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549B1 - 면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면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549B1
KR102311549B1 KR1020200150414A KR20200150414A KR102311549B1 KR 102311549 B1 KR102311549 B1 KR 102311549B1 KR 1020200150414 A KR1020200150414 A KR 1020200150414A KR 20200150414 A KR20200150414 A KR 20200150414A KR 102311549 B1 KR102311549 B1 KR 10231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mperature
disposed
button
brightness
ligh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20015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6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ligh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방향을 관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을 통해 정면으로 노출되는 조명패널;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버튼;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버튼; 상기 리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조절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색온도버튼 또는 색온도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명을 받으면서 밝기 또는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를 향해 배치된 색온도버튼과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색온도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조명패널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면조명장치{flat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면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면 발광조명 장치는 액자형 프레임과,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안쪽에 배치된 광가이드 패널과, 상기 광가이드 패널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LED 바와, 상기 광가이드 패널의 전방에 배치된 확산판(확산판;Diffuser Plate)을 포함한다.
LED 바는 바 형태로 길게 연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PCB 상에 일정 간격으로 어레이된 다수의 LED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5343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명을 받으면서 밝기 또는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면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후 방향을 관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을 통해 정면으로 노출되는 조명패널;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버튼;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버튼; 상기 리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조절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색온도버튼 또는 색온도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상기 리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조절다이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밝기버튼 또는 밝기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조명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베젤; 상기 조명패널의 좌측에 배치된 제1사이드베젤; 상기 조명패널의 우측에 배치된 제2사이드베젤 및 상기 조명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색온도버튼은 상기 로어베젤에 배치되어 정면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을 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를 관통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홀들은 상기 리어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후 방향을 관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을 통해 정면으로 노출되는 조명패널;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버튼;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버튼; 상기 리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조절다이얼; 및 상기 리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조절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색온도버튼 또는 색온도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밝기버튼 또는 밝기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조명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베젤; 상기 조명패널의 좌측에 배치된 제1사이드베젤; 상기 조명패널의 우측에 배치된 제2사이드베젤 및 상기 조명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색온도버튼은 상기 로어베젤에 배치되어 정면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을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명을 받으면서 밝기 또는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를 향해 배치된 색온도버튼과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색온도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조명패널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를 향해 배치된 밝기버튼과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밝기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조명패널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리어케이스 측에 밀착된 반사판을 전방으로 펼쳐서 사용자 측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리어케이스 측에 밀착된 엑스트라조명을 전방으로 펼친 후, 엑스트라조명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측 조도 또는 색온도를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빛이 발광되는 조명패널(10)과, 상기 조명패널(10)이 조립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10)을 향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부재(미도시)와, 상기 발광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재에 전원을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유투버, BJ, 영상콘텐츠 제작, 인터넷방송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면조명장치는 사용자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제품으로서, 영상을 촬영하면서 사용자 스스로 색온도 또는 조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상기 조명패널(10)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명패널(10)에서 면발광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0)는 전면 일부가 개구된다. 상기 케이스(20)는 프론트케이스(30) 및 리어케이스(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30)는 전후 방향을 관통하는 개구면(21)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면(21)을 통해 상기 조명패널(1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30)는 어퍼베젤(31), 제1사이드베젤(32), 제2사이드베젤(33) 및 로어베젤(34)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베젤(34)에 상기 조명패널(10)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제1색온도버튼(41) 및 제2색온도버튼(4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색온도버튼(41)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조명패널(10)은 3200K의 색온도를 제공한다. 상기 제2색온도버튼(42)에 사용자의 조자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조명패널(10)은 5600K의 색온도를 제공한다.
상기 로어베젤(34)에 상기 조명패널(10)의 밝기 조절을 위한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밝기버튼(43)에 사용자의 조자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조명패널(10)의 밝기는 점차 어두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밝기버튼(44)에 사용자의 조자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조명패널(10)의 밝기는 점차 밝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밝기버튼(43)은 상기 조명패널(10)의 조도를 낮추를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제2밝기버튼(44)은 상기 조명패널(10)의 조도를 높이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은 정전식 또는 정압식 터치버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소리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를 조작할 때, 소리가 발생될 경우, 제작되는 영상에 작동소음이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터치버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이 택트스위치와 같은 버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는 상기 로어베젤(34)에 배치된다.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로어베젤(44)에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의 설치를 위해 상기 로어베젤(34)의 폭(W)이 상기 어퍼베젤(31), 제1사이드베젤(32), 제2사이드베젤(33)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베젤(34)의 폭(W)은 상하 방향에 대한 길이이다.
상기 어퍼베젤(31)의 폭은 상하 방향에 대한 길이이고, 제1사이드베젤(32) 및 제2사이드베젤(33)의 폭은 좌우 방향에 대한 길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베젤(31), 제1사이드베젤(32), 제2사이드베젤(33)의 폭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30) 및 리어케이스(50)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다.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제2색온도버튼(42),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리어케이스(5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3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30)와 조립된다.
상기 리어케이스(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등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50)에 색온도조절다이얼(51), 밝기조절다이얼(52), 전원버튼(5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 밝기조절다이얼(52), 전원버튼(53)은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 밝기조절다이얼(52), 전원버튼(53)은 조명패널(10) 개구면(21)의 방향과 반대로 배치된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 및 밝기조절다이얼(52)은 조그다이얼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색온도가 증가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색온도가 감소된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의 기능은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및 제2색온도버튼(42)의 기능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이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및 제2색온도버튼(42) 보다 정밀하게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색온도버튼(41) 및 제2색온도버튼(42)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색온도로 설정되는 반면,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은 회전각도에 따라 정밀한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은 조명을 받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보다는 별도의 촬영자가 조절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밝기조절다이얼(5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조도가 증가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조도가 감소된다.
상기 밝기조절다이얼(52)의 기능은 상기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의 기능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밝기조절다이얼(52)이 상기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 보다 정밀하게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밝기버튼(43) 및 제2밝기버튼(44)은 여러번의 터치를 통해 밝기를 조절해야 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밝기조절다이어(52)를 신속하게 회전시킬 경우, 조명의 밝기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밝기조절다이얼(52)은 조명을 받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보다는 별도의 촬영자가 조절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53)은 상기 조명패널(10)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면조명장치는 외부전원 및 배터리(90)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케이스(50)는 배터리(90)가 장착될 수 있는 배터리장착부(54) 및 외부전원부(55)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장착부(54)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배터리장착부(54)는 리어케이스(50)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 잠금버튼(56)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버튼(56)은 리어케이스(5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버튼부(56a)와, 상기 버튼부(56a)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장착부(54)로 돌출된 잠금부(56b)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56a)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부(56b)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56a)가 눌릴 경우, 상기 잠금부(56b)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터리와의 상호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56a)가 눌릴 경우, 상기 잠금부(56b)가 상기 배터리장착부(54)에서 상기 배터리장착부(54)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부(56b)는 배터리장착부(54)에서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56a)에서 조작력을 제거할 경우,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56a) 및 잠금부(56b)가 원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부(55)는 리이케이스(50)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전원부(55)에 AC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케이스(50)에 디스플레이(60)와 상기 디스플레이(6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0)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60)를 통해 조명번호 또는 배터리 용량이 표시될 수 있다.
조명번호를 호출하기 위한 제1호출버튼(61)이 상기 리어케이스(50)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6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용량을 호출하기 위한 제2호출버튼(62)이 상기 리어케이스(50)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6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케이스(50)는 상기 배터리장착부(54)가 형성되는 리어월(75)과,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어퍼베젤(31)과 결합되는 리어어퍼월(71)과,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로어베젤(34)과 결합되는 리어로어월(74)과,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사이드베젤(32)과 결합되는 제1리어사이드월(72)과,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사이드베젤(33)과 결합되는 제2리어사이드월(73)을 포함한다.
상기 리어어퍼월(71)은 리어월(75)에서 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로어월(74)은 리어월(75)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은 리어월(75)에서 전방 좌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2리어사이드월(73)은 리어월(75)에서 전방 우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어퍼월(71) 및 리어로어월(74)은 상기 리어케이스(5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기홀(71a)(74a)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 및 리어사이드월(73)에도 상기 리어케이스(5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기홀(72a)(72b)이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장착부(54)는 상기 리어월(75)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월(75)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51), 밝기조절다이얼(52), 전원버튼(53), 배터리장착부(54), 외부전원부(55) 및 배터리 잠금버튼(56)은 리어월(75)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콘텐츠 제작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카메라 또는 삼각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20)에 카메라 또는 삼각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브래킷(80)이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또는 삼각대에 조립된 상태에서 조명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8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브래킷(80)은 상기 케이스(20)에 배치된 제1브래킷(81)과, 상기 제1브래킷(8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브래킷(82)과,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 사이에 조립되고,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레버(8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래킷(81)은 리어케이스(5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래킷(81)은 사출을 통해 상기 리어케이스(5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은 상하 방향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은 서로 엇갈리게 조립된다.
상기 레버(84)는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를 관통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를 조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래킷(82)의 하단에 삼각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85)가 배치된다.
상기 마운트(85)를 삼각대에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84)를 회전시켜 상기 제1브래킷(81) 및 제2브래킷(82)를 느슨하게 풀거나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케이스(20)에 반사판(100)이 조립된다. 상기 반사판(100)은 리어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판(100)은 제1반사판(110), 제2반사판(120) 및 제3반사판(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반사판(110), 제2반사판(120) 및 제3반사판(130)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반사판(110)은 리어어퍼월(71)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리어어퍼월(7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120)은 제1리어사이드월(72)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반사판(130)은 제2리어사이드월(73)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리어사이드월(73)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시 정면을 향하는 제1반사판(110), 제2반사판(120) 및 제3반사판(130)의 일면(111)(121)(131)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반사판(110), 제2반사판(120) 및 제3반사판(130)의 타면(미도시)은 상기 리어어퍼월(71), 제1리어사이드월(72) 또는 제2리어사이드월(73)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00)은 리어케이스(50)에서 회전되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반사판(110) 및 리어케이스(5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112)(113)들이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힌지(112)(113)는 2개가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힌지(112)(113)들은 상기 배기홀(71a)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12)(113)의 일단(제1반사판 측) 또는 타단(리어케이스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힌지(112)(113)의 일단(제1반사판 측)은 제1반사판(110)과 일체로 제작되고, 타단(리어케이스 측)만 배기홀(71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힌지(112)(113)의 타단(112a)은 상기 배기홀(71a)에 삽입되고, 상기 리어케이스(50)에 조립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반사판(120) 및 리어케이스(5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122)(123)들이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힌지(122)(123)는 2개가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힌지(122)(123)들은 상기 배기홀(72a)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122)(123)의 일단(제2반사판 측) 또는 타단(리어케이스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힌지(122)(123)의 일단(제2반사판 측)은 제2반사판(120)과 일체로 제작되고, 타단(리어케이스 측)만 배기홀(72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3반사판(130) 및 리어케이스(5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힌지(132)(133)들이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힌지(132)(133)는 2개가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3힌지(132)(133)들은 상기 배기홀(73a)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3힌지(132)(133)의 일단(제3반사판 측) 또는 타단(리어케이스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힌지(132)(133)의 일단(제3반사판 측)은 제3반사판(130)과 일체로 제작되고, 타단(리어케이스 측)만 배기홀(73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조도가 부족할 경우, 상기 제1반사판(110), 제2반사판(120) 또는 제3반사판(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개하여 빛을 반사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면조명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제1반사판(110), 제2반사판(120) 및 제3반사판(130)가 전개될 경우, 반대편에서 발광된 및을 사용자 측으로 반사하여 사용자 측 조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반사판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반사판을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장치는 제 2 실시예의 반사판(100) 대신 엑스트라 조명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엑스트라 조명장치(200)는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및 제3엑스트라조명(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및 제3엑스트라조명(230)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및 제3엑스트라조명(230)은 각각 온/오프 가능하다. 상기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및 제3엑스트라조명(230)를 각각 온/오프 하기 위해 각각의 온/오프 버튼(215)(225)(235)이 배치된다.
상기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및 제3엑스트라조명(230)을 전개하여 온 시킬 경우, 상기 제 2 실시예의 반사판보다 높은 조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또는 제3엑스트라조명(230) 중 어느 하나만을 전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조명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엑스트라조명(210), 제2엑스트라조명(220) 및 제3엑스트라조명(230)를 리어케이스(50) 측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명패널 20 : 케이스
30 : 프론트케이스 50 : 리어케이스
60 : 디스플레이 80 : 브래킷
90 : 배터리 100 : 반사판
110 : 제1반사판 120 : 제2반사판
130 : 제3반사판

Claims (5)

  1. 전후 방향을 관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30);
    상기 프론트케이스(30)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50);
    상기 프론트케이스(30) 및 리어케이스(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면을 통해 정면으로 노출되는 조명패널(10);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버튼(41);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버튼(43);
    상기 리어케이스(50)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 조절을 위한 색온도조절다이얼(51);
    상기 리어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반사판(1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는,
    상기 조명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베젤(31); 상기 조명패널의 좌측에 배치된 제1사이드베젤(32); 상기 조명패널의 우측에 배치된 제2사이드베젤(33) 및 상기 조명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베젤(34);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케이스(50)는,
    상기 조명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리어월(75);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어퍼베젤(31)과 결합되는 리어어퍼월(71);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로어베젤(34)과 결합되는 리어로어월(74);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사이드베젤(32)과 결합되는 제1리어사이드월(72); 및 상기 리어월(75)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사이드베젤(33)과 결합되는 제2리어사이드월(73);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100)은,
    상기 리어어퍼월(71)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리어어퍼월(7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는 제1반사판(110);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는 제2반사판(120); 및 상기 제2리어사이드월(73)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리어사이드월(73)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는 제3반사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어퍼월(71)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케이스(5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기홀(71a)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반사판(110)은 상기 리어어퍼월(7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힌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112)는 상기 배기홀(71a)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며,
    상기 색온도버튼 또는 색온도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면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밝기조절다이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밝기버튼 또는 밝기조절다이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명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면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온도버튼은 상기 로어베젤에 배치되어 정면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색온도조절다이얼을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면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케이스(5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기홀(72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반사판(120)은 상기 제1리어사이드월(7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힌지(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122)가 상기 배기홀(72a)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면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리어사이드월(73)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케이스(5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기홀(73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반사판(130)은 상기 제2리어사이드월(7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힌지(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힌지(132)가 상기 배기홀(73a)들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면조명장치.
KR1020200150414A 2020-11-11 2020-11-11 면조명장치 KR10231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14A KR102311549B1 (ko) 2020-11-11 2020-11-11 면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14A KR102311549B1 (ko) 2020-11-11 2020-11-11 면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549B1 true KR102311549B1 (ko) 2021-10-08

Family

ID=7811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14A KR102311549B1 (ko) 2020-11-11 2020-11-11 면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5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14Y1 (ko) * 2004-01-15 2004-04-13 주식회사 콘트롤라이트 탈착이 용이한 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정화용 조명기구
KR20130087276A (ko) * 2012-01-27 2013-08-06 남경 주식회사 Led조명 제어용 중앙 제어 컨트롤러 패널
KR101505822B1 (ko) * 2013-12-23 2015-03-25 (주) 코콤 Led 조명기구
KR20150135957A (ko) * 2014-05-26 2015-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5343B1 (ko) 2015-08-10 2017-06-20 박순자 엘이디 면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14Y1 (ko) * 2004-01-15 2004-04-13 주식회사 콘트롤라이트 탈착이 용이한 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정화용 조명기구
KR20130087276A (ko) * 2012-01-27 2013-08-06 남경 주식회사 Led조명 제어용 중앙 제어 컨트롤러 패널
KR101505822B1 (ko) * 2013-12-23 2015-03-25 (주) 코콤 Led 조명기구
KR20150135957A (ko) * 2014-05-26 2015-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5343B1 (ko) 2015-08-10 2017-06-20 박순자 엘이디 면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820B2 (en) Key switch system having indicator lamp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same
EP1677047A4 (en) SURFACE LIGHT SOURCE
KR20070101146A (ko) 전자 장치
JP2007279577A (ja) 電子機器
JPH0327087A (ja) 携帯形情報機器
KR102311549B1 (ko) 면조명장치
JP3685101B2 (ja) 配線器具システム
JP5493858B2 (ja) 携帯電話機
US8777433B2 (en) Keypad ligh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850340B2 (en) Display apparatus
US7726850B2 (en)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apparatus of computer panel
TW201508803A (zh) 開關裝置
JP2006058808A (ja) 液晶表示装置の照明装置
US7780319B2 (en) Computer panel with light-adjusting mechanism
TW20100113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US11556186B1 (en) Backlight control system having at least one movable light sheet that includes at least one light-emitting unit
CN218957580U (zh) 复位结构、按键开关以及智能控制系统
KR101441681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
BRPI0902034A2 (pt) aparelho e componente eletrÈnicos
US7677747B2 (en) Computer panel with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member
KR20100037837A (ko) 컴퓨터용 카메라 조립체
JP3282924B2 (ja) 表示パネル付き照明器具
TWM643692U (zh) 電子鎖與電子鎖之觸控面板裝置
TWM531647U (zh) 具有醒目控制鍵的發光鍵盤
TWM302223U (en) Mainframe with uniform illumina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