의 쌀뜨물과, 15∼30g 범위내의 당밀, 그리고 15∼40㎖ 범위내의 미생물 원액을 혼합한 후 이를 밀폐용량에 넣고, 20∼40℃ 범위내의 온도에서 일정기간(예; 2-3일 정도)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다음의 제 3 단계로서,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제조된 세정수인 미생물 발효액과 액상의 비누액을 1:2의 비율로 1차 혼합하고, 이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단단한 성질을 가지는 비누가 제조되도록 코코넛 오일, 팜오일, 올리브 오일 중 어느 하나의 오일을 첨가하면서 건조시켜 분말화시킨다.
다음의 제 4 단계로서,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분말화된 1차 혼합물에 기능성 발효액을 첨가하면서 2차 혼합이 이루어진 반죽물을 생성하여둔다.
즉,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도라지, 인삼, 우유, 유산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산균은 30∼38℃의 범위내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다가 영하 55∼65℃의 범위내에서 급냉상태로 바꾸어 1~2일 정도 급냉상태를 유지시킨 후 해동시켜 살아남게 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비피더스, 우유 유산균, 요쿠르트 유산균, 막걸리 이스트균, 김치 유산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제품이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각종 약초나 기능성 성분들을 효능별로 용도에 맞는 재료를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기능성에 맞게 여드름, 아토피, 보습, 미백, 영양 등을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의 제 5 단계로서,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생성된 반죽물을 비누성형틀에 투입한 후 일정시간(예; 1∼2시간 범위내)동안 건조시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작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 실험예 1] 미백효과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에 대하여, 1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1개월 이상 사용하게 한 후 그 효능을 실험하였다.
미백 효과에 대한 관능평가 실험은 성인 20/30대 여성 10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4주간 하루에 1~2회씩 통상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게 한 후 사용 전, 1주일 경과 및 1개월경과 후 미백 상태의 정도를 5점 척도법(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미흡(2점), 매우 미흡(1점))에 따라 평가하였다.
도 2는 실험예 1에 의한 피부 미백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를 피시험자들이 사용 후, 1주일이 경과하고 측정한 결과, 평균 4.1% 개선되었으며, 1개월이 경과하고 측정 결과, 평균 29.1%가 개선되어 본 발명에 의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보습효과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에 대하여, 2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1개월 이상 사용하게 한 후 그 효능을 실험하였다. 남녀 각각 10명씩 전체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박 안쪽면을 온도 22도, 상대습도 45% 항온항습실에서 코르네오메타(Coroneometer) CM820을 사용하여 사용 전, 1주일 경과 및 1개월 경과 후 피부 수분상태를 측정하였다.
계산식=((B-A)/A)*100(%), A: 사용전 보습력, B: 사용 후 보습력
또한,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에 대하여, 안정성을 5점 척도법(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미흡(2점), 매우 미흡(1점))에 따라 평가하였다. 위의 실험에 대한 결과의 평균값은 [표1]에 나타내었다.
성분 0주 1주 4주
피부 보습력(%) 0% 24% 31%
안정성 5 5 5
이상에서 본 발명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을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상기 미생물 발효액과 일정비율(2:1)로 혼합이 이루어지는 액상의 비누액; 및,
    상기 미생물 발효액과 액상의 비누액 혼합물에 첨가되는 기능성 발효액;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강한 알칼리를 중성화시키는 3∼4 PH 범위내의 산성을 띠는 쌀뜨물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쌀뜨물과 당밀 및 미생물 원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도라지, 인삼, 우유, 유산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30∼38℃의 범위내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다가 영하 55∼65℃의 범위내에서 급냉상태로 바꾸어 1~2일 정도 급냉상태를 유지시킨 후 해동시켜 살아남게 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비피더스, 우유 유산균, 요쿠르트 유산균, 막걸리 이스트균, 김치 유산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에는 비누가 단단한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코코넛 오일, 팜오일, 올리브 오일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7. 비누베이스를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끓는 물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녹이면서 액상의 비누액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세정수로서 미생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제조된 세정수인 미생물 발효액과 액상의 비누액을 1:2의 비율로 1차 혼합한 후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분말화된 1차 혼합물에 기능성 발효액을 첨가하면서 2차 혼합이 이루어진 반죽물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생성된 반죽물을 비누성형틀에 투입한 후 일정시간동안 건조시키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식물성유, 비타민E, 글리세린의 요소 중에서 하나의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가 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3∼4 PH 범위내의 산성을 띠는 쌀뜨물 발효액이고,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1.5∼2.4ℓ 범위내의 쌀뜨물과, 15∼30g 범위내의 당밀, 그리고 15∼40㎖ 범위내의 미생물 원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쌀뜨물 발효액은 1.5∼2.4ℓ 범위내의 쌀뜨물과, 15∼30g 범위내의 당밀, 그리고 15∼40㎖ 범위내의 미생물 원액을 혼합한 후, 이를 밀폐용량에 넣고, 20∼40℃ 범위내의 온도에서 일정기간동안 발효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는 단단한 성질을 가지는 비누가 제조되도록 코코넛 오일, 팜오일, 올리브 오일 중 어느 하나의 오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발효액은 아로마 오일, 녹차가루, 살구가루, 코코넛 가루, 어성초 가루, 약초, 도라지, 인삼, 우유, 유산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산균은 30∼38℃의 범위내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다가 영하 55∼65℃의 범위내에서 급냉상태로 바꾸어 1~2일 정도 급냉상태를 유지시킨 후 해동시켜 살아남게 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비피더스, 우유 유산균, 요쿠르트 유산균, 막걸리 이스트균, 김치 유산균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제조방법.
KR1020140079041A 2014-06-26 2014-06-26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041A KR20160001141A (ko) 2014-06-26 2014-06-26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041A KR20160001141A (ko) 2014-06-26 2014-06-26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41A true KR20160001141A (ko) 2016-01-06

Family

ID=5516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041A KR20160001141A (ko) 2014-06-26 2014-06-26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1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7479A (zh) * 2016-01-26 2016-05-11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一种皂荚牛奶香皂及其制备方法
CN106434036A (zh) * 2016-08-19 2017-02-22 跨越生物科技(滁州)有限公司 一种保湿凝脂薰衣草精油手工皂
KR20210066319A (ko) * 2019-11-28 2021-06-07 백희순 땅콩 외피를 이용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7479A (zh) * 2016-01-26 2016-05-11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一种皂荚牛奶香皂及其制备方法
CN106434036A (zh) * 2016-08-19 2017-02-22 跨越生物科技(滁州)有限公司 一种保湿凝脂薰衣草精油手工皂
KR20210066319A (ko) * 2019-11-28 2021-06-07 백희순 땅콩 외피를 이용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ias et al. Mouthwash containing a biosurfactant and chitosan: an eco-sustainable option for the control of cariogenic microorganisms
KR101928096B1 (ko) 피부개선, 여드름,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이 함유된 여러 가지의 약용식물을 추출 및 발효하는 한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원료 조성물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427099B1 (ko)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6644B1 (ko) 천연재료를 활용한 유아용 바디샤워
KR20180008071A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4642A (ko) 철피석곡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1653A (ko)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20160001141A (ko) 발효 유산균을 가지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9512764A (zh) 天然植物发酵精纯露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425757B1 (ko)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47949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JP2012176931A (ja) 育毛剤
KR102041593B1 (ko)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785424B1 (ko) 홍국균 발효 혼합 오일을 함유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9142B1 (ko)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68010A (zh) 一种完全由可用于食品生产成分组成的沐浴露
CN105106050A (zh) 白芨营养粉底霜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Gawshinde et al. Formulation, optimitzi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anti-dandruff shampoo
KR102307673B1 (ko)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KR101599394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326A (ko) 시금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KR101479550B1 (ko) 발아녹두와 발아팥 및 고삼추출물의 발효 숙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