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95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957A
KR20150135957A KR1020140063212A KR20140063212A KR20150135957A KR 20150135957 A KR20150135957 A KR 20150135957A KR 1020140063212 A KR1020140063212 A KR 1020140063212A KR 20140063212 A KR20140063212 A KR 20140063212A KR 20150135957 A KR20150135957 A KR 2015013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force
calibration
driv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961B1 (ko
Inventor
이형찬
정연익
안성열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9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및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장착되며,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포함하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디스플레이 본체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과 나란한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구동력 전환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촬영하며, 구동력 전환부로터 전환된 구동력을 통해 제2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며 촬영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는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란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온도, 컬러 균형 및 기타 특성을 조절하여 최적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은 공장에서 제품 생산시 수행되는데, 최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캘리브레이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내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종래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내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국특허출원 US 2006/02740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캘리브레이션 수행시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촬상부가 회전 동작을 통해 배젤 밖으로 나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촬영한다. 그러나, 회전 동작의 특성상, 촬상부의 회전 동작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부품들이 많아지고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밖에 없어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내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또한 커질 수 밖에 없어,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보다 더 슬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장착되며,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과 나란한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구동력 전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촬영하며, 상기 구동력 전환부로터 전환된 구동력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며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는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 구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력 전환부 및 상기 촬상부를 수용하는 캘리브레이션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홀더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리드 스크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전환부는, 상기 구동력 전달부와 상기 촬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가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촬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촬상부를 직선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구동력 전달부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촬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촬상부를 직선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촬상부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캘리브레이션 홀더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부는, 어느 하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직선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홀더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측 배젤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상측 배젤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상측 배젤의 높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전환부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상부의 회전 동작을 위한 수많은 부품들이 구비되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캘리브레이션 유닛이 내장되는 본체 케이싱의 부피 또한 함께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보다 더 슬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모니터, 스마트폰 등 영상을 표시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젼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본체(10) 및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본체(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및 본체 케이싱(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일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한 빛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 케이싱(30)은 디스플레이 패널(20), 캘리브레이션 유닛(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어하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본체 케이싱(30)에는 캘리브레이션 모드시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촬상부(500)를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39)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싱(30)의 상측 배젤(32)에 개구(39)가 형성된다.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색온도, 컬러 균형 및 기타 특성을 조절하여 최적화시키는 것으로써, 본체 케이싱(30) 내에 수용된다.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은 본체 케이싱(30)의 상측 배젤(32) 내에 장착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은 본체 케이싱(30)의 하측 배젤(34), 좌측 배젤(36) 및 우측 배젤(38) 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은 본체 케이싱(30)의 전면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캘리브레이션 모드시, 후술하는 직선 슬라이딩으로 이동되는 촬상부(500)를 상측 배젤(36)에 형성된 개구(39)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앞으로 돌출시켜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색온도, 컬러 균형 및 기타 특성을 조절하여 최적화시킬 수 있다. 촬상부(500)는 촬상부(5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앞으로 돌출될 때, 촬상부(500)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캘리브레이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은 캘리브레이션 홀더(200), 가이드 샤프트(300), 촬상부(500), 구동부(600), 구동력 전달부(700) 및 구동력 전환부(800)를 포함한다.
캘리브레이션 홀더(200)는 가이드 샤프트(300), 촬상부(500), 구동부(600), 구동력 전달부(700) 및 구동력 전환부(800)를 수용하며, 본체 케이싱(30, 도 1 참조)의 상측 배젤(32, 도 1 참조) 내에 평행하게 장착된다.
캘리브레이션 홀더(200)는 베이스 홀더(220) 및 커버 홀더(260)를 포함한다.
베이스 홀더(220)는 가이드 샤프트(300), 촬상부(500), 구동부(600), 구동력 전달부(700) 및 구동력 전환부(800)를 내부에 수용한다. 베이스 홀더(220)는 가이드 샤프트 홈부(224), 촬상 개구(223), 한 쌍의 서브 샤프트 홈(224) 및 슬라이딩 패스(226)를 포함한다.
가이드 샤프트 홈부(224)는 베이스 홀더(22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촬상부(500)의 직선 슬라이딩시 후술하는 촬상부(500)의 제1 슬라이딩 리브(521)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한다. 가이드 샤프트 홈부(224)의 상하측에는 각각 가이드 샤프트(300)가 끼워지는 가이드 샤프트 홈(223)이 형성된다.
촬상 개구(224)는 가이드 샤프트 홈부(224) 옆에 마련되며, 캘리브레이션 홀더(200)에 장착되는 촬상부(500)를 노출시킨다. 촬상 개구(224)는 캘리브레이션 홀더(200)로부터 촬상부(500)의 수직 방향(Y축 방향) 슬라이딩을 가능하도록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다.
한 쌍의 서브 샤프트 홈(22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서브 샤프트 홈(225)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7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서브 샤프트(740)가 끼워진다.
슬라이딩 패스(226)는 구동력 전환부(8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써, 베이스 홀더(2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패스(226)는 제1 패스(227) 및 제2 패스(228)를 포함한다. 제1 패스(227)는 베이스 홀더(2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패스(228)는 제1 패스(227)로부터 연장되며 베이스 홀더(220)의 하측 방향(-Y축 방향)으로 곡선 궤적을 그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홀더(260)는 베이스 홀더(220)의 상부를 커버한다. 커버 홀더(260)는 슬라이딩 패스(226)의 제1 패스(227)를 커버하여 제1 패스(227)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동력 전환부(8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 샤프트(300)는 촬상부(500)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써, 촬상부(500)를 관통하여 가이드 샤프트 홈부(224)의 가이드 샤프트 홈(223)에 끼워진다. 가이드 샤프트(300)는 가이드 샤프트 홈부(224) 내에서 촬상부(500)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촬상부(500)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촬상부(500)에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촬상부(500)는 비촬영시 디스플레이 본체(10, 도 1 참조)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촬영시 디스플레이 패널(20, 도 1 참조)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촬상부(500)는 비촬영시 베이스 홀더(220)의 촬상 개구(224) 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촬영시 캘리브레이션 홀더(200)로부터 하측 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하여 캘리브레이션 홀더(200) 하측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앞으로 돌출된다.
촬상부(500)는 전면 커버(520), 후면 커버(540) 및 촬상 피시비(550)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520)는 후면 커버(540)와 함께 촬상 피시비(550)를 수용한다. 전면 커버(520)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521, 522) 및 가이드 패스 메인 수용홈부(52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521, 522)는 전면 커버(52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리브(521, 522)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리브(521, 522)로 이루어진다. 제1 슬라이딩 리브(521)에는 가이드 샤프트(300)가 관통되는 가이드 샤프트 관통홀(523)이 형성된다.
가이드 패스 메인 수용홈부(525)는 전면 커버(5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패스(226)의 제2 패스(228)를 수용한다. 가이드 패스 메인 수용홈부(525)에는 후술하는 구동력 전환부(800)의 후크부(812)가 끼워지는 절곡 홈(527)이 형성된다. 절곡 홈(527)은 후크부(8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크부(812)를 가이드 패스 메인 수용홈부(525) 내에서 고정한다.
후면 커버(540)는 전면 커버(520)와 결합되어 촬상 피시비(550)를 수용한다. 후면 커버(540)는 가이드 패스 서브 수용홈부(542) 및 촬상 윈도우(545)를 포함한다.
가이드 패스 서브 수용홈부(542)는 후면 커버(540)의 상부에 형성되며, 가이드 패스 메인 수용홈부(525)와 함께 슬라이딩 패스(226)의 제2 패스(228)를 수용한다.
촬상 윈도우(545)는 후술하는 촬상 피시비(550)에 구비되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촬상 윈도우(545)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도 1 참조)의 전면 촬영을 가능할 수 있게 투명창 또는 개구로 구비될 수 있다.
촬상 피시비(550)는 촬상부(500)를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다. 촬상 피시비(550)는 디스플레이 본체(10, 도 1 참조)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촬상부(500)을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부(600)는 촬상부(500)의 직선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베이스 홀더(220)에 장착된다. 구동부(600)는 구동 모터(620) 및 리드 스크류(640)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620)는 캘리브레이션 홀더(200)의 베이스 홀더(220)에 장착된다. 구동 모터(620)는 전원이 인가되면, 리드 스크류(64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620)는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모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리드 스크류(640)는 구동 모터(620)에 장착되며, 촬상부(500)의 직선 슬라이딩 방향(Y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리드 스크류(640)는 베이스 홀더(2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리드 스크류(640)는 구동 모터(620)의 구동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부재(720)를 정방향(-X축 방향) 또는 역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리드 스크류(640)의 구조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력 전달부(700)는 구동부(6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디스플레이 본체(10, 도 1 참조)의 길이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은 상측 배젤(32, 도 1 참조)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말한다. 즉, 구동력 전달부(700)는 구동부(6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전달한다.
구동력 전달부(700)는 가이드 부재(720) 및 서브 샤프트(74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720)는 구동부(600)와 구동력 전환부(800)를 연결하며, 정방향(-X축 방향) 또는 역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리드 스크류(640)에 장착된다. 가이드 부재(720)의 상부에는 구동력 전환부(800)의 끼움 홈(820)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722)가 형성된다.
서브 샤프트(740)는 가이드 부재(7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써, 가이드 부재(720)에 형성된 서브 샤프트 관통홀(724)을 관통하여 베이스 홀더(220)의 한 쌍의 서브 샤프트 홈(225)에 끼워진다.
구동력 전환부(800)는 촬상부(500)와 구동력 전달부(700)를 연결하며, 가이드 패스(226)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동력 전환부(800)는 촬상부(500)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능할 수 있게 구동력 전달부(7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은 상측 배젤(32)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말한다. 즉, 구동력 전환부(800)는 구동력 전달부(7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높이 방향(Y축 방향)으로 전환한다.
구동력 전환부(800)는 구동력 전달부(700)의 슬라이딩에 따라 가이드 패스(226)를 따라 구동력 전달부(700)와 함께 슬라이딩된다. 구동력 전환부(800)는 가이드 패스(226) 내에서의 슬라이딩시 라운드 형상인 제2 패스(228)를 통과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구동력 전환부(800)는 제2 패스(228)에서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라면 판 스프링이 아닌 다른 기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동력 전환부(800)의 일단(810)에는 가이드 패스 메인 수용홈부(525)의 절곡 홈(527)에 끼워지는 후크부(812)가 형성되며, 구동력 전환부(800)의 타단(820)에는 가이드 부재(720)의 끼움 돌기(722)가 삽입되는 끼움 홈(822)이 형성된다. 즉, 구동력 전환부(800)의 양단(810, 820)은 각각 후크부(812) 및 끼움 홈(822)을 통해 각각 촬상부(500) 및 구동력 전달부(70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 전환부(800)는 구동력 전달부(7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촬상부(500)의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력 전환부(800)는 구동력 전달부(700)가 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정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촬상부(500)를 캘리브레이션 홀더(200)의 하측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구동력 전달부(800)가 역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역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하지 않을 때, 즉, 비촬영시, 촬상부(500)는 캘리브레이션 홀더(200) 내에 배치된다. 즉, 촬상부(500)는 앞선 디스플레이 본체(10, 도 1 참조)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 도 1 참조)에서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구동부(600)의 구동 모터(620)로 전원이 인가된다. 구동 모터(620)는 리드 스크류(6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력 전달부(700)의 가이드 부재(720)는 리드 스크류(640)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구동력 전환부(800) 또한 가이드 패스(226)를 따라 정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구동력 전환부(800)는 후크부(812) 및 끼움 홈(822)을 통해 촬상부(500) 및 구동력 전달부(7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력 전달부(700)의 슬라이딩시 촬상부(500)를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하측(-Y축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부(500)는 디스플레이 본체(10) 밖으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 도 1 참조)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고,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반대로,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종료하거나 또는 촬상부(500)를 디스플레이 본체(10) 내로 수용하는 경우, 즉, 촬상부(500)를 제2 위치(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는 위치)로부터 제1 위치(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 모터(620)는 리드 스크류(640)를 전술한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력 전달부(700)의 가이드 부재(720)는 리드 스크류(640)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구동력 전환부(800) 또한 가이드 패스(226)를 따라 역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구동력 전환부(800)에 고정된 촬상부(500)는 구동력 전환부(800)의 역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상측(+Y축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촬상부(500)는 캘리브레이션 홀더(200) 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 도 1 참조)는 캘리브레이션 모드시, 촬상부(50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직선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고, 캘리브레이션 모드 종료시, 촬상부(500)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이동 또한 직선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촬상부(500)를 회전 슬라이딩 동작이 아닌 직선 슬라이딩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앞으로 돌출시키거나 디스플레이 본체(10)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촬상부의 회전 동작을 위한 수많은 부품들이 구비되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캘리브레이션 유닛(5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캘리브레이션 유닛(100)이 내장되는 본체 케이싱(30, 도 1 참조)의 부피 또한 함께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보다 더 슬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장착되며,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캘리브레이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과 나란한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구동력 전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촬영하며, 상기 구동력 전환부로터 전환된 구동력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비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며 촬영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는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 구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력 전환부 및 상기 촬상부를 수용하는 캘리브레이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홀더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리드 스크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환부는,
    상기 구동력 전달부와 상기 촬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가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촬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촬상부를 직선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구동력 전달부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촬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촬상부를 직선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유닛은 상기 촬상부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캘리브레이션 홀더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부는, 어느 하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직선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홀더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측 배젤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상측 배젤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상측 배젤의 높이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환부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63212A 2014-05-26 2014-05-26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12A KR102177961B1 (ko) 2014-05-26 2014-05-2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12A KR102177961B1 (ko) 2014-05-26 2014-05-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57A true KR20150135957A (ko) 2015-12-04
KR102177961B1 KR102177961B1 (ko) 2020-11-12

Family

ID=5486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212A KR102177961B1 (ko) 2014-05-26 2014-05-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49B1 (ko) * 2020-11-11 2021-10-08 김형태 면조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22A (ko) * 1991-06-15 1993-01-15 김정순 신규의 세펨 화합물
KR20060104007A (ko) * 2005-03-29 2006-10-09 주식회사 와이드 모니터 화면보정용 센서 유니트
US20070091127A1 (en) * 2003-10-09 2007-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with a panel of a flat screen
JP2012103294A (ja) * 2010-11-05 2012-05-31 Nanao Corp センサユニット作動機構及び当該センサユニット作動機構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12150136A (ja) * 2011-01-14 2012-08-09 Nanao Corp センサユニット作動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22A (ko) * 1991-06-15 1993-01-15 김정순 신규의 세펨 화합물
US20070091127A1 (en) * 2003-10-09 2007-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with a panel of a flat screen
KR20060104007A (ko) * 2005-03-29 2006-10-09 주식회사 와이드 모니터 화면보정용 센서 유니트
JP2012103294A (ja) * 2010-11-05 2012-05-31 Nanao Corp センサユニット作動機構及び当該センサユニット作動機構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12150136A (ja) * 2011-01-14 2012-08-09 Nanao Corp センサユニット作動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549B1 (ko) * 2020-11-11 2021-10-08 김형태 면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961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197A (en) Zoom lens barrel
KR102272591B1 (ko) 카메라 모듈
US20160070088A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bending optical element
KR20160064941A (ko) 카메라 모듈
KR20080021434A (ko) 촬상 장치용 광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8267602B2 (en) Lens assembly, lens mov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US931338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CN105025210A (zh) 拍摄装置及终端
US9004786B2 (en)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WO2010010692A1 (ja) 駆動装置、画像取得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10292524A1 (en) Focus adjustment device for use in portable image projection apparatus
KR201501359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751699B2 (en) Image blur correcting mechanism and image-capture apparatus
JP4618520B2 (ja)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532418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9538055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217775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焦点調整構造及び焦点調整方法
KR20220001694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
KR20080075641A (ko) 줌렌즈 배럴
JP2014191283A (ja) 撮像装置
KR20200142876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201501359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13863A (ko) 렌즈 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