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674B1 -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674B1
KR102231674B1 KR1020140077254A KR20140077254A KR102231674B1 KR 102231674 B1 KR102231674 B1 KR 102231674B1 KR 1020140077254 A KR1020140077254 A KR 1020140077254A KR 20140077254 A KR20140077254 A KR 20140077254A KR 102231674 B1 KR102231674 B1 KR 10223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housing
dehydration
partition wall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98A (ko
Inventor
최성춘
장동희
정대중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6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 및 분리하여 배출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는, 상,하부가 개구되되, 외주면 일측에 배수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다수의 탈수공이 타공된 탈수통;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상기 탈수통의 하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탈수통에서 탈수된 수분이 상기 격벽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로 유동하여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수장치 및 보관부를 싱크대에 일체로 설치하여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 및 분리된 수분을 확실하게 분리하여 배출이 가능하므로, 분리된 수분의 보관부 유입으로 인한 고장은 물론이고,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 배관으로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의 막힘으로 인한 역류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An apparatus for dehydrating food waste and an apparatus for treatment food wast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 및 분리하여 배출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경제적으로도 문제일 수 있으나,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 및 처리 미비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할 것이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에 다량 포함된 수분은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크게 할 뿐만 아니라, 처리과정에 있어서 부패 및 세균 번식을 더욱 촉진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에 매우 장애가 되는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는 탈수가 이루어진 후, 분리된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구분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32940 호에는 싱크대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하고 탈수된 수분을 싱크대 배관을 통하여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도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만이 싱크대 하부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분리된 수분만이 배관을 통하여 배출될 뿐,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통을 탈거하여 별도로 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시에 작은 음식물 쓰레기 잔해들이 수분과 함께 배출되어 결국 배관을 막아 역류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KR 10-2013-0032940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관부와 일체로 싱크대에 연결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완전하게 분리하여 배출이 가능케 함으로써, 싱크대 배관의 막힘 현상 및 보관부로의 물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는, 상,하부가 개구되되, 외주면 일측에 배수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다수의 탈수공이 타공된 탈수통;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상기 탈수통의 하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탈수통에서 탈수된 수분이 상기 격벽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로 유동하여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통과 상기 격벽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격벽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의 상부면 일측에는 돌기가 위치하고, 상기 탈수통의 하부면 일측에는 홈이 위치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그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통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거름공이 타공된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그 일측에서 상기 배수구를 항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공은 상기 탈수공보다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와 연통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보관부는 그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탈수장치 및 보관부를 싱크대에 일체로 설치하여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 및 분리된 수분을 확실하게 분리하여 배출이 가능하므로, 분리된 수분의 보관부 유입으로 인한 보관부의 고장은 물론이고,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 배관으로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의 막힘으로 인한 역류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수통(150)을 제거하고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덮개(140)가 덮인 상태에서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덮개(140)가 제거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개폐도어(140')가 폐쇄된 상태에서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개폐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구성 설명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수통(150)을 제거하고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는 하우징(110), 탈수통(150), 격벽(131), 덮개(140) 및 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중공의 원통형일 수 있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주면 일측이 개구된 배수구(120)를 구비하며, 개구된 상부가 싱크대(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그 하부면의 일측으로부터 배수구(120)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11)를 구비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경사부(111)를 따라 배수구(120)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배수구(120)는 하우징(110)의 외주면 일측이 관통되어 하우징(110) 내외부가 소통 가능하도록 하여, 배수구(120)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수분이 배출된다.
탈수통(15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통(150) 내에 위치하게 되고, 탈수통(150)의 벽면에는 탈수통(150)의 내외부가 소통 가능하도록 벽면을 관통하는 탈수공이 다수개 타공된다.
따라서, 탈수통(150)이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탈수공을 통하여 분리되어 탈수통(150)의 외부로 탈수되어 배출된다.
격벽(131)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부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한 탈수통(150)의 하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며, 하우징(1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를 구획하게 되며(도 7 및 도 9 참조),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후술할 보관부(2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덮개(140)는 격벽(131)의 상부에 위치하여, 격벽(131)의 개구된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즉, 덮개(140)는 격벽(131)의 상부와 탈수통(150)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덮개(140) 상부면의 중심에는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141)가 형성되고, 이 돌기(141)가 탈수통(150) 하부면의 중심에 형성된 홈(151)에 결합되어, 탈수통(150)의 회전운동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그리고, 덮개(140)는 돌기(141)를 중심으로 그 외주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탈수통(150) 하부로 배출되는 수분이 경사를 따라 하우징(110)의 하부로 원활하게 유동된다(도 6).
거름망(1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20)의 개구된 부분에 탈착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이 배수구(120)로 배출될 때, 이를 2차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다수의 거름공이 타공된다. 이러한 2차적인 거름작용을 위하여 거름공의 크기는 탈수공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32)는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부에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격벽(131)과 연통된다. 즉, 격벽(131)과 같은 형상으로 그 하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수분이 탈수된 쓰레기가 격벽(131)의 상부로 투입되어 연결부(132)를 통하여 후술할 보관부(200)로 투입된다(도 6).
보관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개구되어 연결부(132)와 연결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분이 탈수된 쓰레기가 연결부(132)를 통하여 보관부(200)로 투입된다.
또한, 보관부(200)에서의 쓰레기 보관 또는 처리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보관부(200)는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 또는 냉각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보관부(20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해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 및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외의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는 덮개(140) 대신에 개폐도어(140')를 포함한다.
탈수통(150)의 하부가 개구되어, 개폐도어(140')는 탈수통(150)의 하부면에서 탈수통(150)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탈수된 쓰레기가 개폐도어(140')가 개방됨에 따라, 격벽(131) 및 연결부(132)를 통하여 보관부(200)로 투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는 덮개(140)의 돌기(141)와 탈수통(150)의 홈(151)이 고정되지는 않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된 후 개폐도어(140')를 개방하여 바로 탈수된 쓰레기를 보관부(200)로 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동작 설명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덮개(140)가 덮인 상태에서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덮개(140)가 제거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개폐도어(140')가 폐쇄된 상태에서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의 종단면도로서 개폐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로부터 탈수통(150) 내부로 투입되고, 탈수통(150)이 회전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되어 탈수통(150) 측면 및 하부로 유동한다.
분리된 수분은 탈수공을 통과하여 격벽(131)의 외부면과 하우징(110)의 사이로 유동하며, 이때 덮개(140)에 형성된 경사로 인하여 보다 원활하게 하우징(110) 하부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10) 하부로 유동된 수분은 경사부(111)를 따라서 배수구(120)로 유동하여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거름망(121)을 통과하며 2차적인 여과를 통해 수분이 완전히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150)을 탈거하고, 덮개(140)를 제거한 후 탈수통(150)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격벽(131) 내부로 투입하여 연결부(132)를 통하여 보관부(200)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100)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탈수통(150)의 하부에 개폐도어(1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탈수통(150)에서 탈수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수분은, 탈수통(150)의 측면을 통과하여 격벽(131)의 외면으로 유동하여 하부징 하부로 이동하고, 경사부(111)를 따라 배수구(120)로 배출되고,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150)을 제거하지 않은 채로 개폐도어(140')를 개방하여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격벽(131) 및 연결부(132)를 통하여 보관부(200)로 투입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싱크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고, 음식물 쓰레기와 탈수된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보관부로의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보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이 싱크대의 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싱크대 배관 막힘으로 인한 역류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110: 하우징
111: 경사부
120: 배수구
121: 거름망
131: 격벽
132: 연결부
140: 덮개
140': 개폐도어
141: 돌기
150: 탈수통
151: 홈
200: 보관부

Claims (10)

  1. 상, 하부가 개구되되, 외주면 일측에 배수구(120)가 구비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다수의 탈수공이 타공된 탈수통(150);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해 상기 탈수통(150)의 하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131); 및
    상기 탈수통(150)과 상기 격벽(13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격벽(131)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140); 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이 상기 격벽(131)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의 사이로 유동하여 상기 배수구(120)로 배출되며,
    상기 격벽(131)은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이고, 상기 덮개(140)는 상기 격벽(131)의 상단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의 상부면 일측에는 돌기(141)가 위치하고, 상기 탈수통(150)의 하부면 일측에는 홈(151)이 위치하여, 상기 돌기(141)가 상기 홈(151)에 접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는 그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5. 상, 하부가 개구되되, 외주면 일측에 배수구(120)가 구비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다수의 탈수공이 타공된 탈수통(150);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해 상기 탈수통(150)의 하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131); 및
    상기 탈수통(150)의 하부 중 바닥면에 위치하는 개폐도어(140'); 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통(150)에서 탈수된 수분이 상기 격벽(131)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의 사이로 유동하여 상기 배수구(120)로 배출되며,
    상기 격벽(131)은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이고,
    상기 개폐도어(140’)는 상기 격벽(13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거름공이 타공된 거름망(121)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은 그 일측에서 상기 배수구(120)를 항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공은 상기 탈수공보다 크기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9. 제 8 항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 장치; 및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하부와 연통되는 보관부(200);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200)는 그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140077254A 2014-06-24 2014-06-24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23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254A KR102231674B1 (ko) 2014-06-24 2014-06-24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254A KR102231674B1 (ko) 2014-06-24 2014-06-24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98A KR20160000198A (ko) 2016-01-04
KR102231674B1 true KR102231674B1 (ko) 2021-03-24

Family

ID=5516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254A KR102231674B1 (ko) 2014-06-24 2014-06-24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8807A (zh) * 2022-08-11 2022-11-11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技术微生物分解的厨余垃圾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91B1 (ko) * 2006-05-22 2007-10-18 박황경 씽크대용 폐 음식물 처리장치
KR100909343B1 (ko) * 2009-04-30 2009-07-23 양동훈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967B1 (ko) 2011-09-26 2014-02-28 신복임 싱크대용 탈수장치
KR101413883B1 (ko)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91B1 (ko) * 2006-05-22 2007-10-18 박황경 씽크대용 폐 음식물 처리장치
KR100909343B1 (ko) * 2009-04-30 2009-07-23 양동훈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98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836B2 (ja) 厨芥処理装置
EP3080359B1 (en) An improved apparatus for compacting and dehydrating organic waste and/or alimentary waste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673382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223167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097701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거름 용기
KR101302348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KR100948962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2009000380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65464B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001668U (ko) 자동 벌크형 거름통
KR20020063037A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102240848B1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76421B1 (ko) 이물질 필터링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세면대 하수관 어셈블리
JPH04346854A (ja) 生ゴミ脱水装置
KR102071549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EP4159295A1 (en) A filter device for a waste stream from a sink
KR102251011B1 (ko) 배수구용 거름망
KR20200109862A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 사용되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를 구비한 거름망
KR200379976Y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237594B1 (ko) 음식찌꺼기 자동 탈수 및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