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488A -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488A
KR20160070488A KR1020140177510A KR20140177510A KR20160070488A KR 20160070488 A KR20160070488 A KR 20160070488A KR 1020140177510 A KR1020140177510 A KR 1020140177510A KR 20140177510 A KR20140177510 A KR 20140177510A KR 20160070488 A KR20160070488 A KR 2016007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water
crushing
sterilizing
steriliz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용
주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488A/ko
Publication of KR2016007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 내를 살균수를 체류시켜 살균하고, 내부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와 하수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음식물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로서,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배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부 사이에서, 상기 배수부를 개폐하는 배수부 커버; 및 상기 분쇄부의 타측과 상기 하수관 사이에서, 상기 하수관을 개폐하는 하수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분쇄부 내로 투입하여 상기 분쇄부 내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분쇄부 내에 살균수를 일정시간 체류시킴으로써 살균력을 향상시키고, 분쇄부 내에 고착되어 잔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분쇄부 내의 세균번식 등으로 인한 악취 등의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Automatic sterilize device for food-waste disposer and steriliz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 내를 살균수를 체류시켜 살균하고, 내부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경제적으로도 문제일 수 있으나,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 및 처리 미비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할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배수부에 연결되는 형태의 소위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어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2012-0018035 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분쇄부 내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다 배출되지 못하고 잔존하게 됨으로써, 이로 인한 세균 번식, 악취 발생 등의 위생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KR 2012-0018035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부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분쇄부 내부를 살균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와 하수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음식물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로서,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배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부 사이에서, 상기 배수부를 개폐하는 배수부 커버; 및 상기 분쇄부의 타측과 상기 하수관 사이에서, 상기 하수관을 개폐하는 하수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분쇄부 내로 투입하여 상기 분쇄부 내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수 생성부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는 상기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부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상기 분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쇄부 내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분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쇄부 내의 기설정된 수위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수단은, 분쇄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스크류 또는 분쇄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상기 배수부가 상기 배수부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 (b) 상기 제 1 센서가 상기 배수부 커버의 폐쇄를 감지하고 상기 하수관 커버를 폐쇄하는 단계; (c)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살균수가 생성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에 투입되는 단계; (e) 상기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에 충만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부 내의 상기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체류되는 단계; 및 (f) 상기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f)단계 이후, (g) 상기 배출되는 살균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되고, 상기 분쇄부 내에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가 남은 상태에서, 상기 분쇄수단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분쇄수단이 정지되며, 그 후, 상기 분쇄부 내에 남은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는 상기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배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상기 하수관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분쇄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단계; (b) 상기 배수부가 상기 배수부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 (c) 상기 제 1 센서가 상기 배수부 커버의 폐쇄를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살균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상기 분쇄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 (e) 폐쇄된 상기 하수관 커버가 개방되는 단계; (f) 상기 하수관을 통해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단계; (g) 상기 하수관이 폐쇄되는 단계; (h) 상기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에 투입되는 단계; (i) 상기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에 충만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부 내의 상기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체류되는 단계; 및 (j) 상기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j)단계 이후, (k) 상기 배출되는 살균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되고, 상기 분쇄부 내에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가 남은 상태에서, 상기 분쇄수단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분쇄수단이 정지되며, 그 후, 상기 분쇄부 내에 남은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는 상기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배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의하면, 분쇄부 내에 살균수를 일정시간 체류시킴으로써 살균력을 향상시키고, 분쇄부 내에 고착되어 잔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분쇄부 내의 세균번식 등으로 인한 악취 등의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의 제 2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순히 '살균장치' 라 칭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는, 분쇄부(100), 살균수 생성부(200), 배수구 커버(300), 하수관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는 배수구(10)를 포함하는 싱크대(S)와 하수관(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쇄부(100)는 중공의 통 형상으로, 그 일측이 상기한 싱크대(S)에 설치된 배수구(10)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분쇄수단(110)이 위치하여 상기 배수구(10)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대상물을 분쇄한다. 즉, 배수구(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분쇄수단(110)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또는 그외의 수단으로서 분쇄날 등이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하여 그 회전에 의하여 대상물을 분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살균수 생성부(200)는 분쇄부(100)에 일측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예를 들면, 수도수)를 이용하여 살균력을 가지는 살균수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살균수의 성분이나 생성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살균수 생성부(200) 내부에 전극(210)을 배치시키고 상기 전극(210)을 이용하여, 유입된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배수구 커버(300)는 분쇄부(100)의 일측과 배수구(10)의 사이에 위치하며, 분쇄부(100)의 일측과 배수구(10)를 개폐한다. 또한, 배수구(10)의 일측에는 배수구 커버(30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센서(310)가 위치할 수 있다.
하수관 커버(400)는 분쇄부(100)의 타측과 하수관(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분쇄부(100)의 타측과 하수관(20)을 개폐한다. 즉, 분쇄부(100)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분쇄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폐쇄되고, 분쇄동작이 완료되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개방된다. 그리고, 분쇄부(100)의 살균시에는, 분쇄부(100)로 살균수가 투입될 때 폐쇄되고, 상균이 완료된 후 살균수를 배출할 때에는 개방된다.
또한, 분쇄부(100)에는, 살균시에 분쇄부(100)로 투입되는 살균수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센서(120) 및 기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는 제 3 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수위란 한정되지 않으나, 살균장치의 살균동작에 필요한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일정 수위(예를 들면, 중수위)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추가로 참조하여 상기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동작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먼저, 배수구(10)를 폐쇄한다(S100).
배수구 커버(300)를 폐쇄함으로써 배수구(10)를 폐쇄한다.
다음, 배수구(10)의 폐쇄를 감지하여 하수관 커버(400)를 폐쇄한다(S200).
배수구 커버(300)에 의한 배수구(10)의 폐쇄가 이루어지면, 제 1 센서(310)에서 이를 감지하고,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된다.
다음, 살균수 생성부(200)에 원수가 유입되고 살균수가 생성된다(S300).
살균수 생성부(200)에 원수를 유입시키고 살균수 생성부(200) 내에서 살균수가 생성되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살균수 내부에 설치된 전극(210)을 이용하여 원수를 전기분해 함으로써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는, 화학약품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생성된 살균수가 분쇄부(100)에 투입된다(S400).
다음, 투입된 살균수가 분쇄부(100) 내에 충만된 상태에서, 투입된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체류된다(S500).
제 2 센서(120)에서, 분쇄부(100) 내에 투입되는 살균수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음을 감지하면, 살균수의 투입을 중지하고, 투입된 살균수를 분쇄부(100) 내에 일정시간 체류시킴으로써, 단순히 살균수를 분사하여 살균하는 것보다 향상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분쇄부(100) 내부에서 건조되어 고착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거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음, 분쇄부(100) 내에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한다(S600).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분쇄부(100) 내에 체류된 살균수를 하수관(20)으로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을 더 참조하여 상기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동작방법의 제 2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서의 살균단계 이전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단계는 그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먼저, 배수구(1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부(100) 내로 투입된다(S100').
투입된 쓰레기가 하수관(2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배수구(10)를 통해 분쇄부(100) 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다.
다음, 배수구(10)가 폐쇄된다(S200').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후 배수구 커버(300)가 폐쇄됨으로써, 배수구(10)가 폐쇄된다.
다음, 배수구(10)의 폐쇄가 감지된다(S300').
배수구 커버(300)가 폐쇄되면, 제 1 센서(310)가 배수구(10)의 폐쇄여부를 감지한다.
다음, 살균수 생성부(200)에 원수가 유입되고 살균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분쇄부(10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다(S400').
살균수 생성부(200)에 원수를 유입시키고 살균수 생성부(200) 내에서 살균수가 생성되며, 이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된다, 즉, 살균시에 투입될 살균수를 분쇄시에 미리 생성하여 둔다. 살균 전에 살균수를 생성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 하수관(20)이 커버가 개방되고(S500'), 개방된 하수관(20)으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S600'),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배출되면 하수관 커버(400)를 폐쇄하여 하수관(20)을 폐쇄한다(S700').
다음, 생성된 살균수가 분쇄부(100)에 투입된다(S800').
다음, 투입된 살균수가 분쇄부(100) 내에 충만된 상태에서, 투입된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체류된다(S900').
제 2 센서(120)에서, 분쇄부(100) 내에 투입되는 살균수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음을 감지하면, 살균수의 투입을 중지하고, 투입된 살균수를 분쇄부(100) 내에 일정시간 체류시킴으로써, 단순히 살균수를 분사하여 살균하는 것보다 향상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분쇄부(100) 내부에서 건조되어 고착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거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음, 분쇄부(100) 내에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한다(S1000').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분쇄부(100) 내에 체류된 살균수를 하수관(20)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추가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부(100) 내에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단계(S600, S1000') 이후에, 배출되는 살균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되고, 분쇄부(100) 내에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가 남은 상태에서, 분쇄수단(110)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분쇄수단(110)이 정지되며, 그 후, 분쇄부(100) 내에 남은 살균수를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살균수의 센서는 제 3 센서(130)에 의해 감지되어, 배출되는 살균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분쇄부(100)에 살균수가 남은 상태로 분쇄수단(110)을 구동시킴으로써, 분쇄부(100) 내에 고착되어 잔존하는 음식물이 깨끗하게 제거되어 살균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의하면, 분쇄부 내에 살균수를 일정시간 체류시킴으로써 살균력을 향상시키고, 분쇄부 내에 고착되어 잔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확실하게 제거함으로써 분쇄부 내의 세균번식 등으로 인한 악취 등의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싱크대
10: 배수구
20: 하수관
100: 분쇄부
110: 분쇄수단
120: 제 2 센서
130: 제 3 센서
200: 살균수 생성부
210: 전극
300: 배수구 커버
310: 제 1 센서
400: 하수관 커버

Claims (8)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배수구(10)를 포함하는 싱크대(S)와 하수관(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음식물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로서,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110)을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배수구(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수관(20)과 연결되는 분쇄부(100);
    상기 분쇄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200);
    상기 분쇄부(100)의 일측과 상기 배수구(10) 사이에서, 상기 배수구(10)를 개폐하는 배수구 커버(300); 및
    상기 분쇄부(100)의 타측과 상기 하수관(20) 사이에서, 상기 하수관(20)을 개폐하는 하수관 커버(400);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분쇄부(100) 내로 투입하여 상기 분쇄부(100) 내를 살균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부(200)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200)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210)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는 상기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전극(210)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구 커버(3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310);
    상기 분쇄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쇄부(100) 내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센서(120); 및
    상기 분쇄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쇄부(100) 내의 기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는 제 3 센서(130);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110)은,
    분쇄부(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스크류 또는 분쇄날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5. 제 4 항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으로서,
    (a) 상기 배수구(10)가 상기 배수구 커버(300)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S100);
    (b) 상기 제 1 센서(310)가 상기 배수구 커버(300)의 폐쇄를 감지하고 상기 하수관 커버(400)를 폐쇄하는 단계(S200);
    (c) 상기 살균수 생성부(200)에 원수가 유입되고 살균수가 생성되는 단계(S300);
    (d) 상기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100)에 투입되는 단계(S400);
    (e) 상기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100)에 충만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부(100) 내의 상기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체류되는 단계(S500);
    (f) 상기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 이후,
    (g) 상기 배출되는 살균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되고, 상기 분쇄부(100) 내에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가 남은 상태에서, 상기 분쇄수단(110)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분쇄수단(110)이 정지되며, 그 후, 상기 분쇄부(100) 내에 남은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는 상기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배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방법.
  7. 제 4 항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방법으로서,
    (a) 상기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0)를 통해 상기 분쇄부(100)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단계(S100');
    (b) 상기 배수구(10)가 상기 배수구 커버(300)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S200');
    (c) 상기 제 1 센서(310)가 상기 배수구 커버(300)의 폐쇄를 감지하는 단계(S300');
    (d) 상기 살균수 생성부(200)에 원수가 유입되고 살균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상기 분쇄부(10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단계(S400');
    (e) 폐쇄된 상기 하수관 커버(400)가 개방되는 단계(S500');
    (f) 상기 하수관(20)을 통해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단계(S600');
    (g) 상기 하수관(20)이 폐쇄되는 단계(S700');
    (h) 상기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100)에 투입되는 단계(S800');
    (i) 상기 살균수가 상기 분쇄부(100)에 충만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부(100) 내의 상기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체류되는 단계(S900'); 및
    (j) 상기 체류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단계(S1000');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j)단계 이후,
    (k) 상기 배출되는 살균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하수관 커버(400)가 폐쇄되고, 상기 분쇄부(100) 내에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가 남은 상태에서, 상기 분쇄수단(110)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분쇄수단(110)이 정지되며, 그 후, 상기 분쇄부(100) 내에 남은 상기 기설정된 수위의 살균수는 상기 하수관 커버(400)를 개방하여 배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방법.
KR1020140177510A 2014-12-10 2014-12-10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20160070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10A KR20160070488A (ko) 2014-12-10 2014-12-10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10A KR20160070488A (ko) 2014-12-10 2014-12-10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488A true KR20160070488A (ko) 2016-06-20

Family

ID=5635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10A KR20160070488A (ko) 2014-12-10 2014-12-10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4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250A (zh) * 2018-06-21 2018-11-23 农绍钧 一种垃圾分解流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035A (ko) 2010-08-20 2012-02-29 장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035A (ko) 2010-08-20 2012-02-29 장수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250A (zh) * 2018-06-21 2018-11-23 农绍钧 一种垃圾分解流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717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KR1018527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60070488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자동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US20190003166A1 (en) Self-cleaning garbage disposa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KR20180075897A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511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미생물 공급장치
KR20180075896A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JP2005342570A (ja) 衛生用品溶解処理装置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KR20110060078A (ko)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41198A (ko) 물 자동 공급장치를 가진 씽크대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장치
CN206143878U (zh) 一种可消毒型厨余垃圾处理机
KR20230055679A (ko) 세면대의 직수와 양변기를 활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KR200461309Y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49984A (ko) 재활용 수세식 변기
KR10199254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210028946A (ko) 음식물처리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101858670B1 (ko)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KR2014014477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9240733U (zh) 垃圾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