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794U -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 Google Patents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794U
KR20160000794U KR2020140006433U KR20140006433U KR20160000794U KR 20160000794 U KR20160000794 U KR 20160000794U KR 2020140006433 U KR2020140006433 U KR 2020140006433U KR 20140006433 U KR20140006433 U KR 20140006433U KR 20160000794 U KR20160000794 U KR 201600007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chute
guide
launching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499Y1 (ko
Inventor
박화평
신연옥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9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oys (AREA)

Abstract

비상 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최소한의 충격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가 거치된 지지구조물에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가 내부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마찰로 인해 속도가 감소되도록 슬라이딩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는 터널 형태의 진수 슈트로 구성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구명보트에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별도의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간단한 구조로 인한 기존의 선박에도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Launching apparatus for lifeboats}
본 고안은 구명보트용 진수(進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상 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최소한의 충격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한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비상 시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위하여 구명보트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명보트는 선원이나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해상으로 진수된다.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하는 방식에는 크게 슬라이딩 방식와 대빗방식 및 자유 낙하방식으로 구분된다.
슬라이딩 방식은 비교적 높이가 그리 높지 않은 선박에 경사진 프레임을 따라 구명보트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에 대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27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52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명보트가 설치된 시설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이드에 의해 해상으로 진수시키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진수 수단은 비교적 높이가 그리 높지 않은 선박에서는 유용하나 높이가 높은 선박에서는 슬라이딩 인출시키는 방식에 한계가 있어,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대빗방식은 구명보트를 현수시켜 해상으로 하강시키는 방식으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1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명보트 보호 및 보관을 위한 컨테이너, 구명보트 진수유닛 및 슬라이딩 대빗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단점을 가진다.
대빗방식의 다른 종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77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어적인 방식과 기구적인 기술적 구성이 유기적으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기술로, 이러한 선행기술은 작은 오차 또는 오류에 의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자유 낙하방식은 비교적 높이가 높은 선박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술한 두가지 방식에 비해 구명보트를 지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구명보트가 거치된 상태에서 해상으로 아무런 안전수단 없이 낙하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 낙하방식은 조건 상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선원과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해상으로 낙하되어 진수시킴으로써, 수면과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에게 상당히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자유 낙하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93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추진체에 의해 구명보트를 추진시킨 후 구명보트에 구비된 낙하산을 펼쳐 해상으로 진수시키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278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6732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로부터 구명보트를 활강시킨 후 구명보트에 구비된 날개를 펼쳐 일정 구간을 비행한 후 해상으로 진수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9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27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673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구명보트를 추진시키기 위한 설비가 복잡함은 물론 설치에 따른 많은 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낙하산에 의한 해상으로 진수 시에도 어느 정도의 충격이 발생되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2 내지 3은 구명보트에 탑승한 인원에 따라 비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은 물론 비행 후 해상으로 착륙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 또한 어느 정도의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비상 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최소한의 충격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한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명보트가 해상으로 근접될 수록 속도가 감속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더욱더 안전한 상태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선박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박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시키기 위한 진수 장치로서, 상기 진수 장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가 거치된 지지구조물의 하부에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가 내부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마찰로 인해 속도가 감소되도록 슬라이딩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는 터널 형태의 진수 슈트이다.
상기 진수 슈트의 밑단은 슬라이딩되는 구명보트가 그 진수 슈트로부터 이탈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도록 해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는 이격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진수 슈트의 슬라이드 공간은 상부로부터 하부 측으로 마찰 저항이 커질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수 슈트는 이중 구조로, 내부에 높은 마찰 저항을 가지면서 완충력을 가지는 에어캡 슈트, 상기 에어캡 슈트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 슈트로 형성된다.
선박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시키기 위한 진수 장치로서, 상기 진수 장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가 거치된 지지구조물의 하부에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압축 가스에 의해 해상 측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가 해상으로 슬라이딩되어 진수되는 튜브 형태의 가이드 슈트이다.
상기 가이드 슈트는 양측에 가이드 지지측면, 상기 가이드 지지측면의 밑면이 연결되는 가이드 바닥면, 및 상기 가이드 지지측면과 가이드 바닥면의 내부로 압축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슈트의 표면을 완충력을 가질 수 있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은 비상 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최소한의 충격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명보트에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별도의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간단한 구조로 인한 기존의 선박에도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구명보트가 해상으로 근접될 수록 속도가 감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으로의 진수가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더욱더 안전한 상태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선박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명보트에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에 대한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을 운항은 과정에서 비상 시 선원이나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명보트(B)를 해상으로 진수시키기 위한 진수 장치(1)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비상 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최소한의 충격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진수 장치(1)는 통상의 합성수지재인 연질의 비닐이나 시트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B)가 거치된 지지구조물(100)의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P)으로 말아지거나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B)가 내부 슬라이드 공간(12)을 통하여 마찰로 인해 속도가 감소되도록 슬라이딩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는 터널 형태의 진수 슈트(10)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진수 슈트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인해 내부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구명보트가 슬라이딩될 때 그 구명보트와 진수 슈트 간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구명보트는 진수 슈트 내에서 신속하게 낙하되는 것이 아니라 속도가 감소되면서 서서히 낙하하게 된다.
그에 따라 구명보트는 해상으로의 낙하가 큰 충격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구명보트에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진수 슈트(10)의 밑단은 슬라이딩되는 구명보트(B)가 그 진수 슈트(10)로부터 이탈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도록 해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는 이격공간(S)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진수 슈트의 밑단이 해상의 해수면으로 접촉시에는 그 진수 슈트의 끝단이 수막 현상 등에 의해 원활하게 개방되지 못하므로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는 구명보트가 해상으로 진수되지 못는 관계로, 상기 진수 슈트의 밑단은 구명보트가 그 진수 슈트로부터 이탈되면서 해상으로 안전하게 안착(安着)되도록 해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이격공간을 갖도록 한다.
그로 인해 진수 슈트의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서서히 속도를 감소시켜 슬라이딩되는 구명보트는 상기 해상과 진수 슈트의 밑단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하여 해상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수 슈트(10)의 슬라이드 공간(12)은 상부로부터 하부 측으로 마찰 저항이 커질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구명 보트가 슬라이딩되어 해상으로 진수될 때 넓은 공간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슬라이드 공간에서 더 많은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되어 낙하 속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킴에 따라 더욱더 안전한 상태로 진수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평상 시 사용하지 않을 때는 구명보트가 거치된 지지구조물로 접혀져 있는 관계로, 별도의 설치 공간이 크게 요구되지 않고 사용 시에만 펼쳐 구명보트가 해상과의 충돌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해상으로 진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구명보트에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진수 슈트의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구명보트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 물론 슬라이딩 시 마찰로 인한 속도를 더욱더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
진수 슈트(10)는 이중 구조로, 내부에 구명보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높은 마찰 저항을 가지면서 완충력을 가지는 통상적인 에어캡으로 제작되는 에어캡 슈트(10A)와, 상기 에어캡 슈트(10A)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 슈트(10B)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 슈트는 내부의 에어캡 슈트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캡 슈트는 구명보트와의 더 넓은 접촉면적을 가짐은 물론 에어캡의 특성상 높은 완충력을 가져 구명보트의 낙하 속도를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천천히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에어캡의 특성상 높은 완충력으로 인해 더욱더 높은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이중 구조의 진수 슈트를 통하여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 시 내부에 구비되는 에어캡 슈트에 의하여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진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진수 슈트를 터널식이 아닌 보다 안전하게 해상으로의 진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진수 장치(1)는 합성수지재의 비닐이나 시트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B)가 거치된 지지구조물(100)의 하부에 말아지거나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압축 가스에 의해 해상 측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B)가 해상으로 슬라이딩되어 진수되는 튜브 형태의 가이드 슈트(20)이다. 상기 압축 가스는 공지된 압축가스 용기(200)에 내장된 상태에서 비상 시 상기 압추가스 용기의 밸브를 개방시킴에 따라 가이드 슈트의 내부에 압축가스가 충진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가이드 슈트(20)는 통상의 미끄럼틀 형태로, 양측에 가이드 지지측면(22)과, 상기 가이드 지지측면(22)의 밑면이 연결되는 가이드 바닥면(24), 및 상기 가이드 지지측면(22)과 가이드 바닥면(24)의 내부로 압축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 공간(25)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비상 시 해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미끄럼틀 형태의 가이드 슈트에 의해 지지구조물에 거치되어 있던 구명보트는 미끄러지듯이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해상으로 진수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슈트의 경사는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완만한 경사도를 가질 경우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비교적 짧은 길이로 구명보트가 해상으로 진수시 전복되지 않고 슬라이딩되는 정도의 45~75°정도의 경사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슈트(20)의 표면을 완충력을 가질 수 있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즉,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구명보트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높은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인 미끄럼틀 형태의 가이드 슈트 또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 시 더욱더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탑승한 선원이나 승객의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 : 진수장치
10 : 진수 슈트 10A : 에어캡 슈트
10B : 외측 슈트 12 : 슬라이드 공간
20 : 가이드 슈트 22 : 가이드 지지측면
24 : 가이드 바닥면 25 : 팽창 공간
100 : 지지구조물 200 : 압축가스 용기
B : 구명보트 S : 이격공간

Claims (7)

  1. 선박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시키기 위한 진수 장치로서,
    상기 진수 장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가 거치된 지지구조물에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가 내부 슬라이드 공간을 통하여 마찰로 인해 속도가 감소되도록 슬라이딩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는 터널 형태의 진수 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수 슈트의 밑단은 슬라이딩되는 구명보트가 그 진수 슈트로부터 이탈되어 해상으로 진수되도록 해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는 이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수 슈트의 슬라이드 공간은 상부로부터 하부 측으로 마찰 저항이 커질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수 슈트는 이중 구조로, 내부에 높은 마찰 저항을 가지면서 완충력을 가지는 에어캡 슈트, 상기 에어캡 슈트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 슈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5. 선박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시키기 위한 진수 장치로서,
    상기 진수 장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평상 시 구명보트가 거치된 지지구조물에 접혀져 있다가 비상 시 압축 가스에 의해 해상 측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상기 구명보트가 해상으로 슬라이딩되어 진수되는 튜브 형태의 가이드 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트는 양측에 가이드 지지측면, 상기 가이드 지지측면의 밑면이 연결되는 가이드 바닥면, 및 상기 가이드 지지측면과 가이드 바닥면의 내부로 압축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트의 표면을 완충력을 가질 수 있는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KR2020140006433U 2014-08-29 2014-08-29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KR200480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33U KR200480499Y1 (ko) 2014-08-29 2014-08-29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33U KR200480499Y1 (ko) 2014-08-29 2014-08-29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94U true KR20160000794U (ko) 2016-03-09
KR200480499Y1 KR200480499Y1 (ko) 2016-06-02

Family

ID=5553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33U KR200480499Y1 (ko) 2014-08-29 2014-08-29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99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8339B2 (ja) 2008-03-31 2013-02-20 株式会社関ヶ原製作所 救命艇進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99Y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6819A (zh) 飞行器的浮力系统及飞行器
KR101454847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JPH08502704A (ja) 船用救命筏の改良
US7069874B2 (en) Davit-launched life raft
KR20160030738A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US2955299A (en) Life-saving apparatus for use at sea
KR101620916B1 (ko) 길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US20150360758A1 (en) Longitudinal scoops for rolling stability
KR101599306B1 (ko)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KR200480499Y1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KR101167933B1 (ko) 선박용 구명보트의 추진형 입수 가이드 장치
KR101626348B1 (ko)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RU14388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ания людей пр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на воде
KR101563663B1 (ko) 헬리콥터 데크 장치
KR20150118712A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101620909B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KR101645686B1 (ko) 구명 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
KR200485056Y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JP2001063680A (ja) 滑走落下式救命艇
KR200477310Y1 (ko)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20170011187A (ko) 와전류 감속을 이용한 개인용 탈출기구
KR101917890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KR20150057772A (ko) 선박에서의 탈출시 입수 낙하속도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