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67A -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67A
KR20160000667A KR1020140078092A KR20140078092A KR20160000667A KR 20160000667 A KR20160000667 A KR 20160000667A KR 1020140078092 A KR1020140078092 A KR 1020140078092A KR 20140078092 A KR20140078092 A KR 20140078092A KR 20160000667 A KR20160000667 A KR 2016000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fixing member
sealing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216B1 (ko
Inventor
송주근
Original Assignee
송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근 filed Critical 송주근
Priority to KR102014007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는 상호 결합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통해 구조물에 패널을 고정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측을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패널 접촉부위에는 각각 패널과의 접촉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접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실링부재 접착부위에는 실링부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개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FIXING DEVICE FOR BUILDING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재의 재질을 패널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패널과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고정부재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내충격성, 저온 충격 특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지붕이나 벽과 같은 외장용 패널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에는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을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고정부재를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고,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의 패널과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고무재질의 가스켓을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제품의 조립성은 우수하나, 고분자소재의 폴리카보네이트 패널과 알루미늄과의 열변형률이 달라 제품의 규격차가 발생해 기밀성이 떨어지며, 열변형률 차이로 인해 접촉면 사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부 및 하부 고정부재를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패널과의 열변형에 따른 유격이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고무 가스켓이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슬라이딩하지 않으므로 고무 가스켓을 길이방향으로 밀어넣을 수 없어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가 고무 가스켓이 장시간 접촉하는 경우 화학적 분해에 따른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재의 재질을 패널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패널과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고정부재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로 고정부재를 성형하되, 고정부재의 실링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에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표면개질층을 형성하고, 실링부재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리콘의 접착력에 의해 고정부재의 표면개질층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부재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측을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패널 접촉부위에는 각각 패널과의 접촉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접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실링부재 접착부위에는 실링부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개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패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패널을 향해 경사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결합부와 제2고정부재의 제2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간격은 패널의 두께보다 좁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복수 마련되어 중앙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마련된 제1결합부의 사이공간에는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의 제1결합부를 연결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로 고정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재에 실링부재를 접착하기 위해 고정부재의 실링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을 표면 처리하여 친수성을 갖는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실리콘으로 실링부재를 압출 성형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개질층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대기압 플라즈마(Atmospheric pressure Plasma)를 이용하여 패널 접촉부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의 재질을 패널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패널과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고정부재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부재의 실링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에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표면개질층을 형성하고, 실링부재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리콘의 접착력에 의해 고정부재의 표면개질층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부재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제1고정부재의 공정별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제2고정부재의 공정별 상태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는 건축구조물(10)의 골조에 외장용 패널(2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조와 같은 구조물(1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110)와, 제1고정부재(110)와 결합하여 제1고정부재(11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널(20)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조물(10)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1)와, 고정플레이트(111)의 적어도 일측에서 패널(20)을 향해 경사배치되어 패널(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2)와, 복수 마련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의 상면 중앙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113)와, 제1결합부(113)의 측면에 쐐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13a)와, 상기 복수 마련된 제1결합부(113)의 사이공간 중 고정플레이트(1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의 제1결합부(113)를 연결하는 보강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2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상측을 덮는 커버플레이트(121)와, 상기 제1지지부(112)와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121)의 적어도 일측에서 패널(20)을 향해 경사배치되어 패널(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22)와, 복수 마련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121)의 저면 중앙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결합부(123)와, 상기 제2결합부(123)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13)의 결합돌기(113a)와 맞물리는 결합돌기(1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패널(20) 접촉부위에는 각각 패널(20)과의 접촉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S)가 접착되며, 상기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실링부재(S) 접착부위에는 실링부재(S)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개질층(112a,122a)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플레이트(111)와 커버플레이트(121)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구조물(10)의 모서리나 테두리 등에서 패널(20)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 및 시공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10)의 고정플레이트(111) 상면 중앙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결합부(113)의 사이공간으로 제2고정부재(120)의 커버플레이트(121) 저면 중앙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결합부(123)가 삽입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113a,123a)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제1지지부(112)는 고정플레이트(1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측방향으로 경사배치되고, 제2고정부재(120)의 제2지지부(122)재는 커버플레이트(12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측방향으로 경사배치되어, 이후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 사이로 삽입되는 패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사이간격(D1)은 패널(20)의 두께(도 6의 'D2' 참조)보다 좁게 설정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113) 사이공간에는 고정플레이트(1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보강부(114)가 양측 제1결합부(113)를 연결하여 제1결합부(113)에 결합된 제2결합부(123)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제1고정부재(11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를 이용해 패널(20)을 구조물(10)에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10)의 고정플레이트(111) 저면을 구조물(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110)의 상측에서 보강부(114)와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한 스크류(30)의 선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면, 제1고정부재(110)가 구조물(10)에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스크류(30)의 머리부는 보강부(114)에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보강부(114)를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10)의 양측에서 투광성 폴리카보네이트 패널(20)의 단부를 제1고정부재(110)의 제1지지부(112) 상측에 각각 배치하여 패널(20)의 단부가 제1지지부(112)에 지지되도록 한 다음, 제2고정부재(120)의 제2결합부(123)가 제1고정부재(110)의 제1결합부(113)와 마주하도록 제1고정부재(110)의 상측에 제2고정부재(120)를 배치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120)가 제1고정부재(110)를 향하도록 제2고정부재(120)의 커버플레이트(121) 상면을 가압하면, 제2결합부(123)의 결합돌기(123a)가 제1결합부(113)의 결합돌기(113a)와 맞물리면서 제2고정부재(120)가 제1고정부재(110)에 고정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사이간격은 패널(20)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고정부재(120)를 제1고정부재(11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가 각각 패널(20)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표면개질층(112a,122a)에는 각각 실링부재(S)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고정부재(120)를 제1고정부재(110)에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패널(20)의 접촉면이 각각 실링되어 결합부위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를 패널(20)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부재간의 열변형률의 차이에 의해 규격차가 발생하거나, 기밀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열변형률 차이로 인해 접촉면 사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12)와 제2지지부(122)의 실링부재(S)가 접착되는 부위에 표면개질층(112a,122a)을 형성하여 실링부재(S)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실링부재(S)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S)를 실리콘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된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 및 패널(20)의 실링부재(S)와의 접촉부위에서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제1고정부재(110)의 공정별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따른 제2고정부재(120)의 공정별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은 고정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S110)와, 고정부재에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와, 실링부재를 압출 성형하면서 표면개질층에 접착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S11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1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이 마련된 압출 성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로 제1고정부재(110)를 압출 성형한다.
상기 고정부재에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에 실링부재(S)를 접착하기 위해 고정부재의 실링부재(S)가 접착되는 부분을 표면 처리하여 표면개질층(112a)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표면 처리에는 코로나 방전, 유전체 장벽 방전, 대기압 글로우 방전과 같은 대기압 플라즈마(Atmospheric pressure Plasma) 기술이 이용된다.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는 진공챔버를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실링부재(S)가 접착되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표면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된 제1지지부(112)의 실링부재(S) 접합대상부위에 표면개질층(112a)을 형성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된 제1지지부의 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되므로 물질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를 압출 성형하면서 표면개질층에 접착시키는 단계(S130)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S)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이 마련된 압출 성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실리콘으로 실링부재(S)를 압출 성형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제1지지부(112)에 형성된 표면개질층(112a)에 접착시키는 것으로서, 압출 성형기를 통해 압출된 실링부재(S)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실리콘의 접착력에 의해 제1지지부(112)의 표면개질층(112a)에 접착된다. 이때, 상기 표면개질층(112a)에 의해 실링부재(S)의 접착력이 증대되므로, 실링부재(S)가 제1지지부(1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고정부재와 실링부재(S)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을 통과하여 압출되는 용융상태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경화되지 않은 실리콘이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압출 공정을 질소분위기(Nitrogen Blanketing)로 만들어 줌으로써 열산화 분해(Thermo-Oxidative Degradation) 및 블루밍(blooming)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후, 압출 성형된 제1고정부재(110)의 냉각 및 실링부재(S)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1고정부재(110)를 구성하면서,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재(S)를 압출 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제1고정부재(110)에 접착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조립홈이나 조립돌기와 같은 조립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고, 조립돌기를 조립홈에 끼워넣는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간편하면서도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120)의 제조과정은 앞서 설명한 제1고정부재(110)의 제조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제1고정부재, 111:고정플레이트, 112:제1지지부,
112a:표면개질층, 113:제1결합부, 113a:결합돌기,
114:보강부, 120:제2고정부재, 121:커버플레이트,
122:제2지지부, 122a:표면개질층, 123:제2결합부,
123a:결합돌기, 125:실링부재, S:실링부재,
10:구조물, 20:패널, 30:스크류

Claims (8)

  1.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측을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패널 접촉부위에는 각각 패널과의 접촉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접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실링부재 접착부위에는 실링부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개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패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패널을 향해 경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결합부와 제2고정부재의 제2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간격은 패널의 두께보다 좁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복수 마련되어 중앙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마련된 제1결합부의 사이공간에는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의 제1결합부를 연결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7.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로 고정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에 실링부재를 접착하기 위해 고정부재의 실링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을 표면 처리하여 친수성을 갖는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실리콘으로 실링부재를 압출 성형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개질층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대기압 플라즈마(Atmospheric pressure Plasma)를 이용하여 패널 접촉부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제조방법.
KR1020140078092A 2014-06-25 2014-06-25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2A KR101627216B1 (ko) 2014-06-25 2014-06-25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2A KR101627216B1 (ko) 2014-06-25 2014-06-25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67A true KR20160000667A (ko) 2016-01-05
KR101627216B1 KR101627216B1 (ko) 2016-06-09

Family

ID=5516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92A KR101627216B1 (ko) 2014-06-25 2014-06-25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515A (ja) * 2006-02-21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サイディング用役物
KR20090005191U (ko) * 2007-11-26 2009-05-29 송주근 패널의 지지구조
KR20130013332A (ko) * 2011-07-28 2013-02-06 신재호 복합단열패널
KR20130125033A (ko) * 2012-05-08 2013-11-18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구조물 장착을 위한 지붕패널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515A (ja) * 2006-02-21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サイディング用役物
KR20090005191U (ko) * 2007-11-26 2009-05-29 송주근 패널의 지지구조
KR20130013332A (ko) * 2011-07-28 2013-02-06 신재호 복합단열패널
KR20130125033A (ko) * 2012-05-08 2013-11-18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구조물 장착을 위한 지붕패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216B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819B1 (ko) 시일된 유리 조립체용 베젤 패키징 및 유리 조립체
US9223349B2 (en) Low-force dust seal
EP3998150B1 (en) Curved screen attaching device
KR10212008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TW201442228A (zh) 製造顯示裝置之方法與設備
JP2010211185A (ja) 液晶表示装置
CN107797318B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制造方法
JP2007256518A (ja) 液晶表示装置
US2011018795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35305B1 (ko) 디스플레이 배열체 및 그 배열체의 장착
KR20190044122A (ko)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TW20073998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9532203A (ja) 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特に、三重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20190129219A1 (en) Panel module and display device
JP7036058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627216B1 (ko)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2180761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959167B1 (ko) 이중 진공유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 진공유리
KR100801623B1 (ko) 표시장치의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시장치
US20120076966A1 (en) Laminated glazing
WO2016119307A1 (zh) Oled封装结构及oled封装方法
KR20140073081A (ko) 실링용 오링
JP2012093672A (ja) 画像表示装置
KR101527562B1 (ko)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JP4246757B2 (ja) 真空積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