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767A - 스탠드 - Google Patents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767A
KR20160000767A KR1020140078404A KR20140078404A KR20160000767A KR 20160000767 A KR20160000767 A KR 20160000767A KR 1020140078404 A KR1020140078404 A KR 1020140078404A KR 20140078404 A KR20140078404 A KR 20140078404A KR 20160000767 A KR20160000767 A KR 2016000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assembly
bodies
c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726B1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7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곡선으로 형성된 라이팅케이스를 조립할 때, 고정가이드가 휘어지면서 상기 라이팅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이를 통해 얇은 두께를 형성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탠드{STAND}
본 발명은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대신할 새로운 광원으로 LED를 비롯한 발광소자를 조명장치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최근 많아지고 있다. LED를 비롯한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는 소형이며 소비전력이 적은 장점이 있다.
조명장치는 특정 공간에 골고루 빛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특정 개소에 빛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명장치의 구조나 설치 환경에 따라 조명장치의 목적이나 기능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스탠드 형태의 조명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조명장치이고, 다른 매립형 조명장치와 다르게 사용자에게 외관 전체가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스탠드의 경우, 책상이나 탁자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 스탠드의 경우, 좁은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케이스가 배치되고, 조명조립체은 상기 케이스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넘어질 개연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번호 10-1377968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충격에 의해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따른 과제는 조립 및 결합이 용이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 라이팅조립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하 방향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제 1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및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를 결합시키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곡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이팅바디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 내측에 삽입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라이팅바디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된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중간 부분에 사람 인(人)의 형태 또는 엇걸리게 결합되는 서포트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조립체에는 상기 라이팅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을 통해 상기 서포트조립체 및 라이팅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라이팅조립체; 상기 라이팅조립체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팅조립체와 엇걸리게 결합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를 지지하는 서포트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조립체는 제 1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및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길이 방향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를 결합시키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조립체는 상기 라이팅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슬릿이 형성된 아우터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삽입슬릿과 연통되도록 제 2 삽입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가 삽입되는 이너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탠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얇은 두께의 라이팅조립체가 서포트조립체와 사람 인(人)의 형태 또는 엇걸리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두께가 얇은 라이팅조립체가 서포트조립체 내부로 삽입되어 엇걸리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 하중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라이팅케이스를 조립할 때, 고정가이드를 삽입하여 조립되기 때문에, 라이팅조립체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곡선으로 형성된 라이팅케이스를 조립할 때, 고정가이드가 휘어지면서 상기 라이팅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이를 통해 얇은 두께를 형성하면서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얇은 두께로 제작되고, 고정가이드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약간의 휨 변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포트조립체의 분해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라이팅조립체 및 서포트조립체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조립체 및 라이팅조립체가 분해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라이팅조립체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조립체의 일부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포트조립체의 분해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라이팅조립체 및 서포트조립체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조립체 및 라이팅조립체가 분해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라이팅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는 발광소자가 배치된 라이팅조립체(10)와, 상기 라이팅조립체(10)와 교차되게 결합되는 서포트조립체(20)과, 상기 라이팅조립체(10)의 단측에 결합되는 베이스조립체(30)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제 1, 2 라이팅바디(11)(13)와,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 사이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모듈(15)과,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64)과, 상기 가이드홈(64)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를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가이드(60)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팅케이스(12)는 본 실시예에서 물결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팅케이스(12)는 제 1, 2 라이팅바디(11)(13)로 구성되고, 하측에 배치된 제 2 라이팅바디(13)에 형성된 발광홀(17)을 통해 상기 발광모듈(15)의 빛이 투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모듈(15)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발광소자 또는 전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팅케이스(12)는 얇은 두께로 제작되기 때문에, LED 또는 OLED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광소자의 특성을 통해 곡선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리가 없다.
상기 발광모듈(15)의 작동원리 및 작동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모듈(15)은 3개의 영역에서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라이팅바디(13)에는 3개의 발광홀(17)이 형성되어 빛을 투과시킨다.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발광모듈(15)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라이팅바디(13)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11) 내부로 삽입되도록 제 1 라이팅바디(11)에 비해 더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홈(6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은 상기 제 1 라이팅바디(11) 내측면 및 상기 제 2 라이팅바디(13)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케이스(12)의 길이 방향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64)은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의 측부에 위치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가이드(60)는 각 가이드홈(64)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가이드(60)는 상기 라이팅케이스(12)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가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유연한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가이드(60)는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라이팅케이스(12)의 곡면을 따라 휘어지면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라이팅바디(13)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11) 내측에 위치되는 바, 좌우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고, 상기 고정가이드(60)의 결합 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도 제한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라이팅조립체(10)는 볼트와 같이 일반적인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할 경우, 상기 볼트의 설치구조로 인해 두께가 두꺼워지고, 나사산 등을 형성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볼트, 나사,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라이팅조립체(10)를 조립할 경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홈 등이 상기 라이팅케이스(12) 외부에 노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수단으로 인해 전체적인 디자인이 저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조립체(10)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고정가이드(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1, 2 라이팅바디(11)(13)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60) 및 가이드홈(64)은 그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의 라이팅조립체(10)에 최적화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상기 베이스조립체(30) 및 서포트조립체(20)와 각각 조립되고, 조립된 후 지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2부분이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하측은 상기 베이스조립체(30)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서포트조립체(20)를 통해 지면에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는 사람 인(人)자 형태로 책상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조립체(20)는 상기 라이팅조립체(10)와 결합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1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모듈(15)을 제어한다.
상기 서포트조립체(20)는 상기 라이팅조립체(10)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슬릿(42)이 형성된 아우터케이스(40)와, 상기 아우터케이스(40)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발광모듈(15)을 제어하는 컨트롤모듈(50)과, 상기 아우터케이스(4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모듈(50)이 설치되는 이너케이스(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케이스(40)는 상기 라이팅조립체(10)와 결합되어 사람 인(人)자 형태를 형성시키는 프론트케이스(41) 및 리어케이스(43)와, 상기 프론트케이스(41) 상측에 조립되는 탑케이스(4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케이스(41) 및 리어케이스(43)에는 각각 제 1 삽입슬릿(42)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케이스(45)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 및 리어케이스(4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모듈(5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케이스(4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 리어케이스(43) 및 탑케이스(47)가 조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너케이스(45)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고, 상기 제 1 삽입슬릿(42)과 같은 제 2 삽입슬릿(4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2 삽입슬릿(42)(48)은 상기 아우터케이스(40)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조립체(10)가 측방향에서 삽입된 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특히,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상기 제 1, 2 삽입슬릿(42)(48)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이너케이스(45) 및 라이팅조립체(1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아우터케이스(40) 내부에서 상기 라이팅조립체(10) 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45)에는 이를 위한 체결부(46)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41)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조작홀(44)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홀(44)을 통해 내부에 배치된 상기 이너케이스(45)가 노출된다.
상기 컨트롤모듈(50)은 상기 이너케이스(45)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홀(44)을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조작홀(44)을 관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홀(44)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에 터치패널, 터치스크린과 같은 터치센서가 설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홀(44)을 따라 손가락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통해 상기 발광모듈(15)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모듈(15) 및 컨트롤모듈(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슬릿(42)(48)이 이용된다. 즉, 상기 라이팅조립체(10) 및 서포트조립체(20)의 결합 시, 상기 발광모듈(15) 및 컨트롤모듈(50)을 연결시키는 커넥터(25)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25)는 상기 삽입슬릿(42)(48)을 통해 상기 아우터케이스(4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조립체(30)는 상기 라이팅조립체(10)의 하단이 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라이팅조립체(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조립체(30)는 상기 라이팅조립체(10)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라이팅설치부(32)가 형성된 베이스케이스(31)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모듈(33)과, 상기 베이스케이스(31)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원모듈(33)이 설치되는 전원가이드(3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케이스(31)는 상기 라이팅케이스(12)와 결합되는 라이팅설치부(32)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설치부(32)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팅설치부(32)에는 상기 라이팅케이스(1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라이팅케이스(12)와 걸림결합을 형성시키는 가이드홀(34)과, 상기 라이팅케이스(12)의 이동 완료 후 상기 라이팅케이스(12)와 걸림을 결합을 형성시키는 걸림홀(3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팅케이스(12)의 하측 저면에는 다수개의 후크(14)(16)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4)(16)가 가이드홀(34) 및 걸림홀(36)과 결합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10) 및 베이스조립체(3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모듈(15) 및 전원모듈(33)을 연결시키는 커넥터(39)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홀(38)이 상기 라이팅설치부(32)에 형성된다.
상기 전원가이드(35)는 상기 베이스케이스(31)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원모듈(33)이 설치되며, 상기 전원모듈(33) 및 베이스케이스(31)를 절연시킨다.
상기 전원모듈(33)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케이스(3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모듈(15)을 통해 상기 컨트롤모듈(5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면부호 37은 상기 베이스케이스(31)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케이스(37)이다.
상기 베이스조립체(30)에는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발광모듈(1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를 결합시켜 조립된다.
상기 서포트조립체(2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 내부에 이너케이스(45)가 슬라이딩되어 조립되고, 조립과정에서 상기 제 1, 2 삽입슬릿(42)(48)을 일치시키며, 상기 컨트롤모듈(50)을 상기 이너케이스(45)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상기 제 1, 2 삽입슬릿(42)(48)을 통해 상기 프론트케이스(41) 및 이너케이스(45)의 측방향으로 삽입되고, 체결수단으로 상기 이너케이스(45) 및 라이팅조립체(1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라이팅조립체(10)의 조립과정에서 커넥터(25)를 통해 상기 발광모듈(15) 및 컨트롤모듈(50)을 연결시킨다.
이후, 상기 탑케이스(47)를 상기 프론트케이스(41) 상단에 결합시키고, 리어케이스(43)를 프론트케이스(41)에 조립하여 서포트조립체(2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조립체(20)가 라이팅조립체(10)와 사람 인(人)의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10)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라이팅조립체(10) 및 상기 서포트조립체(20)는 삽입슬릿(42)(48)을 통해 엇걸리게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조립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팅조립체(10)가 얇은 두께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엇걸려 결합되는 경우,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하 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라이팅조립체(10)는 서포트조립체(20)의 삽입슬릿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너케이스(45)에 고정되기 때문에, 아우터케이스(40) 및 이너케이스(45)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 및 체결부(46)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조립체(30)는 베이스케이스(31) 내부에 전원가이드(35) 및 전원모듈(33)이 조립된 후, 바텀케이스(37)를 조립된다.
이후, 상기 라이팅조립체(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케이스(31)의 라이팅설치부(3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원터치로 걸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14)는 가이드홀(34)을 따라 이동된 후 단측에서 걸림 결합을 형성시키고, 다른 후크(16)는 상기 후크(14) 및 가이드홀(34)가 걸림결합될 때, 걸림홀(36)과 걸림결합을 형성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조립체(20) 내부로 상기 라이팅조립체(10)가 삽입되어 엇걸리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포트조립체(20)가 상기 라이팅조립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엇걸리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라이팅조립체가 얇은 두께로 제작되고, 고정가이드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약간의 휨 변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외력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조립체가 도시된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조립체(11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홈(114) 내부의 면적이 입구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더불어 고정가이드(160)는 아령형태로 양단이 중간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11)(1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상기 고정가이드(160)는 상기 각 가이드홈(164)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을 발생시키는 걸림부(163)와, 상기 각 걸림부(163)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164)은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라이팅조립체 12 : 라이팅케이스
15 : 발광모듈 20 : 서포트조립체
30 : 베이스조립체 31 : 베이스케이스
33 : 전원모듈 35 : 전원가이드
37 : 바텀케이스 40 : 아우터케이스
41 : 프론트케이스 42 : 제 1 삽입슬릿
43 : 리어케이스 44 : 조작홀
45 : 이너케이스 46 : 체결부
47 : 탑케이스 48 : 제 2 삽입슬릿
50 : 컨트롤모듈 60 : 고정가이드
64 : 가이드홈

Claims (9)

  1. 제 1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및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를 결합시키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는 스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배치된 스탠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스탠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스탠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곡선을 따라 배치된 스탠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이팅바디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 내측에 삽입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라이팅바디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 스탠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립된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중간 부분에 사람 인(人)의 형태 또는 엇걸리게 결합되는 서포트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탠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조립체에는 상기 라이팅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을 통해 상기 서포트조립체 및 라이팅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설치되는 스탠드.
  9. 경사지게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라이팅조립체; 상기 라이팅조립체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팅조립체와 엇걸리게 결합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를 지지하는 서포트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조립체는
    제 1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라이팅바디에 결합되는 제 2 라이팅바디;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및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의 길이 방향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라이팅바디를 결합시키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조립체는
    상기 라이팅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슬릿이 형성된 아우터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삽입슬릿과 연통되도록 제 2 삽입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라이팅조립체가 삽입되는 이너케이스;를 포함하는 스탠드.
KR1020140078404A 2014-06-25 2014-06-25 스탠드 KR10164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04A KR101647726B1 (ko) 2014-06-25 2014-06-25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04A KR101647726B1 (ko) 2014-06-25 2014-06-25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67A true KR20160000767A (ko) 2016-01-05
KR101647726B1 KR101647726B1 (ko) 2016-08-11

Family

ID=5516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404A KR101647726B1 (ko) 2014-06-25 2014-06-25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7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137A (ja) * 2004-01-13 2005-07-28 Twinbird Corp 電気スタンド
KR20110107933A (ko) * 2010-03-26 2011-10-05 (주)에스더블유테크 필름형 led 발광부를 갖는 led스탠드
KR20120017074A (ko) * 2009-05-19 2012-02-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시스템 및 조명 디바이스 및 베이스 부재
KR101377968B1 (ko) 2011-12-23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KR20140071106A (ko) * 2012-12-03 2014-06-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직관형 엘이디 조명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137A (ja) * 2004-01-13 2005-07-28 Twinbird Corp 電気スタンド
KR20120017074A (ko) * 2009-05-19 2012-02-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시스템 및 조명 디바이스 및 베이스 부재
KR20110107933A (ko) * 2010-03-26 2011-10-05 (주)에스더블유테크 필름형 led 발광부를 갖는 led스탠드
KR101377968B1 (ko) 2011-12-23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KR20140071106A (ko) * 2012-12-03 2014-06-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직관형 엘이디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726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00627A1 (en) Furniture with LED Light Arrangement
US20150016100A1 (en) Luminaire
WO2010042186A3 (en) Led illuminated member within a refrigerated display case
KR101235847B1 (ko)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구조
KR20160067002A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20120131713A (ko) 가변형 조명장치
US20180295982A1 (en) Furniture having height-adjustable top panels
JP2015088242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647726B1 (ko) 스탠드
JP6677797B2 (ja) 発光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US20190178480A1 (en) Lighting device
KR101666453B1 (ko) 스탠드
JP2016219105A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施工方法
JP6417494B2 (ja) 照明装置
JP4315103B2 (ja) 棚板装置
KR101745343B1 (ko) 엘이디 면조명 장치
KR200398778Y1 (ko) 매립형 조명등
KR20130078915A (ko) 조명등용 엘이디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20180020681A (ko) 원격조정형 led 조명장치
KR20120104047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001313U (ko) 매입형 조명의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입형 조명
KR101038771B1 (ko) 플레이트 결합형 조명장치
JP2006167362A (ja) 棚板支持具
KR20120005786A (ko) 백라이트 유닛
JP5126683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