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22U - 내시경 세척구 - Google Patents

내시경 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22U
KR20160000822U KR2020160000579U KR20160000579U KR20160000822U KR 20160000822 U KR20160000822 U KR 20160000822U KR 2020160000579 U KR2020160000579 U KR 2020160000579U KR 20160000579 U KR20160000579 U KR 20160000579U KR 20160000822 U KR20160000822 U KR 201600008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member
endoscope
connection wir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788Y1 (ko
Inventor
이기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이엑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이엑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이엑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0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8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cleaning tools,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는,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태로 구성된 제1 세척 부재, 및 상기 제1 세척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부피를 갖고 탄성 및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2 세척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내시경 세척구{CLEANER}
본 고안은 내시경 세척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태로 구성된 제1 세척 부재, 및 상기 제1 세척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부피를 갖고 탄성 및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2 세척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구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전에 따라서 인체 내에 직접 삽입시켜 인체 내부의 상태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진단에 활용하는 내시경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장치는 단순히 영상 정보의 취득 외에도 직접적으로 인체 내부의 환부를 제거하거나 약제 등을 주입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점차 그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비교적 좁은 폭을 갖는 호스 등을 구비하며, 이러한 호스는 인체 내에 집적 삽입됨에 따라서 청결 유지 및 세척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내시경 호스는 비교적 작은 내경을 갖고 인체 내의 이물질 침투 가능성이 높은 관계로 종래의 단순한 세척 기구로는 그 청결함을 담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내시경의 세척에 적절한 내시경 세척구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142037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태로 구성된 제1 세척 부재, 및 상기 제1 세척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부피를 갖고 탄성 및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2 세척 부재를 포함하는 내시경 세척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는,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태로 구성된 제1 세척 부재, 및 상기 제1 세척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부피를 갖고 탄성 및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2 세척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대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선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 홈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 홈이 상기 연결 와이어에 끼워짐에 따라서 상기 제2 세척 부재가 상기 연결 와이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는 제1 세척 부재 및 제2 세척 부재가 복합적인 세척 효과를 가지므로 내시경의 세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비교적 큰 폭을 갖는 제1 세척 부재에 의한 세척 효과와, 세척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된 제2 세척 부재에 의한 세척 효과가 동시에 달성되므로, 단일한 구성을 갖는 세척 부재에 비해서 세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세척 부재는 내시경의 내측면에 비교적 강한 물리적 힘을 가하여 비교적 단단히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세척액을 담지하여 상기 내시경의 내측면이 세척액을 통해 세척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세척 부재와 제2 세척 부재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포획되어 제거되므로 더욱 향상된 세척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세척 부재의 사용에 따른 교체를 통해 내시경 세척구의 사용 편의가 개선되며, 아울러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탈착가능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제1 세척 부재를 통해 위치 고정되므로 세척 과정에서 불필요한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일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구성됨에 따라서 내시경의 내측면에 대해 더욱 큰 마찰을 가하며 더욱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질이 포획되어 제거되므로 더욱 향상된 세척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선된 코일 형태를 가지므로, 내시경의 내측면에 대한 물리적인 마찰 및 그에 따른 세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나선형으로 구성된 제2 세척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여 형상을 유지하려 하므로 내시경의 내측면에 대해 비교적 큰 힘을 가하며, 이에 따라서 내시경의 내측면에 비교적 단단히 붙은 이물질의 경우에도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나선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이물질이 포획되어 세척되므로 세척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1", "제2" 와 같은 용어는 각 용어가 지칭하는 각 부분, 또는 부재를 배열하여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로, "제1", "제2" 라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고안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1)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1)는,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100); 및 상기 연결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태로 구성된 제1 세척 부재(210), 및 상기 제1 세척 부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부피를 갖고 탄성 및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2 세척 부재(220)를 포함한다.
연결 와이어(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비교적 가는 선경을 갖는 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와이어(100)는 세척 과정에서 절단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비교적 질기고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컨대 섬유, 합성 수지, 또는 가는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 부재(20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1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교체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세척 부재(200)는 실질적으로 내시경 내부의 세척을 담당하는 부재로서, 세척이 이루어지기에 적절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 부재(200)는 제1 세척 부재(210) 및 제2 세척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척 부재(21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척 부재(21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제2 세척 부재(220)에 비해 비교적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제1 세척 부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부피를 가져서 내시경 내부의 표면에 접촉하여 내시경 내부에 묻은 각종 이물질의 제거에 적절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구형, 타원형, 원추형 등과 같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소정의 입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내시경 내부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일 예로, PVA 스폰지 등이 있을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재질이 서로 혼합되거나 또는 수개의 제2 세척 부재(220)가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척 부재(210)와 제2 세척 부재(220)가 순차적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척 부재(210) 사이의 공간에 복수의 제2 세척 부재(220)가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세척 부재는 제1 세척 부재(210) 및 제2 세척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복합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교적 큰 폭을 갖는 제1 세척 부재(210)에 의한 세척 효과와, 세척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된 제2 세척 부재(220)에 의한 세척 효과가 동시에 달성되므로, 단일한 구성을 갖는 세척 부재에 비해서 세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세척 부재(210)는 내시경의 내측면에 비교적 강한 물리적 힘을 가하여 비교적 단단히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세척액을 담지하여 상기 내시경의 내측면이 세척액을 통해 세척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세척 부재(210)와 제2 세척 부재(220)의 사이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포획되어 제거되므로 더욱 향상된 세척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척 부재(21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세척 부재(220)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에 대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끼움 홈(2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끼움 홈(226)은 예컨대 상기 제2 세척 부재(2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서 중심부까지 연결되어 일 측이 개방되도록 하는 소정의 홈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세척 과정에서 오염된 후 교체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부착된 제1 세척 부재(210) 사이 사이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2 세척 부재(220)의 위치 고정이 달성되어 세척 과정에서 상기 제2 세척 부재(220)가 불필요하게 이탈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제2 세척 부재(220)의 사용에 따른 교체를 통해 내시경 세척구(1)의 사용 편의가 개선되며, 아울러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탈착가능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제1 세척 부재(210)를 통해 위치 고정되므로 세척 과정에서 불필요한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외주면에 복수의 함몰부(222)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외주면에 복수의 함몰부(222)가 구성됨에 따라서 내시경의 내측면에 대해 더욱 큰 마찰을 가하며 더욱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222)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질이 포획되어 제거되므로 더욱 향상된 세척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22)는 예컨대 상기 제2 세척 부재(22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 또는 홈일 수 있으며, 그 수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설명 및 도면에서는 상기 제2 세척 부재(220)에 소정의 함몰부(222)가 형성된 형태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세척 부재(210)에도 소정의 함몰부가 형성된 실시 형태를 배제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몰부(222)는,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대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222)는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함몰부(222) 사이에 돌출부(224)가 교대로 형성되며, 세척 과정에서 연결 와이어(10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해 큰 마찰 효과를 발휘하여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선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권선되는 코일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철선과 같은 소정의 중심선으로 하며 상기 중심선의 표면에 상술한 세척에 용이한 스펀지 등의 부재가 처리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나선형 코일 형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소정의 강도의 강성을 갖고 형태 유지 성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나선형으로 권선된 코일 형태를 가지므로, 내시경의 내측면에 대한 물리적인 마찰 및 그에 따른 세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구성된 제2 세척 부재(220)는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여 형상을 유지하려 하므로 내시경의 내측면에 대해 비교적 큰 힘을 가하며, 이에 따라서 내시경의 내측면에 비교적 단단히 붙은 이물질의 경우에도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나선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이물질이 포획되어 세척되므로 세척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진행되게 구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되,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도 8 및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상기 연결 와이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소정의 면적을 갖되, 길이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진행되어 부채와 같이 확장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코일 형태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선 형태로 구성된 상기 실시 형태와 달리, 소정의 면적을 갖는다는 점이며, 따라서 세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세척 부재(220)는 우레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으로 구성된 제2 세척 부재(220)는 제1 세척 부재(210)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나선의 진행 방향은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거나 또는 양 방향이 조합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2 세척 부재(220)의 이물질의 포획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세척구(1)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내시경 세척구
100: 연결 와이어
200: 세척 부재
210: 제1 세척 부재
220: 제2 세척 부재
222: 함몰부
224: 돌출부
226: 끼움 홈

Claims (2)

  1.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
    상기 연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어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세척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세척 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탄성 및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2 세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여 외경 방향으로 부채 형상으로 확장되어 면적을 가지며 상기 연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진행되어 나선형 형상을 가져서 나선형의 이물질 포획 공간이 형성되게 구성된 내시경 세척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에 대해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2 세척 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시경 세척구.
KR2020160000579U 2016-02-01 2016-02-01 내시경 세척구 KR200483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79U KR200483788Y1 (ko) 2016-02-01 2016-02-01 내시경 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79U KR200483788Y1 (ko) 2016-02-01 2016-02-01 내시경 세척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622A Division KR20150102572A (ko) 2014-02-28 2014-02-28 내시경 세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22U true KR20160000822U (ko) 2016-03-09
KR200483788Y1 KR200483788Y1 (ko) 2017-06-27

Family

ID=5553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79U KR200483788Y1 (ko) 2016-02-01 2016-02-01 내시경 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627A (ko) 2017-09-18 2019-03-27 최영철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10449A (ja) * 2017-03-14 2020-04-09 チョイ, ヨン チョルCHOI, Young Chul 管状医療機器用洗浄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43870A (ko) 2022-04-06 2023-10-13 최지희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7394B2 (en) * 2020-10-23 2022-06-14 Scott Miller Variable pressure cleaning device and method
US20220373258A1 (en) 2020-10-23 2022-11-24 Scott Miller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and/or cleaning endoscopic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966A (ja) * 2003-05-29 2004-12-16 Olympus Corp 内視鏡洗滌ブラシ及び内視鏡洗滌装置
KR20130142037A (ko) 2012-06-18 2013-12-2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966A (ja) * 2003-05-29 2004-12-16 Olympus Corp 内視鏡洗滌ブラシ及び内視鏡洗滌装置
KR20130142037A (ko) 2012-06-18 2013-12-2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0449A (ja) * 2017-03-14 2020-04-09 チョイ, ヨン チョルCHOI, Young Chul 管状医療機器用洗浄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1627A (ko) 2017-09-18 2019-03-27 최영철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43870A (ko) 2022-04-06 2023-10-13 최지희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88Y1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788Y1 (ko) 내시경 세척구
US20140230850A1 (en) Ramrod for mri and methods thereof
JP2017514605A (ja) 内視鏡装置の洗浄装置
CA2613455A1 (en) Device for use in cleaning endoscopes
JP2017514605A5 (ko)
TWI693636B (zh) 基板清洗刷以及基板清洗裝置
US20200100862A1 (en) Surgical Accessor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5344738B2 (ja) 内視鏡用洗浄具
KR20150102572A (ko) 내시경 세척구
JP2015016033A (ja) 体腔内の異物捕捉具
US10047508B2 (en) Drain clearing device
RU2018146902A (ru) Отшелушивающая насадка с элементами качения
JPWO2011030679A1 (ja) 内視鏡洗浄具及び内視鏡洗浄装置
JP4652867B2 (ja) 検体採取用綿棒及び当該綿棒を内部に備えた検体採取容器
JP2006051057A (ja) 内視鏡用掃除ブラシ
KR102412472B1 (ko) 내시경 세척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238896B (zh) 洗涤刷旋转机构
JP2008295674A (ja) 回転清掃体、電気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US10779906B2 (en) Cleaning device with microfiber tails
JP2010193928A (ja) 超音波内視鏡用穿刺針
JP4827517B2 (ja) 内視鏡のノズル掃除用ブラシ具
JP4338464B2 (ja) 内視鏡用洗浄用具
JP5330125B2 (ja) 頭皮ケア装置
JP2007307070A (ja) 医療器具および血管内異物除去用カテーテル
KR20100052442A (ko) 귀이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