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384A -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 Google Patents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384A
KR20080050384A KR1020080049364A KR20080049364A KR20080050384A KR 20080050384 A KR20080050384 A KR 20080050384A KR 1020080049364 A KR1020080049364 A KR 1020080049364A KR 20080049364 A KR20080049364 A KR 20080049364A KR 20080050384 A KR20080050384 A KR 2008005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receiving portion
excreme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덕
Original Assignee
(주)현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정밀 filed Critical (주)현대정밀
Priority to KR102008004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384A/ko
Publication of KR2008005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막힘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배설물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가지는 변기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며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해 배설물 수납부의 수면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이는 막힘 제거장치가 변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막힌 부분을 뚫기 위한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변기, 막힘 제거장치, 차단부재

Description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a toilet stool with congestion prevent ability}
본 발명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하게는 배설물 수납부 내의 수면에 압력을 가하여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는 막힘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되는 수세식 변기는 배설물의 처리 수단으로 물이 사용되고 있다. 배설물과 혼합된 물은 정화조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배설물은 물과 분리되지 않고 바로 버려지게 된다. 이러한 변기는 배출측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랩이 설치되는데, 이 트랩 부위에 배설물 또는 이물이 걸려 막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변기가 막히는 경우 공기 압축을 이용한 장치나 약품을 이용하여 뚫게 된다. 상기 공기 압축을 이용한 장치는 변기의 배출구와 밀착된 상태에서 공기를 압축하게 되므로 별도의 밀착을 위한 패드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상기 변기의 내면은 소정의 곡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밀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배출구측에 높은 압력을 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막힌 변기통의 수면에 압력을 가하여 배출구를 뚫을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한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힌 변기의 소통을 위한 작업 시 변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막힘 제거장치를 가진 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배설물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가지는 변기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며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해 배설물 수납부의 수면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배설물 수납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와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수납부를 밀폐하며, 플랙시블한 차단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는 하부베이스의 상면에 돌출되며 개구의 궤적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재의 가 장자리를 지지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와 결합홈은 각각 단면이 더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는 수면에 압력이 배출구와 트랩 측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으므로 이 뚫는 작업에 대한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타제품과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힘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는 배설물 수납부에 담긴 물의 수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막힌 배수구를 뚫을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10)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21)를 가지는 배설물 수납부(22)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22)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3)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배설물 수납부(22)에는 개구를 밀폐하며 배설물 수납부(22)에 담긴 물의 수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기를 구성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변기(10)는 배설물 수납부(22)를 가지는 본체(20)의 상부에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한 시트(24)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배설물 수납부(22)는 물과 배설물을 모아 줄 수 있도록 호퍼(hopper)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배설물 수납부(22)의 저면과 연결되는 배출구(25)가 형성되는데, 배출구(25)에는 상기 배설물 수납부(22)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한정하고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트랩(26)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수단(30)은 배설물 수납부(22)의 수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배설물 수납부(22)의 상단에는 하부베이스(31)와 결합되는데, 이 하부베이스(31)에는 상기 개방부(21)와 대응되는 대응되는 개구(3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베이스(31)의 내, 외측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본체(20)와의 결합을 위하여 깃(33)이 설치되는데, 이 깃(33)의 내면은 본체(20)를 파지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외주면과 동일하며 탄성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배설물 수납부(22)의 상면과 하부 베이스(31)의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베이스(31)의 상면에는 결합부(40)에 의해 상부베이스(37)가 결합되는데, 이때에 상기 하부베이스(31)와 상부베이스(37)를 결합하는 결합부(40)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배설물 수납부(32)를 밀폐하는 플랙시블한 차단부재(35)의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상하부 베이스(31)(37)를 결합하는 결합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베이스(31)의 상면에 개구와 대응되는 궤적을 따라 돌기(4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베이스(37)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41)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재(35)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결합홈(4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41)와 결합 홈(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재(35)의 가장자리의 지지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41)는 결합홈(42)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하베이스(31)(37)를 결합함과 아울러 차단부재의 가장자리를 배설물 수납부(22)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차단부재(35)는 공기가 차단되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시트 또는 비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설물 수납부(22)를 덮을 수 있는 시트(51)와, 이 시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시트(51)의 가장자리를 변기에 부착하여 매설물 수납부(22)를 밀폐하기 위한 접착부(52)를 구비한다. 상기 접착부(52)는 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도 4 및 도 5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변기에 부착되는 테이프의 접착부(52)는 부착방지필름(53)이 부착되어 사용 시 분리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막힘 제거장치를 갖는 변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사용 시에는 상기 변기 본체(20)에 설치되는 가압수단(30)으로부터 차단부재(35)를 분리한 상태로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변기의 트랩(26)이 막히는 경우 상기 하부 베이스(31)에 대해 상부 베이스(37)를 분리하고, 합성수지 필름 또는 비닐로 이루어진 차단부재(35)를 이들의 사이에 개재시킨 후 결합부(4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35)의 가장자리는 돌기(41)과 결합홈(42)에 개재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배설물 수납부(22)는 외부와 밀폐되게 된다. 특히 상기 하부 베이스(31)와 배설물 수납부(22)의 상면 사이에는 패킹(3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사이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물 공급부(23)로부터 물을 배설물 수납부(22)로 배출시키게 되면 배설물 수납부(22)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차단부재(35)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재(35)를 가압하여 배설물 수납부(22)의 수면에 압력이 가하여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배출구(25)와 트랩(26) 측으로 작용하게 되어 막힌 부분을 소통시키게 된다. 그리고 한번의 작용으로 막힌 부분이 뚫리지 않은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여 압력을 가한다.
상기와 같이 막힌 부분이 뚫리면 상기 하부베이스(31)에 대해 상부 베이스(37)를 분리하여 차단부재(35)를 분리한다.
그리고 가압수단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로 이루어진 경우 시트(51)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접합부로부터 부착방지필름(53)을 분리한 후 변기에 부착하여 배설물 수납부(22)를 밀폐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막힌 변기를 뚫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배설물 수납부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가지는 변기와, 상기 배설물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며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해 배설물 수납부의 수면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변기의 배설물 수납부를 밀폐하기 위한 시트와,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변기에 부착됨으로써 배설물 수납부를 밀폐하기 위한 테이프의 접착부와, 상기 테이프 접착부에 부착된 부착방지필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KR1020080049364A 2008-05-27 2008-05-27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KR20080050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64A KR20080050384A (ko) 2008-05-27 2008-05-27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64A KR20080050384A (ko) 2008-05-27 2008-05-27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520A Division KR100838406B1 (ko) 2006-12-01 2006-12-01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384A true KR20080050384A (ko) 2008-06-05

Family

ID=3980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364A KR20080050384A (ko) 2008-05-27 2008-05-27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03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45Y1 (ko) * 2009-08-10 2011-05-16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200454684Y1 (ko) * 2008-08-05 2011-07-20 민경옥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101330057B1 (ko) * 2009-02-06 2013-11-18 조명종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170003138U (ko) 2016-02-29 2017-09-06 강동훈 좌변기 커버
WO2021145477A1 (ko) * 2020-01-14 2021-07-22 안기환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20230105330A (ko) 2023-06-23 2023-07-11 김정원 변기 커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84Y1 (ko) * 2008-08-05 2011-07-20 민경옥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101330057B1 (ko) * 2009-02-06 2013-11-18 조명종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0453545Y1 (ko) * 2009-08-10 2011-05-16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20170003138U (ko) 2016-02-29 2017-09-06 강동훈 좌변기 커버
WO2021145477A1 (ko) * 2020-01-14 2021-07-22 안기환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20230105330A (ko) 2023-06-23 2023-07-11 김정원 변기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406B1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KR20080050384A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US6594831B1 (en) Anti-splash guard
US66438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clogging a toilet
KR101748435B1 (ko) 변기 커버
JP2018519447A (ja) 悪臭及び逆流防止用排水案内装置
KR200368846Y1 (ko) 남성용 소변기의 소변비산방지 및 악취차단구조
KR20130001721A (ko) 비수세식 소변기 및 기타 배수설비에 사용되는 건식 트랩 밸브
KR101523880B1 (ko) 양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US6457188B1 (en) Water and sewage evacuation assembly
KR20090005257U (ko) 변기 뚫음 장치
KR101162288B1 (ko) 개폐볼을 이용한 역류 방지 소변기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101330057B1 (ko)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100010818U (ko)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한 막힘제거 압력장치
KR100941727B1 (ko)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KR200449945Y1 (ko) 변기 막힘 제거장치
KR200438511Y1 (ko) 양변기커버
KR102305434B1 (ko) 양변기 압축장치
JP4920488B2 (ja) リザーブタンクに装着された収納袋への汚物吸引装置
KR20200018130A (ko) 양변기 압축장치
GB2354265A (en) Means for sealing a W.C. bowl
US3055365A (en) Colostomy irrigator
KR101683577B1 (ko) 배수 역류 방지장치
KR101437764B1 (ko) 변기용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