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909B1 -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909B1
KR101620909B1 KR1020140081251A KR20140081251A KR101620909B1 KR 101620909 B1 KR101620909 B1 KR 101620909B1 KR 1020140081251 A KR1020140081251 A KR 1020140081251A KR 20140081251 A KR20140081251 A KR 20140081251A KR 101620909 B1 KR101620909 B1 KR 10162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skidway
rope
extend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22A (ko
Inventor
유영준
박제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9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경사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스키드웨이, 상기 선체의 외판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길이 가변장치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과 길이 가변장치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장 스키드웨이, 상기 스키드웨이 및 연장 스키드웨이를 따라 미끄러져 자유낙하 되는 구명정을 마련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스키드웨이 및 연장 스키드웨이에 의해 구명정의 낙하 지점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명정의 낙하 높이를 낮추어 구명정의 입수 시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연장 스키드웨이의 회전(상승) 상태를 조절할 수 있고, 연장 스키드웨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자유낙하 하는 구명정의 낙하 속도를 줄이거나 보다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Fall Guidance Apparatus of Free Fall Lifeboat and Guid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자유낙하 시 구명정의 입수에 따른 충격 등이 완화되도록 구명정의 낙하 지점을 연장시켜 구명정의 입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작업하는 FPSO/FSRU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 및 모든 선박에는 내부 폭발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명정(Lifeboat)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일상적인 운항환경에서 구명정(lifeboat)은 파도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구명정은 비상 시 탈출을 위하여 자유낙하를 시작할 경우, 입수 속도로 인하여 선체에 충격이 가해지고 선체의 손상 및 탑승자의 안전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낙하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명정은 일정한 속도 이하로 떨어져야 하며, 언제든지 감속장치와 분리하여 탈출이 용이해야 한다.
이와 같은 선박(이하 '해양구조물'을 포함한다)은 비상 시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위하여 구명정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구명정은 갑판(deck) 상에 설치되어 비상 시 탑승자를 태우고 해상으로 투하됨으로써 선원이나 승객의 탈출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구명정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구명정의 입수 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로는 대빗 런처블(davit launchable) 방식의 구명정이 있으며, 둘째로는 자유낙하방식(free fall type)의 구명정이 있다. 여기서 자유낙하방식의 구명정은 수면으로 입수하여 위치에너지에 의해 수중에서 전진하여 수면으로 부상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자유낙하 구명정은 입수에 따른 충격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명정의 입수 속도를 줄이거나 구명정의 선체가 충격을 가장 적게 받을 수 있는 선수 형상을 가져야 하며, 구명정의 입수로 인하여 선체가 받는 힘을 선체가 아닌 다른 동체에서 나누어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기상이 악화되더라도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데크(갑판)로 유입되는 파도 등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명정의 설치 높이를 점점 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구명보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구명보트 장치는 구명보트가 슬라이딩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스키드, 상기 스키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데빗, 상기 데빗에 의해 지지되며 일단이 상기 구명보트와 연결되어 상기 구명보트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상기 스키드에 안착된 구명보트가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커 및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락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명보트를 포함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구명보트 진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및 상기 구명보트가 안착되고 상기 구명보트가 슬라이딩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활주대를 갖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25886호(2010년 3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62785호(2014년 5월 26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구명보트 장치는 구명보트의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락커 또는 데빗에 연결 설치하여 데빗으로 하강시키거나 자유낙하식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구명보트의 낙하 높이가 높아 자유낙하에 따른 입수 시 구명보트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선체의 파손 또는 구명보트에 탑승한 탑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날개 부착형 구명보트는 구명정의 선체에 설치된 날개에 의해 자유낙하 속도를 줄일 수 있으나, 구명정의 낙하 높이가 낮을 경우 또는 바람(풍향)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날개의 양력이 부족하여 낙하 시 구명정 선체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명정의 입수 시 중심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지점 높이를 낮추어 줌으로써 구명정의 입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유낙하 구명정의 미끄러지는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낙하 지점을 보다 낮은 위치에서 자유낙하 시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유낙하 구명정의 자유낙하 시 로프에 의해 낙하 지점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구명정의 입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는 선체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경사 프레임이 구비된 스키드웨이, 상기 선체의 외판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길이 가변장치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과 길이 가변장치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프레임이 구비된 연장 스키드웨이, 상기 스키드웨이 및 연장 스키드웨이를 따라 미끄러져 자유낙하 되는 구명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명정은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가 작동되도록 조작되는 낙하 예비버튼, 상기 구명정과 상기 스키드웨이 사이에 설치된 로프를 분리시키는 로프 분리장치, 상기 구명정의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조작되는 낙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키드웨이는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작동을 검출하여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검출 수신부로 송신하는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는 상기 선체의 외판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 가변장치의 연장으로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스키드웨이의 경사 프레임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키드웨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구명정의 낙하와 동시에 풀림과 함께 상기 구명정의 자유낙하 시 분리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는 거리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 가변장치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일정 길이를 갖는 래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안내방법은 (a) 구명정에 설치된 낙하 예비버튼이 조작되면, 연장 스키드웨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낙하 버튼이 조작 되면, 구명정을 낙하하는 단계, (c)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검출 유무에 따라 로프와 구명정의 분리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로프의 분리 시점에 따라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로프 분리장치에 의해 상기 구명정과 상기 로프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스키드웨이에 설치된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상승을 감지하는 단계, (a2)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로프와 구명정의 분리 시점은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끝단에서 분리하는 로프 제1 분리 시점 또는 스키드웨이의 끝단에서 분리하는 로프 제2 분리 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로프와 구명정의 분리 시점이 상기 로프 제1 분리 시점일 경우,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끝단에서 로프 분리장치에 의해 상기 구명정과 로프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로프와 구명정의 분리 시점이 상기 로프 제2 분리 시점일 경우, 상기 스키드웨이의 끝단에서 상기 로프 분리장치에 의해 상기 구명정과 로프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에 의하면, 일정 길이를 갖는 스키드웨이 및 연장 스키드웨이에 의해 구명정의 낙하 지점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명정의 낙하 높이를 낮추어 구명정의 입수 시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연장 스키드웨이의 회전(상승) 상태를 조절할 수 있고, 연장 스키드웨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자유낙하 하는 구명정의 낙하 속도를 줄이거나 보다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방법에 의하면, 낙하 예비버튼 또는 낙하 버튼에 의해 구명정의 낙하 시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연장 스키드웨이의 작동에 따라 로프의 분리 시점이 설정되어 구명정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를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를 보인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는 선체(1)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11)과 상기 지지 프레임(11)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경사 프레임(12)이 구비된 스키드웨이(10), 상기 선체(1)의 외판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제1 프레임(21)과 상기 제1 프레임(21)의 하단에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길이 가변장치(22) 및 상기 제1 프레임(21)의 상단과 길이 가변장치(2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프레임(23)이 구비된 연장 스키드웨이(20), 상기 스키드웨이(10) 및 연장 스키드웨이(20)를 따라 미끄러져 자유낙하 되는 구명정(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키드웨이(10)는 구명정(30)을 자유낙하 시킬 수 있도록 선체(1)의 갑판 상에 마련되며, 스키드웨이(10)는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11)과 지지 프레임(11)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경사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또 스키드웨이(10)는 경사 프레임(12)에 구명정(30)의 자유낙하 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13), 지지 프레임(11)에 일정 길이로 감겨 구명정(30)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되는 로프(14), 로프(14)를 감아둘 수 있는 드럼(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1)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높이가 낮은 지지 프레임(11)은 선체(1)의 외측에 인접하여 고정되고, 높이가 높은 지지 프레임(11)은 선체(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고정된다.
이렇게 각각 높이가 다른 지지 프레임(11)에는 경사 프레임(12)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며, 경사 프레임(12)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높이가 높은 지지 프레임(11)에는 구명정(30)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프(14)가 연결 고정되며, 로프(14)는 지지 프레임(11)의 드럼(15)에 일정 길이만큼 감아두게 된다.
즉, 로프(14)는 드럼(15)에 일정 길이로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로프(14)의 끝단은 구명정(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구명정(30)의 자유낙하 시 분리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키드웨이(10)의 지지 프레임(11) 또는 경사 프레임(12)에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16)가 마련된다.
이러한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16)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즉,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상승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로서, 거리감지센서에서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유무를 감지한 다음 이를 구명정(30)의 검출 수신부(34)로 보내게 된다.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16)는 거리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구명정(30)에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는 스키드웨이(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명정(30)의 자유낙하 시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을 보다 낮추어 구명정(30)의 입수에 따른 충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장 스키드웨이(20)는 선체(1)의 측면에 장착되는데, 선체(1)의 외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내측에 설치되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체(1)의 외판의 일부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에 따라 분리되게 이루어진다. 즉, 선체(1)의 외판은 선체(1)로부터 분리되도록 연장 스키드웨이(20)와 대응되게 절단될 수 있으며, 절단된 외판은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에 의해 분리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스키드웨이(20)는 선체(1)의 외판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프레임(21), 제1 프레임(2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 가변장치(22), 제1 프레임(21)과 길이 가변장치(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은 선체(1)의 외판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데, 제1 프레임(21)의 하부는 선체(1)의 갑판 저면에 고정됨과 함께 상부는 선체(1)의 갑판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프레임(21)은 선체(1)의 갑판 저면에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승강되는 구조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제1 프레임(21)의 상부 중 일부가 돌출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의 하부에는 길이 가변장치(22)가 결합되며, 길이 가변장치(22)는 제1 프레임(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프레임(23)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회전시킨다.
또 제2 프레임(23)에는 길이 가변장치(22)의 일단이 이동되도록 장공(2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공(23a)은 길이 가변장치(22)에 의해 제2 프레임(23)이 선체(1)의 외판 내측에 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길이 가변장치(22)는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일정 길이를 갖는 래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거나 래크, 피니언 기어는 래크를 일정 원호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프레임(23)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프레임(23)의 일단은 제1 프레임(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미도시)로 결합되며, 제2 프레임(23)의 타단은 길이 가변장치(2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미도시)로 결합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30)은 자유낙하식 구명정을 사용하며, 구명정(30)에는 비상 탈출하기 위한 승무원들이 탑승한 상태에서 낙하되기 전 예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낙하 예비버튼(31), 구명정(30)의 낙하를 조작하는 낙하 버튼(32), 구명정(30)과 로프(14)의 결합 상태를 분리시키는 로프 분리장치(33) 및 검출 송신부(16)와 무선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검출 수신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 예비 버튼(31)은 구명정(30)의 자유낙하 이전에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낙하 예비 버튼(31)이 조작됨에 따라 연장 스키드웨이(20)를 작동되게 한다.
또 낙하 버튼(32)은 스키드웨이(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명정(30)의 자유낙하를 제어하는 것으로, 로프(14)에 고정되어 있는 구명정(30)의 자유낙하를 시작되게 한다.
상기 로프 분리장치(33)는 구명정(30)과 로프(14)의 연결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자유낙하식 구명정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한다. 이에 로프 분리장치(3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구명정(30)에는 검출 송신부(16)로부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여부를 송수신하는 검출 수신부(34)가 마련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등의 승무원들이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선체(1)의 양 측면에 각각 구명정(30)을 장착하는 스키드웨이(10)를 고정한다.
상기 스키드웨이(10)는 선체(1)의 외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선체(1)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체(1)의 외판과 인접한 위치에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선체(1)의 갑판에는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지지 프레임(11)을 고정하고, 이들 지지 프레임(11)의 상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 프레임(12)을 고정하며, 경사 프레임(12)에는 구명정(30)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1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스키드웨이(10)에는 구명정(30)에 연결 고정되는 로프(14)를 설치하며, 로프(14)는 지지 프레임(11) 상단의 드럼(15)에 일정 길이만큼 감아 둔다.
또한 스키드웨이(10)에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검출 송신부(16)를 설치한다. 이러한 검출 송신부(16)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제2 프레임(23)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스키드웨이(10)의 일측 즉, 선체(1)의 외판과 인접한 위치에는 연장 스키드웨이(20)를 설치한다. 이러한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제1 프레임(21)은 스키드웨이(10)의 지지 프레임(11)과 인접하게 수직으로 고정하고, 제1 프레임(21)의 하부에는 길이 가변장치(2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길이 가변장치(22)는 피스톤 로드가 출몰하는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는 래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실린더와 래크 및 피니언 외에 길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길이 가변장치(22)의 일단은 제1 프레임(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고, 길이 가변장치(22)의 타단은 제2 프레임(2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한다.
이에 제2 프레임(23)의 일단은 제1 프레임(21)의 상부에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2 프레임(23)의 타단은 길이 가변장치(22)의 타단에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2 프레임(23)은 수직으로 고정된 제1 프레임(21) 및 길이 가변되는 길이 가변장치(22)에 의해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되며, 제2 프레임(23)은 길이 가변장치(22)의 신장되는 길이에 따라 스키드웨이(10)의 경사 프레임(12)과 동일한 각도 또는 경사 프레임(12)과 다른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제2 프레임(23)은 경사 프레임(12)의 고정된 각도와 다르게 조정될 수 있는데, 경사 프레임(12)보다 완만한 각도로 회전(상승)되어 구명정(30)의 자유낙하에 따른 낙하 속도를 줄일 수도 있으며, 경사 프레임(12)보다 급격한 각도로 회전(상승)되어 구명정(30)의 자유낙하에 따른 낙하 속도를 높여 보다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제2 프레임(23)에는 경사 프레임(12)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롤러(24)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명정(30)에는 연장 스키드웨이(20)를 작동시키는 낙하 예비버튼(31)을 설치하며, 구명정(30)의 자유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낙하 버튼(32) 및 구명정(30)과 로프(14)를 분리시키는 로프 분리장치(33)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구명정(30)에는 검출 송신부(16)로부터 송수신된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여부를 송수신하는 검출 수신부(34)를 장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유낙하 구명정의 안내방법은 (a) 구명정에 설치된 낙하 예비버튼이 조작되면, 연장 스키드웨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낙하 버튼이 조작 되면, 구명정을 낙하하는 단계, (c)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의 검출 유무에 따라 로프와 구명정의 분리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로프의 분리 시점에 따라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로프 분리장치에 의해 상기 구명정과 상기 로프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에 탑승한 승무원 등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체(1)로부터 퇴선하기 위하여 구명정(30)이 설치된 스키드웨이(10)로 이동하게 된다.
구명정(30)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한 승무원들은 구명정(30)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미도시)를 열고서 탑승하게 되며, 승무원 또는 구명정(30)에 탑승한 탑승자는 낙하 예비버튼(31)을 조작하게 된다(S10).
이러한 낙하 예비버튼(31)의 조작은 구명정(30)에 가장 먼저 탑승한 탑승자 또는 승무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 예비버튼(31)은 연장 스키드웨이(2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연장 스키드웨이(20)에 송신하게 되며,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작동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선체(1)에 설치되어 있는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작동되며, 스키드웨이(10)와 연장 스키드웨이(20) 및 구명정(30)과의 송수신은 검출 송신부(16) 및 검출 수신부(34)의 송수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검출 송신부(16)와 검출 수신부(3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무선에 의해 감지 신호 또는 제어신호 등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낙하 예비버튼(31)이 조작됨에 따라 연장 스키드웨이(20)의 길이 가변장치(22)가 작동되는데, 길이 가변장치(22)가 작동됨에 따라 제2 프레임(23)은 제1 프레임(21)을 중심으로 회전(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길이 가변장치(22)에 의해 제2 프레임(23)이 회전되어 상승되며, 스키드웨이(10)에 설치된 검출 송신부(16)는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제2 프레임(23)의 상승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낙하 예비버튼(31)이 조작된 경우에도 길이 가변장치(22)의 오작동에 의해 제2 프레임(23)이 상승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때 거리감지센서가 구비된 검출 송신부(16)는 제2 프레임(23)이 상승되지 않은 신호를 구명정(30)의 검출 송신부(16)로 보내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검출 송신부(16)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또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를 검출한다(S20).
탑승자 또는 승무원 등이 모두 구명정(30)에 탑승 완료된 상태에서 탑승자 또는 승무원은 구명정(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낙하 버튼(32)을 조작한다(S30).
한편 낙하 버튼(32)이 조작되지 않으면, 구명정(30)은 자유낙하를 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있으면서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낙하 버튼(32)이 조작되면, 구명정(30)은 스키드웨이(10)의 로프(14)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져 낙하를 시작한다(S40).
이때 구명정(30)은 S20 단계에서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 유무를 비교·판단한 상태에 따라 구명정(30)의 낙하 지점을 달리하여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0).
즉, 구명정(30)에서는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된 경우, 구명정(30)의 낙하 시작 지점을 연장 스키드웨이(20)의 끝단에서 낙하됨과 함께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로프(14)를 분리시키는 로프 제1 분리 시점을 설정한다(S60).
또한 구명정(30)에서는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오작동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은 경우, 구명정(30)의 낙하 시작 지점을 스키드웨이(10)의 끝단에서 낙하됨과 함께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로프(14)를 분리시키는 로프 제2 분리 시점을 설정한다(S65).
이와 같이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된 상태에서 구명정(10)은 스키드웨이(10)를 따라 미끄러진 다음 연장 스키드웨이(20)를 따라 미끄러진 후 연장 스키드웨이(20)의 끝단에서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로프(14)가 분리되어 자유낙하 하게 된다.
한편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명정(10)은 스키드웨이(10)를 따라 미끄러진 다음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로프(14)가 분리되어 자유낙하 하게 된다(S7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스키드웨이 11: 지지 프레임
12: 경사 프레임 13: 롤러
14: 로프 15: 드럼
16: 검출 송신부 20: 연장 스키드웨이
21: 제1 프레임 22: 길이 가변장치
23: 제2 프레임 24: 롤러
30: 구명정 31: 낙하 예비버튼
32: 낙하 버튼 33: 로프 분리장치
34: 검출 수신부

Claims (11)

  1. 선체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11)과 상기 지지 프레임(11)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경사 프레임(12)이 구비된 스키드웨이(10),
    상기 선체의 외판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제1 프레임(21)과 상기 제1 프레임(21)의 하단에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길이 가변장치(22) 및 상기 제1 프레임(21)의 상단과 길이 가변장치(2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프레임(23)이 구비된 연장 스키드웨이(20),
    상기 스키드웨이(10) 및 연장 스키드웨이(20)를 따라 미끄러져 자유낙하 되는 구명정(30)을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웨이(10)는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을 검출하여 상기 구명정(30)에 설치된 검출 수신부(34)로 송신하는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30)은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가 작동되도록 조작되는 낙하 예비버튼(31),
    상기 구명정(30)과 상기 스키드웨이(10) 사이에 설치된 로프(14)를 분리시키는 로프 분리장치(33),
    상기 구명정(30)의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조작되는 낙하 버튼(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는 상기 선체의 외판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 가변장치(22)의 연장으로 상기 제2 프레임(23)이 상기 스키드웨이(10)의 경사 프레임(12)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웨이(1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에 상기 구명정(30)의 낙하와 동시에 풀림과 함께 상기 구명정(30)의 자유낙하 시 분리되는 로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 검출 송신부(16)는 거리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장치(22)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일정 길이를 갖는 래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8. (a) 구명정(30)에 설치된 낙하 예비버튼(31)이 조작되면,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작동으로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전체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구명정(30)에 설치된 낙하 버튼(32)이 조작 되면, 구명정(30)을 낙하하는 단계,
    (c)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검출 유무에 따라 로프(14)와 구명정(30)의 분리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로프(14)의 분리 시점에 따라 상기 구명정(30)에 설치된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상기 구명정(30)과 상기 로프(14)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스키드웨이(10)에 설치된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상승을 감지하는 단계,
    (a2)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로프(14)와 구명정(30)의 분리 시점은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끝단에서 분리하는 로프 제1 분리 시점 또는 스키드웨이(10)의 끝단에서 분리하는 로프 제2 분리 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로프(14)와 구명정(30)의 분리 시점이 상기 로프 제1 분리 시점일 경우, 상기 연장 스키드웨이(20)의 끝단에서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상기 구명정(30)과 로프(14)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로프(14)와 구명정(30)의 분리 시점이 상기 로프 제2 분리 시점일 경우, 상기 스키드웨이(10)의 끝단에서 상기 로프 분리장치(33)에 의해 상기 구명정(30)과 로프(14)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방법.
KR1020140081251A 2014-06-30 2014-06-30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KR10162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51A KR101620909B1 (ko) 2014-06-30 2014-06-30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51A KR101620909B1 (ko) 2014-06-30 2014-06-30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22A KR20160002222A (ko) 2016-01-07
KR101620909B1 true KR101620909B1 (ko) 2016-05-31

Family

ID=5516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251A KR101620909B1 (ko) 2014-06-30 2014-06-30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00B1 (ko) * 2018-11-30 2022-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N116331418A (zh) * 2023-04-23 2023-06-27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海用监测平台布放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403A1 (en) * 1995-05-26 1996-11-28 Keith Vollans Improvements relating to tender supports
WO2009087357A1 (en) 2008-01-10 2009-07-16 Williams Performance Tenders Limited Boat deployment and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886A (ko) 2008-08-28 201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 장치
KR101454847B1 (ko) 2012-11-15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 진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403A1 (en) * 1995-05-26 1996-11-28 Keith Vollans Improvements relating to tender supports
WO2009087357A1 (en) 2008-01-10 2009-07-16 Williams Performance Tenders Limited Boat deployment and re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22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2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EP2958796B1 (en) Improve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n object between a marine transport vessel and a construction or vessel
RU268488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пуска с кормы корабля-носителя дочернего судна и его подъема на борт
KR101454847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1620909B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낙하 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EP3133016B1 (en) Mechanical aircraft sill height indicator
KR101620916B1 (ko) 길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US2022019452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vering a sailing vessel
KR20160029294A (ko) 여러척의 구명보트 탑재 구조를 가진 선박
KR20140028594A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EP3554939B1 (en) Boat transfer system
KR101620917B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제동장치
KR101917890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KR20160146388A (ko)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616830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0485056Y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0477310Y1 (ko)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EP2714505A1 (en) A launch and retrieval system
KR200480499Y1 (ko) 구명보트용 진수 장치
KR20160145429A (ko) 비상탈출 시스템
KR20160001138A (ko) 구명 보트의 입수 가이드 장치
KR101626342B1 (ko) 해양 플랫폼의 비상탈출 가이드 장치
KR20170011187A (ko) 와전류 감속을 이용한 개인용 탈출기구
KR20140006382U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보트
KR20140005544U (ko) 구명보트의 입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