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23U -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23U
KR20160000623U KR2020140007021U KR20140007021U KR20160000623U KR 20160000623 U KR20160000623 U KR 20160000623U KR 2020140007021 U KR2020140007021 U KR 2020140007021U KR 20140007021 U KR20140007021 U KR 20140007021U KR 20160000623 U KR20160000623 U KR 20160000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s
abrasion
abrasion resistant
film
resistant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신 조우
Original Assignee
아너 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너 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너 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0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2Polyurethanes or polythiourethanes; Polyurea or polythiou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25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1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attached to mobile objects, e.g. portable tools, elevators, mining equipment, hois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75Multi-layer sheaths
    • H01B7/188Inter-layer adherence promo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2개의 상대적인 운동수단 사이에 연결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는, 내마모성 가요막 및 다수 개의 전송선을 포함한다. 내마모성 가요막의 내부 표면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둘러싸이고, 그 내부 표면상에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다수 개의 전송선은, 폭 방향으로 일렬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호간에 인접하고, 각각의 인접한 전송선은 상호간에 밀착된다. 다수 개의 전송선은 접착제에 의하여 내마모성막의 내부 표면에 고착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전송선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끝단에는 접합요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FLEXIBLE TRANSMISSION LINE ASSEMBLY}
본 고안은 전송선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두 개의 운동수단 사이에 접속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송선 조립체는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두 개의 운동수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수 개의 전송선 및 그 다수의 전송선을 보호하는 견인선을 포함한다. 견인선은 상호간에 구부릴 수 있는 방식의 다수 개의 경첩과 연결되는 앞과 뒷 끝단을 포함한다. 견인선의 한쪽 끝단은 운동가능한 수단에 부착되고, 견인선의 다른 끝단은 고정수단 또는 바닥에 부착된다. 각 경첩의 내부에는 가요성 전송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하지만, 통상의 전송선 조립체의 가격은 경첩의 개수에 비례한다. 경첩이 많을수록, 구입비용도 증가된다. 부가적으로, 사용 중이 아닌 부피가 큰 견인선을 보관하기 위하여 커다란 저장 공간도 필요하다. 또한, 강철 견인선은 움직일때 높은 데시벨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반면, 플라스틱 견인선 및 그의 전송선들은 상호간에 마모되기 쉽고, 그것은 환경에 대하여 먼지오염의 원인으로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은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2개의 운동수단 사이에 연결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한다. 통상의 전송선 조립체와 비교할 때, 본 고안이 제공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는 저가, 경량, 점유공간 불요, 소음공해뿐만 아니라 왕복운동중의 먼지공해가 없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2개의 운동수단 사이에 연결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로서:
내부 표면으로 둘러싸임으로써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 표면상에는 접착제가 배치되는 내마모성 가요막(可撓膜); 및,
폭 방향으로 일렬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호간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다수 개의 전송선으로서, 각각의 인접한 전송선은 상호간에 밀착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전송선은 접착제에 의하여 내마모성막의 내부 표면 및, 상기 다수 개의 전송선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끝단에 각각 접합요소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전송선을 포함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가요막이 다수 개의 전송선들의 외부표면 상에 피복된 내마모성 가요시트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가요막의 두 개의 모서리부가 상기 다수 개의 전송선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곳에 중첩부가 있으며; 그 두 개의 중첩부는 상호간에 중첩되고 그 중첩부는 다른 중첩부상에 접착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가요막이 다수의 전송선의 외부 표면에 피복된 두 장의 내마모성 가요시트로 만들어지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내마모성 가요시트의 두 개의 모서리부가 상기 전송선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곳에 중첩부가 있으며; 그 중첩부는 각각 다른 내마모성 가요시트의 중첩부상에 접착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첩부의 내부 표면이 접착제에 의해 다른 중첩부의 내부 표면 상에 고착된,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가요막에는 다수의 전송선들의 외부 표면에 부분적으로 부착된 피복부가 마련되며, 그 피복부와 다수의 전송선들 사이의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 간극이 형성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가요막에는 다수 개의 전송선의 외부 표면에 완전히 고착된 피복부가 마련되어 수용 공간 내의 기체를 완전히 방출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마모성 가요막이 PU(폴리 우레탄), TPFE(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질 수 있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제가 실리콘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될 수 있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특유의 기능을 통해, 내마모성 가요막은 낮은 단가를 가지며,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는 경량이기 때문에,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하는 두 개의 운동수단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의 내마모성 가요막이 박편이므로, 저장공간을 차지하지 않아서 저장하기 편하다. 또한, 내마모성 가요막이 다수의 전송선들에 밀착하여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 가요막이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하는 두 개의 운동수단 사이에서 사용될 때라도 내마모성 가요막과 전송선의 사이에 마모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채택되는 구성 및 기술적 수단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2개의 운동수단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들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기재내용은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되며,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100)은 하나의 내마모성 가요막(1) 및 3 개의 전송선(2)을 포함한다.
내마모성 가요막(1)은 양호한 가요성 및 내마모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내마모성 가요막(1)은 PU(폴리 우레탄), TPFE(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수용공간(S)는 내마모성 가요막(1)의 내부 표면(11)이 둘러싸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접착제(12)가 그 내부 표면(11)에 배치된다. 접착제(12)는 실리콘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선(2)들은 멀티-코어 와이어이며, 바깥지름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선(1)은 싱글-코어 와이어이거나, 또는 싱글-코어 와이어와 멀티-코어 와이어의 조합으로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송선들(2a)은 평평한 형상의 멀티 코어 와이어들이다(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이, 전송선들(2a)의 바깥지름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송선(2)들은 폭 방향(W)에서 일렬로 상호간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수용 공간(S)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전송선(2)들은 상호간에 인접하여 밀착된다. 전송선(2)들은 접착제(12)의 수단에 의하여 내마모성 가요막(1)의 내부 표면(11)에 고착되어 있다. 접합요소(20)은 그의 길이방향(L)으로 상기 다수의 전송선들의 두 개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이 접합요소들(20)은 각각 두 개의 제어수단(300)에 접속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1)은 전송선(2)의 외부 표면(21) 상에 피복된 내마모성 가요시트(10)로 만들어진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가요시트(10)는 피복부(13) 및 두 개의 중첩부(14)로 구성되어 있다. 피복부(13)는 전송선(2)들의 외부 표면(21)에 접착제(12)에 의하여 완전히 고착되어 있고, 수용 공간(S)내의 가스는 완전히 방출된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전송선(2)들의 외부 표면(21)이 피복부(13)로 먼저 피복되고, 그 후에 피복부(13)가 전송선(2)들의 외부 표면(21)에 완전히 접착될 수 있도록 내마모성 가요막(1)과 전송선(2)들 사이의 가스가 방출된다. 중첩부(14)들은 내마모성 가요시트(10)의 두 개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전송선(2)들의 폭 방향(W)를 따라서 연장됨으로써 생기는 것이다. 두 개의 중첩부(14)들은 상호간에 접착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중첩부(14)의 내부 표면은 다른 중첩부(14)의 내부 표면에 접착제(12)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첩부(14)의 내부 표면은 다른 중첩부(14)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100)는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제어수단(300) 및 로봇팔 수단(301)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전송선(2)들은 상기제어수단(300)에서 생성된 전력신호 및 제어신호를 로봇팔 수단(301)으로 전송한다. 로봇팔 수단(301)은 전력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평방향에서의 왕복 운동을 행한다. 세 개의 전송선(2)들은 내마모성 가요막(1)의 가요성 덕분에 로봇팔 수단(301)에 의하여 동시에 견인된다. 내마모성 가요막(1)은 세 개의 전송선들(s)에 밀착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결과, 왕복 운동 수행 도중에 내마모성 가요막(1)과 세 개의 전송선(2)들 사이에 충돌이나 마모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100)는 소음이나 먼지공해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100a)와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10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의 세부사항도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차이점은 내마모성 가요막(1a)이 다수의 전송선들(2a)의 외부 표면(21)상에 각각 피복된 두 개의 내마모성 가요시트(10a)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내마모성 가요시트(10a)는 두 개의 중첩부(14a)(14b)와 함께 전송선들(2a)의 폭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내마모성 가요시트(10a)의 두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내마모성 가요시트(10a)의 중첩 부분(14a/14b)의 내부 표면은 다른 내마모성 가요시트(10a)의 중첩 부분(14a/14b)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내마모성 가요시트(10a)의 피복부(13)는, 그 피복부(13)와 다수의 전송선(2a)들 사이의 비접착 부분의 사이에 간극(I)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전송선(2a)들의 외부 표면(21)에 접착제(12)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기술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술한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른 구조적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 1a : 내마모성 가요막(可撓膜) 2, 2a : 전송선
11 : 내부 표면 12 : 접착제
13 : 피복부 14, 14b : 중첩부
20 : 접합요소 21 : 외부 표면
100, 100a :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300 : 제어수단
301 : 로봇팔 수단
I : 간극 L : 길이방향
S : 수용공간 W : 폭방향

Claims (10)

  1. 상호간에 대하여 운동가능한 2개의 상대적인 운동수단 사이에 연결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로서:
    내부 표면이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둘러싸이고, 그 내부 표면상에는 접착제가 배치되는 내마모성 가요막(可撓膜); 및,
    폭 방향으로 일렬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호간에 인접한 다수 개의 전송선으로서, 각각의 인접한 전송선은 상호간에 밀착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전송선은 접착제에 의하여 내마모성막의 내부 표면 및, 상기 다수 개의 전송선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끝단에 각각 접합요소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전송선을 포함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이 다수 개의 전송선들의 외부표면을 둘러싸는 내마모성 가요시트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의 두 개의 모서리부에는 내마모성 가요막의 폭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중첩부가 형성되고, 두 개의 중첩부는 상호간에 고정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이 다수 개의 전송선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는 내마모성 가요시트로서 마련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내마모성 가요시트의 두 개의 모서리부에는 내마모성 가요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두 개의 중첩부가 형성되고, 한 개의 내마모성 가요시트의 중첩부들은 다른 내마모성 가요시트의 중첩부들에 고정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중첩부의 내부 표면이 접착제에 의해 다른 중첩부의 내부 표면 상에 고착된,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에는 다수의 전송선들의 외부 표면에 부분적으로 부착된 피복부가 마련되며, 부착되지 않은 피복부와 다수의 전송선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에는 다수 개의 전송선의 외부 표면에 완전히 고착된 피복부가 마련되어 수용 공간 내의 기체를 완전히 방출하는,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가요막은 PU(폴리 우레탄) 내마모성 가요막, TPFE(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내마모성 가요막 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내마모성 가요막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인,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KR2020140007021U 2014-08-13 2014-09-26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KR2016000062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214348 2014-08-13
TW103214348U TWM489403U (en) 2014-08-13 2014-08-13 Flexible transmission cable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23U true KR20160000623U (ko) 2016-02-23

Family

ID=5258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021U KR20160000623U (ko) 2014-08-13 2014-09-26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49222A1 (ko)
JP (1) JP3195305U (ko)
KR (1) KR20160000623U (ko)
DE (1) DE202014104557U1 (ko)
TW (1) TWM48940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38B1 (ko) * 2016-01-05 2021-09-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류 지지 장치용 다중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류 지지 장치
CN115800174A (zh) * 2018-12-28 2023-03-14 株式会社润工社 导管支承装置和处理装置
CN110708886A (zh) * 2019-11-15 2020-01-17 奥士康精密电路(惠州)有限公司 一种bga焊接小圆pad的pcb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9222A1 (en) 2016-02-18
JP3195305U (ja) 2015-01-15
TWM489403U (en) 2014-11-01
DE202014104557U1 (de)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623U (ko) 가요성 전송선 조립체
US8141325B2 (en) Composite panel assembly
TWI461799B (zh) 具有可撓式顯示面板的電子裝置及背光模組
KR101631147B1 (ko) 전자디바이스
RU2674954C2 (ru) Свертываемая текстильная оплетка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образования трещин в слое фольги в этой оплетке
DE602006007877D1 (de) Bildlesevorrichtung mit an der oberfläche einer trommel angeordneten bildsensoren
CA2512530A1 (en) Deployable reflector
JP2008243724A (ja) 電線保護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140123959A (ko) 열 단열 및 반사 나선형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JP2009542986A5 (ko)
FR2855557B1 (fr) Volet de tuyere a duree de vie augmentee pour turbomoteurs d'avion.
CN101915334B (zh) 一种弹性卡箍的制作方法及弹性卡箍
WO2020059694A1 (ja) 配線部材
WO2021095525A1 (ja) 配線部材
CN103318104B (zh) 车顶饰条及其安装结构
CN103459175B (zh) 用于将车窗装配到车辆的车身开口上的定位装置
JP2016007441A (ja) 携帯用スロープ
US20220407296A1 (en) Wiring member
WO2021124984A1 (ja) 配線部材
JP2011225063A (ja) スロープ装置
JPWO2009054476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装置
CN109483960A (zh) 一种汽车排气管保护套及其制备方法
JP2007049784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15012894A (ja) ミラー取付け装置
JP201604056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