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078A -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078A
KR20110060078A KR1020090116558A KR20090116558A KR20110060078A KR 20110060078 A KR20110060078 A KR 20110060078A KR 1020090116558 A KR1020090116558 A KR 1020090116558A KR 20090116558 A KR20090116558 A KR 20090116558A KR 20110060078 A KR20110060078 A KR 2011006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water supply
lid
moto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147B1 (ko
Inventor
서경태
서우람
Original Assignee
에스앤제이클린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제이클린텍(주) filed Critical 에스앤제이클린텍(주)
Priority to KR102009011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1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30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 B02C18/305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오물을 분쇄처리하여 그 부피를 줄인 후 정화조로 바로 배출시키거나 쓰레기 봉투를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몸체(20), 뚜껑(28), 커팅 플레이트(42), 급수 액추에이터(50) 및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이때, 몸체(20)는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된다. 뚜껑(28)은 제 1 캐비티(22)를 개폐시키도록 몸체(20)의 상측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팅 플레이트(42)는 몸체(20)의 제 1 캐비티(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 2 캐비티(24)에 설치되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된다. 급수 액추에이터(50)는 몸체(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 1 캐비티(22)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작동시 뚜껑(28)의 개폐를 검출하여 뚜껑(28)이 닫혔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는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만이 분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방법이 구성되므로,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용시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는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가정, 음식점 및 사무실 등에서 화장실, 베란다, 다용도실, 싱크대 등에 위치시키고 사용할 수 있어 실내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 및 화장실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화장지 등을 효과적으로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생활하수의 부영양화와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의 분쇄를 위한 커팅 플레이트(42) 외에 보조 커팅 유니트(70, 80)를 통해 채소와 같이 섬유질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변기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정내에서 발생되는 화장실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오물을 분쇄처리하여 그 부피를 줄인 후 정화조로 바로 배출시키거나 쓰레기 봉투를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생활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쓰레기 중에서 종이류, 유리병류, 금속 및 캔류, 플라스틱류, 스티로폼류, 비닐류 등 재활용가능한 제품을 분리수거하고, 음식물쓰레기도 분리수거하여 사료 또는 퇴비화시키거나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때, 국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많은 양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료 및 퇴비 등의 재활용 자원화 부분이 미약한 상태이고, 처리과정에서 다이옥신등 환 경물질 배출문제가 있어 소각방법 역시 미약한 상태이다. 더욱이, 환경오염에 대한 세계적인 규제로 인해 음식물쓰레기의 소각이 금지되었고, 매립방법도 2005년 1월 1일부터 금지된 상태이며, 2011년부터는 해양오염 방지조약인 런던협약에 따라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902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번호 제10-0838717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 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및 등록번호 제20-044051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을 제안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물처리분쇄기(디스포저; disposer)를 통해 싱크대에서 바로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하도록 허용하고 있는 선진국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물처리분쇄기를 통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법은 국내에서 환경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고, 하수 종말처리장의 시설 확장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까지 유용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면서 음식물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방안으로 오물처리분쇄기에서 분쇄된 오물이 정화조를 통해 오수관으로 배출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고, 서울특별시에서는 "서울형 분쇄기"라 하여 실용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7098호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47887호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7720호 "화장치 분쇄기",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1-0001743호 "화장실용 화장지 분쇄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5800호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는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화장지 등 가정내에서 발생되는 오물을 오물처리분쇄기를 통해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문제되는 점은 채소와 같이 섬유질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이다. 이와 같은 섬유질의 음식물 쓰레기는 오물처리분쇄기장치에 의해 쉽게 분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국의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화장지 등 가정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물을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재활용으로 분류되지 되지 않는 음식물쓰레기, 화장지 등의 오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가정, 음식점 및 사무실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화장지 등을 효과적으로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화장실, 베란다, 다용도실, 싱크대 등에서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오물처리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용시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제 1 캐비티(22)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상측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28)과; 상기 몸체(20)의 제 1 캐비티(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캐비티(24)에 설치되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 플레이트(42)와; 상기 몸체(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캐비티(22)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액추에이터(50) 및; 작동시 상기 뚜껑(28)의 개폐를 검출하여 상기 뚜껑(28)이 닫혔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화장실의 변기에 버려지는 오물 및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뚜껑(28)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68)와, 상기 뚜껑(28)의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열림 버튼(62)과,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을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버튼(64) 및, 수동모드에서 상기 뚜껑(28)을 닫은 후,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버튼(66)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는 상기 커팅 플레이트(42)의 상측 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 둘레로 결합되어 내측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73)를 갖는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캐비티(2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수홀(34)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34)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의 둘레로 밀폐되는 급수 공간(26)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 공간(26)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와 연통되는 분사홀(32)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 공간(26)의 하측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급수홀(30)이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제 1 캐비티(22)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상측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28)과; 상기 몸체(20)의 제 1 캐비티(22)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홀(34)의 상측 배치되어 상기 제 2 캐비티(24)에 설치되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 플레이트(42) 및; 상기 몸체(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홀(30)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급수 공간(26)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는 상기 커팅 플레이트(42)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 둘레로 결합되어 내측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73)를 갖는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를 더 구 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물을 분쇄처리하기 위한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환 버튼(64)을 통해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전환 단계에서 자동모드로 전환되고, 뚜껑(28)이 닫혔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28)이 열였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 단계에서 수동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 버튼(66)을 통해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28)이 열였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가정, 음식점 및 사무실 등에서 화장실, 베란다, 다용도실, 싱크대 등에 위치시키고 사용할 수 있어 실내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 및 화장실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는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만이 분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60)가 구성되므로,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용시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 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화장지 등을 효과적으로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생활하수의 부영양화와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의 분쇄를 위한 커팅 플레이트(42) 외에 보조 커팅 유니트를 통해 채소와 같이 섬유질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변기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통상의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또는 화장지 분쇄기와 동일하게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 플레이트(42)를 통해 오물을 분쇄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특별히 구성되는 몸체(20)를 통해 종래기술과 다른 급수 메커니즘을 갖도록 하여, 효과적인 급수를 통해 오물의 분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몸체(20), 뚜 껑(28), 커팅 플레이트(42) 및 급수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화장실에서 사용한 화장지를 미세 분쇄시켜 정화조로 배출시키거나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유기물을 미세 분쇄하여 변기의 배출관 또는 연결관을 통하여 정화조로 투입되도록 한다.
이때, 몸체(20)는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되며, 제 1 캐비티(2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수홀(34)이 형성되고, 배수홀(34)의 상측에서 제 1 캐비티(22)의 둘레로 밀폐되는 급수 공간(26)이 형성되며, 급수 공간(26)의 상측에서 제 1 캐비티(22)와 연통되는 분사홀(32)이 형성되고, 급수 공간(26)의 하측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급수홀(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28)은 제 1 캐비티(22)를 개폐시키도록 몸체(20)의 상측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커팅 플레이트(42)는 몸체(20)의 제 1 캐비티(22)의 하부에서 배수홀(34)의 상측 배치되어 제 2 캐비티(24)에 설치되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며, 급수 액추에이터(50)는 몸체(20)의 외측에 결합되어 급수홀(30)을 통해 외부로부터 급수 공간(26)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화장지 또는 음식물쓰레기 등의 오물을 넣고 뚜껑(28)을 닫으면,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본 발명의 바람직 한 실시예에서 자동모드의 작동상태)하여 오물의 분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급수는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외부로부터 급수홀(30)을 통해 급수 공간(26)으로 공급되고, 분사홀(32)을 통해 오물이 수용되는 제 1 캐비티(22)의 상측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오물은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 플레이트(42)에 의해 분쇄, 절단되어 배수홀(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배수홀(34)에는 배출 라인(92, 도 5 참조)을 결합시켜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화장실의 변기 옆에 설치되어 사용된 화장지를 미세분쇄 처리장치에 투입하여 작동시키면, 급수 액추에이터(50)에 의해 자동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모터(40) 구동에 의한 커팅 플레이트(42)에 의해 오물이 미세하게 분쇄되어 물과 함께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된 휴지는 즉시 변기에 버리거나 휴지통에 버리게 되는데, 변기에 버리게 되면 막히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휴지통에 버리면 냄새가 나고 비위생적일 뿐만아니라 쓰레기통을 청소할 경유 화장지를 비닐봉투에 넣어야 하므로 취급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불쾌한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의 유기물을 미세분쇄 한 후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 므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실내의 냄새 및 오염없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 싱크대를 통한 배출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생활하수의 부영양화와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별히 설계된 제어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60)를 구비하여 오물의 분쇄처리시 만일의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전환 버튼(64)을 통해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전환 단계에서 자동모드로 전환되고, 뚜껑(28)이 닫혔을 때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도록 하고, 뚜껑(28)이 열렸을 때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환 단계에서 수동모드로 전환되고,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 버튼(66)을 통해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도록 하고, 뚜껑(28)이 열렸을 때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은 열림 버튼(62), 전환 버튼(64), 작동 버튼(66) 및 센서(68)로 이루어지는 제어부(60)를 구성하여 이 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제어부(60)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61)에 위 구성요소들이 접속되도록 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때, 센서(68)는 뚜껑(28)의 개폐를 검출하고, 열림 버튼(62)은 뚜껑(28)의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환 버튼(64)은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을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 버튼(66)은 수동모드에서 뚜껑(28)을 닫은 후,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만이 분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60)가 구성되므로,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용시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에서 뚜껑을 열었을 때의 상 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에서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용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정, 음식점 및 사무실 등에서 화장실, 베란다, 다용도실, 싱크대 등에 위치시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실내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 및 화장실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마이크로 전자 펌프를 급수 액추에이터(50)로 적용하고, 배출 라인(92)을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해 간단히 전원 플러그를 뽑는 것으로 다른 장소와 환경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0)의 상단에 열고 닫히는 뚜껑(28)이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플랜지(25)가 형성되어 설치장소의 바닥에 놓아 사용하거나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오물처리분쇄기(10)는 사용형태에 따라 2가지의 배출방법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실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물처리분쇄기(10)의 배수홀(34)에 접속되는 배수 라인(92)을 변기 하부와 직관으로 연결시켜 구성{역류 및 악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 역류 캡과 한 방향 흐름 밸브를 중간에 취부하여 설치한다}할 수 있고,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물처리분쇄기(10)의 배출 라인(92)을 사용시에 변기의 내부 또는 싱크대(300)의 개수구(302)에 놓이는 거름망(도시 않음) 내로 위치시키도록 자바라 형태(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할 경우 길이를 늘이고, 줄일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최소 줄여 놓을 수 있다)로 구성하여 방향과 높낮이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형으로 사용하는 경우 변기(200)와의 높이차를 고려하여 받침대(100)를 구성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받침대(100)는 주입구(104)를 통해 내부에 물을 넣어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면에는 오물처리분쇄기(10)의 플랜지(25)가 삽입되어 안치되는 받침홈(1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오물처리분쇄기(10)의 몸체(20)의 정면에는 열림 버튼(62), 전환 버튼(64) 및 작동 버튼(66)이 설치되는 제어부(60)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20)의 배면에는 솔레노이드 또는 펌프와 같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설치되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 라인(90)과 배출 라인(92)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40), 급수 액추에이터(50) 및 제어부(60)에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전 원라인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설치 환경에 따라 급수 방법을 두 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 하부의 직수관에 급수 라인(90)을 접속시켜 사용하는 경우, 급수 액추에이터(50)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급수하도록 할 수 있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200)의 물통에서 간단히 급수 라인(90)을 삽입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급수 액추에이터(50)로 마이크로 전자펌프를 설치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급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뚜껑(28)이 몸체(20)에 닫혔을 때 뚜껑(28)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분쇄작동시 뚜껑(28)이 열렸을 때 모터(4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므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뚜껑(28)이 몸체(20)에 닫힌 후, 사용자가 뚜껑(28)을 열기 위한 작동을 하지 않는 한, 뚜껑(28)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분쇄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뚜껑(28)이 열리는 경우에도 분쇄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자석방식의 센서(68)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센서(68)는 뚜껑(28)에 설치되는 자석(68a) 과 몸체(20)에 설치되는 센싱부(68b)에 밀착되었을 때 작동되도록 구성되므로써,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 분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28)의 열림 제어는 열림 버튼(62)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림 버튼(62)은 뚜껑(28)이 닫혔을 때 몸체(20)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 메커니즘과 연계되어 사용자가 열림 버튼(62)을 눌렀을 때 록킹 메커니즘이 해제되어 뚜껑(28)을 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록킹 메커니즘은 몸체(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홀더(63b)에 뚜껑(28)에 설치된 훅크(63a)가 삽입되었을 때 훅크(63a)가 홀더(63b)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센서(68) 및 록킹 메커니즘은 센싱 분야 및 잠금장치 분야에서 이미 여러 형태로 알려진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뚜껑(28)을 열 수 있도록 열림 버튼(62)이 중앙에 있으며, 열림 버튼(62)을 누르면 훅크(63a)가 홀더(63b)로부터 해제되어 뚜껑(28)이 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열림 버튼(62)의 양 옆으로는 자동모드 선택을 on/off할 수 있는 전환 버튼(64)이 설치되고, 수동모드시 사용자가 분쇄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 버튼(6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안정적인 분 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간헐적으로 사용할 경우, 전환 버튼(64)을 수동으로 선택하여 두면, 투입 오물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작동 버튼(66)을 한번만 누르면 작동된다. 이때, 오물이 완전히 미세분쇄되어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을 경우 또 다시 작동 버튼(66)을 눌러 재작동시켜 처리하게 되며, 사용자가 전환 버튼(64)을 on시킬 경우, 오물처리분쇄기(10)의 뚜껑(28)이 열렸다 닫히면 무조건 1회 작동하게 된다. 또한 분쇄처리과정이 완료된 후, 뚜껑(28)의 잠금이 자동해제되므로, 뚜껑을 열어 유기물이 남아 있을 경우 오물처리분쇄기(10)의 뚜껑(28)을 닫으면 또 다시 1회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뚜껑(28)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환 버튼(64) 및 작동 버튼(66)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작동 중에 열림 버튼(62)도 작동되지 않도록 하며, 작동 정지 후 모든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전사고의 방지와 더불어 사용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일반적으로 해머 방식과 고정날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디스포저에 적용되고 있는 커팅 플레이트(42; turn table)를 선택사용하여 오물의 분쇄 및 절단을 수행하도록 하지만,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문제되는 점은 채소와 같이 섬유질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절단 및 분쇄시키도록 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제 1 및 제 2 보조 커팅 유니트(70, 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팅 플레이트(42)의 상측에서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 둘레로 결합되어 내측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73)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는 내측면(72a)과 외측면(72b)이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단위 커터(72)를 조합시켜 적층구조를 갖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단위 커터(72)의 내측면(72a)에는 블레이드(73)가 설치되고, 외측면(72b)에는 기준홈(74)이 형성되어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도시 않음)에 결합시키므로써 안정된 결합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단위 커터(72)는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76)와 홈(78)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는 분쇄처리과정시 채소와 같은 섬유질의 음식물쓰레기가 커팅 플레이트(42)에 의해 절단되지 않고,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으로 쏠릴 때, 이를 절단함과 동시에 마찰운동에 의해 미세 분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는 두께 1mm정도와 부분(간헐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층층이 높이 쌓여 하나로 이루어지므로, 종이류나 섬유질을 분쇄하는데 있어 우수한 절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보조 커팅 유니트(8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의 상측에서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 둘레로 결합되어 제 1 캐비 티(2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 2 보조 커팅 유니트(80)는 분쇄처리과정시 커팅 플레이트(42)의 고속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오는 분쇄과정의 오물이 분쇄충격을 다시 반도록 함과 동시에 급수된 물과 함께 회전되어 마찰력에 의한 분쇄효과를 갖도록 하므로써, 분쇄효과는 높이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이와 같은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 및 제 2 보조 커팅 유니트(80)를 통해 내부에 급수된 물의 유동 회전력에 의해 분쇄처리되는 오물이 더욱 미세하고 빠른 시간에 분쇄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급수가 오물의 분쇄처리과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분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커팅 플레이트(42)의 회전력에 의한 급수의 와류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유기물의 분쇄와 함께 유기물이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에 잔유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몸체(20)는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되며, 제 1 캐비티(2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수홀(34)이 형성되고, 배수홀(34)의 상측에서 제 1 캐비티(22)의 둘레로 밀폐되는 급수 공간(26)이 형성되며, 급수 공간(26)의 상측에서 제 1 캐비티(22)와 연통되는 분사홀(32)이 형성되 고, 급수 공간(26)의 하측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급수홀(30)이 형성된다. 이때, 급수 공간(26)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0)의 상부를 이루는 2개의 배럴(26a, 26b)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는 PCB회로에서 설정된 시간으로 급수시간을 조절한다. 즉, 작동되면, 모터가 작동하기 전 5초 동안 먼저 급수되며, 모터가 5초후 작동, 작동후 10초 분쇄, 그리고, 모터는 정지되는 과정의 1회 작동과정을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급수 공간(26)의 형성은 몸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의 제어방법을 보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분쇄처리과정(작동)을 자동으로 할 것인지 수동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입력받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부 앞의 전환 버튼(64)을 통해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전환 버튼(64)이 눌렸을 때 자동모드, 돌출되었을 때 수동모드가 되도록 하였다}한 후, 뚜껑(28)을 열고 폐화장지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제 1 캐비티(22)에 넣은 후 뚜껑(28)을 닫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동모드를 선택한 경우 자동으로 분쇄처리과정이 진행되고, 사용자가 수동모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작동 버튼(66)을 누르면 분쇄처리과정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의 분쇄처리과정을 보 면, 먼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에 의해 약 수 초간 물을 분사한다. 이후 물 급수와 함께 모터(40)의 구동을 통해 커팅 플레이트(42)가 고속으로 회동하게 되고, 투입된 유기물 및 화장지는 회전력에 의해 미세 분쇄 된 후 커팅 플레이트(42)의 밑면에 있는 배출 압력 돌출갈귀에 의해 높은 압력으로 배수홀(34)을 통해 배수 라인(92)으로 배출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1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작동중에는 뚜껑(28)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데, 자동모드의 경우 오물의 투입 후, 뚜껑(28)을 닫으면 약 1-2초 후 급수되면서 커팅 플레이트(42)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처리하는데 오물처리분쇄기(10)의 제조시 설정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멈추고 뚜껑(28)을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오물이 남아 있을 경우 사용자가 다시 뚜껑(28)만 닫으면 반복적으로 급수와 분쇄작동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에서 뚜껑을 열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에서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분쇄기의 사용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오물처리분쇄기 20 : 몸체
22 : 제 1 캐비티(cavity) 23 : 격판
24 : 제 2 캐비티 26 : 급수 공간
30 : 급수홀 32 : 분사홀
34 : 배수홀 40 : 모터
42 : 커팅 플레이트 50 : 급수 액추에이터
60 : 제어부 62 : 열림 버튼
64 : 전환 버튼 66 : 작동 버튼
68 : 센서 70 :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
73 : 블레이드

Claims (5)

  1.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제 1 캐비티(22)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상측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28)과;
    상기 몸체(20)의 제 1 캐비티(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캐비티(24)에 설치되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 플레이트(42)와;
    상기 몸체(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캐비티(22)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액추에이터(50) 및;
    작동시 상기 뚜껑(28)의 개폐를 검출하여 상기 뚜껑(28)이 닫혔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화장실의 변기에 버려지는 오물 및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처리하여 변기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뚜껑(28)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68)와,
    상기 뚜껑(28)의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열림 버튼(62)과,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을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중 어 느 하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 버튼(64) 및;
    수동모드에서 상기 뚜껑(28)을 닫은 후,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버튼(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3. 상측에 제 1 캐비티(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 1 캐비티(22)와 격판(23)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캐비티(2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캐비티(22)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수홀(34)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34)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의 둘레로 밀폐되는 급수 공간(26)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 공간(26)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와 연통되는 분사홀(32)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 공간(26)의 하측에 외측으로 연통되는 급수홀(30)이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제 1 캐비티(22)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상측에 힌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28)과;
    상기 몸체(20)의 제 1 캐비티(22)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홀(34)의 상측 배치되어 상기 제 2 캐비티(24)에 설치되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 플레이트(42) 및;
    상기 몸체(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홀(30)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급수 공간(26)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플레이트(42)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캐비티(22)의 내측면 둘레로 결합되어 내측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73)를 갖는 제 1 보조 커팅 유니트(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5. 오물을 분쇄처리하기 위한 오물처리분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환 버튼(64)을 통해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전환 단계에서 자동모드로 전환되고, 뚜껑(28)이 닫혔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28)이 열였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 단계에서 수동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뚜껑(28)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 버튼(66)을 통해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28)이 열였을 때 상기 모터(40)와 급수 액추에이터(5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처리분쇄기.
KR1020090116558A 2009-11-30 2009-11-30 오물처리분쇄기 KR10118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58A KR101187147B1 (ko) 2009-11-30 2009-11-30 오물처리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58A KR101187147B1 (ko) 2009-11-30 2009-11-30 오물처리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78A true KR20110060078A (ko) 2011-06-08
KR101187147B1 KR101187147B1 (ko) 2012-09-28

Family

ID=4439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558A KR101187147B1 (ko) 2009-11-30 2009-11-30 오물처리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90B1 (ko) * 2011-11-21 2013-07-17 이동언 내측벽에 파쇄보조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CN105756161A (zh) * 2015-03-08 2016-07-13 何宗龙 一种基于碎纸抽水马桶的卫生用纸的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2231B (zh) * 2015-03-08 2016-04-20 何宗龙 碎纸抽水马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69Y1 (ko) 2001-02-22 2001-07-03 곽철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7061692A (ja) 2005-08-29 2007-03-15 Inax Corp ディスポーザ
JP2009022913A (ja) 2007-07-23 2009-02-05 Furomu Kogyo:Kk 厨芥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90B1 (ko) * 2011-11-21 2013-07-17 이동언 내측벽에 파쇄보조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CN105756161A (zh) * 2015-03-08 2016-07-13 何宗龙 一种基于碎纸抽水马桶的卫生用纸的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147B1 (ko) 201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659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87147B1 (ko) 오물처리분쇄기
WO2014108043A1 (zh) 一种多功能自动垃圾处理器
KR200440415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처리장치
KR20120134896A (ko) 음식물 분쇄 배수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1803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0984315A (zh) 一种智能磨盘式垃圾处理机及其操作方法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10981178B2 (en) Self-cleaning garbage disposa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CN214826134U (zh) 一种安全碎纸垃圾桶
KR100294364B1 (ko)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CN211849790U (zh) 一种磨盘式垃圾处理机
KR1015047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JP2005081272A (ja) 衛生用品用ディスポーザー及び衛生用品の処理方法。
KR2010005467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와 싱크볼의 조립장치
CN107642137B (zh) 卫生间多功能处理机
KR20160041198A (ko) 물 자동 공급장치를 가진 씽크대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장치
CN214884128U (zh) 一种餐厨垃圾处理器安全防护机构
KR200207720Y1 (ko) 화장지 분쇄기
KR102657016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CN212739269U (zh) 一种厕所用垃圾桶桶体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70729B1 (ko) 자동 제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