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166A - 싱크대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7166A KR20100127166A KR1020100003111A KR20100003111A KR20100127166A KR 20100127166 A KR20100127166 A KR 20100127166A KR 1020100003111 A KR1020100003111 A KR 1020100003111A KR 20100003111 A KR20100003111 A KR 20100003111A KR 20100127166 A KR20100127166 A KR 201001271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drainage
- center
- rotary gear
- dr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2. 해결과제
본 발명은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3. 해결수단 및 작용효과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기본적으로 배수조와 거름망으로 구성된다. 배수조는 저면 중앙에 상하부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를 구비하되 봉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회전기어를 내장한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거름망은 저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 푸시 가이드와 푸시 가이드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봉 형태의 푸시 수단을 구비하고, 거름망 하부에 봉수 캡이 구비되되 봉수 캡의 중앙에 봉수의 상단에 삽탈되는 중공형 마개가 형성되고, 마개의 중앙에는 푸시 수단의 눌림의 의해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고정기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액을 이용하여 배수조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2. 해결과제
본 발명은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3. 해결수단 및 작용효과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기본적으로 배수조와 거름망으로 구성된다. 배수조는 저면 중앙에 상하부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를 구비하되 봉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회전기어를 내장한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를 구비하고, 거름망은 저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 푸시 가이드와 푸시 가이드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봉 형태의 푸시 수단을 구비하고, 거름망 하부에 봉수 캡이 구비되되 봉수 캡의 중앙에 봉수의 상단에 삽탈되는 중공형 마개가 형성되고, 마개의 중앙에는 푸시 수단의 눌림의 의해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고정기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액을 이용하여 배수조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의 배수조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의 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하부에는 물(오수)을 하수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배수장치는 수조 하부에 천공된 구멍과 결합되는 배수조를 구비하는데 이 배수조의 주된 기능은 거름망이 안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조의 안쪽에는 오물 등의 침착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기 십상이지만 그 구조상 세척의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안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08-637호(고안의 명칭: “세정통이 구비된 싱크대용 배수장치”)는 배수조 하부와 연통되는 소정 체적의 세정통과 이 세정통의 하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를 개시하고 있다. 즉, 레버를 당겨서 세정통의 하부를 닫은 후에 세정통과 배수조를 세척액으로 채움으로써 배수조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637호는 별도의 세정통이 요구되며, 레버가 싱크대의 수조 근방을 관통해야 하기 때문에 싱크대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사용 중인 싱크대에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공개특허 제2009-15252호(발명의 명칭: “배수구”)는 배수구 하단에 장착된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상술한 637호와 유사하게 세척액을 채울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배수구 하부에서 손으로 밸브를 개폐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세정통이 필요치 않고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형태별로 다음과 같은 배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배수조와 거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조는 저면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하부로 돌출된 중공형 배수 결합구를 구비하고, 거름망은 저면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 결합구에 삽탈되는 마개를 구비한다.
배수 결합구의 편심된 거리와 상기 마개의 편심된 거리가 같으므로 거름망을 회전시켜 마개를 배수 결합구에 삽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개의 외주연에는 고무 링이 구비되어 배수 결합구에 긴밀히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 역시 기본적으로 배수조와 거름망으로 구성된다. 배수조는 저면 중앙에 상하부로 돌출되되 상부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단턱을 형성한 중공형 봉수를 구비한다. 또한, 거름망 하부에 봉수 캡을 구비하되, 봉수 캡의 중앙에는 상기 봉수의 상단에 삽탈되는 마개가 형성된다. 상기 마개의 외주연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는 상기 단턱 사이의 간극에 삽탈되는 걸림편이 형성된다. 여기서, 단턱은 등간격으로 3개, 그리고 걸림편도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 관점의 배수장치는 걸림편이 단턱 상에 위치할 때 봉수가 개방되며, 걸림편이 간극에 삽입될 때 봉수가 폐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의 배수조는 저면 중앙에 상하부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를 구비한다. 봉수의 상부 내부에는 리브를 통해 너트수단이 고정된다. 또한, 거름망 하부에 봉수 캡이 구비되되, 봉수 캡의 중앙에 봉수의 상단에 삽탈되는 중공형 마개가 형성된다. 마개의 중앙에는 너트수단과 나사결합되는 볼트수단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봉수 캡의 볼트수단이 봉수의 너트수단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망의 회전은 곧 봉수 캡의 승하강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수는 마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봉수 캡은 거름망과 부착형태 또는 분리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분리형태를 위해서는, 거름망 하부에 봉 형태의 걸림수단이 구비되고, 봉수 캡의 상부 외주연에는 원형의 날개가 구비된다. 이 날개에는 상기 걸림수단이 삽탈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한편, 제4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의 배수조는 저면 중앙에 상하부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를 구비한다. 봉수 내부에는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가 구비된다. 이 기어박스는 스프링으로 탄지된 회전기어가 내장된다. 거름망은 저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 푸시 가이드와 이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봉 형태의 푸시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거름망 하부에 봉수 캡이 구비되는데, 이 봉수 캡의 중앙에 상기 봉수의 상단에 삽탈되는 중공형 마개가 형성되고, 마개의 중앙에는 상기 푸시 수단의 눌림의 의해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고정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4 관점의 구성에 따르면, 푸시 수단의 눌림에 따라 회전기어가 회전하면서 회전기어의 고정돌기가 기어박스 내부에 형성된 장홈에 위치하거나 단홈에 번갈아 위치하게 된다. 고정돌기가 장홈에 위치하면 봉수는 마개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돌기가 단홈에 위치하면 봉수는 마개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동작만으로 세척액을 배수조에 채우거나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배수조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단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단턱 및 걸림편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걸림망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봉수 캡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4 실시형태의 푸시형 토클 기어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단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단턱 및 걸림편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걸림망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봉수 캡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4 실시형태의 푸시형 토클 기어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 제1 실시형태 ]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배수장치(100)는 싱크대 저면(1)의 구멍(2)에 장착되는 배수조(110)와 이 배수조(110) 내부에 안치되는 거름망(120)을 포함한다.
배수조(110)는 고정수단(3)을 통해 구멍(2)에 장착되는데, 예컨대 상기 고정수단(3)은 링 형상으로 그 내측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배수조(11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회전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멍(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배수조(110) 저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하부로 돌출된 중공형의 배수 결합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 결합구(112)는 배수조(110) 저면에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배수공(114)과 이 배수공(114) 하부로 돌출된 결합구로 이해해도 무방하며, 이 결합구는 미도시된 주름관의 일단에 삽입된다.
거름망(120)의 저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개(122)가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마개(112)의 외주연에는 밀폐수단, 예를 들어 고무 링(P1, P2)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아래에서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개(112)의 편심된 거리는 상기 배수조(110)에서 설명한 배수 결합구(112)의 편심된 거리와 반드시 같아야 한다.
상술한 배수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마개(122)가 배수 결합구(112)에 삽입되도록 거름망(120)을 회전시킨 상태이다. 이와 같이 배수공(114)이 마개(122)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세척액을 배수조(110)에 채워 세척한다. 도 2에서 마개(122)의 밀폐수단은 배수 결합구(112)의 내벽과 밀착되어 채워진 세척액이 배수 결합구(112)로 새지 않게 한다.
세척이 완료되면 거름망(120)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마개(122)가 배수조(110)의 배수 결합구(112)와 어긋나도록 거름망(120)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배수공(114)이 개방되므로 배수조(110) 내의 세척액이 배출된다.
[ 제2 실시형태 ]
도 3 내지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장치(200)는 싱크대 저면(1)의 구멍(2)에 장착되는 배수조(210)와 이 배수조(110) 내부에 안치되는 거름망(220)과 이 거름망 하부에 구비되는 봉수 캡(230)을 포함한다.
배수조(210)의 저면 중앙에는 배수조 상부와 하부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212)가 형성되어 있다. 부재부호 214는 봉수(212)에 의한 배수공이다.
봉수(212)의 하부는 미도시된 주름관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실시형태의 배수 결합구의 기능과 동일하다. 한편, 봉수(212)의 상부 외주연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턱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단턱(216) 사이에는 간극(S)이 협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면과 같이 단턱(216) 및 단턱 사이의 간극(S)은 각각 3개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거름망(220)의 저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봉수 캡(230)이 구비된다. 봉수 캡(230)의 중앙에는 마개(232)가 형성되어 봉수(212)의 상단에 삽탈됨으로써 배수공(214)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배수공(214)의 원활한 밀폐를 위해 마개(232)의 외주연에는 밀폐수단, 다시 말해 고무 링(P)이 구비될 수 있다. 봉수 캡(230)의 내벽에는 마개(232)를 향해 방사상으로 3개의 걸림편(23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편(234)은 상술한 단턱(216) 사이의 간극(S)에 삽입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6은 걸림편(234)이 간극(S)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걸림편(234)이 단턱(216) 사이의 간극(S)에 삽입되면, 마개(232)는 봉수(212)의 상단에 삽입되고, 따라서 봉수(212)는 폐쇄된다. 이 상태가 되면 세척액을 배수조(210)에 채울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도 3과 같이 거름망(220)을 들어 올려 걸림편(234)의 하단이 단턱(216) 상에 안착되도록 회전시키면 봉수(212)가 개방되어 배수조(210)의 세척액이 배출된다.
[ 제3 실시형태 ]
도 7내지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수장치(300)는 앞선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싱크대 저면(1)의 구멍(2)에 장착되는 배수조(310)와 이 배수조(310) 내부에 안치되는 거름망(320)과 이 거름망 하부에 구비되는 봉수 캡(330)을 포함한다.
배수조(210)의 저면 중앙에는 배수조 상부와 하부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3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재부호 314는 배수공을 의미한다. 봉수(312) 상부 내부에는 리브(316)를 통해 내벽과 고정되는 너트수단(318)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봉수 캡(330)은 거름망(320)의 저면 중앙에 구비되며, 그 중앙에는 중공형 마개(332)가 돌출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봉수(312)의 상단에 삽탈됨으로써 배수공(314)을 개폐한다. 마개(332)의 외주연에는 고무 링(P)과 같은 밀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개의 중앙에는 볼트수단(334)이 돌출형성되어 상기한 너트수단(318)에 나사결합된다.
*도 8은 볼트수단(334)이 너트수단(318)에 일부 나사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마개(332)가 봉수(312)의 상단을 막지 않은 상태, 즉 개방된 상태이다. 세척액 투입을 위해서는 거름망(320)을 도 9와 같이 CW(Clockwise) 방향으로 회전시켜 마개(332)가 봉수(312) 상단을 폐쇄되게 한다.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 봉수 캡(330)이 거름망(320) 하부에 부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봉수 캡(330)과 거름망(320)은 분리구성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우선, 거름망(320)의 하부에는 도 10과 같이 봉 형태로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3개의 걸림수단(322)이 형성된다(도 11 참조). 한편, 봉수 캡(330)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원형의 날개(336)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336)에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337)이 방사상으로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배열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홀(337)에 상기 걸림수단(322)이 정위치 삽입되면(도 13 참조), 거름망(320)에 인가되는 회전력이 봉수 캡(320)으로 전달되어, 상술한 마개(332)의 개폐 작동이 동일하게 구현된다.
[ 제4 실시형태 ]
도 14 내지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형태는 볼펜 등에 널리 이용되는 공지의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push-type toggle gear box)를 이용한다. 이 기어박스는 기본적으로 고정기어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회전기어로 구성되어 고정기어가 회전기어를 누를 때마다 회전기어가 회전되면서 내려간 위치 및 원위치로 번갈아 토글되게 한다. 제4 실시형태는 이러한 공지의 기어박스를 이용하여 아래의 설명과 같이 봉수의 개폐 상태를 토글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배수장치(400)는 배수조(410)와 이 배수조(410) 내부에 안치되는 거름망(420)과 이 거름망 하부에 위치하는 봉수 캡(430)을 포함한다.
배수조(410)의 저면 중앙에는 배수조 상부와 하부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412)가 형성되어 있다. 봉수(412) 내부에는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10)가 리브(416)를 통해 봉수(412) 내벽 고정된다. 이 기어박스(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프링(12)에 의해 탄지되는 회전기어(14)를 내장한다.
도 15는 기어박스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기어박스(10)의 내부에는 장홈(11a)과 단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홈과 단홈은 회전기어(14)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돌기(14a)가 삽탈되는 공간으로, 회전기어(14)가 회전될 때마다 고정돌기(14a)가 장홈과 단홈에 교번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고정돌기(14a)가 단홈(11b)에 위치할 때는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장홈(11a)에 위치할 때는 원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5에서 부재부호 16은 회전기어(14)를 회전시키는 고정기어이다. 이 고정기어(16)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거름망(420)의 저면 중앙에는 중공형 푸시 가이드(422)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 가이드(422)의 중공에는 일정 거리로 상하이동 가능한 봉 형태의 푸시 수단(424)이 삽입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거름망(4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봉수 캡(430)의 중앙에는 중공형 마개(4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개(432)는 앞선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봉수(412) 상단의 배수공(414)을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외주연에 고무 링(P) 등의 밀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개(432) 중앙에는 위에서 언급한 고정기어(16)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4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배수장치(400)는 봉수(412)가 개방된 상태로, 회전기어(14)의 고정돌기(14a)는 기어박스(10)의 장홈(11a)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름망(420)의 푸시 수단(424)을 누르면, 푸시 수단(424)의 하단이 봉수 캡(430)을 아래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봉수 캡(430)의 고정기어(16) 역시 아래로 내려가면서 회전기어(14)를 아래로 밀게 된다.
회전기어(14)가 내려감에 따라 회전기어(14)의 고정돌기(14a)가 장홈(11a)로부터 이탈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 회전은 고정돌기(14a)가 단홈(11b)에 삽입됨으로써 멈춘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14a)가 단홈(11b)에 수용되면 봉수 캡(430)의 마개(432)는 봉수(412)의 상단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6 참조). 그러면 세척액을 배수조(410)에 채울 수 있게 된다. 세척이 완료된 후, 다시 푸시 수단(424)을 누르게 되면 회전기어(14)의 회전에 의해 고정돌기(14a)가 장홈(11a)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봉수 캡(430)이 원위치로 복원하면서 마개(432)는 봉수(412)를 개방하고, 세척액은 배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110: 배수조
112: 배수 결합구 114: 배수공
120: 거름망 122: 마개
200: 제2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210: 배수조
212: 봉수 214: 배수공
216: 단턱 220: 거름망
230: 봉수 캡 232: 마개
234: 걸림편 300: 제3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310: 배수조 312: 봉수
314: 배수공 316: 리브
318: 너트수단 320: 거름망
322: 걸림수단 330: 봉수 캡
332: 마개 334: 볼트수단
336: 날개 337: 걸림홀
400: 제4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410: 배수조
412: 봉수 414: 배수공
416: 리브 10: 기어박스
11a: 장홈 11b: 단홈
12: 스프링 14: 회전기어
16: 고정기어 420: 거름망
422: 푸시 가이드 424: 푸시 수단
430: 봉수 캡 432: 마개
112: 배수 결합구 114: 배수공
120: 거름망 122: 마개
200: 제2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210: 배수조
212: 봉수 214: 배수공
216: 단턱 220: 거름망
230: 봉수 캡 232: 마개
234: 걸림편 300: 제3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310: 배수조 312: 봉수
314: 배수공 316: 리브
318: 너트수단 320: 거름망
322: 걸림수단 330: 봉수 캡
332: 마개 334: 볼트수단
336: 날개 337: 걸림홀
400: 제4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410: 배수조
412: 봉수 414: 배수공
416: 리브 10: 기어박스
11a: 장홈 11b: 단홈
12: 스프링 14: 회전기어
16: 고정기어 420: 거름망
422: 푸시 가이드 424: 푸시 수단
430: 봉수 캡 432: 마개
Claims (4)
- 싱크대 저면(1) 구멍(2)에 장착되는 배수조(410)와 상기 배수조 내에 안치되는 거름망(420)을 포함하는 배수장치(400)로서,
상기 배수조는 저면 중앙에 상하부로 돌출된 중공형 봉수(412)를 구비하되 상기 봉수 내부에 스프링(12)으로 탄지된 회전기어(14)를 내장한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10)를 구비하고,
상기 거름망은 저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 푸시 가이드(422)와 상기 푸시 가이드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봉 형태의 푸시 수단(424)을 구비하고,
상기 거름망 하부에 봉수 캡(430)이 구비되되 상기 봉수 캡의 중앙에 상기 봉수의 상단에 삽탈되는 중공형 마개(432)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의 중앙에는 상기 푸시 수단의 눌림의 의해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고정기어(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수단의 눌림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기어의 고정돌기(14a)가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형성된 장홈(11a)에 위치하면 상기 봉수는 마개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수단의 눌림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기어의 고정돌기(14a)가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형성된 단홈(11b)에 위치하면 상기 봉수는 마개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주연에 고무 링(P)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45375 | 2009-05-25 | ||
KR1020090045375 | 2009-05-25 | ||
KR20090077345 | 2009-08-21 | ||
KR1020090077345 | 2009-08-21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052A Division KR100952504B1 (ko) | 2009-05-25 | 2009-08-26 | 싱크대용 배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166A true KR20100127166A (ko) | 2010-12-03 |
KR101060030B1 KR101060030B1 (ko) | 2011-08-29 |
Family
ID=422198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052A KR100952504B1 (ko) | 2009-05-25 | 2009-08-26 | 싱크대용 배수장치 |
KR1020100003107A KR100954124B1 (ko) | 2009-05-25 | 2010-01-13 | 싱크대용 배수장치 |
KR1020100003111A KR101060030B1 (ko) | 2009-05-25 | 2010-01-13 | 싱크대용 배수장치 |
KR1020100003104A KR101060061B1 (ko) | 2009-05-25 | 2010-01-13 | 싱크대용 배수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052A KR100952504B1 (ko) | 2009-05-25 | 2009-08-26 | 싱크대용 배수장치 |
KR1020100003107A KR100954124B1 (ko) | 2009-05-25 | 2010-01-13 | 싱크대용 배수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3104A KR101060061B1 (ko) | 2009-05-25 | 2010-01-13 | 싱크대용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095250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98953A (zh) * | 2014-04-15 | 2014-07-02 | 王清欢 | 一种水槽出水管防堵机构 |
KR20190086835A (ko) * | 2018-01-15 | 2019-07-24 | 훈 이 |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30107A2 (ko) * | 2010-08-31 | 2012-03-08 | Kim Jong Nam | 싱크대용 배수장치 |
CN104563229A (zh) * | 2013-10-28 | 2015-04-29 | 合肥丰瑞隆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净水消毒的漏水器 |
KR20160002271U (ko) | 2014-12-22 | 2016-06-30 | 안귀인 | 스테인리스 강제의 싱크대용 배수장치 |
CN106759707A (zh) * | 2016-12-22 | 2017-05-31 | 国家电网公司 | 一种办公场所茶叶过滤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2876B2 (ja) | 1999-01-22 | 2001-06-04 | 博信 近藤 | 床排水トラップ |
KR200262247Y1 (ko) * | 2001-10-15 | 2002-03-18 | 남승우 | 씽크대용 배수구 |
KR100454465B1 (ko) * | 2001-11-16 | 2004-11-05 | 도남호 | 배수트랩 |
KR200311269Y1 (ko) | 2003-01-23 | 2003-04-23 | 임호훈 |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
US20040154095A1 (en) | 2003-02-10 | 2004-08-12 | Rhodes Stephen Miles | Pop-up drain assembly |
JP2006090040A (ja) | 2004-09-24 | 2006-04-06 | Hideyuki Asano |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用フロート |
KR200388665Y1 (ko) | 2005-04-02 | 2005-07-01 | 이상화 | 배수구 |
KR100820226B1 (ko) | 2007-03-02 | 2008-04-30 | (주)에이치에이씨씨피건설 |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
-
2009
- 2009-08-26 KR KR1020090079052A patent/KR1009525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01-13 KR KR1020100003107A patent/KR1009541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1-13 KR KR1020100003111A patent/KR1010600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1-13 KR KR1020100003104A patent/KR10106006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98953A (zh) * | 2014-04-15 | 2014-07-02 | 王清欢 | 一种水槽出水管防堵机构 |
KR20190086835A (ko) * | 2018-01-15 | 2019-07-24 | 훈 이 |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2504B1 (ko) | 2010-04-13 |
KR20100127165A (ko) | 2010-12-03 |
KR100954124B1 (ko) | 2010-04-23 |
KR101060030B1 (ko) | 2011-08-29 |
KR101060061B1 (ko) | 2011-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1025215A2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KR101060030B1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US20170073948A1 (en) |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 |
KR100998167B1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 |
CN202143607U (zh) | 面盆的按压式弹起塞 | |
KR101354072B1 (ko) | 배수 트랩 | |
WO2007086736A2 (en) | Drain assembly | |
KR101177790B1 (ko) | 세면기용 폽업장치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 |
BRPI0614546A2 (pt) | bomba manual para desbloqueio de lavatório manual pressurizada por água | |
KR101281612B1 (ko) | 배수 트랩 | |
KR101126336B1 (ko) | 싱크대 배수유닛 | |
JP3162445U (ja) | 油水分離装置 | |
KR200453545Y1 (ko) |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 |
CN205712348U (zh) | 下水管道连通器检查口密封盖 | |
KR20120009377A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KR101922083B1 (ko) | 원터치식 세면대용 팝업 밸브 | |
WO2012030107A2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KR101350158B1 (ko) | 배수 트랩 | |
KR101422804B1 (ko) | 배수 트랩 | |
CN105064471A (zh) | 面盆落水头的止漏装置 | |
KR100960590B1 (ko) | 배수구 개폐장치 | |
KR101054723B1 (ko) | 배수장치 | |
KR20170047607A (ko) | 이물질 막힘방지용 세면대 배수 밸브장치 | |
KR20120009380A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CN105887996A (zh) | 一种下水管道连通器检查口密封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