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57B1 -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57B1
KR101425757B1 KR1020130109461A KR20130109461A KR101425757B1 KR 101425757 B1 KR101425757 B1 KR 101425757B1 KR 1020130109461 A KR1020130109461 A KR 1020130109461A KR 20130109461 A KR20130109461 A KR 20130109461A KR 101425757 B1 KR101425757 B1 KR 10142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kin
ac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김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홍 filed Critical 김태홍
Priority to KR102013010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배추, 알로에, 녹차, 약쑥, 민들레, 세신, 박하, 율무, 송진 및 수세미즙의 분쇄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HERBAL SKIN MASSAGE COMPOSITION AND THE MASK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한방물질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 사람마다 다양한 피부 상태에 따른 기호를 용이하게 반영시킬 수 있고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하여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내지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 및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팩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건강하고, 깨끗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갖는 것은 여성들만의 관심이었다면 최근에는 미가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인식되면서 남녀노소 모두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통상 여드름이라고 불리워지는 피부질환은 폐쇄성 또는 개방성 면포,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등 다양한 피부병변을 나타내는 모낭피지선에 발생하는 피부 질환이다.
여드름의 발생요인으로는 피지분비의 증가, 모낭내 이상각화, 여드름균의 군락형성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여드름 병변을 일으키게 된다. 즉, 남성호르몬 등의 분비항진에 의해 피지선의 기능이 항진되고 이에 따라 생성된 과잉의 피지가 모낭벽의 과각화를 초래해 모낭내에 정체되면 면포가 형성되는데 이 상태가 여드름 발병의 초기단계이다. 피지분비가 증가되고 모낭이 다각화됨에 따라 모낭 내에 정체된 피지가 모낭을 막아 공기의 순환을 차단하게 되면, 모낭내에 상주하는 혐기성 세균인 여드름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어 여드름균이 과다 증식하게 된다. 이 때 여드름균은 지방분해효소와 화학주성인자를 분비하여 유리지방산을 만들어 백혈구가 모낭주위에 모이게 하며, 이들이 모낭벽을 자극하고 파괴하여 모낭 내용물이 진피내로 유출됨에 따라 초기의 비염증성 여드름이 염증성 여드름으로 진행되며, 화농성 여드름으로까지 악화된다. 이와 같이, 여드름병변의 악화에는 여드름균이 많은 작용을 한다.
이러한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미생물은 혐기성 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속(Genus)으로, 사람의 피부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눌로숨(Propionibacterium granulosum)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비둠(Propionibacterium avidum)의 세종류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이 존재하며 여드름 발생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obacterium acnes)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의 치료는 그 발생원인을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전술한 여드름균을 제거함으로써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국소도포요법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젤레익산(Azelaic acid),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설퍼(Sulfur), 국소도포 항생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들은 소량만으로는 여드름균에 대해 충분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뿐아니라, 과량 도포시 피부 발적 또는 피부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천연 한방물질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 사람마다 다양한 피부 상태에 따른 기호를 용이하게 반영시킬 수 있고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하여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내지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 및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양배추, 알로에, 녹차, 약쑥, 민들레, 세신, 박하, 율무, 송진 및 수세미즙의 분쇄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양배추 추출물 1~20 중량%, 알로에 추출물 1~20 중량%, 녹차 추출물 1~20 중량%, 약쑥 추출물 1~20 중량%, 민들레 추출물 1~20 중량%, 세신 추출물 1~20 중량%, 박하 추출물 1~20 중량%, 율무 추출물 1~20 중량%, 송진추출물 1~20 중량% 및 수세미즙 1~2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3) 상기 (1)에 있어서,
쌀 뜨물로부터 유래된 쌀전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4) 상기 (1)에 있어서,
히아루론산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에 함침된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스크팩.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한방물질을 이용하여 안전하면서 사람마다 다양한 피부 상태에 따른 기호를 용이하게 반영시킬 수 있고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하여 피부 노화방지, 재생, 보습효과, 진정작용 내지 미백활성 등 높은 피부 미용의 효과 및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여드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여드름의 악화를 막아주는 등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배추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녹차 추출물, 약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세신 추출물, 박하 추출물, 율무 추출물, 송진추출물 및 수세미즙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에 함유되어지는 양배추는 십자화과에 속하며 채소나 사료로 쓰는 식물로써, 영양소가 풍부하고 저칼로리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효과가 좋으며 특히 위장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로에는 백합과 알로에속의 식물로써,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과 독소 중화 및 항암효과를 갖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는 카테킨과 비타민C 성분이 암의 원인이 되는 활성화 산소를 제거해주기 때문에 암의 발생을 예방해주고 치료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쑥은 한방에서 애엽이라고도 하며, 주로 부인병 질환, 비만해소, 간기능보호 등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들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예로부터 위장과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신은 쥐방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주로 열을 내리는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백초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예로부터 성인병, 암, 부인병 등 모든 질환에 대하여 효능을 갖는 만병통치약으로써 전해내려오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해열, 두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율무는 볏과의 한해살이풀로써 그 종자는 자양강장효과 및 이뇨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진은 소나무나 잣나무에서 분비되는 끈적끈적한 액체로써, 그 가루는 피지분비조절 기능을 하며 살균 효과가 있고 모공을 좁혀주는 데 도움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세미즙은 식이섬유, 칼륨, 칼슘, 철, 마그네슘 등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고, 비염이나 기관지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조성물에 1~2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각 성분들은 추출물의 형태로 혹은 혼합한 후 믹서기 등에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쇄물의 형태로 제공되며, 추출물의 형태로는 열수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이용한 추출물, 또는 초임계추출물을 포함한다.
열수 추출물의 경우 1∼10배의 물을 가하여 1 내지 2기압, 80∼120℃하에 1∼12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 내지 100% 에탄올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를 이용할 수 있고, 초임계 추출물은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250 내지 350bar의 압력하에 수행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에 히아루론산 1~10 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은 수분 흡수력 내지 미백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쌀 뜨물로부터 유래된 쌀전분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쌀 전분은 1~10 중량%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각 성분 함량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본원 발명에서 의도한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고, 상기 각 성분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 성분이 갖는 활성이 중화되어 원하는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오히려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 이외에도 피부 마사지용 팩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증점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사지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양배추 10중량%, 알로에 10중량%, 녹차잎 10중량%, 약쑥 5중량%, 민들레잎 10중량%, 세신잎 10중량%, 삼백초 10 중량%, 박하잎 10중량%, 율무종자 10중량%, 송진가루 5중량% 및 수세미즙 10중량%를 혼합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마사지액의 제조
마사지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양배추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 약쑥 추출물, 민들레잎 추출물, 세신잎 추출물, 박하잎 추출물, 율무종자 추출물, 송진가루 추출물 및 수세미즙을 교반하여 섞어 주는데 이때 일정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있어 피부 접착을 용이하게 하되 별도로 제공되는 압착시트지에 빠른 속도로 침투되어 시트지를 팽윤시켜야 하므로 이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소량의 잔탄검을 첨가한다. 각 성분의 추출물은 90℃ 열수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 하였다.
하기 표 1에 조성된 성분을 배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액을 제조하였다.
마사지액 구성성분
번호 원료 제형 예(중량%)
1 양배추 추출물 5
2 알로에 추출물 5
3 녹차잎 추출물 5
4 약쑥 추출물 5
5 민들레잎 추출물 5
6 세신잎 추출물 5
7 삼백초 추출물 5
8 박하잎 추출물 5
9 율무종자 추출물 5
10 송진가루 추출물 5
11 수세미 즙 5
12 정제수 44
13 잔탄검 1
[실시예 3] 마사지액의 제조
하기 표 2에 조성된 성분을 배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액을 제조하였다.
마사지액 구성성분
번호 원료 제형 예(중량%)
1 양배추 추출물 5
2 알로에 추출물 5
3 녹차잎 추출물 5
4 약쑥 추출물 5
5 민들레잎 추출물 5
6 세신잎 추출물 5
7 삼백초 추출물 5
8 박하잎 추출물 5
9 율무종자 추출물 5
10 송진가루 추출물 5
11 수세미 즙 5
12 히아루론산 5
13 정제수 39
14 잔탄검 1
[실시예 4] 마사지액의 제조
하기 표 3에 조성된 성분을 배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액을 제조하였다.
마사지액 구성성분
번호 원료 제형 예(중량%)
1 양배추 추출물 5
2 알로에 추출물 5
3 녹차잎 추출물 5
4 약쑥 추출물 5
5 민들레잎 추출물 5
6 세신잎 추출물 5
7 삼백초 추출물 5
8 박하잎 추출물 5
9 율무종자 추출물 5
10 송진가루 추출물 5
11 수세미 즙 5
12 쌀전분(쌀 뜨물 유래) 5
13 정제수 39
14 잔탄검 1
[실험예 1] 항산화능 측정실험
항산화능 측정은 DPPH 프리라디칼 소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마사지 조성물을 다양한 농도로 1.5x10-4M/EtOH 용액 3ml을 첨가한 후, 20분간 실온에 방치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능은 마사지용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감소시키는 정도에 따라 라디칼소거능으로 표시하였다 (표 5).
라디칼 소거능(%)=(A-B/A)x100
A: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B:시료를 첨가후 흡광도
라디칼 소거능
첨가된 마사지 조성물 (g) 라디칼 소거능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0.1 16.2% 16.4% 16.5% 16.5%
0.2 35.6% 35.3% 36.4% 36.8%
0.3 72.3% 72.5% 72.5% 73.6%
0.4 83.7% 84.1% 84.5% 85.2%
0.5 97.3% 97.5% 97.5% 98.2%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조성물의 첨가량을 높일 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한 마사지액은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로서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마스크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같이 제조된 마사지 조성물을 시장에서 통상 판매되는 압착 형태의 펄프 마스크 시트를 일정 용기에 넣고 마스크 시트의 크기에 준하여 마사지 조성물을 소분한 후 (대략 10ml-20ml) 첨가하고 마스크 시트가 충분히 팽윤될 때까지 약 10초 정도를 기다린 다음 필요 부위에 시트를 도포하거나 시트를 두드려 사용하였다. 이때 마사지 조성물의 소분 후 기호에 따라 소량의 소재를 첨가할 수 있다. 그 예로 미백 효과를 위해 마사지 조성물에 알부틴과 같은 미백 성분을 약 2% 정도로 첨가한 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마스크팩의 품질평가
10명의 건강한 30-40대 여성들을 패널에게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마사지 조성물 15ml와 압착 마스크시트를 주 3회 안면에 도포시켜 피부 미용 효과를 표 5에 제시된 항목에 따라 측정하였다. 한편 통상의 마스크 팩을 동일한 조건에서 안면에 도포시켜 피부 미용을 측정하였다. 도포기간은 2주간이었으며 그 후 사용느낌을 관능적으로 평가케 하여 그 결가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마스크팩의 품질평가 결과
평가기준 평가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
개인별 기호성 반영 여부에 관한 만족도 4.1 4.2 4.2 4.5 3.5
마사지액이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 4.1 4.2 4.3 4.6 3.7
사용후 피부감촉
(끈적임 및 산뜻함)
4.0 4.1 4.1 4.2 3.8
사용 후 피부 톤의 변화
(피부톤 조절 및 환해짐)
4.1 4.1 4.2 4.3 3.8
사용 후 보습 효과에 대한 만족도 4.0 4.0 4.1 4.4 3.5
사용 후 향취에 대한 만족도 4.0 4.0 4.0 4.3 3.1
사용 후 피부 자극 정도 3.5 3.5 3.5 3.5 3.4
유사제품과 전반적인 품질 비교 4.0 4.0 4.1 4.5 3.5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팩은 패널들로부터 기존의 마스크팩에 대하여 우수하게 평가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쌀전분을 함유한 실시예 4의 경우에는 보습효과와 미백효과에서 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력 평가
실시예 1 내지 4로 제조한 마스크 조성물과 통상의 시판(A사) 마스크팩 조성물의 항균력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공시균으로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 ATCC 6919)를 사용하였다.
여드름균을 각각 BHI 브로스(broth)에 접종하여 전배양한 후 각각의 조성물이 5% 함유된 멸균된 새 BHI 브로스 100ml에 1% 농도로 접종한 다음 혐기성 배양기내에서 2일간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력
여드름균(P.acnes)
접종균 농도(cfu/ml) 배양후 균농도(cfu/ml)
실시예1 2.3 x 106 2.5 x 104
실시예2 2.3 x 106 2.6 x 104
실시예3 2.3 x 106 2.4 x 104
실시예4 2.3 x 106 2.5 x 104
비교예 2.3 x 106 5.6 x 105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시판품인 비교예보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양배추 추출물 1~20 중량%, 알로에 추출물 1~20 중량%, 녹차 추출물 1~20 중량%, 약쑥 추출물 1~20 중량%, 민들레 추출물 1~20 중량%, 세신 추출물 1~20 중량%, 삼백초 추출물 1~20 중량%, 박하 추출물 1~20 중량%, 율무 추출물 1~20 중량%, 송진추출물 1~20 중량% 및 수세미즙 1~2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쌀 뜨물로부터 유래된 쌀전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히아루론산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5. 제 1항, 제3항 및 제 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에 함침된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스크팩.
KR1020130109461A 2013-09-12 2013-09-12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42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61A KR101425757B1 (ko) 2013-09-12 2013-09-12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61A KR101425757B1 (ko) 2013-09-12 2013-09-12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757B1 true KR101425757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461A KR101425757B1 (ko) 2013-09-12 2013-09-12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7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2128A (zh) * 2017-08-10 2017-12-01 安徽省天旭茶业有限公司 祛痘防晒茶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80043568A (ko) 2016-10-20 2018-04-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마스크 팩
CN108653116A (zh) * 2018-08-06 2018-10-16 大连民族大学 具有补水嫩肤功效的蒲公英压缩面膜
KR102121006B1 (ko) 2019-11-11 2020-06-09 주식회사 래디안 서양민들레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04A (ko) * 2001-05-07 2002-11-25 박종문 수세미 성분과 비타민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품 조성물
JP2003252719A (ja) * 2002-03-04 2003-09-10 Phyrena Keshohin:Kk アロエベラゲルを主成分とした化粧品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KR100791420B1 (ko) * 2006-05-15 2008-0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쑥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 간균과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04A (ko) * 2001-05-07 2002-11-25 박종문 수세미 성분과 비타민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품 조성물
JP2003252719A (ja) * 2002-03-04 2003-09-10 Phyrena Keshohin:Kk アロエベラゲルを主成分とした化粧品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KR100791420B1 (ko) * 2006-05-15 2008-0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쑥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 간균과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568A (ko) 2016-10-20 2018-04-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마스크 팩
CN107412128A (zh) * 2017-08-10 2017-12-01 安徽省天旭茶业有限公司 祛痘防晒茶面膜及其制备方法
CN108653116A (zh) * 2018-08-06 2018-10-16 大连民族大学 具有补水嫩肤功效的蒲公英压缩面膜
KR102121006B1 (ko) 2019-11-11 2020-06-09 주식회사 래디안 서양민들레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468B1 (ko)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758174B2 (ja) 抗酸化剤、及び抗酸化化粧料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757B1 (ko) 여드름 개선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43B1 (ko) 호호바씨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20080026800A (ko)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1653A (ko)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20150105091A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CN106137875B (zh) 一种组合物及面膜
KR20190074663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4323A (ko)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33918A (zh) 凹凸棒晒后修护面霜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1938301B1 (ko)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143241A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1222B1 (ko) 동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과그의 제조방법
KR101896942B1 (ko) 어성초 추출물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쿠션 파운데이션 조성물.
KR100892742B1 (ko) 여드름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