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549B1 -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549B1
KR102071549B1 KR1020180004874A KR20180004874A KR102071549B1 KR 102071549 B1 KR102071549 B1 KR 102071549B1 KR 1020180004874 A KR1020180004874 A KR 1020180004874A KR 20180004874 A KR20180004874 A KR 20180004874A KR 102071549 B1 KR102071549 B1 KR 10207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opening
sink
closing
han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835A (ko
Inventor
훈 이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정경호
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호, 이훈 filed Critical 정경호
Priority to KR102018000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5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는,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 상측에 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과,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싱크대 배수통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며, 배수구의 개폐를 통해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물을 채워서 거름망 및 싱크대 배수통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APPARATUS FOR OPEN-CLOSING AND FILTERING DRAIN HOLE IN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고, 거름망 및 싱크대 배수통을 세척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처럼 물을 사용하는 곳에는 사용 후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싱크대 배수통의 저면에 배수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물을 따라 이물질이 들어가 싱크대의 배수관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 거름망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수구 거름망은 거름망의 내외측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수구 거름망의 이물질로 의한 배수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번번히 배수구로부터 거름망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또한, 싱크대 배수통의 내측에 오염물질이 붙어 있어 위생상 문제가 되므로 싱크대 배수통의 내측을 세척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0925호(2016.09.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며, 배수구의 개폐를 통해 내부에 물을 채워서 거름망 및 싱크대 배수통을 세척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는,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 상측에 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봉; 및 상기 손잡이봉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봉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손잡이봉에 설치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봉을 상부로 당겨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봉은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거름망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봉을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자석이 상기 거름망과 분리되면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배수구를 개폐 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봉을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봉을 상부로 당겨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팽창되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손잡이봉에 설치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봉을 상부로 당겨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봉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나사부가 상기 거름망의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봉은 상기 거름망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봉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나사부가 상기 거름망의 관통홀에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봉을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밀폐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되고 하면이 개방된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 시 상기 배수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손잡이봉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방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는,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내측 하부에 상기 배수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구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은, 상면의 반원투입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곡면측판부와 대향되는 평면측판부에 다수의 배수홀을 갖는 배수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배수구 개폐부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거름망 본체; 상기 거름망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원투입부를 개폐하되, 상기 반원투입부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반원투입부의 상면을 밀폐하고, 상기 반원투입부와 반대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반원투입부의 상면을 개방하면서 상기 거름망 본체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거름망 본체와 상기 싱크대 배수통 사이의 반원개구부의 상면을 밀폐하는 반원형의 덮개; 및 상기 거름망 본체의 평면측판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수개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 상측에 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구 개폐부를 하부로 눌러서 상기 배수구를 밀폐한 후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물을 채워서 상기 거름망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내측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구 개폐부를 상부로 올려서 상기 배수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거름망 및 상기 싱크대 배수통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을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는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며, 배수구의 개폐를 통해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물을 채워서 거름망 및 싱크대 배수통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구 개폐부를 하부로 눌러서 배수구를 밀폐한 후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물을 채워서 거름망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의 내측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구 개폐부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를 개방함으로써 거름망 및 싱크대 배수통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하측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거름망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배수구 커버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하측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
도 14는 도 11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1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종단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하측 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정면도.
도 22는 도 19의 종단면도.
도 23은 도 19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하측 사시도.
도 29는 도 27의 정면도.
도 30은 도 27의 종단면도.
도 31은 도 27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종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하측 사시도.
도 37은 도 35의 정면도.
도 38은 도 35의 종단면도.
도 39는 도 35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
도 40은 도 39의 종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하측 사시도.
도 45는 도 43의 정면도.
도 46은 도 43의 종단면도.
도 47은 도 43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
도 48은 도 43의 종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사시도.
도 52는 도 51에 나타낸 거름망의 사시도.
도 53은 거름망의 상측 사시도.
도 54는 거름망의 측면도.
도 55는 거름망의 덮개와 배수개폐판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거름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배수구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100)는 거름망(110), 배수구 개폐부(120) 및 배수구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110)은 싱크대 배수통(10, 도 9 및 도 10 참조)의 내부 상측에 거치되어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름망(11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름망(11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측면 둘레와 하면에 다수의 배수홀(1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름망(110)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거름망(110)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113)이 형성되어 후술할 배수구 개폐부(120)가 싱크대 배수통(1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11, 도 9 및 도 10 참조)를 개폐 시 배수구 개폐부(120)의 손잡이봉(121)이 관통홀(113)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구 개폐부(120)는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싱크대 배수통(10)의 배수구(1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서 배수구 개폐부(120)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11)를 개방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구 개폐부(120)를 하부로 눌러서 배수구(11)를 폐쇄한 후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세정액과 함께 물(1, 도 9 및 도 10 참조)을 채워서 거름망(110) 및 싱크대 배수통(10)을 세척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120)는 거름망(110)의 관통홀(113)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1)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배수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120)는 손잡이봉(121) 및 밀폐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봉(121)은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름망(110)의 관통홀(1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봉(121)의 상단부에는 요홈(122)이 형성되어 손으로 요홈(122)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봉(12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123)는 손잡이봉(1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봉(121)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123)는 배수구(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123)의 하단부가 배수구(11)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123)가 배수구(11)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밀폐부재(123)가 배수구(11)의 외측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하거나 배수구(11)의 내측 및 외측을 동시에 밀폐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밀폐부재(123)는 후술할 배수구 커버부(1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3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밀폐부재(123)의 외경이 개구부(133)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밀폐부재(123)는 외측면에 걸림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부재(123)가 배수구 커버부(130)의 개구부(133)를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걸림돌기(124)가 개구부(133)의 테두리 상측에 걸리면서 밀폐부재(123)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수구 커버부(130)는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수구 커버부(130)는 합성수지재, 합성고무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배수구 커버부(130)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하단부에 고정판(13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배수구 커버부(130)의 상면에는 개구부(133)가 형성되어 밀폐부재(123)가 개구부(133)를 상하로 관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100)는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며, 싱크대 배수통(10)에 물을 채워 거름망(1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측을 세척하기 위하여 배수구(11)를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120)의 손잡이봉(1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123)가 배수구 커버부(130)의 개구부(133)를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밀폐부재(123)의 걸림돌기(124)가 개구부(133)의 테두리 상측에 걸리면서 밀폐부재(123)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부(130)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1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110)의 배수홀(111)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120)의 손잡이봉(121)을 하부로 눌러주면 밀폐부재(123)가 배수구 커버부(130)의 개구부(133)를 관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1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1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9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120)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11)를 개방함으로써 거름망(1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200)는 거름망(210), 배수구 개폐부(220) 및 배수구 커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배수구 개폐부(2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인, 거름망(210) 및 배수구 커버부(2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배수구 개폐부(2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 개폐부(220)는 거름망(210)의 관통홀(213, 도 18 참조)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1, 도 17 및 도 18 참조)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싱크대 배수통(10, 도 17 및 도 18 참조)의 배수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220)는 손잡이봉(221), 밀폐부재(223) 및 자석(225)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봉(221)은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름망(210)의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봉(221)의 상단부에는 요홈(222)이 형성되어 손으로 요홈(222)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봉(22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223)는 손잡이봉(2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봉(221)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223)는 배수구(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223)의 하단부가 배수구(11)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223)는 후술할 배수구 커버부(2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3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밀폐부재(223)의 외경이 개구부(233)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자석(225)은 손잡이봉(221)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이며, 배수구(11)를 개방 시 손잡이봉(221)을 관통홀(213)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후 손잡이봉(221)을 자석(225)을 통해 거름망(210)의 하부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봉(221)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판형태의 자석(225)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판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자석(225)을 손잡이봉(221)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자석(225)이 거름망(2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거름망(210)을 금속재로 제작하거나 거름망(210)의 관통홀(213) 주변에 금속판(미도시)을 고정하여 자석(225)이 금속판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220)의 손잡이봉(2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223)가 배수구 커버부(230)의 개구부(233)를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봉(221)은 자석(225)에 의해 거름망(210)에 부착 고정되면서 밀폐부재(223)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부(230)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2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210)의 배수홀(211)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220)의 손잡이봉(221)을 하부로 눌러주면 자석(225)이 거름망(210)과 분리되면서 밀폐부재(223)가 배수구 커버부(230)의 개구부(233)를 관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2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2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17과 같이 배수구 개폐부(220)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11)를 개방함으로써 거름망(2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도 19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19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종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300)는 거름망(310), 배수구 개폐부(320) 및 배수구 커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배수구 개폐부(3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인, 거름망(310) 및 배수구 커버부(3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배수구 개폐부(3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 개폐부(320)는 거름망(310)의 관통홀(313)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1, 도 25 및 도 26 참조)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싱크대 배수통(10, 도 25 및 도 26 참조)의 배수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320)는 손잡이봉(321), 밀폐부재(323) 및 탄성부재(32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봉(321)은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름망(310)의 관통홀(3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봉(321)의 상단부에는 요홈(322)이 형성되어 손으로 요홈(322)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봉(32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323)는 손잡이봉(3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봉(321)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323)는 배수구(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323)의 하단부가 배수구(11)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323)는 후술할 배수구 커버부(3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3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밀폐부재(323)의 외경이 개구부(333)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밀폐부재(323)는 하부 테두리 내측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장착홈(324)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부재(325)가 스프링장착홈(32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325)는 밀폐부재(323)의 하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밀폐부재(323)가 배수구(11)를 개폐 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25)의 상부는 스프링장착홈(32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탄성부재(325)의 하부는 밀폐부재(323)의 하부로 돌출되어 밀폐부재(323)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면서 배수구(11)의 외측에 삽입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25)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320)는 탄성부재(325)에 의해 밀폐부재(323)가 상부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부(330)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3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310)의 배수홀(311)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320)의 손잡이봉(321)을 하부로 눌러주면 탄성부재(325)가 압축되면서 밀폐부재(323)가 배수구 커버부(330)의 개구부(333)를 관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3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3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25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320)의 손잡이봉(3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323)가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1)를 개방하고, 탄성부재(325)가 팽창되면서 밀폐부재(323)는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거름망(3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29 및 도 30은 도 27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31은 도 27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이며, 도 32는 도 31의 종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400)는 거름망(410), 배수구 개폐부(420) 및 배수구 커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배수구 개폐부(4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인, 거름망(410) 및 배수구 커버부(4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배수구 개폐부(4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 개폐부(420)는 거름망(410)의 관통홀(413)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1, 도 33 및 도 34 참조)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싱크대 배수통(10, 도 33 및 도 34 참조)의 배수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420)는 손잡이봉(421), 밀폐부재(423) 및 나사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봉(421)은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름망(410)의 관통홀(4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봉(421)의 상단부에는 요홈(422)이 형성되어 손으로 요홈(422)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봉(42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423)는 손잡이봉(4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봉(421)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423)는 배수구(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423)의 하단부가 배수구(11)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423)는 후술할 배수구 커버부(4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43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밀폐부재(423)의 외경이 개구부(433)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나사부(425)는 손잡이봉(421)에 수나사 형태로 형성되며, 배수구(11)를 개방 시 손잡이봉(421)을 관통홀(413)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후 손잡이봉(421)을 회전시켜 나사부(425)가 거름망(410)의 관통홀(413)에 체결되어 손잡이봉(421)을 거름망(4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손잡이봉(421)을 회전 시 수나사 형태의 나사부(425)가 거름망(410)의 관통홀(413)에 원활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거름망(410)의 관통홀(413) 주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관(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420)의 손잡이봉(4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423)가 배수구 커버부(430)의 개구부(433)를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하게 되고,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봉(421)을 일방향으로(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봉(421)의 나사부(425)가 거름망(410)의 관통홀(413) 테두리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밀폐부재(423)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부(430)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4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410)의 배수홀(411)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420)의 손잡이봉(421)을 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봉(421)의 나사부(425)가 회전하면서 거름망(410)의 관통홀(413)에 체결이 해제되고, 나사부(425)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손잡이봉(421)을 하부로 눌러주면 밀폐부재(423)가 배수구 커버부(430)의 개구부(433)를 관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4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4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33과 같이 배수구 개폐부(420)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11)를 개방함으로써 거름망(4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37 및 도 38은 도 35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39는 도 35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이며, 도 40은 도 39의 종단면도이다.
도 35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500)는 거름망(510) 및 배수구 개폐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름망(510)은 제 1 실시예의 거름망(11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배수구 개폐부(5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 개폐부(520)는 거름망(510)의 관통홀(513)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1, 도 41 및 도 42 참조)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싱크대 배수통(10, 도 41 및 도 42 참조)의 배수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520)는 손잡이봉(521), 밀폐부재(523), 악취방지커버(525) 및 자석(527)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봉(521)은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름망(510)의 관통홀(5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봉(521)의 상단부에는 요홈(522)이 형성되어 손으로 요홈(522)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봉(52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523)는 손잡이봉(5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봉(521)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523)는 배수구(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523)의 하단부가 배수구(11)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악취방지커버(525)는 밀폐부재(52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되고 밀폐부재(523)보다 하부로 더 길게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 또는 반구형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구(11)를 개폐 시 배수구(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손잡이봉(52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방지커버(525)를 손잡이봉(521)에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부재(523)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배수구 개폐부(520)에 악취방지커버(52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배수구 커버부(130, 230, 330, 43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자석(527)은 손잡이봉(521)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이며, 배수구(11)를 개방 시 손잡이봉(521)을 관통홀(513)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후 손잡이봉(521)을 자석(527)을 통해 거름망(510)의 하부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봉(521)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판형태의 자석(527)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판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자석(527)을 손잡이봉(521)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자석(527)이 거름망(5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거름망(510)을 금속재로 제작하거나 거름망(510)의 관통홀(513) 주변에 금속판(미도시)을 고정하여 자석(527)이 금속판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520)의 손잡이봉(5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523)가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봉(521)은 자석(527)에 의해 거름망(510)에 부착 고정되면서 밀폐부재(523)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되어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배수구 개폐부(520)의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캡 형상의 악취방지커버(525)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5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510)의 배수홀(511)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520)의 손잡이봉(521)을 하부로 눌러주면 자석(527)이 거름망(510)과 분리되면서 밀폐부재(52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5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5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41과 같이 배수구 개폐부(520)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11)를 개방함으로써 거름망(5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43 및 도 4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45 및 도 46은 도 43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47은 도 43에 나타낸 배수구 개폐부의 사시도이며, 도 48은 도 43의 종단면도이다.
도 43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600)는 거름망(610) 및 배수구 개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름망(610)은 제 1 실시예의 거름망(11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배수구 개폐부(6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 개폐부(620)는 거름망(610)의 관통홀(613)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1)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싱크대 배수통(10, 도 49 및 도 50 참조)의 배수구(11, 도 49 및 도 50 참조)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 개폐부(620)는 손잡이봉(621), 밀폐부재(623), 악취방지커버(625) 및 탄성부재(627)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봉(621)은 길이방향을 갖는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름망(610)의 관통홀(613)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봉(621)의 상단부에는 요홈(622)이 형성되어 손으로 요홈(622)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봉(62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623)는 손잡이봉(6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봉(621)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밀폐부재(623)는 배수구(11)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623)의 하단부가 배수구(11)에 삽입되어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악취방지커버(625)는 밀폐부재(62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되고 밀폐부재(623)보다 하부로 더 길게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 또는 반구형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구(11)를 개폐 시 배수구(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손잡이봉(62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방지커버(625)를 손잡이봉(621)에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부재(623)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배수구 개폐부(620)에 악취방지커버(62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배수구 커버부(130, 230, 330, 43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탄성부재(627)는 악취방지커버(625)의 하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밀폐부재(623)가 배수구(11)를 개폐 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한다. 탄성부재(627)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악취방지커버(625)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620)는 탄성부재(627)에 의해 밀폐부재(623)가 상부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배수구 개폐부(620)의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캡 형상의 악취방지커버(625)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6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610)의 배수홀(611)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620)의 손잡이봉(621)을 하부로 눌러주면 탄성부재(627)가 압축되면서 밀폐부재(62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6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6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49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620)의 손잡이봉(6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623)가 상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1)를 개방하고, 탄성부재(627)가 팽창되면서 밀폐부재(623)는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거름망(6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2는 도 51에 나타낸 거름망의 사시도이고, 도 53은 거름망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54는 거름망의 측면도이며, 도 55는 거름망의 덮개와 배수개폐판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1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700)는 거름망(710), 배수구 개폐부(720) 및 배수구 커버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거름망(71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인, 배수구 개폐부(720) 및 배수구 커버부(7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거름망(7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거름망(710)은 싱크대 배수통(10, 도 56 및 도 57 참조)의 내부 상측에 거치되어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거름망(710)은 거름망 본체(711), 덮개(714) 및 배수개폐판(716)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 본체(711)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반원투입부(711a)가 개방 형성된다.
또한, 거름망 본체(711)는 반원통형의 곡면측판부(711b)와 대향되는 평면측판부(711c)에 다수의 배수홀(712a)을 갖는 배수개구부(712)가 형성된다. 배수개구부(712)는 평면측판부(711c)의 하부 절반의 판면에만 다수의 배수홀(7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름망 본체(711)는 하면에 배수구 개폐부(720)의 손잡이봉(721)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관통홀(713)이 형성되며, 거름망 본체(711)의 하면은 배수개구부(712)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거름망 본체(711)에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로부터 분리된 물(1)이 하면의 경사면을 따라 배수개구부(712) 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름망 본체(711)의 상단에는 손잡이고리(715)가 형성되며, 손잡이고리(715)는 상하 회동이 가능하다.
덮개(714)는 거름망 본체(711)의 반원투입부(711a)와 대응되게 반원형판으로 형성되고, 거름망 본체(711)의 평면측판부(711c)의 상측 양단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원투입부(711a)를 개폐할 수 있다.
덮개(714)는 반원투입부(711a) 측으로 회동하여 반원투입부(711a)의 상면을 밀폐하고, 반원투입부(711a)와 반대측으로 회동하여 반원투입부(711a)의 상면을 개방하면서 거름망 본체(711)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거름망 본체(711)와 싱크대 배수통(10) 사이의 반원개구부(10a)의 상면을 밀폐할 수 있다.
배수개폐판(716)은 거름망 본체(711)의 평면측판부(711c)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개구부(712)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개폐판(716)의 양측단은 거름망 본체(711)의 평면측면부(711c)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는 거름망(710)에 투입되어 걸러진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을 비우기 위하여 덮개(714)를 회동시켜 반원투입부(711a)를 밀폐하고, 배수개폐판(716)을 하부로 이동시켜 배수개구부(712)를 밀폐한 후, 손잡이고리(715)를 잡아 들고 외부로 이동하여 배출할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720)의 손잡이봉(721)을 상부로 당겨주면 밀폐부재(723)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한다. 이때,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 하부에 배수구(11)의 상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부(730)가 배수구(11)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으로 유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은 거름망(71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물(1)은 거름망(710)의 배수홀(712a)을 통해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를 싱크대 배수통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개폐부(720)의 손잡이봉(721)을 하부로 눌러주면 밀폐부재(72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배수구(11)를 밀폐한다.
이처럼 배수구(11)를 밀폐한 상태에서 싱크대 배수통(10)의 내부에 락스 등 세정액과 함께 물(1)을 채워서 거름망(710)이 물(1)에 잠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물(1)에 함유된 세정액에 의해 거름망(710)의 내외측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찌꺼기와 싱크대 배수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56과 같이 배수구 개폐부(720)를 상부로 올려서 배수구(11)를 개방함으로써 거름망(710) 및 싱크대 배수통(10) 내부의 세척이 완료된 물(1)이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싱크대 배수통
11 : 배수구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110, 210, 310, 410, 510, 610, 710 : 거름망
111, 211, 311, 411, 511, 611 : 배수홀
113, 213, 313, 413, 513, 613, 713 : 관통홀
120, 220, 320, 420, 520, 620, 720 : 배수구 개폐부
121, 221, 321, 421, 521, 621, 721 : 손잡이봉
123, 223, 323, 423, 523, 623, 723 : 밀폐부재
124 : 걸림돌기
130, 230, 330, 430, 730 : 배수구 커버부
131, 231, 331, 431 : 고정판
133, 233, 333, 433 : 개구부
225, 527 : 자석
325, 627 : 탄성부재
425 : 나사부
525, 625 : 악취방지커버
711 : 거름망 본체
712 : 배수개구부
714 : 덮개
715 : 손잡이고리
716 : 배수개폐판

Claims (9)

  1.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 상측에 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망은,
    상면의 반원투입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곡면측판부와 대향되는 평면측판부에 다수의 배수홀을 갖는 배수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배수구 개폐부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거름망 본체;
    상기 거름망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원투입부를 개폐하되, 상기 반원투입부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반원투입부의 상면을 밀폐하고, 상기 반원투입부와 반대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반원투입부의 상면을 개방하면서 상기 거름망 본체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거름망 본체와 상기 싱크대 배수통 사이의 반원개구부의 상면을 밀폐하는 반원형의 덮개; 및
    상기 거름망 본체의 평면측판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개구부를 개폐하는 배수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의 연직선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봉; 및
    상기 손잡이봉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봉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손잡이봉에 설치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봉을 상부로 당겨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봉은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거름망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봉을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자석이 상기 거름망과 분리되면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배수구를 개폐 시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봉을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봉을 상부로 당겨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팽창되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손잡이봉에 설치되는 나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봉을 상부로 당겨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봉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나사부가 상기 거름망의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봉은 상기 거름망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봉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나사부가 상기 거름망의 관통홀에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봉을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밀폐부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는,
    상기 밀폐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되고 하면이 개방된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 시 상기 배수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손잡이봉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방지커버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는,
    상기 싱크대 배수통의 내측 하부에 상기 배수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구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9. 삭제
KR1020180004874A 2018-01-15 2018-01-15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KR10207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74A KR102071549B1 (ko) 2018-01-15 2018-01-15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74A KR102071549B1 (ko) 2018-01-15 2018-01-15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35A KR20190086835A (ko) 2019-07-24
KR102071549B1 true KR102071549B1 (ko) 2020-03-30

Family

ID=6748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74A KR102071549B1 (ko) 2018-01-15 2018-01-15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5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04B1 (ko) 2009-05-25 2010-04-13 김종남 싱크대용 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224Y1 (ko) * 1997-02-05 1999-08-02 곽상호 씽크대 부착용 음식물 쓰레기통
JP3155198U (ja) * 2009-06-26 2009-11-12 有限会社京和製作所 排水用栓
KR20120009377A (ko) * 2010-07-18 2012-02-01 김종남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160110925A (ko) 2016-08-08 2016-09-23 문필준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04B1 (ko) 2009-05-25 2010-04-13 김종남 싱크대용 배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5519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35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12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лива для раковины
KR10099816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2071549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472604Y1 (ko)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101673382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369625B1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00127166A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101301341B1 (ko) 분할된 복수 개의 개폐판을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CN217150498U (zh) 一种防臭用壳体及防臭弹跳塞
KR101418740B1 (ko) 음식물쓰레기 수집 시스템
KR20110015189A (ko) 악취 방지용 맨홀
KR101755217B1 (ko)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1681070B1 (ko) 세면대 배수장치
KR20170047607A (ko) 이물질 막힘방지용 세면대 배수 밸브장치
KR20080016983A (ko) 싱크대 걸름 장치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102075758B1 (ko)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KR101576421B1 (ko) 이물질 필터링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세면대 하수관 어셈블리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