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764B1 - 변기용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764B1
KR101437764B1 KR1020130016350A KR20130016350A KR101437764B1 KR 101437764 B1 KR101437764 B1 KR 101437764B1 KR 1020130016350 A KR1020130016350 A KR 1020130016350A KR 20130016350 A KR20130016350 A KR 20130016350A KR 101437764 B1 KR101437764 B1 KR 10143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cover
water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891A (ko
Inventor
김찬우
김남훈
안동길
Original Assignee
김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우 filed Critical 김찬우
Priority to KR102013001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76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용변을 처리하는 물을 보관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S자 또는 Z자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수구로 형성되는 변기에 결합되는 커버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좌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심부는 관통되고, 테두리부는 상기 본체에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대와, 상기 테두리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마감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하측에는 밀착부재가 결합되고, 일측에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변기커버;와, 상기 삽입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되, 상기 변기시트와 변기커버는 각각 별도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용 커버장치{Cover device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변기의 시트 및 커버 기능을 수행하면서, 변이나 휴지 등의 이물질로 인해 변기가 막힌 경우에는 변기 내부로 압력을 가해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 또는 공공 화장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기는 크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본체와, 평상시 일정 수위만큼 물이 채워지며, 레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본체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지독한 냄새나 유독 가스 또는 벌레가 배수관을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에 연결된 배수관의 구조를 'S'자 내지 'Z'자 형태의 트랩(trap)으로 형성되고, 이 트랩과 본체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고인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용변을 본 후 레버를 개방하여 저수부의 물을 배출하게되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본체의 물과 배설물이 배수관을 따라 정화조로 배출되고, 이후 기압과 중력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물의 흐름이 멈추고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즉, 본체에 고여 있던 물에 저수부의 물이 더해져 트랩에 고여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면서 배수관에 작용하는 중력과, 본체 내부로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유입되면서 배출구와 본체에 일시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압력차에 의해 본체의 물과 배설물이 배수구를 따라 정화조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는 용변의 양이 많은 경우 또는 용변을 본 후 사용한 화장지나, 음식 잔여물을 변기 내에 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기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대다수의 사람들은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해 저수부의 물을 1~2회 정도 더 배출시켜 보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변기의 물이 넘치는 현상으로 이어져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처럼,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해서 통상 네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는 플런저와 같이 막대 끝에 달린 반구형의 고무가 변기 배출구에 밀착되도록하여 수동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방법이지만, 변기 배출구에 고무가 밀착했을 때 수밀효과가 낮아 충분히 압력이 전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변기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분출되면서 사용자의 몸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는 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약품이 반응하는데 장시간이 필요하고, 약품의 사용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는 막힌 변기를 전문적으로 뚫는 업체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이지만, 비용부담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는 변기 상부면을 비닐로 씌우고, 이 비닐과 변기의 경계면을 테이프 등으로 밀폐되게 부착한 후, 저수부의 물을 배출시켜 변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부풀어오르는 비닐을 가압함으로써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방법이지만, 변기의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비닐과 테이프를 항시 구비하여 부착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어려우며, 변기 내에 이물질이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를 부착해야하므로 사용자에게 냄새나 오염물로 인한 불쾌감 등의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발명되었는데, 특히 등록실용신안 제0454684호에는 변기 본체의 개구된 주변과 커버를 접착테이프로 부착하여 밀폐시키고, 커버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끼움부를 이용해 변기 내부로 압력을 가하면서 간단하게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구 역시도 상기한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해서 통상의 방법 중 네번째에 해당되어, 사용자가 커버와 접착테이프를 변기에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냄새나 오염물로 인한 불쾌감 등이 발생하고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은 상존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이나 휴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변기가 막히더라도, 간단하게 변기시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변기커버를 이용해 변기 내부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쉽고 편하게 막힌 변기의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기의 상부면을 덮는 커버와 이를 부착할 수 있는 접착부재를 이용해 붙였다 떼었다 하는 번거로움 없이, 변기의 내부로 압력을 가해 막힌 변기의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기 내부에 있는 오염물로 인해 냄새나 메스꺼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 효과적으로 막힌 변기의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일 회 사용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변기 내부로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용변을 처리하는 물을 보관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S자 또는 Z자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수구로 형성되는 변기에 결합되는 커버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좌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심부는 관통되고, 테두리부는 상기 본체에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대와, 상기 테두리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변기시트, 상기 변기시트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마감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하측에는 밀착부재가 결합되고, 일측에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변기커버, 상기 삽입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되, 상기 변기시트와 변기커버는 각각 별도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커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이나 휴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변기가 막히더라도, 간단하게 변기시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변기커버를 이용해 변기 내부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쉽고 편하게 막힌 변기의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변기의 상부면을 덮는 커버와 이를 부착할 수 있는 접착부재를 이용해 붙였다 떼었다 하는 번거로움 없이, 변기의 내부로 압력을 가해 막힌 변기의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변기 내부에 있는 오염물로 인해 냄새나 메스꺼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 효과적으로 막힌 변기의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일 회 사용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변기 내부로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변기용 커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에 따라 변기커버와 변기시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에 따라 변기시트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에 따라 변기시트가 메인프레임에 분리 및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에 따라 변기시트가 분리된 상태로 변기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커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변기커버와 변기시트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변기시트가 개폐됨에 따라 메인프레임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변기시트가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변기시트가 분리된 상태로 변기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본체(1)와, 용변을 처리하는 물을 보관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본체(1)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미도시)와, 본체(1) 일측에 S자 또는 Z자 형태로 결합되어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수구(3)로 형성되는 변기에 결합되는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변기용 커버장치는 크게 변기시트(10), 변기커버(20), 메인프레임(30), 보조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기시트(10)는 좌대(11)와 삽입부(1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좌대(11)의 중심부는 관통되고, 테두리부는 본체(1)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좌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삽입부(12)는 테두리부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12)의 외측면에는 결합 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된다.
변기커버(20)는 변기시트(10)의 상측에서 본체(1)의 상부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된 고정편(21)이 형성되고, 본체(1)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하측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부재(23)가 형성된다.
메인프레임(30)은 결합부(31)와 지지부(3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부(31)는 삽입부(12)가 견고하게 삽입되되, 착탈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32)는 관통홀(2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변기커버(20)가 지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변기시트(10)와 변기커버(20)는 각각 별도로 회동되는 것으로, 변기시트(10)와 변기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변기커버(20)를 개방시켜도 변기시트(10)가 연동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변기시트(10)와 변기커버(20)가 열린 상태에서는 변기시트(10)만 착좌할 수 있도록 회동시켜도 변기커버(20)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보조프레임(40)은 고정부(41)와 안내부(4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부(41)는 본체(1) 일측에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된 고정홀(2)에 삽입되어 본체(1)와 보조프레임(40)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부(42)는 메인프레임(30)이 지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부(32)가 관통홀(22)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메인프레임(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43)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41)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홀(2)에 삽입되고 돌출된 측에서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변기용 커버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의 조립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의 상부면으로는 변기시트(10)와 변기커버(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삽입부(12)와 고정편(21)은 메인프레임(30)의 결합부(31)와 지지부(32)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12)와 고정편(21) 다시 말해, 변기시트(10)와 변기커버(20)가 결합된 메인프레임(30)은 지지부(32)가 가이드홈(43)에 삽입됨에 따라 보조프레임(40)에 결합되고, 보조프레임(40)은 고정부가 고정홀에 고정되면서 본체(1)에 결합된다.
여기서, 변기커버(20)와 변기시트(10)가 작동되는 원리를 각각 살펴보면, 변기커버(20)는 관통홀(22)에 삽입된 지지부(32)가 가이드홈(43)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관통홀(22)과 지지부(32)의 결합면은 끼움 결합된 것일 뿐 고착된 상태가 아니므로, 메인프레임(30)의 회동없이 지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이때, 관통홀(22)과 지지부(32)의 결합면에는 마찰력을 감소할 수 있는 베어링과 같은 부재가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변기시트(10)는 삽입부(12)가 결합부(3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나 걸림돌기(13)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변기시트(10)가 결합된 메인프레임(30)은 가이드홈(43)에 삽입된 지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변기시트(10)는 메인프레임(30)과 함께 회동하면서 열고 닫히게 된다.
다시 말해, 변기커버(20)와 변기시트(10)는 모두 메인프레임(30)에 결합되지만, 메인프레임(30)은 변기시트(10)가 여닫힐 때에만 회동하기 때문에 변기커버(20)와 변기시트(10)가 각각 별도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평상시에는 변기커버(20)와 변기시트(10)가 함께 결합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변이나 휴지 등의 이물질로 인해 배수구(3)가 막히게 되면, 3단계의 과정을 거쳐 막힌 배수구(3)를 뚫게 된다.
1단계는 변기시트(10)를 메인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다.
삽입부(12)는 결합부(31)와 고정돌기를 통해 임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이지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변기시트(10)를 결합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삽입부(12)가 결합부(31)로부터 이탈되면서 메인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삽입부(12)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어 결합이 유지되고 임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삽입부(12)와 결합부(31)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2단계는 변기커버(20)를 본체(1)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과정이다.
변기시트(10)를 메인프레임(30)에서 분리하였지만, 본체(1)와 변기커버(20) 사이에는 변기시트(10) 높이 만큼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즉, 변기커버(20)가 결합된 지지부(32)는 변기시트(10)가 삽입되는 결합부(31)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변기시트(10)가 결합된 결합부(31)는 지지부(32)와 이격하여 메인프레임(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록 변기시트(10)가 메인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변기커버(20)는 결합부(31)가 생성되는 높이에 결합부(31)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부(32)의 높이를 합한 높이만큼 본체(1)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변기커버(20)가 본체(1) 상부면에 수밀하게 밀착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메인프레임(30)은 지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메인프레임(30)을 회동시켜 결합부(31)를 뒤로 젖히고, 지지부(32)는 가이드홈(43)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지지부(32)에 결합된 변기커버(20)가 본체(1) 상부면에 밀착될 때까지 하향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변기시트(10)가 차지하는 공간만큼의 공백이 사라지게 됨에 따라, 밀착부재(23)가 본체(1) 상부면에 수밀하게 밀착되고, 더불어 변기커버(20)에 의해 본체(1) 내부를 밀폐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3단계는 변기커버(20)를 이용해 본체(1) 내부를 가압하는 과정이다.
본체(1) 내부에 채워진 물과 배수구(3) 측에 악취 및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여있는 물은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고, 본체(1) 내부가 밀폐되도록 변기커버(20)를 닫은 상태에서 레버를 작동하게 되면 본체(1) 내부의 압력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때, 변기커버(20)의 중심부를 가압하여 변기 내부의 높아진 압력을 배수구(3) 측으로 가하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이물질이 배수구(3) 측으로 밀려나가면서 막힌 배수구(3)가 뚫리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변기시트(10)를 이용해 착좌하여 용변을 보고, 변기커버(20)를 이용해 본체(1)의 개구면을 덮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변기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3단계에 거쳐 쉽고 편하게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체(1) 내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커버부재 및 접착부재 등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커버부재를 본체(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쾌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변기커버(2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되므로, 하부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었더라도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비닐 등의 재질보다 강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어 막힌 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본체 2 : 고정홀
3 : 배수구 10 : 변기시트
11 : 좌대 12 : 삽입부
13 : 걸림돌기 20 : 변기커버
21 : 고정편 22 : 관통홀
23 : 밀착부재 30 : 메인프레임
31 : 결합부 32 : 지지부
40 : 보조프레임 41 : 고정부
42 : 안내부 43 : 가이드홈

Claims (2)

  1.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용변을 처리하는 물을 보관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S자 또는 Z자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수구로 형성되는 변기에 결합되는 커버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좌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심부는 관통되고, 테두리부는 상기 본체에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대와, 상기 테두리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변기시트;
    상기 변기시트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마감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하측에는 밀착부재가 결합되고, 일측에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변기커버;
    상기 삽입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되, 상기 변기시트와 변기커버는 각각 별도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및,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커버장치.
KR1020130016350A 2013-02-15 2013-02-15 변기용 커버장치 KR10143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350A KR101437764B1 (ko) 2013-02-15 2013-02-15 변기용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350A KR101437764B1 (ko) 2013-02-15 2013-02-15 변기용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91A KR20140102891A (ko) 2014-08-25
KR101437764B1 true KR101437764B1 (ko) 2014-09-11

Family

ID=5174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350A KR101437764B1 (ko) 2013-02-15 2013-02-15 변기용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066B1 (ko) * 2020-10-07 2021-01-04 (주) 폴리텍 변위접촉 방식을 통한 변좌의 낙하 충격 감소형 이동식 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11Y1 (ko) 2007-04-24 2008-02-20 이광민 양변기커버
KR100941727B1 (ko) 2008-12-02 2010-02-12 슈어테크(주)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KR20100090498A (ko) * 2009-02-06 2010-08-16 조명종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110001619U (ko) * 2009-08-10 2011-02-17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11Y1 (ko) 2007-04-24 2008-02-20 이광민 양변기커버
KR100941727B1 (ko) 2008-12-02 2010-02-12 슈어테크(주)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KR20100090498A (ko) * 2009-02-06 2010-08-16 조명종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110001619U (ko) * 2009-08-10 2011-02-17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91A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EP3696334B1 (en) Sanitary fixture
KR20060115578A (ko) 세탁기용 방수판
US8424126B2 (en) Controllable toilet flushing apparatus
KR101745857B1 (ko)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48852Y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US4910808A (en) Deodorizer dispenser for a garbage grinder disposer
KR101437764B1 (ko) 변기용 커버장치
US20090151061A1 (en) Urinal assembly
KR20080050384A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JP2008163737A (ja) トイレおよび便座装置並びにその洗浄方法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JP3189917U (ja) マンホール接続型災害用トイレセット
KR20090005257U (ko) 변기 뚫음 장치
KR20150062337A (ko) 막힘 해소용 좌변기 커버
KR20170038280A (ko)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20170003138U (ko) 좌변기 커버
JP4920488B2 (ja) リザーブタンクに装着された収納袋への汚物吸引装置
KR101190327B1 (ko)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KR20100090498A (ko)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100010818U (ko)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한 막힘제거 압력장치
GB2556862A (en) A lavatory device
GB2589304A (en) Toilet system
KR100899460B1 (ko) 좌변기용 배출관의 막힘상태 뚫음장치
JP5274970B2 (ja) 臭気遮断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