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394B1 -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394B1
KR101599394B1 KR1020140006462A KR20140006462A KR101599394B1 KR 101599394 B1 KR101599394 B1 KR 101599394B1 KR 1020140006462 A KR1020140006462 A KR 1020140006462A KR 20140006462 A KR20140006462 A KR 20140006462A KR 101599394 B1 KR101599394 B1 KR 10159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s
mixe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602A (ko
Inventor
박귀교
박성하
박병준
김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로 구현되며, 상기 혼합추출물을 다양한 제형에 적용하여 상기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로 인한 피부 노화방지효과를 구현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EFFECT}
본 발명은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조직에서 일어나는 노화 현상은 매우 복잡하여 하나의 기전으로 설명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피부조직의 노화 현상에 대한 기전 중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학설은 자유 라디칼 이론이며, 상기 자유 라디칼 이론에 의하면 생체 내에서의 대사 반응이나 자외선, 매연 및 환경 호르몬 등에 의해 생체 내에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고, 상기 자유 라디칼이 생체 구성 분자들인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을 지속적으로 파괴하고 산화반응 산물을 생성하여 노화 과정을 촉진시키며, 이러한 현상은 나이와 더불어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은 홀수전자를 갖는 원자나 원자단으로, 짝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고 에너지가 높으며, 따라서 반응성이 크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자유라디칼로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라디칼(O2 -) 및 하이드록시라디칼(OH-) 등의 라디칼,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비(非)라디칼 등이 있다.
따라서 피부노화 억제를 위해 가장 많이 연구되는 항산화제 분야에서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O2 -) 및 하이드록시라디칼 (OH-) 등의 라디칼과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비(非)라디칼에 의해 피부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아, 세포가 손상되고 피부노화 현상이 촉진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피부염증은 오용 또는 남용된 의약품이나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면역반응체계의 신호전달체계로 염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장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 경우에 따라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피부세포를 자극하여 피부염증을 유발하기도 있는데, 이때, 화장품이란 피부의 보호, 미화 및 청정을 위해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그 효과가 경미한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러한 화장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중 방부제, 계면활성제, 색소, 자외선 흡수제 및 다른 성분들에 의해 오히려 피부세포를 자극한다든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결국 피부에 염증을 유발시킴으로써 피부자극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자극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가지는 화장품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화장품관련 연구자들은 피부염증이나 피부자극을 없애기 위해 천연에서 유래된 순수한 물질을 채택하고 있다.
그 일례로, 씨앗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련된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9085허에 복분자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입욕용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특허 제1315265호에는 혼합한방추출물 및 혼합열매/씨앗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하여 피부노화에 따른 각종 증상을 개선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130801호에는 인삼씨 오일 및 인삼씨박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인삼씨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발명으로서, 피부 보호 용도,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등에 유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이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2-105007호에는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부, 점막 또는 부속기관에 영향을 주는 장애 또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혈관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지방조직 변형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유용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피부에는 땀, 피지 등으로부터 생육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받아 생활하는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해를 주지 않고 정상적으로 서식하지만 일부의 미생물은 병원성인 것들도 있다.
이러한 일부 병원성 미생물들은 땀샘 분비선, 피지 분비선 등을 통하여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피부에 존재하는 세균류(Pseudomonas, Bacillus, Mycobacterium , Clostridium, Staphylococcus, Streptococcus)는 대부분 그람 양성균이며, 이들 균주에 의해 그람음성균은 상대적으로 생장이 억제된다.
곰팡이나 바이러스는 피부에는 흔치 않고 대체로 한정된 수만이 존재하고 있다. 일례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은 피부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류로서, 상기 박테리아류는 쉽게 피부와 접할 수 있고 모두 침입성 효소와 질병을 일으키는 독소를 만들어낸다.
포도상구균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양성 구균 중 임상 검체에서 가장 흔히 분리되며 병원 내 감염증을 잘 일으키는 균으로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화농성 세균이다. 국소감염으로는 피부감염, 소포염, 농가진, 종기, 창상감염 등을 일으키며, 전반적인 질환은 점막질환, 폐렴, 심내막염, 뇌막염, 폐혈증 및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에 감염될 경우 아토피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이 되는데, 아토피는 만성적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발하여 심한 가려움증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알러지성 피부질환으로, 건강한 피부에는 황색포도상구균이 2~5%만 존재하지만 아토피 환자의 95%에서 집락이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균이 피부에 감염될 때에는 대부분 피부가 벗겨진 곳이나 찔린 곳, 또는 벤 곳 등 손상된 곳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들이 피부에 서식하면서 비듬 및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무좀, 아토피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만일 감염을 신속히 처리하지 않는다면, 조직 깊숙이 미생물이 퍼져 혈류에 이르게 되고 심각한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칸디다 효모(Candida albicans)는 불완전균류에 속하는 진균의 1종으로 효모양진균으로서 분아에 의하여 증식하는데, 환경조건에 따라서 가성균사, 후막포자를 만든다. 급성, 아급성의 칸디다증의 원인균이지만, 급성건강자의 분변, 질, 인두, 구강, 소화관, 피부 등에도 존재하고 있으므로 진단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각종 산화 물질에 대한 직접적인 항산화 작용을 제공하여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피부에 서식하는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는 소재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 중 허브 씨앗 자원으로부터 유용한 소재를 탐색한 결과,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의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하고, 특히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은 종래 천연소재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대비, 저농도에서도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염증이나 피부자극을 최소화한 천연소재 중에서,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의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추출물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이 혼합원료를 5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추출 또는 5 내지 40℃에서 1 내지 5일 동안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된 것이며, 혼합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함유된다.
이에,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허브 씨앗 자원으로부터 채택된 원료를 함유함으로써, 피부염증이나 피부자극을 최소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항염 효과,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들의 혼합추출물을 저농도로 함유하면서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의 DPPH 소거능 측정 결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의 SOD 유사 억제활성의 측정 결과이고,
도 3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의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채택된 원료는 천연 추출물 중 허브 씨앗 자원으로부터 선택된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에서 로켓셀러드윈터(Eruca vesicaria sativa)는 유럽 지중해에 분포하며 영국에 분포한다. 초원, 들판, 올리브 숲, 암석의 언덕에 서식하고 다년생이며 0.25∼0.6m까지 자란다. 꽃은 자웅동체이며 5∼8월에 피고 열매는 7∼9월에 익는다. 곤충에 의해 수정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며 가뭄에 저항력이 강하다.
캐트닢(Nepeta cataria)은 원산지가 유럽·북아메리카·서아시아·중국인 박하류에 속하는 허브이다. 고양이가 물어뜯는다고 해서 캐트닙이라고도 하고, 고양이가 좋아한다고 해서 캐트민트라고도 한다.
영국에서는 생울타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들풀이다. 높이 50∼100cm까지 자라며,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연한 녹색이고 6∼7월에는 흰색 꽃이 핀다. 전체적으로 박하향이 나고 말리면 그 향이 더 강해진다. 내한성과 번식력이 강해 기르기 쉽다. 씨뿌리기·꺾꽂이·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고대 로마에서 허브차로 사용했으며, 유럽에서도 홍차가 보급되기 이전에 차로 즐겨 마셨으며 약초로도 이용해왔다. 오늘날은 꽃과 잎으로 허브차를 만들어 마시거나 다른 허브와 함께 입욕제 또는 포푸리로 사용한다. 꽃은 최면작용·발한작용·해열작용 등이 뛰어나다. 어린이 설사의 지사제로 사용하거나 불임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워트(Saponaria officinalis)는 사포나리아 속의 총칭으로 유럽이 원산이며 높이 30cm 정도 자라는 다년초다. 줄기는 곧추 자라고 억센 원통모양이고 근경의 내부는 희며 풍부한 사포닌을 함유한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뚜렷한 3개의 엽맥이 나타나고 끝은 뾰족하다. 잎은 파상으로 되어 있으며 마주난다. 사포닌을 함유한 천연비누로 유명하며, 특히 직조가 용이하도록 섬유를 세탁할 때에 유용하다. 생잎을 손으로 비비면 거품이 나와 비누처럼 사용한다. 잎이나 뿌리를 삶은 액은 샴푸로 사용하고 여드름, 손상된 피부의 세정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부드러운 섬유세탁에 좋다. 세제 및 약품으로서의 특성은 이 식물에 함유된 호르몬모양의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거품을 만들어 낸다. 이 사포닌은 체내에서 호흡기계나 소화기계에 온화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소량만으로도 거담약이나 하제가 된다.
이상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원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에서 바람직한 추출용매로서 70% 메탄올, 80% 에탄올, 정제수 및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혼합추출물’이라 함은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원료를 상기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열수추출하거나,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이후에는,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또는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켜 동결 건조한 고형분을 추출물로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추출물은 혼합원료를 5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추출 또는 5 내지 40℃에서 1 내지 5일 동안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다.
이때,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혼합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충분히 구현하고, 동시에 지나치게 과량 사용되어 세포 독성으로 인한 안전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이에,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 중 허브 씨앗 자원으로부터 채택되어 혼합원료로 인하여, 피부염증이나 피부자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로 함유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이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다양한 제형에 적용한 화장품은 피부 노화 방지가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 제조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을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배의 정제수를 넣고 105℃에서 5시간 가온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거르고, 물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11.05g(건조중량)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 제조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을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80% 메탄올 추출용매를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메탄올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14.85g(건조중량)을 얻었다.
< 실시예 3>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 제조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을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70% 에탄올의 추출용매를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에탄올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15.42g(건조중량)을 얻었다.
< 실시예 4>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워트 씨앗의 혼합추출물 제조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을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배의 추출용매(30% 부틸렌글리콜)을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4.592kg(고형분 약 2.3%)을 얻었다.
< 실험예 1> DPPH (2,2- Diphenyl -1- picrylhydrazyl )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대한 전자공여능(전자를 공급할 수 있는 능력) 측정은 각 추출물의 농도별 용액 100㎕ 에 5×10-4M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100㎕ 를 넣고,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항산화 효과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은 100㎍/㎖ 또는 0.1% 농도에서 80% 이상의 DPPH 소거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SOD ( Superoxide dismutase ) 유사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에 대한 SOD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의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100units)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2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은 10㎍/㎖ 또는 0.01% 농도에서 SOD 유사 억제활성이 80% 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NO 생성 억제 실험 ( NO assay )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에 대한 NO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 (mouse marcrophage)을 5×105cells/㎖ 농도로 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분주한 후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소혈청 10%와 항생제 1%가 포함된 DMEM/high glucose(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를 이용하였다.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30분 반응시킨 후 10㎍/㎖ LPS 1㎕ 을 첨가하여 동일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양액을 96-웰 플레이트에 50㎕씩 넣은 후, Griess reagent(Promega)의 술파닐아미드(Sulfanilamide) 50㎕씩 넣고 상온에서 10분 반응시켰다. 여기에 NED를 50㎕씩 넣고 상온에서 10분 반응시킨 다음 플레이트 계수기(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3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은 100 ㎍/㎖ 이하의 농도에서 NO 생성 억제 효과를 보임으로써, 항염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미생물 생장 최소 억제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소 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균주로는 그람양성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효모로는 캔디다 효모(Candida albicans ATCC 10259)을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각각의 균주는 영양배지(Nutrient Broth) 용액을 제조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후 각각의 배양된 균주를 백금이를 이용해 영양배지 용액(10㎖)에 접종하고, 진탕 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항균실험을 위한 균주를 준비하였다. 미생물 균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의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멸균된 배지에 배양된 균주로서, 세균은 1×106 cfu/㎖, 진균은 1×105 cfu/㎖이 되도록 각각을 접종하여 세균의 경우 35℃에서 2일간 배양하고, 진균류의 경우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이를 대조군으로 하여 관찰하였다. 한편, 각각의 실시예는 0.01 내지 1 중량%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제조한 후 제균하여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세균은 1×106 cfu/㎖, 진균은 1×105 cfu/㎖이 되게 각각 접종하여 세균의 경우 35℃에서 2일간 배양하고, 진균류의 경우 25℃에서 5일간 배양하여 이를 실험군으로 하여 관찰하였다.
배양이 끝난 대조군과 실험군의 배지 용액에 대해서 각 균주의 증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균공간에서 시료를 약 1㎖씩 취하여 멸균된 큐벳에 분주하고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확인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의 균주에 대하여 낮은 증식도를 보인 최소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최소 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하였다.
최소 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4
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은 그람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캔디다 효모에 대해 0.5 중량% 이하 농도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 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다양한 제형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 처방예 1> 유연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제외한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5
< 처방예 2> 영양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rpm으로 분산하여 2%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를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rpm/5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6
< 처방예 3>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는 각각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2000rpm)로 분산하여 1% solution상태로 준비하였다. 또한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4000rpm)로 분산하여 2% solution상태로 준비하였다. 한편,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12를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고, 가온된 수상을 다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3 내지 15를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7
< 처방예 4>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용해조에 원료 1내지8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별도의 유상 용해조에 원료 9내지16을 투입하여 80℃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10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8
< 처방예 5>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팩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05348144-pat00009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 중 허브 씨앗 자원으로부터 채택된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때, 상기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의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가 혼합추출물에 보존됨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저농도 함유하면서도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캐트닢 씨앗 및 ?워트 씨앗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다양한 제형에 적용하여, 피부 노화 방지효과를 구현하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로켓셀러드윈터 씨앗(Eruca vesicaria sativa seed), 캐트닢 씨앗(Nepeta cataria seed) 및 ?워트 씨앗(Saponaria officinalis seed)의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혼합추출물이 항산화, 항염 효과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또는 캔디다 효모(Candida albicans ATCC 10259)를 포함하는 피부 서식 미생물의 생장 억제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이 혼합원료를 5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추출 또는 5 내지 40℃에서 1 내지 5일 동안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06462A 2014-01-20 2014-01-20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62A KR101599394B1 (ko) 2014-01-20 2014-01-20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62A KR101599394B1 (ko) 2014-01-20 2014-01-20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02A KR20150086602A (ko) 2015-07-29
KR101599394B1 true KR101599394B1 (ko) 2016-03-03

Family

ID=538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462A KR101599394B1 (ko) 2014-01-20 2014-01-20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12B1 (ko) * 2023-02-01 2023-12-20 오정일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96A (ko) * 2010-08-31 2012-03-08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12B1 (ko) * 2023-02-01 2023-12-20 오정일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02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0780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CN102641225A (zh) 一种含有植物抑菌组合物的化妆品
CN102669191A (zh) 植物抑菌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823A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20140121714A (ko)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항균제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6688B1 (ko)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9394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8821B1 (ko) 티트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70122315A (ko) 미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7295A (ko) 자몽 종자, 고삼, 님나무 열매를 혼합 추출하여 항균효과를 증진시킨 화장료 조성물
KR101818146B1 (ko) 화이트윌로우바크(White Willow Bark), 북미사시나무껍질(Aspen Bark), 님잎(Azadirachta Indica Leaf), 청호(Atremisia Annua)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