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43B1 - 엘이디 면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면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343B1
KR101745343B1 KR1020150112457A KR20150112457A KR101745343B1 KR 101745343 B1 KR101745343 B1 KR 101745343B1 KR 1020150112457 A KR1020150112457 A KR 1020150112457A KR 20150112457 A KR20150112457 A KR 20150112457A KR 101745343 B1 KR101745343 B1 KR 10174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angle adjusting
adjustment contro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612A (ko
Inventor
박순자
Original Assignee
박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자 filed Critical 박순자
Priority to KR102015011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3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의 광이 면조명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면조명 장치에 있어서 면조명으로 발광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되는 광원부(100), 광원부(1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판(200), 투명판(2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전, 후, 좌 및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조절제어부(300); 및 조절제어부(3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한 엘이디의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도광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제어부(300)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엘이디로부터 발광되어 투명판(200)을 투과한 광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로 발광되는 광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 면조명 장치{APPARATUS FOR LED PLANAR ILLUMINATION}
본 발명은 엘이디의 광이 면조명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면조명 장치에 있어서 면조명으로 발광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되는 광원부(100), 광원부(1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판(200), 투명판(2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전, 후, 좌 및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조절제어부(300); 및 조절제어부(3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한 엘이디의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도광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제어부(300)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엘이디로부터 발광되어 투명판(200)을 투과한 광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로 발광되는 광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는 긴 수명과 저렴한 유지비, 전력 절감의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세계적으로 다양한 타입의 엘이디 조명기구가 개발되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엘이디 조명기구는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소정 영역에 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면조명기구로도 개발되고 있는데, 이는 조명기구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고, 설치가 다른 조명기구에 비해 용이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면조명기구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내의 조명장치 및 실내외의 광고판 등에 면조명기구가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실내에 설치된 조명장치 및 실내외에 설치된 광고판 등에 적용되는 면조명기구에서 발광되는 광의 각도 또는 투영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만 광이 방출되도록 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소정의 디자인을 갖는 광고판의 경우에는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한편, 상술된 면조명기구 기술과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223357호에 엘이디 면 조명장치(이라, '선행기술 1'로 지칭)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475912호에 엘이디 면 조명기구 장치(이하, '선행기술 2'로 지칭)가 기재되어 있다.
먼저 선행기술 1은, 면 조명부에 배치되는 엘이디 소자를 정렬하여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하나의 엘이디 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이웃하는 다른 행의 엘이디 소자에서 방출된 광과 중첩하지 않도록 하여 동일한 광 분포효과를 갖게 하기 위한 단위 면적당 사용된 엘이디 소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엘이디 면 조명장치를 기재하고 있고, 선행기술 2는 설치 작업시 안전하고, 간결한 작업효율, LED광원부의 가열흐름을 원활하게 소통시켜 LED광원의 수명연장, LED램프의 밝기, 전력소비 절감, LED 면 조명기구 장치의 설치 후 외부 영향에 의한 낙하 방지를 더욱 개선시킨 LED 면 조명기구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들은 엘이디를 이용한 면조명기구의 밝기, 내구성, 소비전력의 절감 등 기존에 잘 알려진 효과를 더 부각시킬 수 있을 뿐, 본 출원인이 의도하는 발광되는 광의 각도조절 또는 투영거리의 조절에 대해 기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위에 기재된 기술들은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위기 및 디자인의 변화를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3357호(2013.01.16.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912호(2015.01.13. 공고)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이디의 광이 면조명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면조명 장치에 있어서 면조명으로 발광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제어부(300)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엘이디로부터 발광되어 투명판(200)을 투과한 광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로 발광되는 광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지 면조명 장치는,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되는 광원부(100), 광원부(1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판(200), 투명판(2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전, 후, 좌 및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조절제어부(300); 및 조절제어부(3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한 엘이디의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도광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제어부(300)와 접촉되는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일면에 길이조절유닛(334)을 구비하되, 길이조절유닛(334)의 인출 및 수납동작에 의해 조절제어부(300)가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제어부(300)에 형성된 전후 각도조절유닛(330) 및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을 상호 간에 탈착가능하게 구성하여 조절제어부(3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는, 조절제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광이 방출될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 임의의 방향으로 면조명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제어부의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광이 조절제어부에 투과되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가 소정의 디자인을 갖도록 발광하는 경우에 상기 디자인의 크기 및 상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서 조절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서 전후 각도조절유닛이 좌우 각도조절유닛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서 조절제어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엘이디의 광이 면조명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면조명 장치에 있어서 면조명으로 발광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되는 광원부(100), 광원부(1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판(200), 투명판(2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전, 후, 좌 및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조절제어부(300); 및 조절제어부(3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한 엘이디의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도광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제어부(300)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엘이디로부터 발광되어 투명판(200)을 투과된 광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로 발광되는 광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광원부(100), 투명판(200), 조절제어부(300) 및 도광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00)는 복수의 엘이디가 소정의 배열로 장착되는 것으로 PCB 회로기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배열로 장착되는 복수의 엘이디는, 모두 후술될 투명판(200) 방향으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판(200)은 광원부(100)의 하부방향(엘이디가 빛을 발광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엘이디의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면서 상기 엘이디의 광에 따른 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투명판(200)의 상면(엘이디 방향)에는 광원부(100)와 접촉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유닛(210)이 엘이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돌출유닛(210)이 투명판(200)의 각 모서리단에 형성되도록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한정될 수 없는 것이므로 반드시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구성되진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조명장치의 형태를 사각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다른 형태(원 등)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돌출유닛(210)이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투명판(200)은 하면(돌출유닛이 형성되는 반대면)에 제1 모터(220) 및 제2 모터(2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모터(220) 및 제2 모터(230)는 각각 제1 기어(221) 및 제2 기어(231)가 연결될 수 있다.
조절제어부(300)는 투명판(200)의 하부방향에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절제어부(300)는 제2 고리(310), 좌우 각도조절유닛(320) 및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제어부(300)를 이루는 후술되는 구성은 모두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제어부(300)를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서 조절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2 고리(310)는 조절제어부(300)의 상면(투명판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광원부(100)에 형성된 제1 고리(110)와 연결유닛(1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리(110) 및 제2 고리(310)는 광원부(100) 및 조절제어부(300)에 복수 개씩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유닛(120)은 탄성재질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은 조절제어부(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 투명판(200)에 형성된 제2 모터(230)에 연결된 제2 기어(231)와 맞물려 동작되는 제2-1 기어(3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은 제2 모터(230)가 동작되면 제2 기어(231)와 맞물린 제2-1 기어(331)가 회전됨으로써 조절제어부(300)가 전 방향 또는 후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은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에 투명판(200)에 형성된 제1 기어(221)와 맞물려 동작되는 제1-1 기어(3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은 제1 모터(220)가 동작되면 제1 기어(221)와 맞물린 제1-1 기어(321)가 회전됨으로써 조절제어부(300)가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이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에 연결되는 것을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서 전후 각도조절유닛이 좌우 각도조절유닛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은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322)의 내면 일측에는 홈(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323)에는 탄성부재(324)가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324)의 전방측에는 걸림돌기(325)가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걸림돌기(325)는 외력에 의해 홈(323)에 수용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24)의 탄성력에 의해 홈(32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325)의 구조는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걸림돌기(325)가 홈(323)에 수용되었다가 홈(323)의 외부로 돌출되는 동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324)와 맞닿아 연결되는 걸림돌기(325)의 일면을 탄성부재(324)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걸림돌기(325)가 홈(323)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어도 일부는 홈(323)에 수용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324)가 홈(323)의 외부에 돌출되었다가 홈(323)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는 홈(323), 탄성부재(324) 및 걸림돌기(325)가 관통홀(322)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닌 만큼, 도 3에 도시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에 형성된 연장홈(332) 및 오목홈(333) 또한 도 3에 도시된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좌우 각도조절유닛(320)과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은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322)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은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연장홈(3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연장홈(332)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홈(332)보다 더 깊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333)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의 관통홀(322)에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을 삽입할 때, 연장홈(332)의 위치에 맞추어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을 관통홀(322)에 삽입하면,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의 관통홀(322)에 형성된 걸림돌기(325)가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연장홈(332) 일측에 형성된 오목홈(333)에 걸려 좌우 각도조절유닛(320)과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걸림돌기(325)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삽입되는 측의 일면은 만곡되고, 그 반대측의 일면은 관통홀(322)의 내면과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관통홀(322)에 삽입될 때 발생되는 미는 힘에 의해 걸림돌기(325)가 홈(323)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고, 걸림돌기(325)가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오목홈(333)에 근접하면 홈(323) 외부로 돌출되어 오목홈(333)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325)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삽입되는 측만 만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을 삽입해제할 수 없도록 하고, 삽입했던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을 관통홀(322)로부터 삽입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 의하면, 조절제어부(300)의 각도를 전, 후, 좌 또는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광되는 광의 각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때 상술된 조절제어부(300)의 각도조절을 위해 별도의 제어장치(스위치장치, 리모콘장치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될 조절제어부(300)의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제어 역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스위치장치 또는 리모콘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스위치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벽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각도조절유닛(320) 및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구성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모터(220) 및 제2 모터(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될 길이조절유닛(334)의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구성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길이조절유닛(334)은 상기 스위치 구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를 리모콘장치로 구성하는 경우, 좌우 각도조절유닛(320), 전후 각도조절유닛(330) 및 길이조절유닛(334)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 구성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버튼 구성은 누름식 버튼, 터치 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장치는 제1 모터(220), 제2 모터(230) 및 길이조절유닛(334)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은 종래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위치장치 또는 리모콘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수신수단(도면에 미도시), 제1 모터 제어수단(도면에 미도시), 제2 모터 제어수단(도면에 미도시) 및 길이조절유닛 제어수단(도면에 미도시)이 투명판(200) 및 조절제어부(300) 중 어느 하나에 더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조절제어부(300)의 각도 조절뿐만 아니라,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광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도록, 조절제어부(300)와 접촉되는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일면이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에서 조절제어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조절제어부(300)는 일면이 볼록한 볼록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조절제어부(300)와 접촉된 일면에 다단의 텔레스코프(안테나 방식) 형태의 길이조절유닛(334)이 구비되어, 도 5의 (a)와 같이 길이조절유닛(334)이 수납되고 도 5의 (b)와 같이 길이조절유닛(334)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광이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굴절되는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외부로 투광되는 광의 양이 달리지고,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를 소정의 디자인을 갖도록 발광하는 광고판 등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의 크기 또는 상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광판(400)은 조절제어부(300)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한 엘이디의 광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최종적으로는 조명장치의 외부로 광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도광판(4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c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athyl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외에도 광의 균일한 분산(확산) 기능을 갖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엘이디 면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볼 때 도광판(400)을 통해 내부에 광이 발광되는 엘이디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눈부심을 적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의 다른 일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내부에 주변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센서와 보상소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도센서 및 보상소자는 상술된 광원부(100), 투명판(200), 조절제어부(300) 및 도광판(4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CB 회로기판의 형태로 구성되는 광원부(1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조도센서는 주변 조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신호는 위에 서술된 신호수신수단에 연결될 수 있고, 신호수신수단은 조도센서의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제어수단 및 제2 모터 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도센서는 조도가 검출되는 방향까지 감지할 수 있는 것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1 모터 제어수단과 제2 모터 제어수단은 빛이 검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조절제어부가 전, 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는 빛이 비추는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울 수 있는 빛이 비추지 않는 공간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제어부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은 조도센서에 의한 신호 값보다 제어장치에 의한 신호 값을 우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조절제어부를 좌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도 검출로 인해 조절제어부가 다른 방향(전, 후 또는 우 방향)으로 자동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된 제어는 제1 모터 제어수단 및 제2 모터 제어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조도센서에 의한 신호 값이 존재함에도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조절제어부가 제어된 경우, 조도센서는 소정의 시간 후에 다시 주변 조도를 감지한 뒤, 조절제어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5분, 10분 등과 같이 분(minute) 단위의 시간이거나 1시간, 2시간 등과 같이 시(hour) 단위의 시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조도센서의 제어는 PCB 회로기판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보상소자는 조도센서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면조명 장치의 주변 조도를 수광할 때,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에 의해 간섭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광원부 110 : 제1 고리
120 : 연결유닛 200 : 투명판
210 : 돌출유닛 220 : 제1 모터
221 : 제1 기어 230 : 제2 모터
231 : 제2 기어 300 : 조절제어부
310 : 제2 고리 320 : 좌우 각도조절유닛
321 : 제1-1 기어 322 : 관통홀
323 : 홈 324 : 탄성부재
325 : 걸림돌기 330 : 전후 각도조절유닛
331 : 제2-1 기어 332 : 연장홈
333 : 오목홈 334 : 길이조절유닛
400 : 도광판

Claims (5)

  1. 광이 발광되는 엘이디가 복수 개 장착되고, 그 하면에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리(110)가 형성되는 광원부(100);
    상기 광원부(1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판(200);
    상기 투명판(2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전, 후, 좌 및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고, 그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고리(310)가 형성되는 유리재질의 조절제어부(300); 및
    상기 조절제어부(30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제어부(300)를 투과한 광을 분산시키는 도광판(400);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100) 및 조절제어부(300)는,
    일단이 제1 고리(11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제2 고리(310)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연결유닛(12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투명판(200)은,
    상기 엘이디의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고, 상기 엘이디의 광에 따른 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상기 광원부(100)와 접촉되어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유닛(210)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 제1 기어(221)가 연결된 제1 모터(220); 및 제2 기어(231)가 연결된 제2 모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제어부(300)는,
    상기 조절제어부(3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모터(230)에 연결된 제2 기어(231)와 맞물려 동작되는 제2-1 기어(331)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모터(2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조절제어부(300)를 전 방향 또는 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는 전후 각도조절유닛(330); 및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상부측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모터(220)에 연결된 제1 기어(221)와 맞물려 동작되는 제1-1 기어(3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모터(2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조절제어부(300)를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는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은,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22);
    상기 관통홀(322)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홈(323);
    상기 홈(323)에 수용되는 탄성부재(324); 및
    상기 탄성부재(324)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홈(323)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3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323)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25);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은,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연장홈(332); 및
    상기 연장홈(332)의 일측에 연장홈(332)보다 더 깊게 형성된 오목홈(333);을 포함하되,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의 오목홈(333)에 상기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의 걸림돌기(325)가 걸림으로써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과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325)는,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삽입되는 측의 일면은 만곡되고, 그 반대측의 일면은 상기 관통홀(322)의 내면과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이 상기 좌우 각도조절유닛(320)에 삽입된 후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삽입 해제되지 않고, 삽입된 방향으로 밀어 삽입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각도조절유닛(330)은,
    상기 조절제어부(300)와 맞닿는 일면에 다단의 텔레스코프 형태의 길이조절유닛(334)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길이조절유닛(334)은 상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하 방향으로 수납됨으로써, 상기 조절제어부(300)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면조명 장치.
KR1020150112457A 2015-08-10 2015-08-10 엘이디 면조명 장치 KR10174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57A KR101745343B1 (ko) 2015-08-10 2015-08-10 엘이디 면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57A KR101745343B1 (ko) 2015-08-10 2015-08-10 엘이디 면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12A KR20170018612A (ko) 2017-02-20
KR101745343B1 true KR101745343B1 (ko) 2017-06-20

Family

ID=5826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457A KR101745343B1 (ko) 2015-08-10 2015-08-10 엘이디 면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3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49B1 (ko) 2020-11-11 2021-10-08 김형태 면조명장치
KR102349901B1 (ko) * 2021-11-05 2022-01-12 주식회사 정우디씨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실내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57B1 (ko) 2012-07-09 2013-01-16 에이에스피 반도체(주) 엘이디 면 조명장치
KR200475912Y1 (ko) 2013-04-13 2015-01-13 김순봉 엘이디 면 조명기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49B1 (ko) 2020-11-11 2021-10-08 김형태 면조명장치
KR102349901B1 (ko) * 2021-11-05 2022-01-12 주식회사 정우디씨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실내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12A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840B1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that provides both functions of lighting and image projection
RU2560121C2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с круговым световодным кольцом с адаптивным внешним представлением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функции
KR101745343B1 (ko) 엘이디 면조명 장치
KR101875570B1 (ko) 원형 센서등
KR101198094B1 (ko)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EP2072890A3 (en) Lighting body with lens
KR101854199B1 (ko) 주/야간 모드 조절버튼을 가지는 원형 센서등
KR20190054492A (ko) 도광판 스탠드
KR101529295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형 led 조명 기구
KR101963017B1 (ko) 엘이디 무드 시계
KR101883267B1 (ko) 원형 센서등의 엘이디모듈
JP2020528651A (ja) 照明器具
KR20190062726A (ko)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KR101241574B1 (ko) 조명장치
ITUB20153776A1 (it) Orologio a led
AU2017295607B2 (en) Lighting device to be installed onto a frame
KR20160089802A (ko) 엘이디 복합 조명장치
US20170322356A1 (en) Light shield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KR200349017Y1 (ko) 조명 수단이 구비된 선반
JP2017016781A (ja) 照明装置
JP6315421B2 (ja) 照明器具
JP6308454B2 (ja) 照明器具
JP201607284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4017271A (ja) 照明器具
KR20090093489A (ko) 벽면매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