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47B1 - 전자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47B1
KR101631147B1 KR1020150128696A KR20150128696A KR101631147B1 KR 101631147 B1 KR101631147 B1 KR 101631147B1 KR 1020150128696 A KR1020150128696 A KR 1020150128696A KR 20150128696 A KR20150128696 A KR 20150128696A KR 101631147 B1 KR101631147 B1 KR 101631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long side
hinge
module cover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문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47B1/ko
Priority to US15/094,838 priority patent/US9846450B2/en
Priority to EP16174364.6A priority patent/EP31515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47B1/ko
Priority to CN201610576876.XA priority patent/CN10652757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의 일측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그리고, 시스템을 내장하고, 외측에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에 대응하는 커브드(curved)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커브드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를 구비하는 전자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V,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탭북(tap book)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의 화면 몰입도의 향상 등을 위하여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디바이스는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새로운 컨셉의 장치개발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커브드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커브드 바디를 가지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인체공학적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커브드 전자디바이스에 적합한 회동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힌지;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의 일측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그리고, 시스템을 내장하고, 외측에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에 대응하는 커브드(curved)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커브드 키패드(curved key-pa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바디는 전면이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우측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바디는 좌우측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전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바디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전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바디의 전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바디의 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바디의 변은,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복수개의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브드된 후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평편한 후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과 나란하게 마주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단변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과 나란하게 마주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단변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은, 상기 제1 단변에서 상기 제2 단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바디의 전면은, 상기 제1 단변에서 상기 제2 단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는, 상기 바디의 제1 장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장변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브드 플레이트, 상기 커브드 플레이트의 오목한 측에 위치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커브드 플레이트의 볼록한 측에 위치하는 커브드 모듈커버, 그리고,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에 결합되는 강성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의 일측은 상기 강성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는, 힌지축이 내장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되는 이격부, 그리고, 상기 이격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이격부의 연장방향과 엇갈리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강성바에 결합되거나 끼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강성바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모듈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강성바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커버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바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브드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브드 바디를 가지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공학적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브드 전자디바이스에 적합한 회동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another)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another)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내지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및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내지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 내지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결합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바디(100), 디스플레이장치(200), 그리고 입력장치(300)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부라 칭할 수 있다. 입력장치(300)는 입력수단, 입력부, 또는 입력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바디(100)는 전자디바이스의 시스템일 수 있다. 시스템은 바디(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전산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PC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커브드(curved)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은 사용자에게 화면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패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곡률(R)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서 바라 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전면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前面)이 관측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2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베젤(beze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240)이 없거나 내부에 위치하여, 베젤로 관측되지 않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 바라 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곡률(R)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품이 일정한 곡률을 가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라보는 사용자가 보다 몰입감 있게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3은 도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플레이트(220), 모듈커버(230), 프레임(240), 강성바(245), 그리고 백커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10), 플레이트(220), 모듈커버(230), 프레임(240), 강성바(245), 그리고 백커버(260)는 커브드(curved)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기판, 후면기판 및/또는 광학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OLED 패널의 경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으며, 휘어져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곡률 또는 복수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레이트(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와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서 전달되는 열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20) 특정 영역의 열 집중을 막아,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커버(230)는, 플레이트(220)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230)와 플레이트(220)는,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를 중심으로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모듈커버(230)가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230)에는, 포밍영역(forming area)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포밍영역은, 모듈커버(230)의 일정 영역이 다른 영역과 단차를 가지도록 가공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포밍영역에,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포밍영역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직접 전달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듈커버(230)에는, 전자부품(250)이 결합될 수 있다. 전자부품(25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 등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플레이트(220)를 중심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일정 정도 이상의 강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의 후면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230)에 결합된 강성바(24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얇은 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취약할 수 있다.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모듈커버(230)에 부착된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백커버(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을 차폐한다. 백커버(260)는, 프레임(2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의 특정 결합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모듈커버(230)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A1)에는 전자부품(25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강성바(245)는, 제1 영역(A1)을 제외한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강성바(245)는 제2 내지 5 영역(A2 내지 A5)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2 강성바(245a, 245b)는, 곡률(R)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형상에 따라 가로로 부착되는 제1,2 강성바(245a, 245b)도 곡률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강성바(245a, 245b)의 형상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세로방향으로 부착되는 제3,4 강성바(245c, 245d)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방향의 제1,2 강성바(245a, 245b)는 곡률을 가지고 있으나, 세로방향의 제3,4 강성바(245c, 245d)는 곡률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제1,2 강성바(245a, 245b)의 중앙영역(WA)은, 다른 부분과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영역(WA)은, 다른 영역과 달리, 보강리브(243)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중앙영역(WA)을 포함한 영역에 일정한 간격의 결합홀(24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243)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강성바(245)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리브(243)는 복수개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결합홀(246)은 강성바(245)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보강리브(243)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되어 강성바(245)를 지지하면, 결합홀(246)이 모듈커버(230)의 일면을 바라볼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f)가 결합홀(246)을 통해 강성바(245)와 모듈커버(2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성바(245)와 모듈커버(230)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강성바(245)가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예를 들면, 리벳, 볼트 및 너트 등이 될 수 있고, 강성 및 접착력이 강한 합성 수지가 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243)의 일면이 전체적으로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강성바(245)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리브(243)는 강성바(245)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 중 어느 하나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여 강성바(245)가 지지될 수 있다. 결합홀(246)은 모듈커버(230)의 일면과 접촉하는 보강리브(243)에 형성될 수 있다. 강성바(245)의 결합 방향은 도 9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 중 어느 하나가 모듈커버(230)에 접촉하면, 그 곳에 형성된 결합홀(246)이 모듈커버(230)와 마주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결합홀(246)을 통해 강성바(245)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243)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홀(246)은 강성바(245)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보강리브(243)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246)은 모듈커버(230)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f)가 결합홀(246)을 통해 강성바(245)와 모듈커버(23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품이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조립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240)은 제1 내지 4 프레임(240a 내지 240d)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4 프레임(240a 내지 240d)를 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픽서(fixer, 242)를 사용할 수 있다. 픽서(242)는 결합된 프레임(240)의 모서리 부분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픽서(242)는 프레임(240)의 모서리 부분에 중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4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체의 두께감소를 위하여 프레임(240)의 프레임두께(도 12의 T1)은 수 밀리미터 이내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40)의 두께가 얇아지면, 제1 내지 4 프레임(240a 내지 240d) 간의 결합이 곤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40)의 고정을 위해 스크루(244)를 사용하는 경우, 스크루(244) 체결을 위한 최소한의 두께 이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크루(244)의 체결을 위한 최소 두께 이하가 되면, 스크루(244)의 체결이 쉽게 느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크루(244)의 체결력 확보를 위해 프레임(240)에 결합부재(248)를 부가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제1,2 프레임(240a, 240b)는 상호 형합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240a)에는 제1 형합부(CA1)와 제2 형합부(CA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형합부(CA1)의 폭은 C2이고, 제2 형합부(CA2)의 폭은 C1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40b)의 제2 베젤부(BZ2)는, 제1 형합부(CA1)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2 베젤부(BZ2)의 두께가 C2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프레임(240b)의 제3 형합부(CA3)는, 제1 프레임(240a)의 제1 형합부(CA1)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프레임(240a, 240b)가 상호 결합되면, 서로 대응된 형태의 제1,2,3 형합부(CA1 내지 CA3)가 상호간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40)에는 결합부재(248)가 결합된 제1 결합공(247)과 결합부재(248)가 결합되지 않은 제2 결합공(24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공(247)에 결합부재(248)가 압입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결합공(247)의 높이 T2는, 제2 결합공(246)의 높이 T1에 비하여 높을 수 있다. 즉, 제1 결합공(247)은, 제1 결합공(247)에 삽입된 결합부재(248)로 인하여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결합공(247)이 T1 높이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제1 결합공(247)에 결합될 스크루(244)는 보다 안정적으로 제1 결합공(247)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스크루(244)가 결합되는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크루(244)의 체결길이가 길어져 안정적인 체결을 가능하게 하지만 프레임(240)이 전체적으로 높아지는 것이 아님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무게 및/또는 두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40)에는, 제1,2 결합공(247, 24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결합공(247)의 높이는 제2 결합공(246) 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1 결합공(247)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부재(248)로 인하여 제1 결합공(247)이 높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픽서(242)에는, 제1,2 결합공(247, 246)에 대응된 제1,2 통공(247a, 246a)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40)에 픽서(242)를 결합한 후에 제1,2 결합공(247) 및 제1 통공(247a)에 스크루(244)를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공(247)의 높이와 제2 결합공 내지 프레임(240) 높이의 차이인 T2-T1은, 픽서(242)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픽서(242)가 결합된 경우에도 픽서(242)가 제1 결합공(247)의 높이를 넘어서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강성바(245)가 모듈커버(230)에 결합되는 구성은,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프레임(24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강성바(245)는 프레임(240)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강성바(245)는 프레임(24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 및 프레임(240)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바디(10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바디(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마주하는 면을 바디(100)의 전면이라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바디(100)와 마주하는 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이라 한다. 또한, 바디(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마주하지 않고, 외부를 향하는 면을 바디(100)의 후면이라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바디(100)와 마주하지 않고, 외부를 향하는 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이라 한다. 또한, 면이 일정한 곡률을 지니는 것을 커브드(curved)라 한다.
바디(100)의 전면은 커브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커브드될 수 있다. 바디(100)의 후면은 커브드될 수 있고, 평편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은 커브드될 수 있고, 평편할 수도 있다. 바디(10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동일하게 커브드될 수 있다. 바디(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커브드되는 경우, 전자디바이스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디(100)의 후면은 평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18에서 나타내는 면은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 내지 후면일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뿐만 아니라, 이들은 바디(100)의 설명을 위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직선, 곡선, 또는 커브드되었다는 것은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이나 후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라보는 관점은,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측면을 바라보는 관점과 다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바디(100)의 전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바디(100)의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으나, 바디(100)의 측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바디(100)의 장변(LS1)은 곡선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도 20은 바디(100)의 정면을 바라보는 관점일 수 있고, 도 21은 바디(100)의 측면을 바라보는 관점일 수 있다. 이때, 제1 장변(LS1)은 도 20에서 직선일 수 있고, 도 21에서 곡선일 수 있다.
한편,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라보는 관점은, 수평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측면을 바라보는 관점은 수직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직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 내지 후면은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장변(LS1)은 곡선부(LSC1), 그리고 직선부(LSF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곡선부(LSC1)가 시작되어 직선부(LSF1)로 연결되고, 직선부(LSF1)에서 다시 곡선부(LSC1)로 연결되어 곡선부(LSC1)가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결될 수 있다. 직선부(LSF1)의 길이 곡선부(LSC1)의 길이의 비율은 약 1:1일 수 있다. 즉, 직선부(LSF1)의 길이가 제1 장변(LS1)의 전체 길이의 약1/3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장변(LS1)은 커브드될 수 있다. 즉, 제1 장변(LS1)은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어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까지 곡선부(LSC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곡선부(LSC1)는 다양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경R1과 반경R2가 서로 다르고, 반경R1과 반경R3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반면, 반경 R1과 반경 R2가 서로 같고, 반경R1과 반경R3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장변(LS1)은 직선부(LSF11~13)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커브드될 수 있다.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에서 제1 직선부(LSF11)가 제2 장변(LS2)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에서 제3 직선부(LSF13)가 제2 장변(LS2)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 직선부(LSF12)가 제1 직선부(LSF11)와 제3 직선부(LSF13)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직선부(LSF12)는 제2 장변(LS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바디(100), 그리고 입력장치(300)를 나타낸다.
바디(100)의 전면은 커브드될 수 있다. 바디(100)의 후면은 커브드될 수 있고, 평편할 수도 있다. 바디(100)의 전면에 입력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장치(300)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전식 키보드, 정압식 키보드, 기계식 키보드, 기계전기식 키보드, 터치패드 등 일 수 있다. 입력장치(300)는 전체적으로 커브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장치(300)는 앞서 설명한 커브드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전면이 바디(100)의 전면과 마주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마주할 수 있다. 입력장치(300)가 커브드되어 인체공학적 형상을 지니게 됨으로써 사용자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입력장치(300)가 위치하는 바디(100)의 전면의 일부는 함몰될 수 있다. 즉, 바디(100)는 전면에 함몰부(105)를 구비하고, 함몰부(105)에 입력장치(300)가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105)는 입력장치(300)가 바디(100)의 전면 보다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105)는 입력장치(300)가 구비된 바디(10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이 서로 마주할 때, 입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300)는 바디(100)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장치(300)가 함몰부(105)에 안착되어 바디(10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이 마주할 때, 입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21은 바디(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힌지(400)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내측으로 오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은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하도록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다. 바디(100)의 제1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변(LS1)이 직선일 수 있다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힌지(400)의 길이(LH)는 바디(100) 전체 길이(LT)의 약1/7일 수 있다. 이는, 바디(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힌지(400)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디(100)로부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2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another)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23은 바디(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힌지(400)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내측으로 오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은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하도록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다. 바디(100)의 제1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변(LS1)이 직선일 수 있다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힌지(400)는 제1 고정부(410), 제2 고정부(420), 회동부(440), 그리고 이격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420)는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 고정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데,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420)는 바디(100)의 후면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데,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회동부(440)는 제2 고정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430)는 제1 고정부(410) 및 제2 고정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이격부(430)는 일측이 회동부(440)에 고정되어 회동가능하되, 타측이 제1 고정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격부(4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바디(100)로부터 회동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과 바디(100)의 제1 장변(LS1)이 서로 멀리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디(100)에서 회동시킬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과 바디(100)의 제1 장변(LS1)이 서로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바디(100)가 커브드되어 형성된 것에 비롯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격부(430)는 ㄱ 또는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another)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바디(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힌지(400)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내측으로 오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은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하도록 커브드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0)의 제1 장변(LS1) 또한 커브드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100)의 제1 장변(LS1)이 커브드될 수 있다는 것은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바디(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힌지(400)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디(100)로부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힌지(400)의 길이(LH)는 바디(100) 전체 길이(LT)의 1/3이하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 또한 커브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이 커브드될 수 있다는 것은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바디(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힌지(400)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디(100)로부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바디(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힌지(400)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은 내측으로 오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은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대응하도록 커브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다. 바디(100)의 제1 장변(LS1)은 직선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변(LS1)이 직선일 수 있다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바디(100)의 후면은 커브드될 수 있다. 힌지(400)는 커브드된 바디(1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힌지(400)의 회동부(440)는 커브드된 바디(100)의 후면에 설치되고, 회동부(440)에서 연결되고 연장되는 제1 고정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동부(440)는 바디(100)의 후면과 제1 장변(LS1)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제1 고정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400)의 길이(LH)는 바디(100) 전체 길이(LT)의 약1/7일 수 있다. 이는, 바디(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힌지(400)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디(100)로부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6 및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27은, 회동부(450), 힌지축(460), 이격부(470), 제1 고정부(480) 그리고 제2 고정부(465)를 나타낸다.
회동부(450)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힌지축(460)은 회동부(45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축(460)은 회동부(450)의 좌우측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고정부(465)는 힌지축(46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465)는 테이퍼질 수 있다. 이격부(470)는 회동부(45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격부(470)는 회동부(450)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480)는 이격부(470)의 일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480)는 이격부(470)가 회동부(450)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이격부(470)와 제1 고정부(480)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연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격부(470)와 제1 고정부(480)는 전체적으로 ㄱ 또는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8내지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바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내지 30은 바디(100), 바디의 전면(101), 바디의 후면(103), 바디의 측면(102), 그리고 힌지(400)를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면, 바디(100)의 전면(101)은 커브드될 수 있다. 입력장치(300)는 바디(100)의 전면(101)에 구비될 수 있다. 바디(100)의 후면(103)은 평편할 수 있다. 바디(100)의 전면(101)이 바디(100)의 측면(102)과 만나는 영역, 또는 바디(100)의 측면(102)이 바디(100)의 후면(103)과 만나는 영역은 제1 장변(LS1)이 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은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커브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바디(100)로부터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바디(100)에 걸림 없이 회동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회동 범위가 바디(100)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디(100)는 함몰부(103h)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부(103h)는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03h)는 길고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03h)의 형상은 힌지(400)의 회동부(45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함몰부(103h)는 바디(100)의 측면(102) 그리고 바디(100)의 후면(103)이 바디(10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바디(100)의 전면(101)은 함몰부(103h)를 위해 내측으로 함입되는 영역이 없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함몰부(103h)의 길이(LH)는 바디(100)의 전체길이(LT) 대비 약 1/3 이하일 수 있다.
도 29 및 30를 참조하면, 이격부(470)가 회동부(450)를 중심으로 바디(100)의 측면(102)에서 바디(100)의 후면(103)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480)는, 이격부(470)가 회동부(450)를 중심으로 바디(100)의 측면(102)에서 바디(100)의 후면(103) 상으로 이동하면, 바디(100)의 전면(101)에서 바디(100)의 측면(102)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격부(470)와 제1 고정부(480)의 이동 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격부(470)가 제1 고정부(480)의 이동 범위를 자신의 이동 범위와 달리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바디(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디(100)로부터 회동할 수 있다.
도 31 및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및 32는 바디(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힌지(400)를 나타낸다.
도 31을 참조하면, 바디(100)의 함몰부(103h)에 삽입되는 힌지(400)는 바디(100)의 외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이 바디(100)의 전면과 마주한 상태에서, 이격부(470)는 제1 장변(LS1)을 이루는 바디(100)의 측면(102)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측면(20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고정부(4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480)와 연결되는 이격부(470) 또한 제1 고정부(480)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 32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바디(100)로부터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바디(100)의 제1 장변(LS1)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장변(LS1)이 커브드되고, 힌지(400)가 이격부(470)를 구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바디(100)로부터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바디(100)의 전면(101)은 힌지(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바디(100)로부터 회동을 하면서 힌지(400)의 외관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격부(47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전면이 바디(100)의 전면과 마주할 때, 이격부(470)는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400)의 외관을 커버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3내지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강성바(245)에 힌지(400)가 결합되는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4는 강성바(245)에 힌지(400)가 결합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5및 36은 강성바(245)와 힌지(400)의 결합을 위한 적합한 구조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3및 34를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8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성바(24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커버(280)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바(245a)는 모듈커버(280) 일면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강성바(245b)는 모듈커버(280)의 일면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강성바(245a)는 제2 강성바(245b)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400)는 강성바(24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400)는 강성바(245)에 압착되면서 끼워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힌지(400)는 강성바(245)에 결합부재(f)에 의해 강성바(245)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힌지(400)는 강성바(245)에 압착되면서 끼워진 후 결합부재(f)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설명한 바와 같이 강성바(245)에 끼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곡률(RD)를 가질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는 곡률(RH)을 가질 수 있다. 강성바(245)의 곡률(RD)과 제1 고정부(480)의 곡률(RH)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480)의 크기, 길이, 또는 두께는 강성바(245)의 크기, 길이, 또는 두께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강성바(245)의 곡률(RD)과 제1 고정부(480)의 곡률(RH)이 같은 경우, 제1 고정부(480)가 강성바(245)에 결합되기 위해 필요한 규격은 강성바(245)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강성바(245)의 곡률(R)은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곡률과 서로 다를 수 있다. 강성바(245)의 곡률(R)과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곡률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커브드(curved) 되거나,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직선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6은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직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강성바(245)는 곡률(R)을 가질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는 직선의 형상일 수 있다. 강성바(245)는 일정한 두께(TD2)를 가질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는 강성바(245) 두께(TD2)의 범위 내에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두께(TH)는, 예를 들면, 최대 강성바(245)의 내측 곡선의 접선과 강성바(245)의 외측 곡선의 접선이 이루는 거리(TD2) 만큼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길이(LH)는 강성바(245)의 길이(LD)에 비하여 상당히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400)는 도 20 내지 23,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두께(TH)는, 다른 예를 들면, 최소 강성바(245)의 내측 곡선의 접선과 강성바(245)의 양 외측 모서리를 연결한 선과 이루는 거리(TD1) 만큼일 수 있다. 이때,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길이(LH)는 강성바(245)의 길이(LD)에 근접하며 상당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길이(LH)는 최대 강성바(245)의 길이(LD)와 동일할 수 있다.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두께(TH)는, 다른 예를 들면, 강성바(245)의 내측 곡선의 접선과 강성바(245)의 양 외측 모서리를 연결한 선이 이루는 거리(TD1)에서부터 강성바(245)의 내측 곡선의 접선과 강성바(245)의 외측 곡선의 접선이 이루는 거리(TD2)까지 일 수 있다. 이때,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의 길이(LH)는 도 24, 도 26 내지 31을 참조하며 설명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7 내지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결합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243)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강성바(245)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리브(243)는 복수개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결합홀(246)은 강성바(245)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보강리브(243)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되어 강성바(245)를 지지하면, 결합홀(246)이 모듈커버(230)의 일면을 바라볼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f)가 결합홀(246)을 통해 강성바(245)와 모듈커버(2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성바(245)와 모듈커버(230)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강성바(245)가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33 내지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강성리브(245)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강성바(245) 및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400)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243)의 일면이 전체적으로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강성바(245)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리브(243)는 강성바(245)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 중 어느 하나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여 강성바(245)가 지지될 수 있다. 결합홀(246)은 모듈커버(230)의 일면과 접촉하는 보강리브(243)에 형성될 수 있다. 강성바(245)의 결합 방향은 도 40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 중 어느 하나가 모듈커버(230)에 접촉하면, 그 곳에 형성된 결합홀(246)이 모듈커버(230)와 마주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결합홀(246)을 통해 강성바(245)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도 33 내지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강성리브(245)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강성바(245) 및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400)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결합부재(f)는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f1)는 강성바(245)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재(f2)는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재(f2)는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 및 강성바(245)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400)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강성바(245)는 모듈커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243)가 모듈커버(230)의 일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홀(246)은 강성바(245)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보강리브(243)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43)가 강성바(245)를 지지하고, 결합홀(246)은 모듈커버(230)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f)가 결합홀(246)을 통해 강성바(245)와 모듈커버(2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 33 내지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가 강성리브(245)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강성바(245) 및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결합부재(f)는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f2)는 강성바(245)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결합부재(f1)는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f1)는 힌지(400)의 제1 고정부(480) 및 강성바(245)를 모듈커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400)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힌지(400)의 길이(LH)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0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커브드 바디(100)의 형상에 의해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0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커브드 바디(100)를 복수개의 힌지를 통해 연결할 수 없기 때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힌지(4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바디(100)를 연결하되, 커브드 구조에 적합한 연결을 위해 힌지(400)의 길이(LH)가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에 대응하여 커브드된 전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시스템을 내장하고, 전면에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에 대응하여 커브드된 전면을 구비하는 바디; 그리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변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변은, 상기 일변과 마주하는 타변으로부터 다른 거리를 지니도록 커브드되어, 상기 일변의 일단이 상기 일변의 중앙 보다 상기 타변에 가까우며,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일변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에 위치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함몰부의 양단에서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힌지축, 상기 회동부에서 연장되는 이격부, 그리고 상기 이격부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이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에 대응하여 커브드된 전자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은, 수직방향에서 오목하게 커브드되고,
    상기 바디의 전면은, 수직방향에서 볼록하게 커브드되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변은, 수평방향에서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커브드되는 전자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브드 플레이트,
    상기 커브드 플레이트의 오목한 측에 위치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커브드 플레이트의 볼록한 측에 위치하는 커브드 모듈커버, 그리고,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에 결합되는 커브드 강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커브드 강성바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변 또는 타변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힌지의 고정부는 상기 강성바에 결합되는 전자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커브드 키패드인 전자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평편한 후면을 구비하는 전자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브드 강성바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커브드 강성바 중 하나는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커브드 강성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의 고정부는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브드 강성바에 결합되는 전자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전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바디의 전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하는 전자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바디의 일변은, 수평방향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부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바디의 일변은, 수평방향에서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복수개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수평방향에서 커브드된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마주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과 나란하게 마주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단변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수평방향에서 커브드된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마주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과 나란하게 마주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단변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은, 수직방향에서 상기 제1 단변에서 상기 제2 단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바디의 전면은, 수직방향에서 상기 제1 단변에서 상기 제2 단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과 상기 바디의 제1 장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자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장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장변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2 장변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전자디바이스.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브드 모듈커버를 중심으로 상기 커브드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브드 강성바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자디바이스.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128696A 2015-09-11 2015-09-11 전자디바이스 KR101631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96A KR101631147B1 (ko) 2015-09-11 2015-09-11 전자디바이스
US15/094,838 US9846450B2 (en) 2015-09-11 2016-04-08 Electronic device
EP16174364.6A EP3151522B1 (en) 2015-09-11 2016-06-14 Electronic device
CN201610576876.XA CN106527579A (zh) 2015-09-11 2016-07-20 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96A KR101631147B1 (ko) 2015-09-11 2015-09-11 전자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47B1 true KR101631147B1 (ko) 2016-06-17

Family

ID=5626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96A KR101631147B1 (ko) 2015-09-11 2015-09-11 전자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6450B2 (ko)
EP (1) EP3151522B1 (ko)
KR (1) KR101631147B1 (ko)
CN (1) CN1065275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1369B (zh) * 2018-01-30 2021-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D888707S1 (en) * 2018-05-04 2020-06-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USD887404S1 (en) * 2018-05-18 2020-06-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USD914672S1 (en) * 2018-06-04 2021-03-30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cover and screen
USD922370S1 (en) * 2018-06-04 2021-06-15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screen
USD926752S1 (en) * 2018-06-04 2021-08-03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bendable screen
KR102292254B1 (ko) * 2020-02-20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10896389U (zh) * 2020-03-10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11163335B1 (en) * 2020-05-01 2021-11-02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aving a bendable integrated display
CN113236656B (zh) * 2021-03-30 2022-05-0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弯曲显示器
JP7108745B1 (ja) * 2021-05-19 2022-07-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633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9980027418A (ko) * 1996-10-16 1998-07-15 구자홍 구부러진 판 형상의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00021839A (ko) * 1998-09-30 2000-04-25 강병호 휴대용 컴퓨터의 보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960B1 (ko) * 2003-05-15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USD532008S1 (en) * 2005-10-31 2006-1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610581S1 (en) * 2009-07-01 2010-02-23 David Michael Prokop Curved computer
KR101659008B1 (ko) 2009-11-05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626961S1 (en) * 2010-01-27 2010-11-09 David Michael Prokop Curved keyboard
US8284554B2 (en) * 2010-02-15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pivoting and sliding portions
TWI389067B (zh) 2010-06-29 2013-03-11 Compal Electronics Inc 顯示模組及其組裝方法
CN103309400B (zh) * 2012-03-12 2017-11-24 联想(北京)有限公司 具有隐藏式铰链的电子设备
TWI528888B (zh) * 2012-05-22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腦裝置及螺桿裝置
TWI482570B (zh) * 2012-07-30 2015-04-21 Wistron Corp 電子裝置
CN203465630U (zh) * 2013-01-10 2014-03-05 索尼公司 电子设备
CN203858560U (zh) * 2014-05-19 2014-10-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D771032S1 (en) * 2015-07-31 2016-11-08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curved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633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9980027418A (ko) * 1996-10-16 1998-07-15 구자홍 구부러진 판 형상의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00021839A (ko) * 1998-09-30 2000-04-25 강병호 휴대용 컴퓨터의 보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coneybeer. "Arc unveils curved Nalu laptop concept design". Myce 뉴스(www.myce.com), 2010.07.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27579A (zh) 2017-03-22
EP3151522A2 (en) 2017-04-05
EP3151522A3 (en) 2017-05-03
EP3151522B1 (en) 2019-01-23
US9846450B2 (en) 2017-12-19
US20170075380A1 (en)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147B1 (ko) 전자디바이스
US20220338381A1 (en) Film-like heat dissipation member, bendable display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1019804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84690B1 (ko) 표시 장치
US8500292B2 (en) Panel 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7113988A1 (zh) 一种柔性装置
US20190081255A1 (en) Display device
US10088871B2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20190064881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440842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2021035699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10075336A1 (en) Touch pad module assembly structure
KR102187783B1 (ko) 표시 장치
WO2020077744A1 (zh) 一种窄边框显示器
US20210325936A1 (en) Bending hinge for flexible display panel and terminal
KR102398176B1 (ko) 표시 장치
US20230170929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09768005U (zh) 保护膜及电子设备
KR20170033626A (ko) 이동 단말기
US20110170254A1 (en) Laptop computer display
US9436026B2 (en) Display device
CN111754874B (zh) 显示装置
KR20200001050U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6672B1 (ko) 표시 장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425448A (zh) 胶框及其制造方法、背光模组、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