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44U -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44U
KR20160000844U KR2020140006500U KR20140006500U KR20160000844U KR 20160000844 U KR20160000844 U KR 20160000844U KR 2020140006500 U KR2020140006500 U KR 2020140006500U KR 20140006500 U KR20140006500 U KR 20140006500U KR 20160000844 U KR20160000844 U KR 201600008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lid
container
food contain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372Y1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2020140006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7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으로 적층되어지는 식품용기가 냉장고 등의 특정장소에 보관될 경우에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한손으로 간단하게 꺼낼 수 있도록 되는 홀더 기능이 부여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고, 이를 위하여 용기함체의 덮개가 덮어지는 상단의 직립테두리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는 후렌지의 일측면에 3면의 후렌지보다 넓은 확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확장면은 그 선단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는 걸림면을 하향돌출 형성하여 걸림면이 형성된 내측으로 손가락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손가락끼움공간에 끼움되어진 손가락이 걸린 상태에서 손가락의 둘째마디가 거의 동일한 면으로 밀착되어지게 용기함체에 밀착면을 형성토록 하여 손가락 둘째마디가 밀착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가락 첫째마디가 손가락끼움공간에 끼움되어져 첫째손가락 지문이 형성된 부분이 걸림면에 걸림되어지면서 기렛대의 원리로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꺼냄이 용이토록 하면서 걸림면에 걸림되어지면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쳐짐방지를 위하여 걸림면의 하향돌출된 형태로 보강면을 연장되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확장면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단턱면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면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으로 덮개가 덮여진 상태에서 덮개의 개폐를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multistage-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으로 적층되어지는 식품용기가 냉장고 등의 특정장소에 보관될 경우에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한손으로 간단하게 꺼낼 수 있도록 되는 홀더 기능이 부여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식품용기는 일정한 내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구되어진 용기함체와 상기 개구된 용기함체를 덮어주게 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식품용기는 냉장고 등에 보관될 경우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보관됨으로 좁은 장소에서 많은 식품용기의 보관이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식품용기의 단점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하단에 있는 식품용기를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상단에 적층되어진 것들을 먼저 분리하여 꺼낸 이후에 꺼내거나 또는 두손으로 다단으로 적층된 것들을 들어내어 꺼내야 한다라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다단으로 적층된 식품용기를 한번에 두손으로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냉장고 등에 일정한 틈이 존재하여야 하는데 대부분 냉장고에는 이러한 식품용기가 빽빽하게 들어가게 됨으로 실질적으로 두손을 넣고 꺼내기가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부분 냉장고의 문을 장시간 열어놓고 상단의 식품용기를 일일이 꺼낸 후에 가능하게 됨으로 냉장고 내에서의 일정한 냉기의 유지가 불가능하여 되는 불편함은 물론 식품용기에 냉동보관되던 음식물 등이 변질되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덮개가 용기함체에서 개폐될 경우에 덮개가 용기함체와 긴밀하게 결합되어짐으로 특별한 손잡이가 없어 덮개의 테두리를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개폐됨으로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손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등에 오염의 우려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도 최하단의 식품용기를 한손으로 꺼냄과 넣음이 용이한 식품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덮개의 개폐도 특정위치에서만 개폐토록 함으로서 위생적인 부분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장방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용기함체의 덮개가 덮어지는 상단의 직립테두리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는 후렌지의 일측면에 3면의 후렌지보다 넓은 확장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확장면은 그 선단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는 걸림면을 하향돌출 형성하여 걸림면이 형성된 내측으로 손가락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손가락끼움공간에 끼움되어진 손가락이 걸린 상태에서 손가락의 둘째마디가 거의 동일한 면으로 밀착되어지게 용기함체에 밀착면을 형성토록 하여 손가락 둘째마디가 밀착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가락 첫째마디가 손가락끼움공간에 끼움되어져 첫째손가락 지문이 형성된 부분이 걸림면에 걸림되어지면서 기렛대의 원리로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꺼냄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걸림면에 걸림되어지면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후렌지의 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면의 하향돌출된 형태로 보강면을 형성함으로서 용기함체의 변형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면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단턱면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면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으로 덮개가 덮여진 상태에서 덮개의 개폐를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냉장고에 보관되는 식품용기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도 한손의 손가락만으로 간단하게 꺼냄이 용이토록 됨은 물론 손가락에 힘이 없을 경우에도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한손으로 꺼낼 경우에도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에서도 음식물의 하중에 의하여 용기함체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덮개를 열 경우에도 단턱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의하여 간단하면서 위생적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식품용기가 다단으로 적층되어진 일 실시 예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용기함체의 확장면과 단턱면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용기함체에 덮개가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식품용기의 손가락끼임공간에 손가락이 끼워져 지렛대 원리로 들어올림을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걸림면이 용기함체의 후렌지에 연장되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용기함체에 뚜겅이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7은 종래 다단적층용기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물품의 구성은 장방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용기함체(10)와 상기 용기함체(10)를 개폐토록 하기 위하여 덮여지는 덮개(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20)가 덮여질 경우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덮개(20)의 결함홈테(21)에 긴밀하게 결합되게 용기함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직립테두리(11)와 그 하단에서 상기 까임홈테(21)를 보강토록 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는 보강테(22)가 받쳐지도록 외측으로 펼쳐지는 후렌지(1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후렌지(12)의 일측면에 3면의 후렌지보다 넓은 확장면(13)으로 형성하고, 상기 확장면(13)은 그 선단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는 걸림면(14)을 하향돌출 형성하여 걸림면(14)이 형성된 내측으로 손가락의 첫째마디가 끼움될 수 있는 손가락끼움공간(15)을 형성한다.
상기 손가락끼움공간(15)에 끼움되어진 손가락의 첫째마디가 걸림면(14)에 걸린 상태에서 손가락의 둘째마디가 거의 동일한 면으로 직립되어 밀착되어지게 용기함체에 밀착면(16)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손가락 둘째마디가 밀착면(16)에 직립되게 밀착된 상태에서 손가락 첫째마디가 손가락끼움공간(15)에 끼움되어져 첫째손가락 지문이 형성된 부분이 걸림면(14)에 걸림되어지면서 기렛대의 원리로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식품용기를 간단하게 냉장고 등에서 꺼내어 들어올림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때 손가락 첫째마디가 걸림면(14)에 걸림되어지면서 손가락 둘째마디가 직립되게 용기함체의 밀착면(16)에 밀착되어 들어올릴 경우에 식품용기에 음식물이 담겨질 경우에 식품용기의 걸림면(14)이 형성된 타측이 하중에 의하여 쳐짐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함체(10)의 3면의 후렌지(12)에도 확장면(13)에 형성되는 하향돌출된 걸림면(14)의 형태로 보강면(17)을 걸림면(14)과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서 용기함체(10)의 하중에 의한 쳐짐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용기함체(10)의 후렌지(12)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토록 되면서 제품의 디자인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덮개(20)의 개폐가 용기함체(10)에서 용이토록 되기 위하여 상기 확장면(13)의 일측에 위치되어지는 확장면(13)에서 하향되어지는 단턱면(18)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면(18)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19)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면(18)이 형성된 면적 만큼 덮개(20)의 보강테(22)에서 연장되는 조작날개(23)를 형성하여 조작날개(23)가 하향되어지는 단턱면(18)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19)에 의하여 손가락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덮개(20)의 열림이 가능토록 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형태는 식품용기에서의 새로운 디자인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용기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여러게의 식품용기에 음식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도 냉장고에서 한손으로 꺼내어 들어올림이 가능하게 되면서 보강면(17)이 연장되게 형성되어져 최하단의 식품용기가 하중에 의하여도 쳐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용기함체 11:직립테두리
12:후렌지 13:확장면
14:걸림면 15:손가락끼움공간
16:밀착면 17:보강면
18:단턱면 19:공간
20:덮개 21:결합홈테
22:보강테 23:조작날개

Claims (3)

  1. 장방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용기함체(10)와 상기 용기함체(10)를 개폐토록 하기 위하여 덮여지는 덮개(2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덮개(20)가 덮여질 경우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덮개(20)의 결함홈테(21)에 긴밀하게 결합되게 용기함체(10)의 상단에 직립테두리(11)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서 상기 까임홈테(21)를 보강토록 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는 보강테(22)가 받쳐지도록 외측으로 펼쳐지는 후렌지(12)의 일측면에만 3면의 후렌지보다 넓게 확장면(13)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면(13)은 그 선단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져 하향돌출되어 손가락 첫째마디가 걸림되어지는 걸림면(14)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돌출 형성된 걸림면(14)에 의하여 그 내측으로 손가락의 첫째마디가 끼움될 수 있는 손가락끼움공간(15)을 형성하고,
    상기 손가락끼움공간(15)에 끼움되어진 손가락이 걸림면(14)에 걸린 상태에서 손가락의 둘째마디가 직립되면서 동일한 면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용기함체에 밀착면(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에 하향돌출되어지는 걸림면에 걸림되어지면서 발생되는 식품용기의 하중에 의하여 식품용기의 걸림면이 형성된 타측이 쳐짐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함체의 3면의 후렌지에도 하향돌출된 걸림면의 형태로 보강면(17)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의 일측에 위치되어지고, 확장면에서 하향되어지는 단턱면과
    상기 단턱면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과
    상기 단턱면이 형성된 면적 만큼 덮개의 보강테에서 연장되는 조작날개를 형성하여 조작날개가 하향되어지는 단턱면에 의하여 생기는 공간에 의하여 손가락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덮개의 열림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KR2020140006500U 2014-09-02 2014-09-02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KR200480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00U KR200480372Y1 (ko) 2014-09-02 2014-09-02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00U KR200480372Y1 (ko) 2014-09-02 2014-09-02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44U true KR20160000844U (ko) 2016-03-10
KR200480372Y1 KR200480372Y1 (ko) 2016-05-16

Family

ID=5553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500U KR200480372Y1 (ko) 2014-09-02 2014-09-02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35B1 (ko) * 2015-11-23 2017-04-03 주식회사 이지앤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20180094447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이지앤 트레이기능을 구비하는 다단적층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980B1 (ko) * 2016-08-04 2019-02-15 이민규 뚜껑의 탈착이 용이한 수납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9709B2 (ja) * 2004-12-22 2011-08-17 Krh株式会社 運搬用容器
PL2523866T3 (pl) * 2010-01-11 2014-09-30 Superfos As Pojemni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35B1 (ko) * 2015-11-23 2017-04-03 주식회사 이지앤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20180094447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이지앤 트레이기능을 구비하는 다단적층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72Y1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299B1 (ko)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US20160185490A1 (en) Container With Opening Recognizable Function
KR20160000844U (ko) 다단적층 용기를 한손으로 꺼냄이 용이한 식품용기.
JP2009091043A (ja) 食品等保管容器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20150030128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JP3197587U (ja) 開封認識機能付き容器
KR200433746Y1 (ko) 원터치식 밀폐 용기
KR20060119361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60033086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JP2007055657A (ja) 包装用容器
KR200342903Y1 (ko) 용기뚜껑
KR200478597Y1 (ko) 식품 보관용 용기
KR20080005911U (ko) 밀폐용기
KR200385400Y1 (ko) 밀폐 용기
KR101927703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90005560U (ko) 힌지로 연결된 한 손으로 개폐가능한 밀폐 용기
WO2015103934A1 (zh) 密封盒及具有该密封盒的冰箱
KR101534400B1 (ko) 통조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