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673B1 -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673B1
KR102307673B1 KR1020200049651A KR20200049651A KR102307673B1 KR 102307673 B1 KR102307673 B1 KR 102307673B1 KR 1020200049651 A KR1020200049651 A KR 1020200049651A KR 20200049651 A KR20200049651 A KR 20200049651A KR 102307673 B1 KR102307673 B1 KR 10230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innamon
cactus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순
양재봉
Original Assignee
강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순 filed Critical 강경순
Priority to KR102020004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비로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 25 ~ 50%, 선인장 추출액 5 ~ 15%, 30‰ 염수 25 ~ 35%, 계피 추출액 15 ~ 25%, 주정 또는 식용알콜 5 ~ 15%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중량비로 유산균 종균 30 ~ 50%, 설탕 10 ~ 25%, 당밀 10 ~ 25%, 전분 5 ~ 15%, 밀가루 5 ~ 15%, 소금 0.1 ~ 1%, 계피 0.1 ~ 1%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Natur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본 발명은 피부보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친환경적 재료 및 천연 물질을 이용한 스킨 및 살균 겸용의 새로운 피보보호 조성물을 제안한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 표면을 이루는 기관으로 체내 수분의 증발 방지, 체온조절, 자외선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의 인체 보호, 유해 미생물의 침입 방지 등 외부환경에 대한 방어막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피부는 물리, 화학적 상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 및 기생충의 감염, 자외선에 의한 상해, 건조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한편, 다양한 외부 자극에 대한 신경 수용체로서도 작용하고, 외부 항원을 인지하여 면역 세포를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쉽게 손상받을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산화물이 급격하게 발생하고, 산화물에 의한 피부손상은 곧바로 각질층의 손상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미생물에 의한 2차 감염이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손상된 피부를 통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이 증가하여 피부건조증이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급격한 피지분비에 의하여 피지분비 이상이 동반되어, 피부가 너무 건조하거나 또는 역으로 너무 지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복합적인 피부 문제가 최종적으로는 피부 가려움증, 홍반, 조직손상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근래에는 유해 환경에 의해 피부 노화, 피부 트러블, 피부 과민화 현상 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여드름, 습진,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은 피부 외관 상태를 악화시켜 일상생활마저 어렵게 하여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사스, 매르스, 최근의 코로나19 등의 신종 호흡기 바이러스의 피부 접촉을 통한 전염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주기적이고 효과적인 피부 보호 및 소독, 살균 활동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피부 손상을 예방하면서 전염병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각종 피부보호제나 알콜계 소독제를 사용하고 있다. 비의료용 스킨케어 제품은 대부분 미용 목적의 화장품류에 불과하여 살균력이 낮고, 알콜계 소독제의 경우 피부 조직이 푸석해지고 건조해지며, 소독제에 함유된 살균 물질이나 에탄올은 흡입시 폐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특히 알콜계 소독제는 짧은 시간에 에탄올이 증발하여 살균력이 지속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121509호에 따르면, 화학적 소독으로 인한 역한 냄새 유발, 피부 접촉시 상처 유발 및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의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여, 이러한 점을 억제하면서 소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천연 한방 소독제를 제안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황버섯 20~30중량%, 자소엽 10중량%, 황금 10중량%, 인삼 10중량%, 갈근 10중량%, 형개 10중량%를 에탄올 600~70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50중량%, 정제수 22∼27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이 조성물은 에탄올 베이스의 소독제로서 전술한 문제로 인하여 인체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주로 탁자, 신발장, 전화기, 휴대폰 등 모바일,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등을 소독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한편, 공개특허 10-2017-0073000에 따르면, 유산균 균주를 활용한 농장 특화용 소독제가 제안된 바 있는데, 신규 균주를 개발하여 소독제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유통 저장 조건의 어려움이 있고, 저장안정성이나 열안정성 등이 낮아 대량 생산 후 유통 과정에서 소독제의 품질 균일성이 떨어질 경우 인체에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보호 및 살균이 가능한 새로운 천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염이나 아토피, 습진 등의 피부 트러블 개선에 이용될 수 있고, 살균을 통한 전염병 예방은 물론 유익균을 보충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도포나 공중에 살포하여 살균 지속 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호흡을 통하여 흡입되더라도 인체에 안전한 새로운 피부보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량비로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 25 ~ 50%, 선인장 추출액 5 ~ 15%, 30‰ 염수 25 ~ 35%, 계피 추출액 15 ~ 25%, 주정 또는 식용알콜 5 ~ 15%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중량비로 유산균 종균 30 ~ 50%, 설탕 10 ~ 25%, 당밀 10 ~ 25%, 전분 5 ~ 15%, 밀가루 5 ~ 15%, 소금 0.1 ~ 1%, 계피 0.1 ~ 1%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비로 유산균 종균 30 ~ 50%, 설탕 10 ~ 25%, 당밀 10 ~ 25%, 전분 5 ~ 15%, 밀가루 5 ~ 15%, 소금 0.1 ~ 1%, 계피 0.1 ~ 1%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배양하여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을 제조하고, 소금물에 선인장을 분쇄하여 혼합한 후 선인장의 뮤신 성분과 비타민 성분을 추출하여 선인장 추출액을 제조하고, 물에 계피를 넣고 가열하여 계피 추출액을 제조하고, 중량비로 미생물 배양 활성액 25 ~ 50%, 선인장 추출액 5 ~ 15%, 계피 추출액 15 ~ 25%에 주정 또는 식용알콜을 5 ~ 15% 혼합하고, 전체 혼합액의 염분 농도가 0.9%가 되도록 염수를 25 ~ 35%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종균은 묵은 된장, 묵은 김치, 청국장에서 추출한 유산균을 배양한 것으로서 pH 4.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스킨이나 로션과 같은 화장품 대용으로 사용되어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키고 피부에 존재하는 유용한 유산균의 보호하여 피부 건강을 향상시키며, 조성물의 유기산 성분 등에 의해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살균 효과를 제공하여 위생 관리의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각종 호흡기 바이러스 등의 감염 억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피부염이나 아토피, 습진 등의 피부 트러블 개선에도 이용될 수 있고, 피부 도포나 공중에 살포하여 살균 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호흡을 통하여 흡입되더라도 인체에 안전한 피부보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스킨 또는 로션 제품이나 손소독제, 기타 생활 환경의 각종 살균제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생물 배양 활성액 제조에 사용된 종균 원액 사진
도 2는 미생물 배양 활성액을 보인 사진
도 3은 선인장 추출액을 보인 사진
도 4는 계피 추출액을 보인 사진
도 5는 완성된 피부보호 조성물을 보인 사진
도 6a 및 6b는 피부보호 조성물의 살균 효과를 비교한 사진
본 발명은 피부보호 및 살균이 가능한 새로운 피부보호 천연 조성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키고 유해균의 살균을 통해 전염병 예방은 물론 유익균을 보충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끈적임이 없는 무색 액상의 조성물로서 스킨이나 로션과 같은 화장품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스킨겸용 친환경 손소독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분무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 등에 살포할 경우 조성물의 유기산 성분 등에 의해 유해균을 즉시 사멸시키는 살균 효과를 제공하여 위생 관리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각종 호흡기 바이러스 등의 감염 억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미생물을 배양한 활성액과 함께 천연 물질로부터 추출한 부가 성분을 혼합하여, 보습과 살균이 가능한 무자극 액상 조성물을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중량비로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 25 ~ 50%, 선인장 추출액 5 ~ 15%, 30‰ 염수 25 ~ 35%, 계피 추출액 15 ~ 25%, 주정 또는 식용알콜 5 ~ 15%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유산균 종균을 배양하여 제조되며, pH 3.0 수준의 산도를 유지하며 각종 유해균의 사멸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중량비로 유산균 종균 30 ~ 50%, 설탕 10 ~ 25%, 당밀 10 ~ 25%, 전분 5 ~ 15%, 밀가루 5 ~ 15%, 소금 0.1 ~ 1%, 계피 0.1 ~ 1%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배양하며, 상기 유산균 종균은 묵은 된장, 묵은 김치, 청국장에서 추출한 유산균을 배양한 것으로서 pH 4.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산균 종균의 구체적인 제조 과정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에 있어서, 우리나라 전통 음식으로부터 유기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배양 과정에서 얻은 산 성분을 이용하여 호기성 부패세균을 사멸하며, 음용이 가능하고 피부 등에 바르거나 도포하여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노란빛의 향긋한 향을 보이고 산도가 높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선인장 추출액은 알로에의 8배나 되는 풍부한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겔과 유사한 뮤신(mucin) 성분으로 피부에 보습과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계피 추출액의 경우 부패미생물 발생을 억제하고 일반 세균 침투를 저해하는 한편,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방향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주정 내지 식용알콜로는 음용이 가능한 소주, 청주, 막걸리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알콜도수에 따라 그 양을 다르게 혼합할 수 있으며 피부보호 조성물의 부폐를 막고 향을 유지하며 보존제 역할을 수행한다. 염수는 강력한 살균력은 없지만 일부 일반 세균에 살균력이 있어 유기산과 함께 살균력을 높이는 기능을 하고, 인체 피부 조직과의 친화성을 유지하도록 혈액의 염분도에 맞추어 전체적인 피부보호 조성물의 염도가 0.9%가 유지되도록 혼합한다.
이와 같은 성분들이 혼합된 피부보호 조성물은 살균력이 뛰어나며, 인체에 유익한 균은 살리고 해로운 균만 살균하는데 필요에 따라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켜 살균력을 조정할 수 있고, 사용방법과 장소에 따라 손소독제, 살포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비누를 자주 사용하여 유익균이 사멸되면서 피부가 건조해 푸석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피부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익균을 보충(보호)하여 피부 건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중량비로 유산균 종균 30 ~ 50%, 설탕 10 ~ 25%, 당밀 10 ~ 25%, 전분 5 ~ 15%, 밀가루 5 ~ 15%, 소금 0.1 ~ 1%, 계피 0.1 ~ 1%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10일에서 한 달간 배양하여 제조한다.
선인장 추출액의 경우, 소금물에 선인장을 분쇄하여 혼합한 후 선인장의 뮤신 성분과 비타민 성분을 추출하여 제조하고, 계피 추출액은 물에 계피를 넣고 가열하여 원하는 농도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각 성분이 준비된 후에, 중량비로 미생물 배양 활성액 25 ~ 50%, 선인장 추출액 5 ~ 15%, 계피 추출액 15 ~ 25%에 주정 또는 식용알콜을 5 ~ 15% 혼합하고, 전체 혼합액의 염분 농도가 0.9%가 되도록 염수를 25 ~ 35% 추가하여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을 완성한다.
미생물 배양 활성액 제조에 사용되는 종균은 선조들이 오랜 전통 속에서 애용하던 묵은 된장, 묵은 김치, 청국장 등에서 균을 추출하여 배양하며, 토착 미생물과 요구르트, 치즈 등에서 뽑아낸 균을 추가하고, 소금, 계피, 주정 등을 첨가하여 일반 세균 유입을 방지하면서 유산균 종균을 완성한다. 이러한 종균은 염분, 계피, 김치 속의 마늘 등의 성분이 유해 미생물 발생을 저해하거나 지연시켜 배양 과정에서 호기성 미생물인 부패균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주정으로 전통 소주나 청주, 막걸리를 제조하여 그 주정을 첨가하여 배양에 더욱 효과적이다.
배양 후, pH측정기로 산도가 4.0 이하이고,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일반 세균이 없고 유산구균, 바실러스균 등이 좋으면 완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90년대 일본으로부터 전해진 종균의 경우 토양 및 환경이 달라 국내 실정에서는 활용도가 크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전통 제품 유래 배양된 종균은 pH 4.0 이하로 유산균 활동이 활발하고 살균력이 뛰어나며, 부패율이 낮고 보관 기간이 긴 장점이 있다. 실제로, 배양된 종균의 희석액을 인체에 바르거나 양계장, 양돈장에 정기적으로 살포한 결과, 피부 건강이 개선되고 양계장 및 양돈장의 악취가 저감되는 한편 사육되는 동물의 건강이 향상되어 병란 수가 감소하는 등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의 기술적 구성 및 구체적인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a) 종균 원액 제조
종균 원료 물질로 조선된장 5kg, 김치 5kg, 청국장 5kg, 치즈 1kg, 고초균 배양액 1리터를 준비하고, 부패균 감소물질로서 소금 2kg, 계피 5kg, 소주 5리터를 준비하고, 배양 영양물질로서 당밀 20kg, 흑설탕 10kg을 준비하였다. 고초균의 경우 고두밥을 짓고 볏집을 혼합하여 숙성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곰팡이를 추출하여 물, 당밀, 설탕을 혼합하고 배양하여 얻은 액상을 사용하였다.
준비된 모든 성분을 600리터의 물과 함께 잘 혼합한 후 밀봉하여 상온에서 20일 간 1차 배양하였다.
1차 배양이 완료된 후, 600리터의 물에 1차 배양된 종균 60리터, 당밀 60리터, 흑설탕 10kg, 소금 5kg, 계피 5kg을 넣어 자연조건 하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조건은 겨울철 평균온도 10℃ 기준으로 30일, 봄가을엔 20℃ 기준으로 20 ~ 25일, 여름엔 30℃ 기준으로 10 ~ 15일간 각각 다르게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이 완료된 종균액은 도 1의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짙은 커피색을 띠었고, 신맛과 단맛 및 숙성미가 조화된 강한 향기를 보였으며, 산도는 pH4.0 을 나타내었다.
b) 피부보호 조성물
조성물의 주요 성분으로서, 미생물 배양 활성액은 물 20리터 기준으로 유산균 종균 400g, 흑설탕 200g, 당밀 200g, 전분 100g, 밀가루 100g, 소금 5g, 계피 5g을 넣고 1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조건은 계절 및 온도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겨울철 평균온도 10℃ 기준으로 한 달, 봄가을엔 20℃기준으로 20일, 여름엔 30℃ 기준으로 10일간 각각 다르게 배양할 수 있다. 도 2는 완성된 배양액을 보이고 있으며, 맑은 노란색의 빛깔을 나타내고 종균 원액보다는 약한 향을 확인하였다. 활성액의 산도는 pH 3.0 을 보였다.
선인장 추출은 염수 20리터 기준으로, 30‰ 소금물에 선인장 5kg을 깍둑썰기나 길이 방향으로 자른 후 혼합하였고, 2 ~ 3일간 유지하여 선인장 속의 뮤신 성분과 비타민C 등이 염수에 추출되도록 하였다. 도 3은 선인장 추출액을 보인 것으로 추출액의 색상이 선인장 색상과 유사하게 변하였으며, 냄새는 선인장향과 유사하였다. 선인장 성분의 추출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염수의 농도나 추출 시간을 다르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선인장 추출 및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염수는 최종적으로 피부보호 조성물의 염도가 체액과 비슷하게 약 0.9% 농도가 되도록 생수에 소금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계피 추출액은 물 20리터 기준으로 통계피 1kg을 넣고 15분 동안 가열하여 얻었으며, 가열을 마친 후 일정 시간 유지하면서 추출액의 고형분이 가라앉도록 하였다. 도 4는 완성된 계피 추출액을 보인 것으로, 맑은 계피색을 유지하였으며 계피향이 강하게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성분이 제조된 후, 조성물 1000ml 기준으로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pH 3.0) 300ml, 선인장 추출액 100ml, 30‰ 염수 300ml, 계피 추출액 200ml, 소주(알콜 20도 기준) 100ml을 혼합하였다.
주정 내지 식용알콜은 알콜도수에 따라 혼합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염수는 전체적인 조성물의 염도가 약 0.9%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완성된 조성물은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도 5는 완성된 피부보호 조성물을 나타낸 것으로 투명한 색상을 볼 수 있고, 산도는 pH 3.8 내외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긋한 냄새를 약하게 확인하였다. 이러한 액상 조성물은 상온 보관이 가능하며, 스킨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냉장 보관하여 청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 살균 테스트
완성된 피부보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끈적임 없이 피부에 수분이 유지되었고, 자극적인 냄새도 발생하지 않았다.
기존의 에탄올 소독제는 바를수록 손이 푸석해지고 건조해지며, 강한 알콜향으로 인하여 흡입시 폐 건강에도 좋지 않은 반면,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피부와 호흡기에 자극을 주지 않고 편안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분무 상태로 흡입하거나 소량을 입에 넣어도 전혀 무리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성물의 살균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물질의 부폐에 관여하는 섬모충균에 대해 조성물을 살포하기 전과 살포 후의 모습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하여 도 6a(살포 전) 및 6b(살포 후)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살포 후 약 10초 경과한 후에 도 6b와 같이 섬모충균의 수가 감소하고 활동력도 크게 저하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호 조성물은 유익균의 보호 및 보습 효과와 더불어 살균 효과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살균 효과가 오랜 시간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에탄올 계열의 손소독제는 젤 성상의 제품이더라도 피부 도포 후 짧은 시간 내에 에탄올이 모두 증발하고, 에탄올 성분이 사라지면 살균력은 바로 상실되는데,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약 24시간이 경과하여도 살균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소량 사용만으로도 살균 효과가 우수하여 소비자의 구매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에탄올 소독제보다 적은 양을 사용해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각 성분이 모두 천연 물질이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어서 스킨이나 로션과 같이 자주 피부에 도포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공공시설이나 실내 공간의 살균을 위한 살포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실내 공간 등에 공중 살포 시 비말에 의해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세균을 사멸할 수 있어 살균제의 살포가 우려되는 공항 대합실, 관공서 등 사람이 밀집된 곳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방제자의 방제복 착용이 필요 없어 방역 활동 등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인체 피부의 산성도에 근접한 산에 의한 살균력이므로 피부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입 안의 유해 세균을 감소시키는 가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상처의 소독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세균 사멸과 보습 효과로 더운 여름철 팔 안쪽이나 사타구니 등에 발생하는 두드러기 같은 습진성 피부염을 진정시킬 수 있고, 아토피를 진정시켜 세균과 화학성분에 의한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2차 감염을 방지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이외에도 손바닥 피부가 벗겨지는 습진균을 사멸시켜 주부 습진을 완화하거나, 유기산 성분이 얼굴 피부에 더러워진 먼지와 유분을 깨끗하게 하고 일반 세균을 감소시켜 여드름 완화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중량비로 유산균 종균 30 ~ 50%, 설탕 10 ~ 25%, 당밀 10 ~ 25%, 전분 5 ~ 15%, 밀가루 5 ~ 15%, 소금 0.1 ~ 1%, 계피 0.1 ~ 1%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배양하여 유기산 미생물 배양 활성액을 제조하고,
    소금물에 선인장을 분쇄하여 혼합한 후 선인장의 뮤신 성분과 비타민 성분을 추출하여 선인장 추출액을 제조하고,
    물에 계피를 넣고 가열하여 계피 추출액을 제조하고,
    중량비로 미생물 배양 활성액 25 ~ 50%, 선인장 추출액 5 ~ 15%, 계피 추출액 15 ~ 25%에 주정 또는 식용알콜을 5 ~ 15% 혼합하고, 전체 혼합액의 염분 농도가 0.9%가 되도록 염수를 25 ~ 35%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00049651A 2020-04-23 2020-04-23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KR10230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651A KR102307673B1 (ko) 2020-04-23 2020-04-23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651A KR102307673B1 (ko) 2020-04-23 2020-04-23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673B1 true KR102307673B1 (ko) 2021-10-01

Family

ID=7811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651A KR102307673B1 (ko) 2020-04-23 2020-04-23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971B1 (ko) * 2004-11-17 2005-04-14 주식회사 제우축산연구소 미생물 고상발효에 의한 사료용 효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8391A (ko) * 2008-03-11 2008-03-31 (주)에이씨티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20090111980A (ko) * 2008-04-23 2009-10-28 (주)아모레퍼시픽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6697A (ko) * 2013-11-15 2015-05-27 재단법인 임실치즈과학연구소 계피추출물이 첨가된 김치유래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971B1 (ko) * 2004-11-17 2005-04-14 주식회사 제우축산연구소 미생물 고상발효에 의한 사료용 효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8391A (ko) * 2008-03-11 2008-03-31 (주)에이씨티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20090111980A (ko) * 2008-04-23 2009-10-28 (주)아모레퍼시픽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6697A (ko) * 2013-11-15 2015-05-27 재단법인 임실치즈과학연구소 계피추출물이 첨가된 김치유래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9473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1613294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KR102460358B1 (ko) 유산균 발효 허브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4958248A (zh) 生物抑菌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9497093A (zh) 一种消毒液
US20240130960A1 (en) Biome-friendly consumer products
CN110478293A (zh) 一种免洗消毒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8014032A (zh) 一种护臀湿巾及其制备方法
KR102292707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307673B1 (ko) 천연 피부보호 조성물
KR101626048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352993A (zh) 一种植物除菌液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3289294B2 (en) Use of zinc coceth sulfate as an antibacterial agen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KR102394120B1 (ko) 알칸디올 및 루테린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21615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CN109010157A (zh) 一种6-氟咪唑并吡啶衍生物的用途
KR102252009B1 (ko) 비자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또는 살균용 조성물
KR20180051763A (ko) 항균 탈취제 조성물
CN110652533A (zh) 一种抑菌组合物及其应用
CN110946995A (zh) 天然草本宠物专用除臭除虫消毒剂
KR102344582B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10934157A (zh) 天然草本冰箱除味除菌物体表面消毒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