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78Y1 - 매립형 조명등 - Google Patents

매립형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78Y1
KR200398778Y1 KR20-2005-0020555U KR20050020555U KR200398778Y1 KR 200398778 Y1 KR200398778 Y1 KR 200398778Y1 KR 20050020555 U KR20050020555 U KR 20050020555U KR 200398778 Y1 KR200398778 Y1 KR 200398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w
piece
mounting
moun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20-2005-0020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형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소켓부와, 상기 프레임을 고정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나사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40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상부 장착편(5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장착편(500)의 아래쪽에는 하부 장착편(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장착편(500)(500') 사이에는 상기 이송나사(400)와 나사결합되는 지지편(60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장착편(500)의 위쪽에서 이송나사(400)에는 너트(700)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각각의 장착편(500)(500')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그 수평부(510)는 상기 이송나사(400)가 관통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520)에는 상기 프레임(100)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5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매립형 조명등의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시간이 대폭 절감되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조명등{RECLAMATION-TYPE LIGHTING LAMP}
본 고안은 매립형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간단한 매립형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매립형 조명등은 천장이나 벽에 매립하여 실내를 밝히는 조명장치로서, 돌출부분이 없어 각종 인테리어 소품과의 간섭이 방지되고 온화한 분위기가 연출되기 때문에 근래 그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일반적인 매립형 조명등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 조명등(10)은,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된 소켓부(2)와 상기 프레임(1)의 하부를 덮는 커버(3)와, 상기 프레임(1)을 천장 등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2)에는 전원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원단자(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3)는 천장 등에 거의 평행하게 지지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에는, 이와 같은 매립형 조명등(10)을 천장 등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는 매립형 조명등(10)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부 브라켓(1a)과 상부 브라켓(1b)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에는 하부 관통공(7a)과 상부 관통공(7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관통공(7a)(7b)에는 이송나사(8)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이송나사(8)에는 하부 브라켓(1a)과 상부 브라켓(1b) 사이에서 지지편(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편(4)은 이송나사(8)에 나사결합되어 있어, 이송나사(8)가 그 자리에서 회전함에 따라 지지편(4)이 승강하게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이송나사(8)는 승강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회전만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나사(8)의 상단부와 상부 상부 브라켓(1b) 사이에는 지지용 너트(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나사(8)의 회전은 전동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송나사(8)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편(4)은 천장 등의 배면(背面)을 향해 접근하다가 접촉하여 견고하게 눌려지면서 지지된다.
결국, 상기 이송나사(8)에 설치된 지지용 너트(9)는 상부 브라켓(1b)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나사(8)의 헤드부는 하부 브라켓(1a)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이송나사(8)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이송나사(8)에 지지용 너트(9)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했다. 그 이유는, 상기 프레임(1)의 상부(1c)와, 상부 관통공(7b)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1b)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측부(1d)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상기 지지용 너트(9)를 이송나사(8)의 상단으로부터 장착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결국, 종래의 매립형 조명등에 따르면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동시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은 매립형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등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소켓부와, 상기 프레임을 고정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나사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상부 장착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장착편의 아래쪽에는 하부 장착편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장착편 사이에는 상기 이송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지지편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장착편의 위쪽에서 이송나사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각각의 장착편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그 수평부는 상기 이송나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에는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등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소켓부와, 상기 프레임을 고정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나사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나사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의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브라켓과 장착편 사이에는 상기 이송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지지편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편의 위쪽에서 이송나사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장착편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그 수평부는 상기 이송나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에는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편의 수직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등(1000)은,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소켓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을 천장 등의 고정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600)과, 상기 지지편(600)과 나사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나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100)을 천장 등에 장착하는 구성을 제외한 부분은 전술한 종래기술과 유사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송나사(400)가 프레임(100)에 형성된 별도의 브라켓에 끼워질 필요가 없어 장착이 매우 자유롭다. 구체적으로 장착부분의 구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송나사(40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부 장착편(500)과 하부 장착편(50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장착편(500)과 하부 장착편(500')은 이송나사(400)에 대하여 나사이동이 이루어져도 좋고, 약간 헐렁하게 장착되어 손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나사(400)에는 2개의 장착편(500)(500') 사이에서 상기 지지편(60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나사(400)와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송나사(400)와 결합하는 지지편(600)의 구멍 내면에는 나선(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장착편(500)보다 위쪽에서, 상기 이송나사(400)에는 너트(7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장착편(500)(500')은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수평부(510)와 수직부(5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510)에는 이송나사(400)가 관통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부(520)에는 상기 프레임(100)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5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송나사(400)가 상기 장착편(500)(500')의 수평부(5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측부에 상기 장착편(500)(500')의 수직부(520)가 배치된 상태에서 나사(522) 등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대한 이송나사(4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상기 수직부(520)가 프레임(100)의 측부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지만, 외면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편(500)(500')은 프레임(100)의 측부 중 어느 부분에나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송나사(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은 너트(700)와 헤드부(4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등(1000)을 그 장착부에 의해 설치하는 공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너트(700)를 장착편(500)(500')의 프레임 장착 높이에 맞추어 상기 이송나사(40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다음, 상기 장착편(500)(500')을 너트(700)와 헤드부(430)까지 각각 이동시키고 장착편(500)(500')의 수직부(520)를 프레임(100)의 장착위치에 각각 접합한 상태에서 나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호 체결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의 측부(100d)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나사장착구멍이 장착편(500)(500')의 나사장착구멍(521)과 일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장착 위치는 프레임(100)의 측부(100d) 중 장착이 용이한 적당한 부분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장착편(500)(500')의 수직부(520)를 프레임 측부(100d)의 바깥쪽에 접합시키면 보다 용이한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나사(400)의 헤드부(430)를 전동 드라이버(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편(600)이 이송나사(400)의 헤드부(430)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천장 등 고정부의 배면을 밀면서 견고하게 그 자리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 외에, 이송나사(400)의 헤드부(430) 쪽에는 하부 장착편(500') 대신에, 프레임(100)에 형성된 수평의 하부 브라켓(미도시)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먼저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을 통해 이송나사(400)를 삽입시킨 후, 위쪽으로부터 지지편(600)과 장착편(500), 및 너트(700)를 차례로 끼우고, 상기 너트(700)와 장착편(500)을 설치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착편(500)의 수직부(520)를 상기 프레임(100)의 측부(100d)에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장착편이 채용되어 매립형 조명등의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시간이 대폭 절감되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착편이 이송나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송할 수 있고 회전도 자유롭기 때문에, 프레임의 측부 중 여유공간이 있는 어느 부분에나 설치할 수 있는 등 장착편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또한, 장착편이 설치될 프레임의 측부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너트의 간격만 조정하면 해결되므로 설치의 자유도가 뛰어나다.
도 1은, 종래 매립형 조명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주요 장착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조명등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200... 소켓부
400... 이송나사
500,500'... 장착편
600... 지지편
700... 너트
1000... 매립형 조명등

Claims (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소켓부와, 상기 프레임을 고정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나사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이송나사(40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상부 장착편(5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장착편(500)의 아래쪽에는 하부 장착편(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장착편(500)(500') 사이에는 상기 이송나사(400)와 나사결합되는 지지편(60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장착편(500)의 위쪽에서 이송나사(400)에는 너트(700)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각각의 장착편(500)(500')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그 수평부(510)는 상기 이송나사(400)가 관통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520)에는 상기 프레임(100)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5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등.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소켓부와, 상기 프레임을 고정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나사 이송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나사(400)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의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편(5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브라켓과 장착편(500) 사이에는 상기 이송나사(400)와 나사결합되는 지지편(60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편(500)의 위쪽에서 이송나사(400)에는 너트(700)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장착편(500)은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그 수평부(510)는 상기 이송나사(400)가 관통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520)에는 상기 프레임(100)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장착구멍(5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의 수직부는 상기 프레임(100)의 측부 외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등.
KR20-2005-0020555U 2005-07-14 2005-07-14 매립형 조명등 KR200398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555U KR200398778Y1 (ko) 2005-07-14 2005-07-14 매립형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555U KR200398778Y1 (ko) 2005-07-14 2005-07-14 매립형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78Y1 true KR200398778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555U KR200398778Y1 (ko) 2005-07-14 2005-07-14 매립형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4347A2 (ko) * 2009-03-11 2010-09-16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100984730B1 (ko) 2008-05-30 2010-10-01 이상구 매입등
KR200452228Y1 (ko) * 2010-08-23 2011-02-14 이정대 천정 매립형 등기구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30B1 (ko) 2008-05-30 2010-10-01 이상구 매입등
WO2010104347A2 (ko) * 2009-03-11 2010-09-16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WO2010104347A3 (ko) * 2009-03-11 2011-01-06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KR200452228Y1 (ko) * 2010-08-23 2011-02-14 이정대 천정 매립형 등기구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847B1 (ko)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구조
KR101794564B1 (ko) 천장형 조명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고정방법
KR200398778Y1 (ko) 매립형 조명등
JP5879389B2 (ja) Led照明装置
JP2015088242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471988Y1 (ko) 스포트라이트가 장착되는 레일의 고정구
JP2017033791A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発光ユニットを備える照明装置
US20140146528A1 (en) Light Emitted Diode (LED) Rail Projection Lamp
JPWO2017154906A1 (ja) 発光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101046600B1 (ko)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엘이디 센서등
JP4315103B2 (ja) 棚板装置
KR101104855B1 (ko) 빔 조절가능 벽등
AU2017228657A1 (en) Lighting apparatus
KR20160000660U (ko) 가로등주용 암대
JP6537391B2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発光ユニットを備える照明装置
JP5027700B2 (ja) 照明器具
CN219493966U (zh) 灯具连接结构及照明灯具
KR200304804Y1 (ko) 형광등기구의 고정장치
KR102156888B1 (ko) 스포트라이트 및 조명 설치용 프레임
KR200487474Y1 (ko) 광폭 조명레일 장치
KR200382412Y1 (ko) 조명기구
JP7072224B2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200490556Y1 (ko)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JP2008235005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101888560B1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