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27B1 -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27B1
KR101190327B1 KR1020110038924A KR20110038924A KR101190327B1 KR 101190327 B1 KR101190327 B1 KR 101190327B1 KR 1020110038924 A KR1020110038924 A KR 1020110038924A KR 20110038924 A KR20110038924 A KR 20110038924A KR 101190327 B1 KR101190327 B1 KR 10119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main body
cover
supply device
automat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1003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 수조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급수장치의 유지관리하기가 용이하여 청결하고 작동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에 마련된 노즐의 후방으로 물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부 및 아래로 급수관체가 연결되는 유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의 노즐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고무판으로 된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앙에 부분적으로 점검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점검구멍에 개폐가능한 뚜껑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판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접촉부의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have an access hole}
본 발명은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부 수조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급수장치의 유지관리하기가 용이하여 청결하고 작동이 원활하도록 된 자동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축을 위한 급여기, 급수기, 물탱크, 양변기 등에서의 급수장치는 수조(100)는 수시로 사용되는 물을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조 내부의 수위를 항상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부 수조에 투입된 급수관체를 통해 본체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급수통로(노즐)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급수장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자동급수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수조(100) 내부로 투입된 급수관체(6)의 하단 끝 부분만큼만 물이 참과 동시에 급수가 자동으로 중단된다. 이후, 가축이 수조 내부의 물을 먹어 수위가 하강하면 급수관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고무판(5)이 노즐(2)을 개방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급수장치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국내등록특허 제10-0618312호(2006.08.24.) 내지, 국내등록특허 제10-0913646호(2009.08.17.),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018515호(2011.03.02.,미공개)가 이미 선 제안된 바에 있으며, 또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77475호(2007.07.26.),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102442호(2007.06.26.)에 의해 공지된 바에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본체(1) 내부에 이물질, 물이끼, 물떼, 각종 약제, 사료찌꺼기 등(이하'이물질'이라 함)이 노즐 및 고무판에 흡착되어 오작동하고 누설이 발생하며, 청소 및 유지관리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축산용 급수장치에는 약제를 물에 혼합하여 액상으로 상기의 급수장치를 통해 수조로 공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약제가 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고 덩어리로 뭉치면서 노즐을 차단하거나 급수관체 내벽에 누적되어 흐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 내부는 물론 노즐에는 항상 물떼가 발생하기 마련이고, 이 물떼가 고무판에 끈적끈적한 점액질 상태로 흡착하여 오작동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로 인해, 자동급수장치는 일정한 시간 내에 정량의 물이 공급되지 못하고 재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면서 노즐이 개방된 채로 오작동을 일으켜 물이 계속 흘러넘치게 되고 오수를 발생시키며, 또는 역으로 고무판이 노즐에 흡착된 채로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때,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급수장치는 본체 전방의 커버(4)를 개방하고 고무판(5)을 분리한 다음, 본체를 흔들거나 두들기는 등 충격력을 가하여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세척을 마친 후에는 고무판 및 커버를 순차적으로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관리방법이 아주 번거롭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인력낭비가 심하고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1.국내등록특허 제10-0618312호(2006.08.24.) 2.국내등록특허 제10-0913646호(2009.08.17.) 3.국내특허출원 제10-2011-0018515호(2011.03.02.,미공개) 4.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77475호(2007.07.26.) 5.국내공개특허 제10-2007-0102442호(2007.06.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의 담긴 물이 대부분 소비되고 난 후, 자동급수장치가 개방되면서 신선한 물을 수조로 공급되게 함과 더불어 수위조절이 용이하고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외부관체가 급수관체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한층더 향상시키고, 급수관체를 통해 상부 자동급수장치가 원활하도록 작동되도록 하는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에 마련된 노즐의 후방으로 물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부 및 아래로 급수관체가 연결되는 유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의 노즐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고무판으로 된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앙에 부분적으로 점검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점검구멍에 개폐가능한 뚜껑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판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접촉부의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무판이 접촉하는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돌출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가 커버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는 본체 전방의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점검구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고무판을 가볍게 당기거나 눌러서 움직이면 본체 내부 및 노즐에 흡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여 자동급수장치의 작동을 원활히 하며, 수조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구조가 간단하여 점검구의 조작이 간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자동급수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청소시간을 단축하여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 및 제품의 가격을 낮추어 시설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수관체를 통해 항상 깨끗한 상태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수조에는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은 물론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담고 있으며, 누수로 인한 물 넘침을 방지하고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점검구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점검구를 나타낸 내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구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에 마련된 노즐(11)의 후방으로 물공급관(13)이 연결되는 유입부(12) 및 아래로 급수관체(15)가 연결되는 유출부(14)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20)와,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의 노즐(11)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고무판(30)으로 된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중앙에 부분적으로 점검구멍(22)을 형성하고 상기 점검구멍(22)에 개폐가능한 뚜껑(26)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판(30)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접촉부(32)의 전면에 손잡이(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자동급수장치의 본체(10) 및 커버(20)와, 본체 내부의 고무판(3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는 하부 급수관체(15)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내부 고무판(30)이 노즐(11)을 개방 또는 차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체(10)의 중앙에 물구멍을 가지는 노즐(11)이 구비되고 노즐의 후방으로 돌출된 유입부(12)에 물공급관(13)을 연결하여 물이 공급되며, 하부 유출부(14)에 연결된 급수관체(15)가 하부 수조(1)에 세로로 투입된다. 상기 본체의 전방에 커버(20)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이때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판(30)이 노즐(11)을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20)는 중앙부에 점검구멍(22)을 형성하고 뚜껑(26)으로 개폐하도록 되며, 상기 고무판(30)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32)의 전면에 손잡이(34)가 형성된다.
예컨대, 자동급수장치가 오작동할 경우 즉, 고무판과 노즐 사이에 이물질이 흡착하였을 때, 뚜껑(26)을 열고 손잡이(34)를 잡고 전/후로 가볍게 당기거나 흔들어서 노즐 및 접촉부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가 있다. 이때 고무판이 노즐을 수동으로 개방하여서 물이 흘러 이물질이 씻겨 내려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고무판(30)의 밀폐구조를 긴밀하게 결합시켜 수밀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본체에 뚜껑이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본체 및 뚜껑의 후측에 체결부(24)를 구성하여 상호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24)는 본체와 뚜껑의 후측면 가장자리에 요부(凹)와 철부(凸)를 번갈아가며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서로 끼움 조립되는데, 이때 뚜껑을 구간 회전시킴에 따라 요부의 홈에 철부가 끼워져 맞물리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뚜껑을 본체에 나사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때, 고무판을 수동으로 작동시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무판(30)은 본체(10)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한 채로 본체(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요입홈(18)에 끼움 조립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판(30)의 테두리(33)를 요입홈(18)에 단면이 'ㄷ'자 형태로 끼워지고 전면 커버에 조립되면서 가압 밀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판(30)이 접촉하는 본체(10)의 전면 가장자리에 돌출테(16)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무판이 접촉면에서 이완되지 않고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돌출테(16)는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20) 및 뚜껑(26)은 둥근 원형이고, 뚜껑의 일측에 고정구(27)를 구비하여 임의대로 개방되지 않게 하고 타측은 힌지(28)로 커버에 연결하여 뚜껑을 개방시 분실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26)을 돼지 얼굴형상으로 구성하여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관체(15)는 상단이 유출부(14) 내측에 삽입되고, 급수관체에 미리 끼워져 있는 잠금너트(36)를 조임에 따라, 내측의 가압링(37) 및 오링(38)이 가압밀착하면서 긴밀하게 연결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손잡이(34)가 커버(2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34)의 커버(20)의 구멍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시켜서, 뚜껑을 열지 않고도 손잡이를 작동시킬 수 있어 더욱더 편리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34)를 돼지의 코 형상으로 구성하여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10:본체 11:노즐 12:유입부
13:물공급관 14:유출부 15:급수관체
16:돌출테 18:요입홈 20:커버
22:점검구 24:체결부 26:뚜껑
27:고정구 28:힌지 30:고무판
32:접촉부 34:손잡이 36:잠금너트
37:가압링 38:오링

Claims (3)

  1. 중앙에 마련된 노즐(11)의 후방으로 물공급관(13)이 연결되는 유입부(12) 및 아래로 급수관체(15)가 연결되는 유출부(14)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20)와,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의 노즐(11)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고무판(30)으로 된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중앙에 부분적으로 점검구멍(22)을 형성하고 상기 점검구멍(22)에 개폐가능한 뚜껑(26)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판(30)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접촉부(32)의 전면에 손잡이(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30)이 접촉하는 본체(10)의 전면 가장자리에 돌출테(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4)가 커버(2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KR1020110038924A 2011-04-26 2011-04-26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KR10119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24A KR101190327B1 (ko) 2011-04-26 2011-04-26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924A KR101190327B1 (ko) 2011-04-26 2011-04-26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327B1 true KR101190327B1 (ko) 2012-10-11

Family

ID=4728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24A KR101190327B1 (ko) 2011-04-26 2011-04-26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511Y1 (ko) * 2018-10-08 2020-05-29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수용 자동 수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511Y1 (ko) * 2018-10-08 2020-05-29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수용 자동 수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622B2 (en) Drain system for bathtub with door
JP2020023877A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CN201806531U (zh) 一种便于取出式水箱
KR200448852Y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JP2009114838A (ja) 再循環水を使用する開閉可能な双子タンク型洗浄水容器
US2570934A (en) Toilet deodorizer
KR101190327B1 (ko)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CN107835881A (zh) 提升盥洗废水回用率的冲水马桶系统装置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10159300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KR101467148B1 (ko) 다양한 내경을 갖는 배수구에 적용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구 연결 장치
KR101778234B1 (ko) 소제 싱크용 가변트랩
KR20150101172A (ko) 급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CN205894153U (zh) 马桶储水箱
KR101437764B1 (ko) 변기용 커버장치
CN211447189U (zh) 一种水封式防堵塞地漏
KR101683577B1 (ko) 배수 역류 방지장치
JP3112488U (ja) 排水口用異物除去具
CA2775240C (en) Drain system for bathtub with door
KR101577696B1 (ko)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KR101268065B1 (ko) 수처리기의 드레인장치
CN208604741U (zh) 下水道防堵装置
KR20150062337A (ko) 막힘 해소용 좌변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