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52A -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52A
KR20150146252A KR1020140076564A KR20140076564A KR20150146252A KR 20150146252 A KR20150146252 A KR 20150146252A KR 1020140076564 A KR1020140076564 A KR 1020140076564A KR 20140076564 A KR20140076564 A KR 20140076564A KR 20150146252 A KR20150146252 A KR 20150146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pened
opening
inse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848B1 (ko
Inventor
최성춘
정대중
장동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8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의 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개구된 상부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이 투입되며,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배수구를 구비하는 투입부;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개구된 상부가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하부와 연통하며,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구를 구비하는 저류부; 상기 개구된 저류부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삽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의 상부의 크기가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하부의 크기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투입장치로 유입되는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삽입체의 삽입 여부에 따라, 나누어 배출함으로써, 보관부의 물 유입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의 역류 및 보관부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An apparatus of injecting food waste and a under-sink type device for food waste treat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의 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경제적으로도 문제일 수 있으나,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 및 처리 미비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할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배수부에 연결되는 형태의 소위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어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96665호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싱크대(S)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식기 세척시에 간편하게 싱크대에 구비된 배수부로 투입하고, 같이 유입되는 물은 투입부(10) 측면에 배관(P)과 연결된 배수구로 처리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식기 세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로 흘려서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에 수분이 다량 포함되게 되고, 이렇게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가 일시적으로 다량 유입될 경우 보관부(20)의 고장은 물론이고, 투입부(10)가 배관(P)과 연결된 배수구 부분이 막혀 쓰레기 및 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1-0096665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싱크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보관부로의 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관부의 고장 및 음식물 쓰레기의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개구된 상부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수가 투입되며,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배수구를 구비하는 투입부;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개구된 상부가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하부와 연통하며,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구를 구비하는 저류부; 상기 개구된 저류부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삽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의 상부의 크기가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하부의 크기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체는,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된 저류부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의 하부에서 상기 개폐도어에 이르도록 위치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체가 상기 투입부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면 상기 저류부의 개구된 상부는 상기 밀폐부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삽입체가 탈거되면 상기 저류부의 개구된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개폐도어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배수구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의 상기 저류부의 개구된 하부와 연결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의 상부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및 음식물 처리기에 의하면, 투입장치로 유입되는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삽입체의 삽입 여부에 따라, 나누어 배출함으로써, 보관부의 물 유입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의 역류 및 보관부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싱크대 및 배관에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가 싱크대 및 배관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로서, 삽입체(131)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삽입체(131)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삽입체(131)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삽입체(131)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하부의 연결부(123)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삽입체(131)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삽입체(131)가 탈거된 상태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가 싱크대 및 배관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로서, 삽입체(131)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삽입체(131)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삽입체(131)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삽입체(131)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하부의 연결부(123)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는 투입부(110), 저류부(120) 및 삽입체(131)를 포함한다.
투입부(110)는 상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개구된 상부는 싱크대(S)에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그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 1 배수구(111)를 구비하며, 제 1 배수구(111)는 배관(P)과 연결된다.
또한, 투입부(110) 하부면을 이루는 경사부(130)는 일측으로부터 제 1 배수구(111)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투입부(110)로 유입되는 물이 경사부(130)를 따라서 제 1 배수구(111)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저류부(120)는 상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개구된 상부는 투입부(110)의 개구된 하부와 연결되고, 저류부(120)의 직경은 투입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류부(120)가 투입부(110)에 연결되면 직경차에 따른 틈이 발생하는 데, 이 틈에 상기 경사부(130)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그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 2 배수구(121)를 구비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이를 통해 연결된 배관(P)으로 배출될 수 있고, 저류부(120)의 개구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22)가 위치한다.
개폐도어(122)는 그 일측에 위치한 연결부(123)가 저류부(1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힌지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저류부(120)의 개구된 하부를 개폐하며, 저류부(120)의 일측과 연결되는 연결부(123)에는 탄성부재(124)가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개폐도어(122)가 개방 후 폐쇄시에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삽입체(131)는 밀폐부(132) 및 가압부(133)를 포함한다.
밀폐부(132)는 저류부(120)의 개구된 상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1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저류부(120)의 상부를 밀폐하며, 저류부(120)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밀폐부(132)의 외주면에는 일례로서, 고무패킹 등의 밀폐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133)는 밀폐부(132)의 하부에서 저류부(120)를 관통하여 개폐도어(122)에 이르도록 위치하며, 삽입체(131)가 삽입되었을 때, 저류부(120)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저류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가는 막대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31)가 삽입되었을 때 저류부(120)를 지나 개폐도어(122)를 가압하여 개폐도어(122)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저류부(120)에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류부(120)의 개구된 하부를 통하여 후술할 보관부(200)로 투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보관부(200)를 포함한다.
보관부(200)는 그 일측이 저류부(120)의 개구된 하부와 연결되어, 개폐도어(122)가 개방되면 저류부(120) 내에 저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보관된다,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보관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 또는 가열식으로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관부(200)에는 냉동수단 또는 가열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삽입체(131)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삽입체(131)가 탈거된 상태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지 않고 일반적인 싱크대의 사용시에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31)를 삽입한 상태에서 싱크대를 사용하면, 삽입체(131)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밀폐부(132)에 의해 저류부(120) 상부가 밀폐되고 가압부(133)에 의해서 개폐도어(122)가 개방되며, 따라서, 싱크대에서 유입되는 물은 투입부(110) 하부로 모여 경사부(130)를 따라 제 1 배수구(111)를 통하여 배관으로 배출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경우에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31)를 탈거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투입부(110)의 개구된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저류부(120)의 하부에 위치한 개폐도어(122)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부(110)를 지나 저류부(120)의 하부에 저류되며 이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탈수되어 제 2 배수구(121)를 통하여 배관으로 배수되게 된다.
이후, 다시 삽입체(131)를 삽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도어(122)가 개방되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부(200)로 투입된다.
즉, 삽입체(131)의 삽입 여부에 따라서 싱크대 사용시에 발생하는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 1 또는 제 2 배수구(111, 121)로 선택적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보관부(200)로의 수분유입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어, 수분유입에 따른 투입부(110)에서의 역류 및 보관부(200)의 고장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110: 투입부
111: 제 1 배수구
120: 저류부
121: 제 2 배수구
122: 개폐도어
130: 경사부
131: 삽입체
132: 밀폐부
133: 가압부
200: 보관부

Claims (7)

  1.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개구된 상부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수가 투입되며,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배수구(111)를 구비하는 투입부(1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개구된 상부가 상기 투입부(110)의 개구된 하부와 연통하며,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구(121)를 구비하는 저류부(120);
    상기 개구된 저류부(1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22); 및
    상기 투입부(110)의 개구된 상부로 투입되어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삽입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131)의 상부의 크기가 상기 투입부(110)의 개구된 하부의 크기와 상응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131)는, 상기 투입부(110)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된 저류부(120)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밀폐부(132) 및 상기 밀폐부(132)의 하부에서 상기 개폐 도어에 이르도록 위치하는 가압부(133)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131)가 상기 투입부(110)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면 상기 저류부(120)의 개구된 상부는 상기 밀폐부(132)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개폐도어(122)는 상기 가압부(133)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삽입체(131)가 탈거되면 상기 저류부(120)의 개구된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개폐도어(122)는 폐쇄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132)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122)의 일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24)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배수구(111)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30)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장치(100)의 상기 저류부(120)의 개구된 하부와 연결되는 보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00)의 상부는 싱크대(S)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140076564A 2014-06-23 2014-06-23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24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64A KR102240848B1 (ko) 2014-06-23 2014-06-23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64A KR102240848B1 (ko) 2014-06-23 2014-06-23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52A true KR20150146252A (ko) 2015-12-31
KR102240848B1 KR102240848B1 (ko) 2021-04-16

Family

ID=5512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564A KR102240848B1 (ko) 2014-06-23 2014-06-23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8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31A (ko) * 2000-07-11 2000-11-06 서병산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431Y1 (ko) * 2004-04-30 2004-07-15 박종권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1157Y1 (ko) * 2006-01-04 2006-07-13 조오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투입장치
KR100959179B1 (ko) * 2009-12-30 2010-05-24 미래엔진 주식회사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6665A (ko) 2010-02-23 2011-08-31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31A (ko) * 2000-07-11 2000-11-06 서병산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431Y1 (ko) * 2004-04-30 2004-07-15 박종권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1157Y1 (ko) * 2006-01-04 2006-07-13 조오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투입장치
KR100959179B1 (ko) * 2009-12-30 2010-05-24 미래엔진 주식회사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6665A (ko) 2010-02-23 2011-08-31 김정석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848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096B1 (ko) 음식물 처리 후 잔유물 걸름 장치
KR20150129363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17004135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150146252A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737226B1 (ko) 악취의 새어나옴과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한 가정용 음식물쓰레기통
KR101467148B1 (ko) 다양한 내경을 갖는 배수구에 적용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EP3420861A1 (en) Coffee machine drip tray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0438258Y1 (ko) 침출수 제거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12595A (ko) 외장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6596981U (zh) 一种家用安全储水罐
KR10223167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3995195B2 (ja) 厨芥処理装置
JPH1044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579216B1 (ko)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8551530U (zh) 一种环保解毒果蔬洗涤盆
KR101811568B1 (ko) 축사 급배수장치
KR20042115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투입장치
KR20120032958A (ko)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KR101190327B1 (ko)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JPH0640501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60020171A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40145312A (ko) 가정용 음식물에 대한 처리 후 찌꺼기 필터 장치
KR20090048999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70488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