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62B1 -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62B1
KR101527562B1 KR1020130133192A KR20130133192A KR101527562B1 KR 101527562 B1 KR101527562 B1 KR 101527562B1 KR 1020130133192 A KR1020130133192 A KR 1020130133192A KR 20130133192 A KR20130133192 A KR 20130133192A KR 101527562 B1 KR101527562 B1 KR 10152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hole
adhesive film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423A (ko
Inventor
주인화
남희재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to KR102013013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는 제1유리판, 제1유리판의 일측에 접착되는 접착필름, 접착필름에 의해 제1유리판과 결합되는 제2유리판, 제2유리판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 접착필름에 형성되고, 접착필름이 제2유리판과 접착시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 및 보호부싱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고, 볼트헤드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볼트체결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LAMINATED GLASS AND PLATE GLASS ASSEMBLY COMR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헤드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유리 조립체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건물의 외벽 마감방식으로 커튼 월 방식을 사용함으로서, 전면 혹은 부면 유리건물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유리 외벽은 건물자체의 깨끗함과 아름다운 외관을 갖도록 한다. 유리 외벽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창틀 방식에서 탈피하여 유리배면에 창틀을 은폐시키는 포인트 글레이징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특수 가공한 힌지볼트를 접시머리 모양으로 가공된 홈에 결합시켜 유리 표면이 외견상 평탄하며, 내부에는 유리, 로드트러스, 와이어 및 스테인레스 파이프 등으로 구조물을 통해 유리를 지지하도록 한다. 특히 이 시스템은 프레임이나 구조용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디자인이 뛰어나다. 또한 개방감과 채광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다.
포인트 글레이징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리에 힌지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관통공을 통해 외부의 소음이 건물내부로 전달되고, 우천시에 관통공의 틈새로 눈비가 침투하여 힌지볼트가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힌지볼트구조를 채택한 건물외벽 유리의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접합유리 또는 복층유리를 채용함으로서 관통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10-1175351호에 따른 발명은 두겹의 유리를 접착필름으로 부착하고, 건물 외벽 마감재로 사용되어질 유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건물 외벽의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을 보장하려 하였다.
일반적인 접합유리 제작하는데 유리의 접합을 위해 접착필름을 사용한다. 유리를 접합하는 공정에서 접착필름 내부의 공개를 빼는 탈기포과정을 수반하는데 탈기포과정으로 인해 고온의 예압과정에서 접착필름과 힌지볼트 바닥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필름이 늘어나거나 변형된다. 특히 공기는 접합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접착필름과 힌지볼트 주변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런 기포는 장시간 외기에 노출된 경우 외기로부터 수분이 필름으로 침투하거나 강한 태양열선에 의해 기포가 커지는 현상으로 접착필름이 벌어지고 수분이나 이물질이 스며들어가게 된다. 도1은 기포에 의해 변형된 건물 유리 외벽의 실제사진이다. 또한 외벽에 강한 하중이 작용할 경우 압력이 분산되지 않고 힌지볼트 주변에 하중이 집중되어 유리와 힌지볼트 체결부위에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앞서와 같은 종래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볼트 체결구조를 갖는 접합유리의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는 제1유리판, 제1유리판의 일측에 접착되는 접착필름, 접착필름에 의해 제1유리판과 결합되는 제2유리판, 제2유리판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 접착필름에 형성되고, 접착필름이 제2유리판과 접착시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 및 보호부싱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고, 볼트헤드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볼트체결홈이 형성된다.
실시예로서, 제1관통홀의 일측단면은 제1반경을 갖는 원형상이며, 제1관통홀의 타측단면은 제2반경을 갖는 원형상이고, 제2반경은 제1반경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로서, 제2관통홀의 단면은 제3반경을 갖는 원형상이며, 제3반경은 제2반경 보다 크고, 제3반경과 제2반경 차인 버퍼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버퍼간격은 0.1mm ~ 15mm일 수 있다.
실시예로서, 접합유리는 제2관통홀에 형성되고 제2관통홀의 제3반경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볼트 헤드는 보호부싱과 결합시에 제2유리판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는 제1유리판, 제1유리판의 일측에 접착되는 접착필름, 접착필름에 의해 제1유리판과 결합되는 제2유리판, 제2유리판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 접착필름에 형성되고, 접착필름이 제2유리판과 접착시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접착홈,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 및 보호부싱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고, 볼트헤드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볼트체결홈이 형성된다.
실시예로서, 접착홈의 깊이는 1mm~2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는 볼트헤드에 나사결합하는 힌지볼트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힌지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볼트체결홈에 삽입되어 볼트헤드와 나사결합하는 착탈구를 포함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착탈구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플렌지를 포함하며, 플렌지는 착탈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2유리판의 제1관통홀 일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실시예로서, 유리 조립체는 플렌지와 제2유리판 사이에 형성된 기밀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힌지볼트는 착탈구에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볼트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볼트헤드와 제2유리판 사이에 형성된 보호부싱 두께의 이격간격에 탄성층이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및 유리 조립체에 의하면, 접합유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접착필름과 힌지볼트 주변에 기포 발생빈도가 줄어들게 되고, 접착필름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외력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켜 힌지볼트 체결부위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1은 기포에 의해 변형된 건물 유리외벽의 실제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4은 버퍼간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링을 포함하는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제조공정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분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0a는 종래기술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측단면도이다.
도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측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 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는 건물의 외벽마감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유리배면에 창틀을 은폐시키는 포인트 글레이징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최적화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 사용되는 접합유리는 건물수명과 직결되어 내구성, 단열성, 수밀성, 기밀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제1유리판(100), 제1유리판(100)의 일측에 접착되는 접착필름(500), 접착필름(500)에 의해 제1유리판(100)과 결합되는 제2유리판(200), 제2유리판(200)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220), 접착필름(500)에 형성되고, 접착필름(500)이 제2유리판(200)과 접착시 제1관통홀(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520A),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320) 및 보호부싱(320)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볼트헤드(420)를 포함하고, 볼트헤드(420)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을 포함하는 볼트체결홈(440)이 형성된다.
제1유리판(100)은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면의 유리일 수 있으며, 강화유리 또는 반강화유리일 수 있다.
제2유리판(200)은 힌지볼트가 직접 체결되는 유리판으로서 제1유리판(100)과 마찬가지로 강화유리 또는 반강화유리일 수 있다. 특히 제2유리판(200)에는 제1관통홀(220)이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리판(200)에 형성된 제1관통홀(220)에는 볼트헤드(420)와 보호부싱(320)이 삽입체결된다. 또한 제2유리판(200)에 형성된 제1관통홀(220)은 제2유리판(200)이 접착필름(500)과 접촉하지 않는 면 방향의 원반경인 제1반경이 접착필름(500)과 접촉하는 면 방향의 원반경인 제2반경보다 더 작다. 즉 제1관통홀(220)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1관통홀(220)에 삽입되어질 볼트헤드(420)와 보호부싱(320)이 제2유리판(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보호부싱(320)은 볼트헤드(420)가 보호부싱(320) 내부로 삽입고정되어 제2유리판(200)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하고, 볼트헤드(4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헤드(420)의 원주형상과 같은 형상이다. 보호부싱(320)의 재질은 알루미늄 금속재일 수 있으며, 외기의 염분이나 내화학성을 요하는 주변환경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일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테프론,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세틸, PET,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일 수 있다. 보호부싱(320)의 높이는 볼트헤드(42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보호부싱(320)이 볼트헤드(420)와 함께 제2유리판(200)에 삽입체결된 경우 돌출되지 않는다.
볼트헤드(420)는 힌지볼트가 체결되어 접합유리(10)를 고정시키는 연결부이다. 볼트헤드(420)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을 포함하는 볼트체결홈(440)이 형성된다. 볼트헤드(420)는 알루미늄 재질이거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볼트헤드(420)의 높이는 제2유리판(200)의 두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볼트헤드(420)가 제2유리판(200)에 삽입체결된 경우 돌출되지 않는다.
보호부싱(320)과 볼트헤드(420)의 형상은 앞서 제1관통홀(2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착필름(500)은 양면이 접착성을 갖는 필름으로서, 제1유리판(100)과 제2유리판(200)을 접착시킨다. 접착필름(500)은 제1유리판(100) 또는 제2유리판(200)과 동일한 형상과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PVB필름, 고분자 수지계열의 접합용 필름(EVA필름), 자외선 경화형 필름 또는 소음차단용 기능성 필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필름(500)에는 제2관통홀(520A)이 형성된다.
제1유리판(100)과 제2유리판(200)이 접착필름(500)에 의해서 접합될 때, 제2유리판(200)에 형성된 제1관통홀(220)과 접착필름(500)에 형성된 제2관통홀(520A)의 원호중심을 일치시켜 접합시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도3에 도시된 단면을 갖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접착필름(500)의 제2관통홀(520A)에 의해서 원판형상의 공동(空洞)(520B)이 형성된다.
접착필름(500)의 제2관통홀(520A)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520B)에 의해 접착필름(500)과 볼트헤드(420) 및 그 주변에 발생하던 기포결함이 제거된다. 즉 일반적인 대형유리의 접합공정에서 접착필름(5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빼는 탈기포 과정시에 접착필름면과 볼트헤드(420)의 온도차로 인한 미세기포의 잔류위험을 없앨 수 있어 앞서 살펴본 도1과 같은 미세기포에 의한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4은 버퍼간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평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반경을 비교하면, 제1관통홀의 반경인 제1반경, 제2반경과 제2관통홀의 반경인 제3반경은 제1반경 < 제2반경 < 제3반경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반경과 제3반경의 차이는 버퍼간격(550)이라 하고, 버퍼간격(550)은 0.1mm ~ 20mm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 ~ 15mm 일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버퍼간격(550)은 접착필름(500)과 보호부싱(3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된다. 버퍼간격(500)이 0.1mm이하인 경우에는 접합유리 제조과정에서 볼트헤드(420) 및 보호부싱(320)을 삽입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온, 고압의 접합과정에서 접착필름(500)이 다소 변형되는 경우 접착필름(500)이 보호부싱(32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더불어 버퍼간격(550)이 20mm이상인 경우에는 접합유리(10)의 접착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수밀성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의 기밀성, 수밀성, 접착력 및 굽힘하중을 실험결과를 통해 살펴본다.
<실험예 1>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와 같이 접착필름(500)에 제2관통홀(520)을 형성하고 제2관통홀(520)에 의해 형성되는 버퍼간격(550)을 변화시켜 온도별 기포의 개수(기밀성, 수밀성)과 접착력, 굽힘하중을 시험하였고, 대조군으로 제2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접합유리의 기밀성, 수밀성과 접착력, 굽힘하중을 시험하였다
제1유리판(100)의 두께는 6mm이고 접착필름(500)의 두께는 1.52mm, 제2유리판(200)의 두께는 12mm이다.
구분
버퍼간격
(mm)
기밀성
(온도별 기포개수)
수밀성
(기포개수)
접착력
(MPa)
굽힘
하중
(kg)
상온 105℃ 120℃ 135℃ 150℃ 시험전 시험후
실험군
(본발명)
1.5 0 0 0 2 5 0 0 8.6 2005
5.4 0 0 0 1 3 0 0 8.5 2000
10.2 0 0 0 0 6 0 0 8.1 2000
14.6 0 0 0 3 10 0 1 7.8 2000
대조군
(종래
기술)
0 0 2 5 16 34 0 8 8.8 2010
표1은 기밀성, 수밀성, 접착력, 굽힘하중 시험 결과 데이터이다.
기밀성 시험은 밀폐된 오븐에 동일 20매 접합유리 시편 450mm×450mm을 투입하여 상온에서부터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2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꺼내 볼트헤드(420)와 보호부싱(320), 공동(520B) 및 주변부 반경 50mm이내에서 발생한 기포의 개수를 측정한다.
수밀성 시험은 KS L 2004 접합유리 규격에 따라 내열성을 평가한 것으로 3매 접합유리 시편 300mm×300mm을 약 65℃ 온도의 물속에 수직으로 세워 3분이 경과한 후, 재빨리 끊는 물속에 잠기도록 2시간 동안 담갔다가 꺼내어 볼트헤드(420)와 보호부싱(320), 공동(520B) 및 주변부 반경 50mm이내에서 발생한 기포의 개수를 측정한다.
접착력 시험은 통상적인 접착필름 제조회사에서 사용한 접촉전단강도 CSS(Contact Shear Strength)로 표현되며, 두장의 유리를 접착필름(500)으로 접합한 후 각각의 유리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단압력을 가하여 접착필름(500)이 떨어져 나갈 때 가해진 압력을 측정한다.
굽힘하중 시험은 접합유리(10) 시료에 4점 지지한후 하중을 가하여 볼트헤드(420) 주변이 파손되는 최소하중을 측정한 시험이다.
기밀성 시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버퍼간격(550)이 1.5mm인때 150도의 온도에서 5개의 기포가 발생하였고, 버퍼간격(550)이 10mm를 넘어서 점점 커질수록 온도별 기포 발생 개수는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버퍼간격(550)이 0.1mm~15mm인 경우 기밀성이 가장 우수하다.
수밀성 시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버퍼간격(550)이 14.6mm인 경우에만 볼트헤드(420)와 보호부싱(320), 공동(520B) 및 주변부에 1개의 기포만 발견되었고, 대조군의 경우 수밀성 시험후 기포가 총 8개 발견되었다.
특히 종래기술인 접착필름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접합유리의 경우 접착력은 8.8MPa로 우수할지 모르나 기밀성, 수밀성에 있어서는 가장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버퍼간격(550)이 15mm이상인 경우에는 버퍼간격(550)이 15mm이하인 경우에 비해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와 같이 접착필름(500)에 제2관통홀(520A)이 형성되고, 버퍼간격(550)이 0.1mm ~ 15mm인 경우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접착력, 굽힘하중에는 큰 변화가 없으면서 기밀성, 수밀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제2관통홀(520A)에 형성되고 제2관통홀(520A)의 제3반경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형링(600)을 더 포함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링을 포함하는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520B)에 제1유리판(100)과 보호부싱(320) 또는 볼트헤드(420)의 밑면 사이에 형성된 원형링(600)이 추가된다. 원형링(600)은 수밀성, 기밀성, 내후성이 우수한 실리콘 계열의 고무수지, NBR(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EPDM(에틸렌 프로필렌디엔), IIR(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혹은 부틸고무)재질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링(600)은 공동(520B)에 삽입될 때, 보호부싱과 볼트헤드의 밑면과 부착될 수 있다. 실리콘 계열의 고무수지 재질인 원형링(600)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호부싱(320)과 볼트헤드(4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원형링(600)의 두께는 접착필름(5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0.1 ~ 0.3mm 더 두꺼울 수 있다. 원형링(600)은 도넛형상이며 볼트헤드(420)의 주변부 및 보호부싱(320)을 감싸고, 볼트헤드(420) 전체를 덮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링(600)을 포함하는 접합유리(10)에 대해서 앞선 실험예 1과 같은 실험조건하에서 기밀성, 수밀성, 접착력 및 굽힘하중을 측정하였다.
구분
버퍼간격
(mm)
기밀성
(온도별 기포개수)
수밀성
(기포개수)
접착력
(MPa)
굽힘
하중
(kg)
상온 105℃ 120℃ 135℃ 150℃ 시험전 시험후
실험군
(본발명)
1.7 0 0 0 0 3 0 0 8.5 2005
대조군
(종래
기술)
0 0 2 5 16 34 0 8 8.8 20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링(600)을 포함하는 접합유리(10)의 경우 기밀성 시험결과, 150℃에서 3개의 기포가 발생하였고, 수밀성 시험결과, 대조군에는 총 8개의 기포가 발생하였다. 즉 원형링(600)을 포함하는 접합유리(10)의 기밀성, 수밀성은 종래기술에 비해 확연히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비해 접착력과 굽힘하중에는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의 기밀성, 수밀성이 향상됨을 접합유리(10)의 제조공정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제조공정이다.
접합유리(1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제2유리판(200)에 제1관통홀(22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 다음으로 제2유리판(200)에 제1관통홀(220)을 형성함으로서 식각된 유리파편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2유리판(200)을 세척하고 이를 건조시킨다(S2). 다음으로 제2유리판(200)에 형성된 제1관통홀(220)로 볼트헤드(420)와 보호부싱(320)을 삽입한다(S3). 그리고 제2유리판(200) 일측에 접착필름(500)을 접착시킨다(S4). 이때 접착필름(500)에는 제2관통홀(5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후 제1유리판(100)과 제2유리판(300)을 접착시킨다.(S5) S5공정까지 완료된 접합유리는 앞선 도3의 단면형태를 갖춘다. 그 다음으로 내부 미세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접합유리를 예압으로 고온처리한다(S6). 이때 미세기포는 공동을 지나 볼트헤드(420), 보호부싱(320), 제1관통홀(220) 사이 미세공간으로 빠져나간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미세기포를 제거하는 공정시에 미세기포의 배출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S6공정 수행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는 잔류 미세기포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접착필름(500)에 제2관통홀(520A)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접착필름(500)에 제2관통홀(520A)을 형성하지 않고, 제2유리판(200)에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320), 볼트헤드(42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착필름(500)이 접착홈(530A)을 포함하는 접합유리(1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분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는 접착필름(500)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지 않고, 접착홈(530A)이 형성된다. 접착홈(530A)이 형성됨으로 인해 제1유리판(100)이 제2유리판(200)과 접착필름(500)에 의해 접합되더라도 제2유리판(200)에 형성되는 볼트헤드(420) 및 보호부싱(320)과 접착필름(500)은 서로 접합되지 않는다. 또한 접착필름(500)에 형성된 접착홈(530A)의 크기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버퍼간격(550)이 형성될 수 있을 만큼 클 수 있으며, 더불어 버퍼간격(550)은 0.1mm~15mm일 수 있다.
제1유리판(100)과 제2유리판(200)이 접착홈(530A)이 형성된 접착필름(500)에 의해서 접합되면, 공동(空洞)(520A)이 형성된다. 접착홈 깊이(540), 즉 접착홈이 형성된 접착필름면과 접착홈을 향하는 볼트헤드면 또는 보호부싱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1~2mm일 수 있다. 접착홈 깊이(540)가 1mm이하인 경우 접착홈(530A)과 볼트헤드(420) 또는 보호부싱(320)이 서로 부착될 가능성이 있으며, 2mm이상인 경우 접착홈(530A)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보호부싱(320) 단면적이 감소되어 외부 하중을 골고루 분배시키는 효과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홈이 형성된 접착필름(500)을 포함하는 접합유리(10)는 잔류하는 미세기포의 배출이 용이하여 기밀성, 수밀성이 향상되고, 제1유리판(100)과 제2유리판(200)의 접착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에 대해서 살펴본다. 앞서 설명한 접합유리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20)는 접합유리(10)에 형성된 볼트헤드(420)와 나사결합하는 힌지볼트(700)를 포함한다.
힌지볼트(700)는 착탈구(720), 플렌지(740), 유니버셜조인트(760), 볼트샤프트(780)를 포함한다.
착탈구(7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볼트체결홈(440)에 삽입되어 볼트헤드(420)와 나사결합한다. 플렌지(740)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착탈구(72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한다. 플렌지(740)는 착탈구(720)를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2유리(200)의 벽면에 밀착하여 제2유리판(200)의 제1관통홀(220) 일측을 밀폐시킨다. 특히 플렌지(740)와 제2유리판(200) 사이에 형성된 기밀링(742)에 의해서 플렌지(740)가 보다 견고하게 제2유리(200)의 벽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힌지볼트(700)는 착탈구(720)에 유니버셜조인트(7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볼트샤프트(780)를 포함한다. 힌지볼트(700)가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어 접합유리(10)를 지지하고, 접합유리(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합유리(10)가 파손되지 않도록 볼트샤프트(780)가 회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20)는 볼트헤드(420)가 삽입된 제2유리(200)의 제1관통홀(220)에 형성된 보호부싱(320) 두께의 이격간격에 탄성층(800)이 충진된다. 탄성층(800)은 일정한 탄력을 갖는 우레탄 층일 수 있으며, 볼트헤드(420)에 전달되는 외부층격 및 진동전달이 탄성층(800)에서 흡수되어질 수 있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2관통홀(220) 주변의 기밀성, 수밀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2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종래기술인 접착필름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접합유리를 사용한 경우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접착필름(500)에 제2관통홀(520A)이 형성된 접합유리(10)를 사용한 경우의 힘의 분산정도를 비교해본다.
도10a는 종래기술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측단면도이다.
도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측단면도이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압이 작용할 경우 제2유리(1000)에 스트레스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볼트의 유니버셜조인트가 회전하면서 접착필름(5000)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주게되고, 접착필름(5000) 과열로 인해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10b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조립체에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10a에 도시된 종래기술인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의 경우에는 정압, 부압시에 타원형으로 도시된 영역이 힘을 받아 압력이 커지게 되고 제1유리판(1000)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제1유리판(1000)은 반드시 강화유리를 사용해야한다. 반면에 도10b에 도시된 유리 조립체의 경우에는 정압, 부압시 타원형으로 도시된 영역이 힘을 받아 힘이 분산되고 그만큼 압력(힘/면적)은 줄어들게 되어 제1유리판(100)에 반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10)를 사용하는 유리 조립체(20)는 힌지볼트부위에 발생하는 과열현상에도 불구하고 미세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이를 통해 유리 조립체(20)의 변형에 의한 수명단축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힘에 의해 접합유리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제1유리판(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100 제1유리판 200 제2유리판
220 제1관통홀 320 보호부싱
420 볼트헤드 440 볼트체결홈
500 접착필름 520A 제2관통홀
520B 공동 530A 접착홈
540 접착홈 깊이 550 버퍼간격
600 원형링 700 힌지볼트
720 착탈구 740 플렌지
742 기밀링 760 유니버셜조인트
780 볼트샤프트 800 탄성층

Claims (13)

  1. 제1유리판(100);
    상기 제1유리판(100)의 일측에 접착되는 접착필름(500);
    상기 접착필름(500)에 의해 상기 제1유리판(100)과 결합되는 제2유리판(200);
    상기 제2유리판(200)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220);
    상기 접착필름(500)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필름(500)이 상기 제2유리판(200)과 접착시 상기 제1관통홀(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520A);
    상기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320); 및
    상기 보호부싱(320)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볼트헤드(42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헤드(420)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볼트체결홈(4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220)의 일측단면은 제1반경을 갖는 원형상이며, 상기 제1관통홀(220)의 타측단면은 제2반경을 갖는 원형상이고, 상기 제2반경은 상기 제1반경보다 크며,
    상기 제2관통홀(520A)의 단면은 제3반경을 갖는 원형상이며, 상기 제3반경은 상기 제2반경 보다 크고, 상기 제3반경과 상기 제2반경 차인 버퍼간격(550)을 형성하고,
    상기 버퍼간격(550)은 1.5mm ~ 14.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520A)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520A)의 상기 제3반경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형링(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420)는 상기 보호부싱(320)과 결합시에 상기 제2유리판(20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7. 제1유리판(100);
    상기 제1유리판(100)의 일측에 접착되는 접착필름(500);
    상기 접착필름(500)에 의해 상기 제1유리판(100)과 결합되는 제2유리판(200);
    상기 제2유리판(200)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220);
    상기 접착필름(500)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필름(500)이 상기 제2유리판(200)과 접착시 상기 제1관통홀(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접착홈(530A);
    상기 제1관통홀(220)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보호부싱(320);및
    상기 보호부싱(320)의 내주면과 삽입체결되는 볼트헤드(42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헤드(420)에는 나사산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볼트체결홈(4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530A)에 의해 버퍼간격(550)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간격(550)은 1.5mm ~ 14.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홈(530A)에 형성된 접착홈 깊이(540)는 1mm~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9. 제1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접합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로서,
    상기 볼트헤드(420)에 나사결합하는 힌지볼트(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볼트(7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홈(440)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헤드(420)와 나사결합하는 착탈구(720)를 포함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착탈구(72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플렌지(74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렌지(740)는 상기 착탈구(72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제2유리판(200)의 제1관통홀(220) 일측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740)와 상기 제2유리판(200) 사이에 형성된 기밀링(7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볼트(700)는 상기 착탈구(720)와 결합하는 유니버셜조인트(7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볼트샤프트(7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420)와 상기 제2유리판(20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보호부싱(320) 두께의 이격간격에 탄성층(800)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조립체.
KR1020130133192A 2013-11-04 2013-11-04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KR10152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92A KR101527562B1 (ko) 2013-11-04 2013-11-04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92A KR101527562B1 (ko) 2013-11-04 2013-11-04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23A KR20150052423A (ko) 2015-05-14
KR101527562B1 true KR101527562B1 (ko) 2015-06-10

Family

ID=5338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192A KR101527562B1 (ko) 2013-11-04 2013-11-04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274B1 (en) 2016-02-22 2020-02-18 Apple Inc. Glass fastening and sealing systems
FR3062593A1 (fr) * 2017-02-03 2018-08-10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e dont une seule feuille de verre presente un trou travers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5991A2 (en) * 1992-02-13 1993-08-18 Pilkington Plc Glazing assemblies
JP2005320214A (ja) * 2004-05-11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2005350290A (ja) * 2004-06-09 2005-12-22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KR20110087890A (ko) * 2010-01-27 2011-08-03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5991A2 (en) * 1992-02-13 1993-08-18 Pilkington Plc Glazing assemblies
JP2005320214A (ja) * 2004-05-11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2005350290A (ja) * 2004-06-09 2005-12-22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KR20110087890A (ko) * 2010-01-27 2011-08-03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23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02347C (zh) 热声窗户的组装系统
KR20160095129A (ko) 압출된 프로파일링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US4893443A (en) Sealed double glazing unit
JPH10331305A (ja) 高い遮断力をもつガラスを嵌めた要素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KR20170094291A (ko) 절연 글레이징
KR101527562B1 (ko) 접합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 조립체
JP4901378B2 (ja) 合わせガラス支持構造
KR20200133241A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EP2432636B1 (en) Laminated glazing
JP7312331B2 (ja) 向上した接着性を有するスペーサ
US10953634B2 (en) Composite glass unit and use of a composite glass unit as a functional element of a building
US7823365B2 (en) Load bearing laminates
JP3120962B2 (ja) ガラス板の支持構造
KR101175351B1 (ko)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JP3426515B2 (ja) 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支持構造
WO2019188497A1 (ja) ガラスパネル支持構造
KR101708530B1 (ko)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공유리 패널
JP4366830B2 (ja) 合わせガラス
JPH0988223A (ja) 複層ガラス板およびその支持構造
JPH10306658A (ja) 複層ガラスパネル
JPH09328853A (ja) ガラス板の支持構造
JPH0475974B2 (ko)
JP2001302290A5 (ko)
JPH09170280A (ja) 合わせガラスの取付け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